KR20060050951A - 평면형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평면형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951A
KR20060050951A KR1020050081484A KR20050081484A KR20060050951A KR 20060050951 A KR20060050951 A KR 20060050951A KR 1020050081484 A KR1020050081484 A KR 1020050081484A KR 20050081484 A KR20050081484 A KR 20050081484A KR 20060050951 A KR20060050951 A KR 20060050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planar
substrat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또시 야노
쯔까사 가지
게이이찌 구쯔나
가즈야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01J61/307Flat vessels or containers with folded elongated discharge path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분할된 전체 방전 공간에서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는 평면형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투광성의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이 대향 배치되어 내부가 기밀하게 밀봉된 면형상 방전 용기에 방전 매체를 봉입하고,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의 내측에 형광체층(4)을 형성하고, 면형상 방전 용기의 단부를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제1 전극(6a), 제2 전극(6b)을 설치하고,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스페이서(5)를 배치하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방전 공간(7)으로 분할한 평면형 방전 램프(10)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방전 공간 중 적어도 일단부를 이웃의 방전 공간과 방전이 연결되지 않도록 폐색하였다.
평면형 방전 램프, 형광체층, 스페이서, 전극, 방전 공간

Description

평면형 방전 램프 {FLAT DISCHARGE LAMP}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수직 단면도.
도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수평 단면도.
도3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평면도.
도4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스페이서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5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방전 점등 동작의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7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정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수직 단면도.
도9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수평 단면도.
도10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평면도.
도11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방전 점등 동작의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사시도.
도13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수직 단면도.
도15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변형예의 수직 단면도.
도16은 종래예의 평면형 방전 램프의 수평 단면도.
도17은 상기 종래예의 방전 점등 동작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면 기판
2 : 배면 기판
3 : 측벽
4 : 형광체층
5, 5' : 스페이서
6a, 6b : 전극
7 : 방전 공간
10 내지 15 : 평면형 방전 램프
[문헌 1] 일본 특허 제3026416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22083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3-217517호 공보
본 발명은 평면형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 패널의 백 라이트 광원으로서 이용되는 평면형 방전 램프로서, 일본 특허 제3026416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평면형 방전 램프는 발광면이 되는 투광성을 갖는 면판과, 상기 면판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전극과, 상기 투명 도전막이 외부 전극이 되는 부분 이외를 덮고 설치된 투광성을 갖는 유전체층과, 면판과 대향 배치된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에 피복 부착된 형광체로 구성되어 전방면 기판과 절연 기판이 일체로 밀봉 부착되고, 내부에 희박 가스와 수은이 봉입되어 절연 기판에 설치된 방전로의 단면 형상이 면판을 향해 개방되는 구배나 곡면, 또는 그것들을 조합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전극은 방전로에 대해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다.
종래, 평면형 방전 램프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0-222083호 공보(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도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평면형 방전 램프는, 전극은 스페이서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배치되는 기본 구성은 위의 종래예와 동일하지만, 전극은 전방면 기판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2003-217517호 공보(특허문헌 3)에 기재된 평면형 방전 램프도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평면형 방전 램프는 상기 제1, 제2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이들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방전 공간을 복수의 방전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세형(細型) 격벽에 대해 수직 방향에 배치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이 제3 종래예에서는 전하 집중도를 향상시켜 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일체로 형성되 고, 이들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의 평면형 방전 램프에서는 선 형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내부 공간을 다수의 방전 공간으로 분할하여 한 쌍의 전극이 각 방전 공간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도16,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도16은 램프 소등 시의 상태, 도17은 램프 점등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6은 스페이서(5)와 전극(6a, 6b)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낸 램프의 단면도로, 전극(6a, 6b)은 램프 외벽에 배치되거나, 또는 램프 내벽에 도포된 후 유전체층으로 코팅된 구성이 취해지고 있다. 램프의 배기나 가스 도입을 쉽게 하기 위해, 스페이서(5)는 그 양단부가 측벽(3)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방전 공간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6a, 6b)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면, 예를 들어 사선으로 표시한 공간(A)에만 방전로가 형성되고, 백색 공간(B)에는 방전로가 형성되지 않아, 공간(A)에만 부분적으로 발광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02641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2208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3-217517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평면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방전 공간의 일부만이 방전되고, 방전되지 않은 방전 공간이 생기는 원인을 구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판명되었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전 공간의 양단부에 배치된 외부 전극(6a, 6b)에 전압을 인가하면, 모든 방전 공간에 전계가 작용한다. 그러나, 각 방전 공간은 외부 전극에 접촉하는 유리나 형광체의 표면 상태나 전극의 상태의 차이에 따라서 램프 시동 전압이 약간 다르고, 시동 전압이 낮은 방전 공간에서 최초로 방전이 개시된다. 여기서, 외부 전극에 접촉하는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유리 부분, 혹은 내부 전극 표면을 덮는 유리 부분은 콘덴서의 유전체 배리어로서 작용하여 방전로가 형성되기 전에는 인가 전압과 동극성으로 전하가 대전되어 있지만, 일단 방전로가 형성되면 인가 전압과 역극성으로 변화된다. 지금, 도17에 있어서의 방전 공간(A)에 있어서 최초에 방전이 생긴 것이라 가정하면, 방전에 의해 유전체 배리어의 양단부의 전압은 인가 전압과 역극성으로 변화된다.
이 때, 방전 공간(A)에 인접하는 방전 공간(B)은 방전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유전체 배리어는 인가 전압과 동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다. 이 전하는 방전 공간(B)보다도 이웃의 방전 공간(A)의 유전체 배리어의 전위의 쪽이 낮기 때문에, 이 유전체 배리어를 거쳐서 먼저 방전한 방전 공간(A)에 방전하고, 방전 공간(B)의 방전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전 공간(B)은 방전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결과가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현상은, 비교적 소형이고 방전 공간의 길이가 짧은 평면 형광 램프에 있어서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방전 공간에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외부 전극(6a, 6b)에 인가되는 전압이 충분히 높기 때문에, 모든 방전 공간 에 있어서 방전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대형의 평면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방전 공간이 길어지므로, 방전 개시 전압도 높아져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새롭게 판명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분할된 모든 방전 공간에 있어서 발광이 가능한 대형의 평면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투광성의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이 대향 배치되어 내부가 기밀하게 밀봉된 면형상 방전 용기와, 상기 면형상 방전 용기 내에 봉입된 방전 매체와, 상기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 중 적어도 한쪽 내측에 도포된 형광체층과, 상기 면형상 방전 용기의 단부를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방전 매체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방전 매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된 유전체층과, 상기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방전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구비한 평면형 방전 램프이며,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방전 공간 중 적어도 일단부를 인접하는 방전 공간과 방전이 연결되지 않도록 폐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평면형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전방면 기판 또는 배면 기판으로 겸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평면형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방면 기판 또는 배면 기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0)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1은 수직 단면도, 도2는 수평 단면도, 도3은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0)는 투광성의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을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시켜 배치하고, 2매의 기판(1, 2)의 주변부를 측벽(3)을 거쳐서 플리트 글래스로 접착하고, 기밀한 평면 형상 방전 용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평면 형상 방전 용기는 어느 한쪽의 유리 기판을 쟁반 형상으로 열성형하여 측벽을 생략하는 방법이나, 플리트 글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양 유리 기판의 주변부를 가열하고 유리를 용융시켜 접착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평면 형상 방전 용기의 내부 공간에는 방전 매체로서 수은 증기,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네온, 헬륨이 단독 혹은 2종류 이상 혼합되어 수㎪로부터 수백 ㎪의 봉입 압력으로 봉입되어 있다.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 사이에는 가늘고 긴 스페이서(5)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방전 용기의 내외 기압 차에 의한 램프의 폭축(爆縮)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스페이서(5)의 단면 형상은, 도면 중 직육면체 이외에 도4의 (a) 내지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삼각형, 원 형, 관형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형상 스페이서(5)에 의해 평면 방전 용기는 다수의 방전 공간(7)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 방전 공간(7)의 한쪽 단부는 스페이서(5)의 일단부가 측벽(3)에 접촉 혹은 약간의 간극을 두고 근접 배치되고, 인접하는 방전 공간(7)과 방전로가 서로 분리되도록 폐색되어 있다. 또한, 각 방전 공간(7)의 다른쪽 단부는 인접하는 방전 공간(7)과 방전로가 서로 연속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각 방전 공간(7)의 개방단부는 서로 연통되어 있고, 각 방전 공간(7) 내의 배기나 방전 매체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전방면 기판(1), 배면 기판(2), 스페이서(5), 측벽(3)의 내측에는 각각 형광체층(4)이 형성되어 있고, 방전에 의해 방전 매체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한다. 형광체층(4)에는 일반 조명, 냉음극 형광 램프, PDP에 사용되는 형광 재료를 이용하여 단독으로 도포하거나, 발광색이 다른 수종류의 형광 재료를 혼합하여 도포하고 있다. 또한, 다른 발광색의 형광체를 개별로 줄무늬 형상 또는 도트 형상으로 도포하는 구성도 취할 수 있다.
빛을 취출하는 측의 전방면 기판(1)의 형광체층(4)은 배면 기판(2)측으로부터의 형광체의 빛을 손실하지 않고 투과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평균 입경(1차 입자 직경)이 약 2.5 ㎛ 이상인 형광체 입자를 두께 5 내지 15 ㎛로 얇게 형성하고 있다. 한편, 빛을 취출하지 않는 배면 기판(2)의 형광체층(4)은 빛을 전방면 기판(1)측으로 많이 유도하기 위해,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약 2.5 ㎛ 이하인 형광체 입자를 두께 30 내지 100 ㎛로 두껍게 형성하여 반사 휘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배면 기판(2)과 형광체층(4) 사이에는 미립자의 금속 산화물의 반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쪽 유리 기판(1, 2)의 내면에 형광체층(4)을 설치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형광체층을 생략하는 구성도 취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의 양쪽 형광체층(4)을 생략하여 방전 매체로부터 방사되는 가시광을 직접 이용하는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전방면 기판(1)의 외면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용기의 단부를 따라서 고압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 전극(6a)과 저압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 전극(6b)을 배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전압을 인가하는 외부 전극(6a)을, 도2의 스페이서의 단부를 폐색하고 있는 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외부 전극(6a, 6b)의 형상은 띠형 형상이다. 외부 전극(6a, 6b)은 이것 이외에 스페이서(5)로 분리한 각 방전 공간(7)을 향해 볼록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이형(異型)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평면형 방전 램프(10)로서는 고전압측의 외부 전극(6a)과 저전압측의 외부 전극(6b) 사이에 주파수 10 내지 200 ㎑의 구형파 전압, 삼각파 전압, 정현파 전압 또는 펄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평면 형상 방전 용기 내에서 선 형상 스페이서(5)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각각 방전 공간에 있어서 방전이 형성된다. 그리고, 방전 매체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형광체층(4)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되고, 이를 광원으로서 이용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0)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페이서(5)에 의해 분리된 방전 공간(7) 각각의 일단부를 인접하 는 방전 공간(7)과 방전이 연결되지 않도록 폐색하였으므로, 점등 시에 각 방전 공간(7)에 동등한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개시시켜 방전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전체 방전 공간에서 균일한 밝기로 발광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각 방전 공간(7)의 일단부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특히 제조 시에 평면 형상 방전 용기를 진공화하여 방전 매체를 봉입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용기의 1군데에 구멍을 개방하여 관을 접속하여 진공화하거나 방전 매체를 봉입함으로써 연통되어 있는 각 방전 공간(7)으로부터 동등하게 진공화하고, 또한 방전 매체를 균등하게 봉입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극(6a, 6b) 중 적어도 한쪽이 방전 매체가 분리되는 배리어 방전형의 평면형 방전 램프에 적응되는 것이므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방면 기판 또는 배면 기판의 내측에 전극을 형성하여 그 표면을 유전체층으로 덮는 구성의 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구성의 평면형 방전 램프에 대해서도 어느 한쪽의 전극이 유전체층이나 유리벽에 의해 방전 매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면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1)에 대해 도6,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5) 대신에, 전방면 기판(1)을 열성형에 의해 요철로 형성하고, 볼록부를 배면 기판(2)으로 압박하여 스페이서(5')로서 기능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6, 도7에서는 전방면 기판(1)을 가공하고 있지만, 반대로 배면 기판(2)을 가공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들의 경우에도 볼록조(條)의 스페이서(5')에 의해 분할된 방전 공간(7) 중 적어도 일단부는 인접하는 방전 공간(7)과 분리되도록 폐색되어 있다. 또한, 방전 공간(7)의 다른쪽 단부는 개방되어 인접하는 방전 공간(7)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1)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스페이서(5')에 의해 분리된 방전 공간(7) 각각의 일단부를 인접하는 방전 공간과 방전이 연결되지 않도록 폐색하였으므로, 점등 시에 각 방전 공간(7)에 동등한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개시시킬 수 있고, 전체 방전 공간에서 균일한 밝기로 발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2)에 대해 도8 내지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각 방전 공간(7)의 양단부를 모두 폐색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2)는 투광성의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을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시켜 배치하고, 2매의 기판(1, 2)의 주변부를 측벽(3)을 거쳐서 플리트 글래스로 접착하여 평면 형상 방전 용기를 형성하고 있다. 평면 형상 방전 용기의 내부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방전 매체가 소정의 봉입 압력으로 봉입되어 있다.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 사이에는 가늘고 긴 스페이서(5)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방전 용기의 내외 기 압 차에 의한 램프의 폭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형상 스페이서(5)에 의해 평면 형상 방전 용기는 다수의 방전 공간(7)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방전 공간(7)의 양쪽의 단부는 스페이서(5)의 양단부를 측벽(3)에 접근시켜 접속하여 폐색하고 있다. 양쪽 유리 기판(1, 2)의 내면과 스페이서(5)의 표면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광체층(4)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면 기판(1)의 외면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용기의 단부를 따라서 고압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 전극(6a)과 저압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 전극(6b)이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극(6a, 6b)의 형상은 띠형 형상이다. 또한, 스페이서(5), 외부 전극(6a, 6b)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조의 경우, 평면 형상 방전 용기로부터의 진공화 및 가스 봉입은 벨저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플리트가 용융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램프를 큰 진공로에 넣고, 그 진공로마다 가열하면서 진공화를 행하고, 진공로와 램프 내부가 동일한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 진공 상태의 노(爐) 내에 램프에 봉입하는 가스를 충전하고, 그 상태에서 또한 진공로의 온도를 플리트가 용융하는 온도까지 올리고, 그 후에 진공로를 냉각시킨다. 이에 의해, 용융된 플리트가 전방면 기판, 배면 기판, 측벽의 간격에 있어서 양방을 접착하면서 단단해지고, 가스를 봉입한 평면 형상 방전 용기(램프)의 기본 구조가 완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평면형 방전 램프(12)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고 전압측의 외부 전극(6a)과 저전압측의 외부 전극(6b) 사이에 주파수 10 내지 200 ㎑의 구형파 전압, 삼각파 전압, 정현파 전압 또는 펄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평면 형상 방전 용기 내에서 선 형상 스페이서(5)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각각의 방전 공간(7)에 있어서 방전이 형성된다. 그리고, 방전 매체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형광체층(4)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되고, 이를 광원으로서 이용한다.
이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2)에서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페이서(5)에 의해 분리된 방전 공간(7) 각각의 양단부를 인접하는 방전 공간(7)과 방전이 연결되지 않도록 폐색하였으므로, 점등 시에 각 방전 공간(7)에 동등한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개시시키고 방전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전체 방전 공간에서 균일한 밝기로 발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4)에 대해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4)는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전방면 기판(1)과 배면 기판(2)의 한쪽 혹은 양쪽에 형광체층(4)을 갖고, 그 기판(1, 2) 사이의 간극의 주위를 측벽(3)으로 둘러싸 접착하고, 이들 기판(1, 2)과 측벽(3)으로 둘러싸인 방전 공간 내에 방전 매체로서 희박 가스 혹은 네온 아르곤 혼합 가스와 수은을 봉입하여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방전 공간 내 혹은 방전 공간 외에 적어도 한 쌍의 전극(6a, 6b)을 설치하고 있고, 또한 배면 기판(2)에만 단열재(8)를 접착하여 램프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램프 외부로 전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 기판(1)에는 투광성의 단열재(9)를 접착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단열재(8, 9)를 구비함으로써 본 평면형 방전 램프(14)를 백 라이트 유닛에 조립하였을 때, 유닛의 다른 부재(확산판이나 시트류 등)의 열열화(熱劣化)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배면 기판(2)에 단열재(5)를 접착함으로써 전극(6a, 6b)의 절연을 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5)에 대해 도14 내지 도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평면형 방전 램프에서는 평판 형상의 투명한 유리 기판에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오목부를 마련하고, 또한 플리트 글래스로 스페이서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플리트 글래스와의 접합면에서 램프가 깨질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는 이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14는 본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5)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는 2매의 투광성의 유리 기판(1, 2)과, 2매의 기판(1, 2)의 주변부에 측벽(3)을 플리트 글래스(20)를 융착시켜 밀폐된 평면 형상 방전 용기를 형성하고, 용기 내벽에는 형광체층(4)을 형성하고, 용기 내부에는 수은, 희박 가스 등의 방전 매체를 소정의 기압으로 봉입하고 있다. 대기압에 의한 폭축을 방지하기 위해, 2매의 유리 기판(1, 2) 사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5)를 배치하고 있다. 이 복수의 스페이서(5)에 의해 복수의 방전 공간(7)을 형성하고 있다. 유리 기판(1 또는 2)의 어느 한쪽에는 각 스페이서(5)의 바닥면의 형상에 맞춘 오목부(21)를 형성하고, 이 각 오목부(21)에 스페이서(5) 각각의 바닥면을 끼워 넣어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각 오목부(21)와 스페이서(5)는 플리트 글래스 등의 접착제로 고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5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5)에서는 유리 기판(1, 2)의 대향 공간에 스페이서(5)를 배치하기 위해 기판(1, 2)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부를 마련하여 스페이서(5)를 그곳에 끼워 넣고, 플리트 글래스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플리트 글래스의 도포만큼의 두께를 없앨 수 있고, 또한 플리트 글래스의 접합면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형상의 투명 유리 기판(1, 2)과 스페이서(5)가 면접촉하여 유리 기판(1, 2)에 가하는 응력이 분산되므로, 폭축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평면형 방전 램프(15)에 대해 스페이서(5)의 형상은 도14에 도시한 원형 단면의 것은 아니고,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다리꼴 단면의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평면형 방전 램프에 따르면,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방전 공간 중 적어도 일단부를 인접하는 방전 공간과 방전이 연결되지 않도록 폐색하였으므로, 점등 시에 각 방전 공간에 동등한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개시시킬 수 있고, 전체 방전 공간에서 발광할 수 있다.

Claims (3)

  1. 투광성의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이 대향 배치되어 내부가 기밀하게 밀봉된 면형상 방전 용기와, 상기 면형상 방전 용기 내에 봉입된 방전 매체와, 상기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의 내측에 도포된 형광체층과, 상기 면형상 방전 용기의 단부를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방전 매체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방전 매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된 유전체층과, 상기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방전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구비한 평면형 방전 램프이며,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방전 공간 중 적어도 일단부를 인접하는 방전 공간과 방전이 연결되지 않도록 폐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방전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전방면 기판 또는 배면 기판으로 겸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방전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방면 기판 또는 배면 기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방전 램프.
KR1020050081484A 2004-10-04 2005-09-02 평면형 방전 램프 KR20060050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1772A JP2006107888A (ja) 2004-10-04 2004-10-04 平面形放電ランプ
JPJP-P-2004-00291772 2004-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951A true KR20060050951A (ko) 2006-05-19

Family

ID=3637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484A KR20060050951A (ko) 2004-10-04 2005-09-02 평면형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107888A (ko)
KR (1) KR20060050951A (ko)
CN (1) CN1758414A (ko)
TW (1) TW2006180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6333A1 (de) * 2006-06-02 2007-12-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flachem Entladungsgefäß
US8980484B2 (en) 2011-03-29 2015-03-17 Enervault Corporation Monitoring electrolyte concentrations in redox flow batter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8029A (en) 2006-06-01
JP2006107888A (ja) 2006-04-20
CN1758414A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7940A (ko) 면광원 장치,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060017392A1 (en) Flat fluorescent lamp improving discharge efficiency
KR100648781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0082441A (ja) 平板型光源
KR20070034947A (ko) 백라이트 시스템
KR20060050951A (ko) 평면형 방전 램프
US6639351B1 (en) Planar fluorescent lamp with flat electrod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KR20020069292A (ko) 면광원 장치
KR20020061753A (ko) 면광원 장치
KR100437954B1 (ko) 평판형 램프와, 이를 채용한 램프조립체
KR100444903B1 (ko) 평판형 램프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US20070296327A1 (en) Planar Discharge Lamp And Lighting Device
KR100460791B1 (ko) 평판형 램프와 이를 이용한 램프 조립체
KR20070031910A (ko) 평면형 방전 램프 및 조명 장치
US200600634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lamp
JP4102525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8236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8235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2001126670A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2531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2527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H05151934A (ja) 平面発光型放電灯及びその製造方法
JP4102529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2530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2006024508A (ja) 平面型放電ランプ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