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865A -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865A
KR20060034865A KR1020040083878A KR20040083878A KR20060034865A KR 20060034865 A KR20060034865 A KR 20060034865A KR 1020040083878 A KR1020040083878 A KR 1020040083878A KR 20040083878 A KR20040083878 A KR 20040083878A KR 20060034865 A KR20060034865 A KR 2006003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thermosetting resin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014B1 (ko
Inventor
김진환
윤경근
박종민
채헌승
정옥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4008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01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8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08F220/34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and furthe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5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further carboxylic moie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2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maleic acid or itaco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8Masks having auxiliary features, e.g. special coatings or marks for alignment or testing; Preparation thereof
    • G03F1/48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1)불포화 카르복시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시산 무수물, (a2)에폭시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a3)상기 (a1) 및 (a2) 이외의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 화학식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반응성 우레탄 화합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보호막으로서 종래로부터 요구된 특성들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가교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의 황변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광디바이스(device)의 컬러필터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2
상기 식에서, R2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3
이다.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5
상기 식에서, R2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6
이다.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7
상기 식에서, R3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8
이다.
Figure 112004047671351-PAT00009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Description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도 1은 통상적인 광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vercoat - 본 발명에서 개발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보호막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디바이스(device)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서 적합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소자와 같은 광디바이스(device)의 단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 이는 제조공정 중에 유기용제, 산, 알칼리 용액 등에 의해 침지 처리되거나, 배선 전극층을 제막할 경우 스퍼터링에 의한 표면의 국부적 고온 가열을 받는 등 가혹한 처리를 받게 된다. 따라서 이들 소자에는 제조시의 변질을 막기 위해 그 표면에 보호막(overcoat)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보호막은 상기와 같은 처리에 견디는 동시에 기판 또는 하층과의 밀착성 이 뛰어나고, 평활도, 표면경도가 높고, 투명성이 뛰어나고, 장기에 걸쳐 착색, 황변, 백화 등의 변질이 없이 내열성 및 내광성이 뛰어나고, 내용제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등의 내약품성이나 내수성 등이 뛰어난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보호막을 컬러 액정 표시 소자의 컬러 필터에 적용할 경우에는, 바탕기판으로 일반적인 컬러 필터의 단차를 평탄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료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되며, 크게 열경화성과 광경화성(감광성)으로 분류된다. 보호막의 패턴 형성이 필요할 경우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는데, 이는 공정상 편리하고 가교 밀도를 높일 수 있어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막과 관련된 기술로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0-103937호, 제2000-119472호, 제2000-143772호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보호막에 적용되는 재료로는 카르복실기나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있는 아크릴 수지, 가교제의 역할을 하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다관능성 모노머(중합성 화합물) 및 열중합개시제로 구성된 조성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지 못하고, 특히 고온에서 내열성이 좋지 않아서 황변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다관능성 모노머(중합성 화합물)를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다 사용은 고온에서의 황변 현상을 심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응성 우레탄 화합물을 가교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보호막으로서 종래로부터 요구된 특성들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가교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광 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서 매우 적합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에서의 황변 현상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a1)불포화 카르복시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시산 무수물, (a2)에폭시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a3)상기 (a1) 및 (a2) 이외의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B]다음 화학식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반응성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0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1
상기 식에서, R2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2
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3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4
상기 식에서, R2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5
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6
상기 식에서, R3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7
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8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중합체 [A]는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는 중합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데, 즉 화합물 (a1), 화합물(a2), 화합물(a3)을 용매 중에서 중합개시제의 존재 하에 래디칼 중합하여 합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공중합체 [A]는 화합물 (a1)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5∼40 중량%, 바람직한 것은 10∼30중량%로 함유하고 있다. 이 구성단위가 5중량% 미만인 공중합체는 내열성, 내약품성, 표면경도가 저하된 경향에 있고, 40중량%를 초과한 공중합체는 보존안전성이 저하된다. 화합물 (a1)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 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모노카르복시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및 이들 디카르복시산의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 중,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이 공중합 반응성, 내열성 및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 (a1)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공중합체 [A]는 화합물 (a2)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10∼70중량%, 바람직한 것은 20∼60중량%로 함유하고 있다. 이 구성단위가 10중량% 미만인 공중합체는 얻어지는 보호막의 내열성, 표면경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중합체의 보존안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화합물 (a2)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α-n-프로필 아크릴산 글리시딜, α-n-부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산-3,4-에폭시 부틸, 메타크릴산-3,4-에폭시 부틸, 아크릴산-6,7-에폭시 헵틸, 메타크릴산-6,7-에폭시 헵틸, α-에틸 아크릴산-6,7-에폭시 헵틸, o-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m-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p-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공중합 반응성 및 얻어지는 보호막의 내열성, 경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 (a2)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공중합체 [A]는 화합물 (a3)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10∼70중량%, 바람직한 것은 20∼50중량%를 함유하고 있다. 이 구성단위가 10중량% 미만인 경우는 공중합체 [A]의 보존안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중합체 [A]의 내열성, 표면경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화합 물 (a3)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2-메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페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페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말레산 디에틸, 푸마르산 디에틸, 이타콘산 디에틸 등의 디카르복시산 디에스테르; 2-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및 스티렌, o-메틸 스티렌, m-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p-메톡시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 비닐, 염화 비닐리덴, 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 아미드, 초산 비닐,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스티렌,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메타크릴레이트, p-메톡시 스티렌, 2-메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1,3-부타디엔 등이 공중합 반응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 (a3)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와 같은 공중합체 [A]는 카르복실기 및/또는 카르복 시산 무수물기 및 에폭시기를 갖고 있으며, 특별한 경화제를 병용하지 않더라도 가열에 의하여 용이하게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공중합체 [A]의 합성에 사용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펠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류 등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A]의 합성에 사용된 중합개시제로는, 일반적으로 래디칼 중합개시제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 퍼옥시 피바레이트, 1,1'-비스-(t-부틸 퍼옥시) 시클로 헥산 등의 유기 과산화물; 및 과산화수소를 들 수 있다. 래디칼 중합개시제로서 과산화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과산화물을 환원제와 함께 이용하여 산화-환원 개시제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중합체 A와 더불어서, [B]경화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바, 이는 [A]에 대하여 경화제로서 작용한다. 반응성 우레탄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공중합체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성 화합물[B]를 1∼10중량부, 바람직한 것은 3∼10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한다. 경화 성 화합물 [B]가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히 높은 가교밀도를 갖는 보호막을 얻기 어렵고, 보호막의 각종 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경화성 화합물 [B]가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보호막의 막 내부에 미반응 경화성 화합물 [B]가 다량 잔존하기 쉽고, 그 결과 보호막의 성질이 불안정해지거나 밀착성이 저하되기 쉽다.
한편, 공중합체 [A], 경화성 화합물 [B] 이외에 [C]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이나, [D]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을 함유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중합성 화합물 [C]로는 단관능,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중합성이 양호하고, 얻어지는 보호막의 내열성, 표면경도가 향상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비톨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2-히드록시 프로필 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에텔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녹시 에틸알콜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 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관능,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로는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1-시클로헥실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 퍼옥시드, 1,1'-비스-(t-부틸 퍼옥시) 시클로 헥산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공중합체 [A], 경화성 화합물 [B], 중합성 화합물 [C],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된다. 보통,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적당한 용매에 용해되어 용액 상태로 사용된다. 즉, 공중합체 [A], 경화성 화합물 [B], 중합성 화합물 [C],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 및 그 밖의 첨가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액 상태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중합체 [A]와 경화성 화합물 [B]는 반드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성 화합물 [C]를 15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한 것은 12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 [C]의 사용시 그 함량이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해 1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보호막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를 20중량부 이하, 바람직한 것은 15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가 공중하베 [A]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호막의 내열성, 평탄화성 등이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된 용매로는 공중합체 [A], 경화성 화합물 [B], 중합성 화합물 [C],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성분과도 반응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용매 가운데에서 용해성, 각 성분과의 반응성 및 도막 형성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펠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용매와 함께 고비등점 용매를 병용한 것도 가능하다. 병용할 수 있는 고비등점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 포름아미드,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메틸 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 설폭시드, 벤질 에틸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에서 필요에 의해 상기 이외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다른 성분으로는 도포성을 향상하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불소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3M사의 FC-129, FC-170C, FC-430, 신에츠실리콘사의 KP322, KP323, KP340, KP341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공중합체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 바람직한 것은 2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이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도포시 거품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상기와 같이 조제된 조성물 용액은 구멍지름 0.1∼5㎛ 정도의 필터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바탕기판에 도포하고, 오븐에서 150∼300℃로 10∼100분간 처리한 것에 의하여 목적으로 하는 보호막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냉각관과 교반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5중량부를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200중량부에 녹였다. 계속해서 스티렌 20중량부, 메타크릴산 30중량부,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0중량부 및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 틸 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부드럽게 교반을 시작했다. 용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4시간 동안 유지하여 공중합체 [A-1]을 포함한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33중량%이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A-1] 100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 경화성 화합물 [B]로서 교에이사社 AH-600(화학식 1 화합물) 5중량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FC-430(3M사 제품)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N-메틸 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고형분농도가 25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구멍지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S-1)을 조제했다.
<실시예 2>
냉각관과 교반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5중량부를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200중량부에 녹였다. 계속해서 스티렌 20중량부, 메타크릴산 30중량부,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0중량부 및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부드럽게 교반을 시작했다. 용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4시간 동안 유지하여 공중합체 [A-1]을 포함한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33중량%이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A-1] 100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 경화성 화합물 [B]로서 교에이사社 AT-600(화학식 2 화합물) 5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KP341(신에츠실리콘사 제품)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N-메틸 피롤리 돈에 용해시킨 후 고형분농도가 25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구멍지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S-2)을 조제했다.
<실시예 3>
냉각관과 교반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5중량부를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200중량부에 녹였다. 계속해서 스티렌 20중량부, 메타크릴산 30중량부,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0중량부 및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부드럽게 교반을 시작했다. 용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4시간 동안 유지하여 공중합체 [A-1]을 포함한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33중량%이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A-1] 100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 경화성 화합물 [B]로서 교에이사社 UA-306H(화학식 3 화합물) 5중량부, 중합성 화합물 [C]로서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로서 벤조일 퍼옥시드 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FC-430(3M사 제품)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N-메틸 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고형분농도가 25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구멍지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S-3)을 조제했다.
<실시예 4>
냉각관과 교반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5중량부를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200중량부에 녹였다. 계속해서 스티렌 20중 량부, 메타크릴산 30중량부,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0중량부 및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부드럽게 교반을 시작했다. 용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4시간 동안 유지하여 공중합체 [A-1]을 포함한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33중량%이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A-1] 100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 경화성 화합물 [B]로서 교에이사社 UA-306T(화학식 4 화합물) 5중량부, 중합성 화합물 [C]로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로서 1,1'-아조비스-1-시클로헥실니트릴 5 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KP341(신에츠실리콘사 제품)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N-메틸 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고형분농도가 25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구멍지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S-4)을 조제했다.
<실시예 5>
냉각관과 교반기가 구비된 반응 용기에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5중량부를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200중량부에 녹였다. 계속해서 스티렌 20중량부, 메타크릴산 30중량부,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0중량부 및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부드럽게 교반을 시작했다. 용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4시간 동안 유지하여 공중합체 [A-1]을 포함한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33중량%이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A-1] 100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 경화성 화합물 [B]로서 교에이사社 UA-510H(화학식 6 화합물) 5중량부, 중합성 화합물 [C]로서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D]로서 1,1'-아조비스-1-시클로헥실니트릴 5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KP341(신에츠실리콘사 제품)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와 N-메틸 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고형분농도가 25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구멍지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S-5)을 조제했다.
<비교예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용액을 조제하되, 다만 경화성 화합물 [B]를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2>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용액을 조제하되, 다만 경화성 화합물 [B]를 사용하지 않았다.
<보호막의 형성>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상기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막 두께 2㎛ 되도록 도포하고, 이를 클린 오븐에서 220℃로 30분 동안 소성하여 유리기판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밀착성
바둑판 무늬 테이프 법에 따라 보호막에 100개의 바둑판 무늬를 커터 나이프 로 형성하고 밀착성 시험을 행하여, 박리된 바둑판 무늬의 수를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 : 박리된 바둑판 무늬의 수 5개 이하
△ : 박리된 바둑판 무늬의 수 6∼49개
× : 박리된 바둑판 무늬의 수 50개 이상
(2)표면경도
연필경도법에 따라 보호막에 대하여 연필경도 시험법을 행하여 보호막의 표면경도를 평가하였다.
(3)투명성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0∼700nm에서 보호막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투명성을 평가하였다.
○ : 최저 투과율 95% 초과
△ : 최저 투과율 90∼95% 초과
× : 최저 투과율 90% 미만
(4)평탄화성
보호막의 표면 요철을 α스텝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기판의 단차를 측정하였다.
(5)내UV성
보호막에 UV를 조사하였다. UV조사 전후에 보호막의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내UV성을 평가하였다.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내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상
(6)내열성(황변정도)
보호막을 클린 오븐 240℃, 60분 동안 가열하고, 가열 전후에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내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상
(7)내산성
보호막이 형성된 유리기판을 25중량% 염산 수용액 중에 30℃, 20분간 침지한 후, 보호막의 외관 변화를 관찰하여 보호막의 내산성을 평가하였다.
(8)내알칼리성
보호막이 형성된 유리기판을 10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30℃, 60분간 침지한 후, 보호막의 외관 변화를 관찰하여 보호막의 내알칼리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의 평가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1 비교예2
밀착성
표면경도 5H 5H 5H 5H 5H 3H 3H
투명성
평탄화성 0.1㎛이하 0.1㎛이하 0.1㎛이하 0.1㎛이하 0.1㎛이하 0.3㎛이하 0.3㎛이하
내UV성 × ×
내열성 (황변정도) × ×
내산성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내알칼리성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카르복실기나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있는 아크릴 수지에 가교제의 역할을 하는 반응성 우레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보호막으로서 종래로부터 요구된 특성들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가교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의 황변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광디바이스(device)의 컬러필터 보호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A] (a1) 불포화 카르복시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시산 무수물, (a2) 에폭시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a3) 상기 (a1) 및 (a2) 이외의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B] 다음 화학식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반응성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4047671351-PAT00019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0
    상기 식에서, R2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1
    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2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3
    상기 식에서, R2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4
    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5
    상기 식에서, R3는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6
    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04047671351-PAT00027
    상기 식에서, R1은 -(CH2)6-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B] 반응성 우레탄 화합물은 상기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가 되도록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과 열 래디칼 중합개시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더 포함하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은 상기 공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 이하로 포함하고, 열래디칼 중합개시제는 15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0040083878A 2004-10-20 2004-10-20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09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878A KR101098014B1 (ko) 2004-10-20 2004-10-20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878A KR101098014B1 (ko) 2004-10-20 2004-10-20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865A true KR20060034865A (ko) 2006-04-26
KR101098014B1 KR101098014B1 (ko) 2011-12-22

Family

ID=3714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878A KR101098014B1 (ko) 2004-10-20 2004-10-20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59B1 (ko) * 2006-12-19 2008-12-05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KR101485607B1 (ko) * 2008-09-17 2015-01-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732B2 (ja) 1998-09-29 2007-08-15 Jsr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1261916A (ja) 2000-03-17 2001-09-26 Kawamura Inst Of Chem Res 共連続構造を有する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31380A (ja) * 2001-10-24 2003-05-09 Toppan Printing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4170485A (ja) 2002-11-18 2004-06-17 Toppan Printing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感光性樹脂積層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59B1 (ko) * 2006-12-19 2008-12-05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KR101485607B1 (ko) * 2008-09-17 2015-01-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014B1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250B1 (ko) 광디바이스 보호막 형성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181198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098014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839118B1 (ko)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 유용한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KR101004380B1 (ko) 광디바이스(device)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 유용한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888780B1 (ko) 컬럼 스페이서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090063985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30385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09374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005472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51767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247710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804063B1 (ko) 광디바이스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337215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00079862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30092826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20835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80078638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052766B1 (ko)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KR102232878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423346B1 (ko)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 유용한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KR100863501B1 (ko)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 유용한 감광성 수지조성물
KR101485186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080067427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50136929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