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662A - 캡 프레임 및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 Google Patents

캡 프레임 및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662A
KR20060044662A KR1020050024384A KR20050024384A KR20060044662A KR 20060044662 A KR20060044662 A KR 20060044662A KR 1020050024384 A KR1020050024384 A KR 1020050024384A KR 20050024384 A KR20050024384 A KR 20050024384A KR 20060044662 A KR20060044662 A KR 20060044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rame
center
support segment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597B1 (ko
Inventor
야스히꼬 가와구찌
야스까즈 노구찌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2Head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캡 프레임은 자수 재봉틀(M1)의 결합 유닛(및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 프레임 본체와, 캡이 외측으로부터 놓인 상태로 세팅되는 만곡된 프레임 형상을 가진 캡 프레임 본체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캡 지지 세그먼트와,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서 외측으로부터 캡(C)이 자수놓는 영역의 부근을 보유하기 위한 홀딩 다운 부재와,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 놓인 캡(C)의 외측으로부터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캡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측의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에 형성된 V자 형상의 리세스의 캡 중심 기준 영역을 포함한다. 캡을 세팅할 때, 작업자는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의 천을 통해 그와 접촉하여 캡 중심 기준 영역을 인지하면서 캡의 중심을 캡 중심 기준 영역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캡, 캡 프레임, 캡 지지 세그먼트, 홀딩 다운 부재, 에지, 리세스, 캡 프레임 본체

Description

캡 프레임 및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CAP FRAME AND CAP-FRAME SETTING FRAM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의 좌측면도.
도2는 캡 프레임의 평면도.
도3은 캡 프레임의 정면도.
도4는 캡 프레임이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부분적으로 리세스된 캡 프레임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6은 캡 프레임이 결합부와 결합되는 방법의 사시도.
도7은 캡 프레임이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의 우측면도.
도8은 전체 다중 헤드 재봉틀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의 정면도.
도10은 부분적으로 리세스된 캡 프레임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의 측면도.
도12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의 평면도.
도13은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의 정면도.
도14는 캡 프레임이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의 평면도.
도15는 캡 프레임의 좌측면도.
도16은 캡 프레임의 평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이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프레임
2 : 캡 프레임 본체
3 : 캡 지지 세그먼트
4 : 홀딩 다운 부재
5 : 플랜지 지지 본체
5a, 13a : 캡 중심 기준 라인
6 :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8 : 결합 롤러
10 : 부착 프레임
12 : 결합 슬롯
13 : 수용 부재
14 : 플랜지 고정 기구
15 : 로드
16 : 러그
17 : 후크 부재
C : 캡
Ca : 플랜지
M : 다중 헤드 재봉틀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제11-200224호
본 발명은 자수 재봉틀(embroidery sewing machine)에 의해 자수를 놓기 위해 캡(cap)을 보유하는 캡 프레임 및 캡이 캡 프레임에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착탈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야구 캡과 같은 캡의 전방 또는 좌측/우측에 자수를 놓을 수 있는 자수 재봉틀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자수 재봉틀에서, 캡이 캡 프레임에 먼저 세팅되고, 캡 프레임과 자수 재봉틀의 가동 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자수가 캡에 놓일 수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캡 프레임에 대해 캡을 부착/착탈 작업을 할 때, 작업 스탠드에 부착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캡 프레임이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부착된 후, 캡은 캡 프레임에 유지되거나 그로부터 보유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11-200224호(JP-A-11-200224)는 상기 캡 프레임 및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시한다.
특히, 캡 프레임은 가동 기구의 회전 프레임과 연결된 링 형상(얇은 원통형 형상)의 프레임 본체, 캡이 달린 캡 프레임 본체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만곡형 컵 지지 세그먼트, 캡 지지 세그먼트에 자수를 놓기 위해 캡 영역 부근을 보유하는(holding down) 홀딩 다운 부재(holding-down member), 캡의 플랜지를 지지하기 위한 캡 프레임 본체와 결합된 플랜지 지지편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캡 지지 세그먼트 및 홀딩 다운 부재의 두 종류가 있다. "비프레임 유형"의 캡 프레임에서, 캡 지지 세그먼트와 홀딩 다운 부재는 자수가 놓여지는 캡의 영역의 양측에 개재된다. 즉, 캡 프레임의 "프레임 유형"에서, 캡 지지 세그먼트와 홀딩 다운 부재는 자수가 놓여지는 캡의 자수가 놓여지는 영역을 둘러싸는 부분을 항상 개재하도록 거의 정방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은 캡 프레임의 캡 프레임 본체가 외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는 만곡된 기부 프레임을 구비한다. 기부 프레임은 축방향으로 비교적 길다. 특히, 캡이 캡 프레임의 "비프레임 유형"에 부착되는 경우, 캡 프레임이 기부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로, 기부 프레임은 캡 지지 세그먼트가 돌출하는 것보다 더욱 크게 캡의 상부를 향해 돌출한다. 또한, 캡 프레임에 세팅되는 캡은 돌출부에서 내측으로부터 수용된다. 이는 캡 프레임에 캡을 세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캡의 소정의 부분에 자수를 놓기 위해, 캡을 원주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캡 프레임에 세팅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자수가 캡의 전방에 놓여지는 경우, 캡 프레임에 대해 캡의 위치설정은 캡 프레임의 원주방향 중심과 캡의 전방 중심을 정렬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종래, 이러한 정렬을 하기 위해, 중심 라 인이 캡 프레임 본체에 새겨지거나 표시되었다. 따라서, 캡의 중심(대부분, 캡의 전방 상의 중심 시임)이 중심 라인과 정렬하도록 작업자가 그 정렬을 행하지만, 작업자는 캡 프레임에 캡을 보유하는 작업을 한다.
그러나, 정렬을 위해 중심 라인이 캡 프레임의 캡 프레임 본체에 새겨지는 자수 재봉틀에서, 일단 캡이 캡 프레임 본체에 놓여지면, 중심 라인은 시야로부터 캡에 의해 숨겨진다. 결과적으로, 캡 프레임의 중심 라인은 캡의 중심과 반드시 용이하게 정렬될 수 없다. 더욱이, 그 경우가 발생될 때 캡이 캡 프레임에 놓여지는 경우 정렬이 만족되더라도, 캡이 홀딩 다운 부재에 의해 보유되는 경우 캡은 홀딩 다운 부재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캡이 캡 프레임 본체 상에 놓여지는 경우 중심 라인이 감춰지지 않는 플랜지 지지편의 팁에 중심 라인이 새겨지는 자수 재봉틀 또한 제안되었다. 그러나, 중심 라인 위치가 자수되는 영역으로부터 매우 멀기 때문에, 중심 라인의 시각적인 점검에 의해 캡 프레임의 중심과 캡의 중심 라인을 정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프레임 형상의 홀딩 다운 부재를 구비한 캡 프레임의 프레임 유형과 관련하여, 정렬을 위한 중심 라인은 중심 라인이 시야로부터 감춰지지 않는 홀딩 다운 부재의 표면 상에 새겨질 수 있다. 그러나, 이 홀딩 다운 부재는 캡의 천 두께 또는 홀딩 다운 부재에 의해 캡을 보유하는 힘의 변화로 인해 캡 프레임 본체(캡 지지 세그먼트)의 그 원주방향 위치로 활주한다. 따라서, 정렬용 중심 라인은 캡 프레임의 정확한 중심 위치를 교시하지 않는다(중심 위치는 알려지지 않음).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이 캡 프레임에 의해 보유될 때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될 수 있는 캡 프레임 및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캡 프레임은 자수 재봉틀의 가동 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된 링 형상의 캡 프레임 본체와, 캡이 외측으로부터 놓인 상태로 세팅되는 만곡된 프레임 형상을 가진 상기 캡 프레임 본체에 부착된 캡 지지 세그먼트와,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서 상기 캡의 자수놓은 영역 부근을 보유하기 위한 홀딩 다운 부재와, 캡 지지 세그먼트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상기 캡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에 형성된 캡 중심 기준 영역을 포함한다.
캡을 캡 프레임에 세팅할 때, 작업자는 캡 프레임 본체에 부착된 캡 지지 세그먼트에 캡을 놓고 홀딩 다운 부재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캡을 보유한다. 이 경우에, 캡 지지 세그먼트는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캡 중심 기준 영역을 구비한다. 이러한 이유로, 캡을 정렬할 때, 중심 라인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의 천을 통해 그와 접촉하여 캡 중심 기준 영역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예를 들어, 캡의 중심에 캡 중심 영역을 중첩시킴으로써 캡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더욱이, 홀딩 다운 부재에 의해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 캡을 보유하는 작업 또한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 중심 기준 영역 위로 보유된 캡에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캡은 캡이 캡 프레임으로부터 오정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세팅될 수 있 다. 따라서, 캡 프레임에 의한 캡을 보유할 때의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캡 프레임은 자수 재봉틀의 가동 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된 링 형상의 캡 프레임 본체와, 캡이 외측으로부터 놓인 상태로 세팅되는 만곡된 프레임 형상을 가진 상기 캡 프레임 본체에 부착된 캡 지지 세그먼트와,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서 상기 캡의 자수놓은 영역 부근을 보유하기 위한 홀딩 다운 부재와, 캡 지지 세그먼트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소정의 길이만큼 그 양측을 향해 캡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을 포함한다.
캡을 캡 프레임에 세팅할 때,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의 천을 통해 그와 접촉하여 캡 지지 세그먼트의 중심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위치된 캡 위치 기준 영역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캡을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종종, 캡의 전방에, 시임이 중심에 대해 측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각의 시임을 캡 위치 기준 영역에 중첩시킴으로써 캡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에, 또한,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 위치 기준 영역에 캡을 보유함으로써, 작업자는 캡이 캡 프레임으로부터 오정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홀딩 다운 부재에 의해 캡 지지 세그먼트로 캡을 보유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캡 프레임에 의해 캡을 보유할 때의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각각의 캡 프레임에서,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은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측의 에지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리세스는 캡 상부측으로부터 캡 개구측을 향해 좁혀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리세스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그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형성되고 또한 촉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더욱이, 만약 캡의 천이 리세스로 진입하게 될 정도로 정렬식으로 보유되면, 오정렬이 방지되는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은 돌출부 또는 함몰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을 놓거나 벗길 때, 캡 프레임은 자수 재봉틀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캡 프레임에 대한 캡의 부착 또는 착탈 작업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은 캡 프레임에 캡을 놓거나 그로부터 캡을 벗길 때 캡 프레임이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프레임이다.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은 캡 프레임이 부착되는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작업 테이블 위에 고정된 만곡된 기부 프레임과, 캡 프레임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시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상기 기부 프레임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에 형성된 캡 중심 기준 영역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캡 프레임에 캡을 세팅하는 경우, 먼저, 작업자는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 테이블에 고정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의 기부 프레임에 캡 프레임을 부착하고, 이러한 정렬된 상태로 캡 프레임에 놓인 캡을 유지한다. 이 경우에, 기부 프레임은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캡 중심 기준 영역을 구비한다. 이러한 이유로, 캡을 캡 프레임과 정렬할 때, 시각적으로 중심 라인을 인지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의 천을 통해 그와 접촉하여 캡 중심 기준 영역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캡 중심 기준 영역을, 예컨대 캡의 중심에 중첩시킴으로써 캡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더욱이, 캡을 캡 프레임에 보유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 중심 기준 영역 상에 유지되는 캡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캡은 기부 프레임 및 이에 따라 캡 프레임으로부터 오정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캡 프레임에 의해 캡을 보유할 때의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은 캡 프레임에 캡을 놓거나 그로부터 캡을 벗길 때 캡 프레임이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프레임이다. 이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은 캡 프레임이 부착되는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작업 테이블 위에 고정된 만곡된 기부 프레임과, 캡 프레임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소정의 길이만큼 그 양측을 향해 상기 기부 프레임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캡 프레임에 캡을 세팅하는 경우, 먼저, 작업자는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 테이블에 고정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의 만곡된 기부 프레임에 캡 프레임을 부착하고, 이러한 정렬된 상태로 캡 프레임에 놓인 캡을 유지한다. 이 경우에,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손가락의 천을 통해 그와 접촉하여 기부 프레임의 중심의 양 측면 상에 대칭적으로 위치된 캡 위치 기준 영역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캡을 캡 프레임과 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캡의 전방에, 시임이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각의 시임을 캡 위치 영역에 중첩시킴으로써 캡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에 또한,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 위치 기준 영역에 캡을 보유함으로써, 작업자는 캡이 캡 프레임으로부터 오정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캡 프레임에 캡을 보유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캡 프레임에 의해 캡을 보유할 때의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각각의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서,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은 기부 프레임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리세스는 캡 상부측으로부터 캡 개구측을 향해 좁혀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리세스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그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촉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더욱이, 만약 캡의 천이 리세스로 진입하도록 정렬시 보유되면, 오정렬의 방지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은 돌출부 또는 만곡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중심 기준 영역 또는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면 명확해진다.
이제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캡에 대해 자수를 동시에 놓을 수 있는 산업용 다중 헤드 자수 재봉틀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수가 야구 캡(C)의 전방에 놓이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다음의 설명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헤드 재봉틀에 대해 작업자가 앉는 방향은 전방향이고, 그 전후 방향은 Y방향이고 좌우 방향은 X방향인 것으로 가정된다. 도1에서, 화살표(Ya)의 방향은 전방향이고, 도1, 도2 및 다른 도면에서, Yb의 방향은 캡 프레임이 장착되는(또는 끼워지는) 후방향이다.
먼저, 도8을 참조하여, 다중 헤드 재봉틀(M)의 본체의 형상이 설명된다. 다중 헤드 재봉틀(M)의 본체는 X방향으로 연장된 자수기 기부 프레임(101) 및 그 후방측 위에 자수기 기부 프레임(101) 상에 정렬된 거의 정방형인 재봉틀 지지판(10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진 세 개의 다중 니들 자수 재봉틀(M1 내지 M3)은 재봉틀 지지판(102) 상에 배열된다.
각각의 이러한 자수 재봉틀(M1 내지 M3)은 다음과 같이 구조화된다. 재봉틀 지지판(102) 위에, 베드 본체(107)가 배열된다. 레그 컬럼(106)은 베드 본체(107)의 후방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아암(103)은 레그 컬럼(106)의 상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아암(103)의 전방 단부에, 헤드 (104)가 제공된다. 헤드(104)의 전방 단부에, 니들 케이스(105)가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된다. 베드 본체(107)의 전방 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실린더 베드(108)가 제공된다. 이 실린더 베드(108)의 팁의 상부면 위에, 니들 슬롯(108a)(도6 참조)이 형성되고, 슬롯 내에 (도시되지 않은) 실 궤도 포획부가 하우징된다.
각각의 니들 케이스(105)는 (도시되지 않은) 6개의 니들 바와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6개의 밸런스가 합체된다. 각각의 니들 바는 그 하부 단부에 재봉 니들(110)이 제공된다. 아암(103)에, 복수의 스풀 홀더(121)를 가진 스풀 홀더 기부(120)가 위치된다. 재봉 니들(110)은 각각 밸런스(111)를 통해 스풀 홀더(121)로부터 상이한 색상(6개의 색상)의 자수 실을 공급한다.
니들 바 케이스(105)가 (도시되지 않은) 니들 바 선택 기구에 의해 X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구동될 니들 바 중 하나가 선택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니들 바(재봉 니들(110))와 대응 밸런스(111)만이 V 벨트(123)와 주 샤프트(122)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재봉틀 모터로부터 전송된 구동력에 의해 수직으로 구동된다. 재봉틀 모터에 의해 유사하게 회전 구동되는 실 궤도 포획기와 협력하여, 자수 시임이 선택된 색상을 가진 자수 실로 형성된다.
재봉틀 지지판(102)의 전방 측에, 실린더 베드(108)의 상부면과 동일 높이로 상승할 수 있는 작업 테이블(113)이 배열된다. 작업 테이블(113)의 좌우측 양쪽에, 한 쌍의 보조 테이블(114, 115)이 배열된다. X방향으로 길게 정방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천 이송 프레임(116)이 보조 테이블(114, 115) 사이에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 천 이송 프레임(116)은 양 단부에 구동 프레임 세그먼트(116a, 116b) 및 X방향 프레임 세그먼트(116c)를 포함한다. 이 구동 프레임 세그먼트(116a, 116b)는 각각 보조 테이블(114, 115)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에, 상세히 도시되진 않았지만, 재봉틀 지지판(102)의 일부는 X방향 구동 기구 및 Y방향 구동 기구로 구성된 가동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천 이송 프레임(116)은 우측의 구동 프레임 세그먼트(116a)가 X방향 구동 기구와 결합할 때 X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되지만, X방향 구동 프레임 세그먼트(116c)는 Y방향 구동 기구와 결합될 때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보조 테이블(115)의 우측 단부에, 작업자가 다양한 진입을 할 때 사용되는 작업 패널(109)이 구비된다. 작업 패널(109)은 자수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7), 작업자에 의한 진입용 작동 스위치 세그먼트(118) 및 가요성 디스크 드라이브(119)를 구비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중 헤드 재봉틀(M)은 마이크로컴퓨터를 합체한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보조 데이터 등을 기초로, 이 제어 장치는 상기 재봉틀 모터, 니들 바 선택 기구, X방향 구동 기구 및 Y방향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천 이송 프레임(116)에 의해 지지되는 재봉되는 물체(캡(C))에 대해 자동적으로 자수를 놓는다.
자수가 각각의 자수 재봉틀(M1 내지 M3)에 의해 컵(C) 상에 행해질 때, 결합 유닛(131)은 천 이송 프레임(116)에 부착된다. 캡(C)이 보유된 캡 프레임(1)은 결합 유닛(13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 유닛(131)이 설명된다. 먼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1)은 링 형상의(얇은 원통형의) 캡 프레임 본체(2), 캡 지지 세그먼트(3), 홀딩 다운 부재(4) 및 플랜지 지지편(5) 등을 포함하는 캡 프레임의 "프레임 유형"이다. 캡(C)은 재봉되는 영역이 지향되는 전방(이 경우에 전방)으로부터 놓여진 캡(C)은 이 캡 프레임(1)에 보유된다.
결합 유닛(131)은 천 이송 프레임(116) 아래의 Y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샤프트(133)(도7 참조), 안내 샤프트(116)를 따라 회전가능하지 않지만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기부 프레임(134), 기부 프레임(134)에 의해 Y방향에 평행한 축 중심(O) 둘레로 지지되는 회전가능한(동축으로 회전가능한) 회전 프레임(136), 축 중심(O) 둘레로 회전 프레임(136)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137), 기부 프레임(134)과 천 이송 프레임(116)을 결합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결합 기구, 기부 프레임(134) 상의 수직 상향으로 부착된 결합판(139), 결합판(139)의 전방에 부착된 캡(C)의 내주연부를 지지하기 위한 캡 지지판(140) 및 내측으로부터 상기 회전 프레임(136)을 회전식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롤러(141)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안내 샤프트(133)는 상기 베드 본체(107)에 고정된다. 기부 프레임(134)의 중심 보스는 안내 샤프트(133)를 따라 Y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안내 샤프트(133)에 활주식으로 끼워진다. 결합판(139)은 기부 프레임(134)의 상부에 고정된다. 결합판(139)의 하부 중심과 좌우측 양단부에, 세 개의(도7에는 단지 두 개만 도시됨) 회전 롤러(142)가 외측으로부터 회전 프레임(136)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결합판(139)의 상단부는 전방으로 만곡되는 만 곡 세그먼트(139a)로 형성된다.
회전 프레임(136)은 원통형 링 형상의 세그먼트(149) 및 링 형상의 세그먼트(149)의 상부 절반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전방으로 연장된 반 아크형 캡 프레임 지지 세그먼트(150)를 포함한다. 링 형상의 세그먼트(149)의 외주연부에, 내부에 회전 롤러(142)가 끼워지고 상대적으로 구르는 롤러 홈(151)과 회전 기구(137)의 와이어(160)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 홈(152)이 형성된다. 캡 프레임 지지 세그먼트(150)에서, 후술되는 캡 프레임(1)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캡 프레임(1)의 내주연부는 캡 프레임 지지 세그먼트(150)의 외주연부에 긴밀하게 끼워진다.
링 형상의 세그먼트(149)의 외주연부의 좌우 상부측에, 한 쌍의 좌우 결합 부재(13)가 회전 프레임(136)을 구비한 캡 프레임 지지 세그먼트(150)에 장착된 캡 프레임(1)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각각의 결합 부재(153)는 편평한 스프링(153)의 팁에 회전식으로 부착된 결합 롤러(156)를 구비한다. 편평한 스프링(157)의 기부측은 링 형상의 세그먼트(149)에 고정된다. 편평한 스프링(157)에 의해, 결합 롤러(156)는 항상 결합 방향으로 압박된다. 결합 롤러(156)가 캡 프레임(1)의 캡 프레임 본체(2)에 형성된 결합 슬롯(12)에 결합될 때(도1), 캡 프레임(1)은 전후 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캡 프레임 지지 세그먼트(150)에 보유된다. 각각의 결합 부재(153)는 편평한 스프링(157)에 일체식으로 형성된 돌출편(159)을 구비하고, 돌출편(159)은 작업자가 결합 해제 방향으로 결합 부재(153)(편평한 스프링(157))를 압력 변환할 때 채용된다.
한 쌍의 캡 지지판(140)은 캡 프레임 지지 세그먼트(150)의 전방에 실린더 베드(108)의 좌우측 양쪽에 구비된다. 이러한 캡 지지판(140)은 그 후방 단부의 결합판(139)에 고정되고, 이러한 캡 지지판이 캡(C)의 내주연부 상에 활주될 때, 캡(C)의 니들 슬롯(108a)의 좌우측 양쪽에 소정의 범위로 천을 신장시킨다.
회전 기구(137)는 회전 프레임(136)의 회전으로 천 이송 프레임(116)의 X방향의 이동을 역전시키도록 작용한다. 회전 기구(137)는 회전 프레임(136)의 와이어 안내 홈(152) 상에 감긴 와이어(160), 스크루 부재(165)에 의해 천 이송 프레임(116)에 부착된 X방향의 길이(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와 결합되고 X방향으로 기부 프레임(134)에 이동가능한 가동 부재(164)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164)는 그 양단부에 와이어(160)의 양 단부를 결합하는 와이어링 결합 세그먼트(162, 163)를 구비한다. 가동 부재(164)는 결합판(139)의 상단부 만곡 세그먼트(139a)가 결합되는 결합 세그먼트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이 경우에, 한 쌍의 좌우 안내 롤러(141)는 결합판(139)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그 상측에 구비된 한 쌍의 좌우 회전 롤러(142)에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회전 프레임(136)의 내주연부 상에 형성된 롤러 홈에 끼워지는 이러한 안내 롤러(141)는 회전 프레임(136)을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회전 롤러(142)와 회전 프레임(136)을 함께 개재한다. 상술된 형상을 가진 회전 기구(137)에서, 천 이송 프레임(116)이 X방향으로 구동될 때, 가동 부재(164)는 X방향으로 천 이송 프레임(116)과 함께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양 단부가 가동 부재(164)에 고정되는 감긴 와이어(160)를 가진 회전 프레임(136)이 회전된다.
더욱이, 상기 결합 기구는 또한 기부 프레임(134)이 X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Y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고 구동될 수 있도록 천 이송 프레임(116)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 유닛(131)에 천 이송 프레임(116)의 Y방향 구동을 전송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결합 유닛(131)은 전후 방향(Y 방향)으로 실린더 베드(108)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1)이 설명된다. 이 캡 프레임(1)은 자수 재봉틀(M1 내지 M3)의 결합 유닛(131)과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더욱이, 캡(C)을 부착 또는 착탈할 때, 캡 프레임(1)은 자수 재봉틀(M1 내지 M3)로부터 분해되는 상태로 후술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6)(도4 참조)에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캡 프레임 본체(2)는 외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로 결합 유닛(131)(및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6)의 기부 프레임(7))의 캡 프레임 지지 세그먼트(150)에 장착된다. 이 때에, 캡 프레임 본체(2)의 중심은 상기 축중심과 정렬된다. 캡 프레임 본체(2)는 부착 프레임(10)의 외주연부로부터 좌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착 프레임(10) 및 그립(11)을 일체형으로 포함한다. 부착 프레임(10)은 두 개의 결합 슬롯(12)을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 슬롯(12)에서, 회전 프레임(136)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 롤러(156)가 결합되고,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6)의 두 개의 결합 롤러(8)(도4 참조)가 또한 결합된다. 캡 지지 세그먼트(3)는 부착 프레임 세그먼트(10)의 상부 절반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캡 지지 세그먼트(3)는 전후 방향으로 캡 프레임 본체(2)의 중심(축 중심 (O))에 대해 반 아크형(만곡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로부터 볼 때 자수가 놓여지는 영역(캡(C)의 전방 상에 자수되는 영역)에 정방형 개구를 구비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수가 놓여지는 영역이 상향으로 지향(이 경우에는 전방)될 때, 캡(C)은 외측으로부터 덮이도록 캡 지지 세그먼트(3)에 세팅된다. 따라서, 캡 지지 세그먼트(3)는 캡(C)의 내주연부의 자수가 놓여지는 영역의 주연부를 수용한다.
홀딩 다운 부재(4)는 캡 지지 세그먼트(3)에 대한 캡(C)의 외측면으로부터 캡(C)의 자수가 놓여지는 영역 부근을 보유하도록 작용한다. 홀딩 다운 부재(4)는 캡 지지 세그먼트(3)에 상응하는 만곡된 정방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소 가요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 도1 및 도3으로부터 보여질 때, 캡 프레임 본체(2)의 하부 좌측부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로드(15)가 구비된다. 홀딩 다운 부재(4)의 일 단부(좌측 에지)는 로드(15)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 반면에, 캡 프레임 본체(2)의 하부 우측부에, 러그 부재(16)가 제공된다. 홀딩 다운 부재(4)의 타단부(우측 에지)에, 러그 부재(16)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크 부재(17)가 제공된다.
따라서, 홀딩 다운 부재(4)는 캡 지지 세그먼트(3)로부터 아주 먼 개방된 상태와 캡 지지 세그먼트(3)의 외주연부에 포개진 폐쇄된 상태 사이에서 개방/폐쇄될 수 있다. 캡 프레임(1)에 캡(C)을 세팅할 때, 제1 캡(C)은 홀딩 다운 부재(4)의 개방된 상태의 전방으로부터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놓여진다. 다음에, 홀딩 다운 부재(4)는 위로부터 캡(C)의 전방에 놓이도록 회전되어, 후크 부재(17)와 러그(16)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캡(C)의 전방은 캡(C)이 자수가 놓여지는 영역의 천이 프레임에서 신장되는 캡 프레임(1)에 보유되도록 홀딩 다운 부재(4)와 캡 지 지 세그먼트(3) 사이에 개재된다.
플랜지 지지 본체(5)는 캡(C)의 플랜지(Ca)를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그 하단부는 캡 프레임 본체(2)의 중심 상단부에 부착된다. 플랜지 지지 본체(5)는 후방으로 경사져서 상방으로 상승하도록 구비된다. 플랜지 지지 본체(5)의 상단부에, 플랜지 고정 기구(14)는 캡(C)의 플랜지(Ca)의 팁을 고정식으로 닙핑(nipping)하도록 구비된다.
캡 프레임 본체(2)의 상단부에, 플랜지 지지 본체(5)의 전방에 위치된 수용 부재(13)는 캡(C)의 (도시되지 않은) 땀 흡수 영역을 닙핑하여 보유하도록 구비된다. 캡(C)의 땀 흡수 영역은 캡(C)의 개구의 내주연부에 후방으로 접히도록 구비된다. 땀 흡수 영역이 캡(C)의 전방측에 개방되어, 땀 흡수 영역은 수용 부재(13)에 보유된다.
플랜지 고정 기구(14)에 의해 플랜지(Ca)의 해제 상태의 고정된 상태에 관계없이, 플랜지 지지 본체(5)의 외부 단부는 외측에 노출된다. 도2 및 도4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플랜지 지지 본체(5)의 외부 단부에, 캡 중심 기준 라인(5a)이 그 상부면에 표시된다. 수용 부재(13)의 상부면에, 또한 캡 중심 기준 라인(13a)이 표시된다. 이러한 캡 중심 기준 라인(5a, 13a)은 플랜지 지지 본체(5)와 플랜지 수용 부재(13)에 표시되고 예컨대 적색의 명확한 색상을 갖는 라인이다.
한편, 캡 지지 세그먼트(3)의 도1 내지 도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지의 원주 방향(좌우 방향)(원주(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긴 측)으로 그 중심에, 캡 중심 기준 영역(20)이 형성된다. 도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캡 중심 기준 영역(20)은 캡 지지 세그먼트(3)의 캡 상부측 상의 에지를 리세스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21)로 형성된다. 이 리세스(21)는 캡 상부측(전방)으로부터 캡 개구측(후방)까지 협소해진 V자 형상부로 형성된다. 따라서, 캡 중심 기준 영역(20)은 작업자가 손/손가락으로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할 때 촉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접촉이라고 알려진다)
더 상세하게,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사람의 검지의 끝이 캡(C)의 천을 통해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리세스(21)는 후방 단부에서 약 65°도 및 약 9mm 전후 길이, 약 12mm 좌우 폭의 크기로 형성된다. 더욱이, 도2 및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좌우 폭(약 12mm)은 일반 캡(C)의 전방에 원주방향 중심(CC)에 형성된 중심 시임(CS)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중심 시임(CS)의 전체 영역은 리세스(21)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세히 도시 또는 설명되지 않았지만, 도4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6)은 후방 단부에서 작업 테이블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반원통형 기부 프레임(7)을 구비한다. 기부 프레임(7)은 결합 유닛(131)의 회전 프레임(136)에 부착된 결합 부재(153)(결합 롤러(156))의 쌍과 유사한 결합 부재(결합 롤러(8))를 구비한다. 캡 프레임(1)은 결합 롤러(8)가 부착 프레임 세그먼트(10)의 결합 슬롯(12)에 결합되도록 외측으로부터 기부 프레임(7)의 외주연부 안으로 끼워져서, 캡 프레임(1)을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6)에 부착한다.
다음에,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1)의 효과 및 작동이 설명된다.
작업자가 캡(C)을 캡 프레임(1)에 세팅하는 경우,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외측으로부터 캡 프레임(1)의 캡 프레임 본체(2)를 소정의 작업 테이블(9)에 고정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6)의 기부 프레임(7)에 견고하게 끼운다. 다음에, 홀딩 다운 부재(4)가 캡 지지 세그먼트(3)에 대해 개방되어, 작업자는 캡(C)을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놓는다. 이 경우, 캡 중심 기준 라인(5a, 13a)과 캡 중심 기준 영역(20)을 보면서, 작업자는 캡 프레임(1)의 중심이 캡(C)의 전방의 중심(CC)과 정렬하는 정렬된 상태로 세팅한다. 이 경우, 다음의 상황이 있다. 즉, 캡이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놓이면 그 중심이 캡 중심 기준 라인(5a)과 정렬하도록 캡(C)의 플랜지(Ca)가 위치될 수 있더라도, 캡 중심 기준 라인(13a)과 캡 중심 기준 영역(20)은 캡(C)에 의해 시야에서 감춰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 지지 세그먼트(3)는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접촉시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캡 중심 기준 영역(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이유로, 캡(C)을 정렬할 때, 중심 라인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않고도, 손 또는 손가락으로 캡(C)의 천을 통해 접촉으로 캡 중심 기준 영역(20)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캡(C)의 중심 상에 중첩된 캡 중심 기준 영역(20)을 중첩시킴으로써 캡(C)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캡(C)의 중심(CC)이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 중심 기준 영역(20)에 보유되면서, 홀딩 다운 부재(4)는 후크 부재(17)가 러그 부재(16)와 결합되도록 캡(C) 상에 중첩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캡(C)이 캡 지지 세그먼트(3)로부터 오정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캡(C)은 정렬된 상태로 캡 프레임(1)에 세팅될 수 있다( 캡(C)의 중심(CC)은 캡 프레임(1)의 중심과 정렬된다). 또한, 이 후, 캡(C)이 보유되는 캡 프레임(1)은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6)으로부터 벗겨지고 자수 재봉틀(M1 내지 M3)과 결합된다. 이 상태로, 자수가 캡(C)에 행해진다. 이 때, 캡(C)이 캡 프레임(1)과 정확하게 정렬되기 때문에, 자수는 캡(1)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행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1)에 따르면, 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캡 중심 기준 영역(20)이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캡(C)을 놓을 때의 정렬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더욱이, 캡(C)이 오정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캡(C)은 홀딩 다운 부재(4)에 의해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일관되게 보유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렬을 위해 중심 라인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경우와 달리, 캡 프레임(1)에 캡(C)을 보유할 때의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는 캡(C)에 행해지는 자수의 위치설정의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 중심 기준 영역(20)이 V자 형상 리세스(21)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손가락으로 리세스(21) 상의 캡(C)의 중심(CC)을 유지하면서, 이에 따라 캡(C)이 오정렬되는 것이 방지되고 정렬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1)은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20A)이 캡 지지 세그먼트(3)의 캡 상부측(전방)의 에지에 캡 중심 기준 영역(20) 대신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1)과 상이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유사 부품에 관한 유사한 참조 기호로, 상세한 설명 및 새로운 도시는 생략된다. 본 실시예의 주요 부분만이 이후 설명된다.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캡 프레임(1A)은 링 형상의 캡 프레임 본체(2), 캡 프레임 본체(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만곡된 정방형 프레임 형상을 가진 캡 지지 세그먼트(3), 캡 지지 세그먼트(3) 상에 캡(C)의 자수가 놓여지는 영역의 주연부를 외측으로부터 보유하기 위한 프레임 형상의 홀딩 다운 부재(4) 및 캡(C)의 플랜지(Ca)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 지지 본체(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캡 위치 기준 영역(20A)은 캡 지지 세그먼트(3)의 캡 상부측(전방)의 에지의 두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도10에서 알 수 있듯이,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20A)은 캡 지지 세그먼트(3)의 캡 상부측(전방측)의 에지의 소정의 동일한 길이(L)(원주(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측 부분)만큼 양 측을 향해 중심(3C)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20A)은 예컨대 캡(C)의 전방에 측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시임(CSR, CSL)과 정렬된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20A)은 캡 중심 기준 영역(20)과 유사한 V자 형상 리세스(21)로 형성된다. 작업자가 캡 중첩 세그먼트(3) 상에 놓인 캡(C)의 외측면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리세스를 접촉할 때, 작업자는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캡 프레임(1A)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캡(C)을 세팅할 때,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C)의 천을 통해 캡 위치 기준 영역 (20A)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20A)과 캡(C)의 시임(CSR, CSL)을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캡 프레임(1A)의 중심은 캡의 중심과 용이하고 확실하게 정렬될 수 있다.
다음에 도11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캡(C)을 보유하기 위한 캡 프레임(60)이 착탈식으로 부착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캡 프레임(60)은 "비프레임" 유형의 캡 프레임이다. 먼저, 다음의 설명에서, 도11 및 다른 도면의 화살표(Ya)에 의해 표시된 방향이 전방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11 내지 도1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은 캡 프레임(60)의 캡 프레임 본체(61)가 그 위치된 상태로 부착되는 기부 프레임(31)과,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을 작업 테이블(9)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기부 프레임(31)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고정 기구(40)를 포함한다.
고정 기구(40)는 측면에서 볼 때 ⊃형상을 가진 부착 부재(40), 부착 부재(41)의 하부 부분의 스크루 구멍을 관통하도록 스크루 결합된 스크루 부재(42), 스크루 부재(42)의 상단부에 구비된 조임 부재(43) 및 스크루 부재(42)의 하단부에 구비된 노브 부재(44)를 포함한다. 이 형상으로, 노브(44)의 회전에 의해 조임 부재(43)를 조이고 조임 부재(43)와 부착 부재(41)의 상부 부분 사이에 작업 테이블(9)을 개재하도록 부착 부재(41)를 위치시킴으로써,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은 작업 테이블(9)에 고정된다.
기부 프레임(31)은 그 기부(후방 단부)측에 위치된 부분 원통형 프레임 본체 (32),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 본체(32)에 고정된 거의 반원통형인 프레임 지지 프레임(33) 및 프레임 지지 프레임(33)의 전방에 부착된 거의 반원통형인 가동성 프레임 지지 프레임(34)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가동성 프레임 지지 프레임(34)은 그 길이가 전후로 활주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도록 프레임 지지 프레임(33)과 결합된다. 가동성 프레임 지지 프레임(34)의 위치는 캡(C)의 높이(깊이)에 따라 조절된다. 프레임 본체(32)는 캡 프레임(60)의 후방 단부를 수용하도록 플랜지(35) 및 캡 프레임(60)의 두 개의 결합 슬롯(72)(도15 참조)에 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 롤러(36)를 구비한다.
한편, 도12 및 도1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 중심 기준 영역(50)은 기부 프레임(31)의 캡 상부측(전방)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 즉 가동성 프레임 지지 프레임(34)의 전방 단부의 중심에 형성된다. 캡 중심 기준 영역(50)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가동성 프레임 지지 프레임(34)의 전방 단부 에지를 리세스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51)로 형성된다. 이 리세스(51)는 캡의 상부측(전방)에서 캡 개방측(후방)까지 좁혀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캡 중심 기준 영역(50)은 캡 프레임(60)의 부착 상태에서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 놓여진 캡(C)의 외측면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작업자가 접촉할 수 있는 경우 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람의 검지의 끝이 캡(C)의 천을 통해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리세스(51)는 후방 단부에서 약 65°도 및 약 9mm 전후 길이, 약 12mm 좌우 폭의 크기로 형성된다. 더욱이, 도14에서 알 수 있듯이, 좌우 폭(약 12mm)은 일반 캡(C)의 전방에 원주방향 중심(CC)에 형성된 중심 시임(CS)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중심 시임(CS)의 전체 영역은 리세스(21)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도14 내지 도16에서 알 수 있듯이, 캡 프레임(60)은 외측으로부터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의 기부 프레임(31)에 끼워지도록 부착된 원통형 캡 프레임 본체(61), 캡 프레임 본체(6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캡(C)의 자수놓는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캡 지지 세그먼트(62), 캡(C)의 자수놓은 영역 부근(전방)을 보유하기 위한 홀딩 다운 부재(63), 캡 프레임 본체(61)의 좌우측 상에 전방으로 연장된 캡(C)의 자수놓는 영역의 원주방향 양측 세그먼트(좌우측)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바(66), 각각의 바(66)에 캡(C)의 천을 체결하기 위한 (모두) 4개의 클립(67) 및 캡 프레임 본체(61) 상에 제공된 캡(C)의 플랜지(Ca)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 지지 본체(64)를 포함한다.
캡 프레임 본체(61)는 원통형 부착 프레임(70)의 좌우 외주연부 상에 노브(71)를 구비한다. 부착 프레임(70)은 두 개의 결합 슬롯(72)을 구비한다. 캡 프레임 본체(61)의 상단부에서, 플랜지 지지 본체(64)의 전방에 위치된 캡(C)의 땀 흡수 세그먼트를 개재식으로 보유하기 위한 수용 부재(65)가 구비된다. 플랜지 지지 본체(64)의 상단부에, 플랜지 고정 기구(14)가 캡(C)의 플랜지(Ca)의 팁을 닙 고정(nip-fixing)하기 위해 제공된다. 플랜지 지지 본체(64)의 외부면 상에, 캡 중심 기준 라인(64)이 표시된다. 또한, 수용 부재(63)의 상부면에, 캡 중심 기준 라인(65a)이 표시된다.
홀딩 다운 부재(63)는 좁은 폭이 반아크형상으로 만곡된 프레임으로 형성된 캡(C)의 플랜지(Ca)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63a)를 구비한다. 홀딩 다운 부재(63)의 좌측 하단부는 피봇 샤프트(65)에 의해 캡 프레임 본체(61) 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홀딩 다운 부재(63)의 우측 하단부에, 후크 부재는 캡 프레임 본체(61)의 측면에 구비된 러그 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캡(C)의 자수놓은 영역의 후방(캡의 개방측)은 홀딩 다운 부재(63) 및 캡 지지 세그먼트(62)에 의해 보유되지만, 캡(C)의 자수놓는 영역의 양측면은 바(66)와 클립(67)에 의해 보유된다.
상술된 형상으로, 캡 프레임(60)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테이블(9)에 고정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에 부착될 때, 가동성 프레임 세팅 프레임(34)의 전방 단부의 중심에 형성된 캡 중심 기준 영역(50)은 캡(C)의 전방에 캡 상부측에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홀딩 다운 부재가 개방된 채로 작업자가 캡(C)을 캡 프레임(60)에 세팅하는 경우, 캡(C)은 캡 지지 세그먼트(62)에 놓여진다. 이 때, 캡 중심 기준 라인(64a, 65a)과 캡 중심 기준 영역(50)을 보면서, 작업자는 캡 프레임(60)의 중심과 캡(C)의 중심을 정렬한다.
그리고, 캡(C)이 캡 지지 세그먼트(62) 상에 놓인 후,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C)의 천을 통해 캡 중심 영역(50)을 가압하고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캡 중심 기준 영역(50)과 캡(C)의 원주방향 중심(CC)을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홀딩 다운 부재(63)는 캡(C) 상에 놓이고 클립(67)은 캡(C)의 천을 통해 바(66)에 체결된다. 또한, 이 작업 동안, 캡(C) 의 오정렬은 작업자 손/손가락에 의해 캡 중심 기준 영역(50) 상에 캡(C)의 원주 방향 중심(CC)을 보유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에 따르면, 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캡 중심 기준 영역(50)이 기부 프레임(3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술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그 세팅을 위한 캡 프레임(C)에 캡(C)을 놓을 때의 정렬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더욱이, 캡(C)이 오정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캡(C)은 일관되게 보유될 수 있다. 따라서, 캡 프레임(60)에 캡(C)을 보유할 때의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는 캡(C)에 행해지는 자수의 위치설정의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7은 캡 프레임(60)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A)에 부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A)은 한 쌍의 위치 기준 영역(50A)이 제3 실시예에 따라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에 캡 중심 영역(50) 대신에 위치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이다. 따라서, 유사한 기준 부호는 제3 실시예의 유사 부분과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 및 새로운 도시는 생략된다.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A)은 기부 프레임(31)의 캡 상부측(전방)의 에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동일 길이(L2)만큼 양 측면을 향해 중심(30C)으로부터 먼 위치에 캡 프레임(60)의 캡 지지 세그먼트(62) 상에 놓인 캡(C)을 통해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50A)을 구비한다. 각각의 캡 위치 기준 영역(50A)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캡 중심 기준 영역 (50)과 유사하게 V자 형상의 리세스(51)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A)에 따르면,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작업자가 캡 프레임(60)에 캡(C)을 세팅할 때,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C)의 천을 통해 캡 위치 기준 영역(50A)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캡(C)의 시임(CSL, CSR)을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50A)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캡 프레임(60)의 중심은 캡(C)의 중심과 용이하고 확실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1, 1A) 및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 30A)의 다양한 부분적 변형이 설명된다.
1) 캡 중심 기준 영역(20, 50) 또는 캡 위치 기준 영역(20A, 50A)을 구성하는 리세스는 V자 형상뿐만 아니라 U자형상 또는 반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캡 중심 기준 영역(20, 50) 또는 캡 위치 기준 영역(20A, 50A)은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 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3) 캡 위치 기준 영역(20A, 50A)은 한 쌍뿐 아니라 두 쌍 이상일 수 있다.
4) 캡 중심 기준 영역(20, 50) 또는 캡 위치 기준 영역(20A, 50A)은 캡 상부측(전방)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5) 캡 프레임은 캡 중심 기준 영역(20) 및 캡 위치 기준 영역(20A)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은 또한 캡 중심 기준 영역(50) 및 캡 위치 기준 영역(50A)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6)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30)에 적용가능한 캡 프레임은 캡 프레임(60)의 "비프레임 유형"뿐 아니라, 예컨대 제1 및 제2 실시예(캡 중심 기준 영역(20) 및 캡 위치 기준 영역(20A)은 생략될 수 있음)에서 제안된 캡 프레임의 "프레임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그 정렬된 상태로 캡 프레임의 "프레임 유형"으로 캡을 보유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상술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만을 단지 도시한 것이고 그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모든 이러한 변경 및 변화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캡을 정렬할 때, 중심 라인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의 천을 통해 그와 접촉하여 캡 중심 기준 영역을 촉각적으로 인지하면서, 작업자는 캡을 중심에 캡 중심 영역을 중첩시킴으로써 캡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더욱이 홀딩 다운 부재에 의해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 캡을 보유하는 작업 또한 작업자의 손/손가락에 의해 캡 중심 기준 영역 위로 보유된 캡에 행해질 수 있어서 캡이 캡 프레임으로부터 오정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세팅될 수 있다. 따라서, 캡 프레임에 의한 캡을 보유할 때의 정렬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8)

  1. 자수 재봉틀을 사용하여 캡의 전방 또는 측면에 자수놓는 영역에 자수를 놓기 위해 캡을 보유하는 캡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자수 재봉틀의 가동 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된 링 형상의 캡 프레임 본체와,
    상기 캡이 외측으로부터 놓인 상태로 세팅되는, 만곡된 프레임 형상을 가진 상기 캡 프레임 본체에 부착된 캡 지지 세그먼트와,
    상기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서 상기 캡의 자수놓은 영역 부근을 보유하기 위한 홀딩 다운 부재와,
    상기 캡 지지 세그먼트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상기 캡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에 형성된 캡 중심 기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상기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 측에 에지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캡 상부측으로부터 캡 개구측을 향해 좁혀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돌출부 또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캡을 놓거나 벗길 때, 캡 프레임은 상기 자수 재봉틀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6. 캡 프레임이 캡을 놓거나 벗길 때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캡 프레임은 자수 재봉틀을 사용하여 캡의 전방 또는 측면에 자수놓은 영역에 자수를 놓도록 캡을 보유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기 캡 프레임이 부착되는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 테이블 상에 고정된 만곡된 기부 프레임과,
    상기 캡 프레임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시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상기 기부 프레임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에 형성된 캡 중심 기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상기 기부 프레임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캡 상부측으로부터 캡 개구측을 향해 좁혀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돌출부 또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10. 자수 재봉틀을 사용하여 캡의 전방 또는 측면에 자수놓는 영역에 자수를 놓기 위해 캡을 보유하는 캡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자수 재봉틀의 가동 기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된 링 형상의 캡 프레임 본체와,
    상기 캡이 외측으로부터 놓인 상태로 세팅되는 만곡된 프레임 형상을 가진 상기 캡 프레임 본체에 부착된 캡 지지 세그먼트와,
    상기 캡 지지 세그먼트 상에서 상기 캡의 자수놓은 영역 부근을 보유하기 위한 홀딩 다운 부재와,
    상기 캡 지지 세그먼트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소정의 길이만큼 그 양측을 향해 캡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상기 지지 세그먼트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캡 상부측으로부터 캡 개구측을 향해 좁혀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돌출부 또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14. 제10항에 있어서, 캡을 놓거나 벗길 때, 캡 프레임은 상기 자수 재봉틀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15. 캡 프레임이 캡을 놓거나 벗길 때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캡 프레임은 자수 재봉틀을 사용하여 캡의 전방 또는 측면에 자수놓은 영역에 자수를 놓도록 캡을 보유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기 캡 프레임이 부착되는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작업 테이블 위에 고정된 만곡된 기부 프레임과,
    상기 캡 프레임에 놓인 캡의 외측면으로부터 그와 접촉하여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소정의 길이만큼 그 양측을 향해 상기 기부 프레임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원주방향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캡 위치 기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상기 기부 프레임의 캡 상부측에 에지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캡 상부측으로부터 캡 개구측을 향해 좁혀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 중심 기준 영역은 돌출부 또는 함몰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프레임 세팅 프레임.
KR1020050024384A 2004-03-25 2005-03-24 모자 프레임 및 모자 프레임 설치 프레임 KR100683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89693A JP2005273095A (ja) 2004-03-25 2004-03-25 刺繍枠及び刺繍枠セットフレーム
JPJP-P-2004-00089693 2004-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62A true KR20060044662A (ko) 2006-05-16
KR100683597B1 KR100683597B1 (ko) 2007-02-16

Family

ID=3498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384A KR100683597B1 (ko) 2004-03-25 2005-03-24 모자 프레임 및 모자 프레임 설치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80602B2 (ko)
JP (1) JP2005273095A (ko)
KR (1) KR100683597B1 (ko)
CN (1) CN16734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0417A1 (en) * 2005-06-16 2007-01-04 Buckner Thomas G Hat embroidery accessory
JP2007044187A (ja) * 2005-08-09 2007-02-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曲面に縫製するためのミシン及びデータ作成装置並びに縫製方法
US7565874B2 (en) * 2007-04-10 2009-07-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ylindrical frame unit
JP2010202993A (ja) * 2009-03-02 2010-09-16 Brother Ind Ltd 帽子枠装着用セットフレーム
JP2011132638A (ja) 2009-12-25 2011-07-07 Brother Industries Ltd 帽子枠
IT1399321B1 (it) * 2010-04-09 2013-04-16 Savmik S R L Macchina per il ricamo di un articolo
ITUD20110118A1 (it) * 2011-07-28 2013-01-29 Seit Elettronica Srl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pplicazione di motivi decorativi su capi di abbigliamento
US9265298B2 (en) * 2013-12-19 2016-02-23 Vytenis J. Viltrakis Clamp fixture for embroidering a cap
CN104358046B (zh) * 2014-01-24 2016-05-04 浙江新思路实业有限公司 一种360度帽绣框调节装置
CN104452135B (zh) * 2014-01-24 2016-07-06 浙江新思路实业有限公司 一种360度帽绣框调节装置
CN104674476B (zh) * 2015-02-09 2017-01-25 绍兴金昇针织机械制造有限公司 电脑裤绣机
CN104695148B (zh) * 2015-03-24 2017-12-22 宁波高新区零零七工业设计有限公司 绷框向量运动式绣花机
CN104695149B (zh) * 2015-03-24 2018-03-09 广州市励阳刺绣有限公司 绷布架旋转式绣花机
CN104831482A (zh) * 2015-05-19 2015-08-12 苏州爱立方服饰有限公司 一种柔性纺织复合针织机
US9828712B2 (en) * 2015-08-29 2017-11-28 Durkee Embroidery, Inc. Embroidery frame for a cap
JP2021029413A (ja) * 2019-08-20 2021-03-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帽子枠及び帽子に刺繍する方法
US11524411B2 (en) * 2021-01-29 2022-12-13 Softwear Automation, Inc. Automated product loading onto a palle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8843A (en) * 1985-02-07 1986-12-16 Tokai Kogyo Mishi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feeding a cloth in an embroidery machine
JP2958946B2 (ja) 1993-04-27 1999-10-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帽子枠装着用セットフレーム
JP3325965B2 (ja) * 1993-08-24 2002-09-17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帽子用刺繍枠
US5598797A (en) * 1994-07-20 1997-02-04 Patterson; Dennis W. Hat embroidery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US5701831A (en) 1995-02-27 1997-12-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Headgear holder for use with sewing machine
US5649496A (en) 1995-02-27 1997-07-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Headgear-holder supporting apparatus
JPH08232155A (ja) * 1995-02-27 1996-09-10 Brother Ind Ltd ミシン用帽子枠
JPH1121757A (ja) 1997-07-08 1999-01-26 Brother Ind Ltd 帽子枠装着用セットフレーム
JPH11200227A (ja) 1998-01-16 1999-07-27 Brother Ind Ltd 刺繍縫製用帽子枠
JPH11200224A (ja) 1998-01-21 1999-07-27 Brother Ind Ltd 帽子枠装着用セットフレーム
US6453833B1 (en) * 2000-09-29 2002-09-24 Kabushikikaisha Barudan Headgear frame for embroidering machine
JP2002129461A (ja) * 2000-10-20 2002-05-09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帽子枠装置
US6775934B1 (en) * 2003-06-25 2004-08-17 Gerald R. Gallik Head apparel embroidery hoop and align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3437A (zh) 2005-09-28
US20050211146A1 (en) 2005-09-29
KR100683597B1 (ko) 2007-02-16
US7080602B2 (en) 2006-07-25
JP2005273095A (ja)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597B1 (ko) 모자 프레임 및 모자 프레임 설치 프레임
US7290492B2 (en) Embroidery frame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provided therewith
US8438984B2 (en) Embroidery frame
WO2018142656A1 (ja) 刺繍枠
JP3448183B2 (ja) 帽子枠装置
US6775934B1 (en) Head apparel embroidery hoop and alignment device
JP2011006798A (ja) ミシン
USRE40483E1 (en) Headgear holder for use with sewing machine
US20210054551A1 (en) Cap frame
US20100192824A1 (en) Circular stitcher for sewing machine
JPH06313259A (ja) 刺繍ミシン用帽子枠構造
US20120000081A1 (en) Engraving needle holder and sewing machine provided therewith
US20150184321A1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KR20180115820A (ko) 재봉 바늘 클램프 장치
US20130074751A1 (en) Embroidery frame
US6119609A (en) Headgear holding apparatus and process of forming an embroidery on headgear
US6889621B2 (en) Article suppor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US20120222595A1 (en) Punch needle and sewing machine
JPH10273872A (ja) 帽子枠装置
JP3394893B2 (ja) 帽子枠装置
US11326287B2 (en) Cap frame and method for embroidering on cap using the cap frame
US8161897B2 (en) Knee lever for sewing machine
JP2003326051A (ja) ミシン
JPS6231102Y2 (ko)
EP0067262A1 (en) Embroidering apparatus for use with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