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344A -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344A
KR20060031344A KR1020040080336A KR20040080336A KR20060031344A KR 20060031344 A KR20060031344 A KR 20060031344A KR 1020040080336 A KR1020040080336 A KR 1020040080336A KR 20040080336 A KR20040080336 A KR 20040080336A KR 20060031344 A KR20060031344 A KR 20060031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use
lens
camera moun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190B1 (ko
Inventor
김호규
Original Assignee
김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규 filed Critical 김호규
Priority to KR102004008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190B1/ko
Priority to PCT/KR2005/003328 priority patent/WO2006080717A1/en
Priority to JP2007535612A priority patent/JP2008516333A/ja
Priority to US11/664,729 priority patent/US20070262960A1/en
Priority to CNA2005800394341A priority patent/CN101080688A/zh
Priority to EP05856479A priority patent/EP1820086A4/en
Publication of KR2006003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31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탈착식이 가능한 마우스 구조가 개시된다.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에 있어서, 마우스의 일측면을 통해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마우스의 바닥에 창을 내며 창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 영상을 마우스 내에서 반사하여 마우스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에 외부 영상이 도달하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로써, 카메라의 탈착식이 가능하며, 마우스 및 카메라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Mouse with camera for seperation and attachment}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로부터 카메라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서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데이터 통 신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내지 도 9e의 마우스 구조에서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의 인식에 의한 인터넷 연결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PC 카메라, PDA 또는 휴대폰의 카메라를 이용한 코드 인식 방법 및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메라들은 바코드 등을 입력할 때 바코드와의 거리 및 카메라의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많은 코드들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우스에 카메라를 내장한 형태의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카메라가 내장된 마우스는 코드와 카메라간의 초점거리를 고정시킴으로써 마우스를 단순히 원하는 코드 위에 올려 놓으면 코드를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가 내장된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카메라가 마우스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카메라 고유의 역할이 제한된다. 또한, 화상 통신 등을 위해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 마우스는 그 역할을 할 수 없다. 즉, 마우스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카메라의 입력창이 마우스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카메라는 항상 마우스가 위치한 지점의 영상만을 입력받으므로 카메라를 융통성 있게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카메라를 화상 통신용으로 사용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화상 통신을 위해서는 카메라를 하나 더 구매하여 정착하여야 하는데 하나의 PC에서 두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사용할 카메라를 선택하거나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조정하여야 한다. 특히 두 개의 카메라를 모두 사용하려면 이에 따른 복잡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우스에 카메라가 탈부착 가능하도록하며, 마우스에 장착된 카메라의 초점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우스 및 카메라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마우스에 장착된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마우스 바닥에 위치한 영상 뿐만 아니라 마우스 상측 을 통해 영상이 입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마우스 및 카메라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마우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마우스에 장착된 카메라 부분을 상하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우스 기능 및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사용가능 하도록 하는 마우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일측면을 통해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마우스의 바닥에 창을 낸 영상 입력 창; 및 상기 영상 입력 창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 영상을 상기 마우스 내에서 반사하여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렌즈에 상기 외부 영상이 도달하도록 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내장을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마우스의 바닥에 창을 낸 제1 영상 입력 창; 및 상기 마우스의 상측의 일부분에 창을 낸 제2 영상 입력 창;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렌즈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영상 입력 창은 상기 렌즈를 하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달 가능하고, 상기 제2 영상 입력 창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상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달 가능한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는,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에 있어서,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부피의 홈을 가지는 마우스 본체; 상기 소정 부피의 홈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카메라 장착부와 상기 마우스 본체를 연결하고, 연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장착부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마우스의 바닥에 창을 내어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상기 마우스의 바닥에 위치한 영상이 입력가능하도록 하는 영상 입력 창;을 포함한다.
이로써, 마우스 및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마우스의 상면도, 도 1b는 마우스의 측면도, 도 1c는 마우스의 하면도 및 도 1d는 마우스의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e는 마우스가 탈착되는 부분의 덮개부분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마우스(100)는 카메라(130)를 탈부착할 수 있는 카메라 장착부(110), 카메라 장착부에 마우스가 삽입/추출되는 곳에 위치한 덮개(120), 외부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 입력 창(150), 입력된 영상을 카메라 렌즈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140)를 포함한다.
카메라 장착부(110)는 장착되는 카메라(130)의 크기에 따라 내부 카메라 수납 공간의 구조가 결정되며, 장착되는 카메라 구조(130)의 일 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부분이 도출된 형태가 아니면 이에 따라 카메라 장착부의 내부 공간도 변형된다.
카메라 장착부(110)는 덮개(120)를 포함하며, 덮개(120)는 카메라가 탈착된 경우에는 카메라 장착부(110)를 막고 있으며, 덮개(120)는 도 1e에서 처럼 카메라 장착부의 내부 공간쪽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카메라가 부착될 수 있다. 덮개(120)가 장착됨으로써 카메라(130)가 분리된 경우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마우스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영상 입력 창(150)은 마우스(100)의 바닥에 창을 내어 외부 영상이 카메라(130)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입력 창(150)은 단순히 창만 내어 구성하거나,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처럼 투명한 물질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경우에 마우스(100)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먼지 진입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반사부(140)는 영상 입력 창(150)으로 들어오는 입력 영상을 카메라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카메라(130)의 렌즈(132)로 반사시킨다. 카메라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카메라(130)의 렌즈가 직접 영상 입력 창(150)로부터 외부 영상을 입력 받는 경우 외부 영상과 카메라 렌즈(132)와의 거리가 짧아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 영상과 카메라 렌즈(132)와의 거리를 길게 확장하기 위하여 반사부(140)를 통해 외부 영상이 카메라 렌즈로 도달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카메라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카메라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카메라(130)는 본체(200)와 렌즈(132)로 크게 구별되면, 렌즈(132)는 도 2a에서 처럼 도출되어 있거나 도 4a에서 처럼 도출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카메라(130)는 조명 스위치(210), 카메라 기능 스위치(212) 및 카메라 작동 표시등(214)을 포함하며, 카메라 기능 스위치(212)는 스냅샷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조명 스위치(210)는 카메라의 조명을 켜고 끌 수 있는 장치이다. 조명(220)은 카메라의 조명 스위치없이 카메라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 되게 할 수 있다. 조명(220)은 카메라 자체(130)가 아닌 마우스 자체(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카메라(130)는 전원부/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3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상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하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300)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320), 마우스 바닥의 제1 영상 입력 창(330) 및 마우스 상측의 제2 영상 입력 창(310)을 포함한다.
카메라 장착부(330)는 도 1a 내지 도 1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카메라의 구조에 따라 내부 공간이 구조가 결정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입구측에 덮개를 포함한다. 또는 카메라 장착부(330) 없이 카메라는 마우스에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32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렌즈(328)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 마우스 상측에 있는 제2 영상 입력 창(310) 및 마우스 하측에 있는 제1 영상 입력 창(330)을 통해 외부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카메라에 대하여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의 경우는 카메라의 렌즈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카메라 장착부 자체가 마우스에 소정 축으로 고정되어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카메라의 렌즈는 고정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영상 입력 창(330)은 마우스(300)의 바닥에 위치하여 바닥 표면에 있는 바코드, 2차 이미지 코드 등의 영상이 카메라 렌즈로 도달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한다. 이 때 카메라의 렌즈(328)는 제1 영상 입력 창(330)을 향하도록 조정한다.
제2 영상 입력 창(310)은 마우스(3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부 영상이 카메라 렌즈(328)로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카메라를 화상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카메라를 마우스로부터 탈착할 필요 없이 마우스의 상측 창(310)을 통해 외부 영상을 카메라로 입력할 수 있게 하여 화상 통신용 등의 카메라 고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카메라(3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카메 라와 달리 카메라의 렌즈(328)가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마우스(300)에 상측 및 바닥에 두 개의 창(310,330)이 존재하며 이 두 개의 창 중 어느 하나의 창으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기 위해 카메라의 렌즈는 상하로 이동한다. 도 3a 내지 도 3c의 마우스의 카메라 장착부(340) 자체가 상하 회전이 가능한 경우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의 움직임이 고정된 카메라의 사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의 카메라(320)는 카메라 작동 표시등(322), 조명 스위치(324) 외에 렌즈 각도 조절 스위치(326)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렌즈 조절 스위치(326)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렌즈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렌즈(328)의 주위에는 조명(404)이 존재하여, 외부가 어두운 경우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조명(404)은 외부 영상이 입력되는 마우스(300)의 제1 영상 입력 창(330) 및 제2 영상 입력 창(310) 주위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로부터 카메라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마우스의 카메라 장착부(500)는 카메라가 삽입되는 방향의 바닥에 스프링 장치(520)를 포함한다. 스프링 장치(520)는 한 번 누름시 눌러진 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한 번 누름시 원 상태로 돌아온다. 이러한 스프링 장치(520) 자체는 공지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카메라(510)를 마우스에 부착하는 경우 스프링 장치(520)는 한 번 눌러 짐으로 인해 카메라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한 번 카메라를 삽입 방 향으로 누르면 스프링 장치(520)는 다시 한 번 눌러지고 스프링이 원 상태로 돌아오므로 카메라는 외부로 배출된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도 5a 및 도 5b의 스프링 장치(520)의 누름을 별도의 스위치(530)를 통해 구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를 마우스에 밀어 넣으면 스프링 장치는 한 번 눌러짐으로 인해 눌러진 상태로 유지된다. 카메라를 탈착하고자 할 경우 외부에 구비된 스위치(530)를 누르면 스프링이 눌러진 상태가 해제되어 스프링이 팽창되므로 카메라는 외부로 배출된다.
도 5e 및 도 5f를 참조하면, 카메라(510)가 장차되는 방향의 바닥에 외부와 연결된 스위치(540)를 구비한다. 스위치(540)를 누름으로써 간단하게 카메라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마우스(600)에는 카메라(610)의 렌즈 초절 조절부(630)와 톱니바퀴 구조를 통해 연결된 외부 스위치(640)가 존재한다. 외부에 연결된 스위치(640)를 돌리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를 통해 맞물린 렌즈(620)의 초절 조절부(630)가 움직인다. 이로써, 카메라의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서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코드 인식을 위해 영상을 입력받을 경우, 종래에는 마우스에 장 착된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어 입력 받는 물체의 영상 크기 또한 고정된다. 따라서 단순히 초점을 조절하여 선명도를 좋게 할 수는 있으나, 코드 이미지 자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는 없었다. 코드 크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입력받은 코드 이미지도 작게 되어 이를 구성하는 화소의 수가 매우 적게 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인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화소 수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바코드의 경우 흑백 막대의 두께의 차이에 의한 패턴을 분석하여 바코드 값을 얻게 되는데, 각 막대는 4가지 두께가 있으므로 각 막대당 필요한 최소 화소수는 4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코드 이미지가 너무 작다면 이에 미치지 못하게 되므로 인식이 불가능하거나 오인식이 발생한다. 반대가 코드가 너무 크면 코드 이미지 또한 너무 커서 인식 범위를 벗어나 불필요한 잡영까지 너무 세세하게 받아들이는 문제점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볼록 렌즈(722) 및 오목 렌즈(724)가 반사부(740)와 카메라의 렌즈(712) 사이에 위치한다. 마우스(700) 표면의 초절 거리 조절 스위치(720)는 긴 막대 모양이며 그 긴 막대의 소정 위치에 각각 블록 렌즈(722) 및 오목 렌즈(724)가 연결된다. 초절 거리 스위치(720)를 한쪽 방향으로 움직여 블록 렌즈(722) 또는 오목 렌즈(724)를 카메라의 외부 영상이 반사부(740)에서 반사되어 렌즈(712)로 도달하는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블록 렌즈(722)의 경우 외부 영상을 확대하며, 오목 렌즈(724)의 경우 실제보다 작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적절한 외부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다. 특히, 인터넷 접속 등을 위한 코드 이미지를 입력 받은 경우 코드 이미지가 너무 크거나 작을 때 블록 렌즈(722) 또는 오목 렌즈(724)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초점 거리 조절 스위치(720)는 앞 뒤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730)를 포함하여 카메라 렌즈(712)와 블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카메라(80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도 8a의 경우는 무선 통신을 도시한 경우로서, 카메라(800)는 자체 전력을 위한 전력부(810) 및 외부(850)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82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b의 경우는 유선 통신을 도시한 경우로서, 일반적으로 USB(Univeral Serial Bus)를 사용한다. 이 경우 카메라(800)는 USB(8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자체에 전력부를 포함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USB 유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 자체에 USB 허브를 장착하여 카메라가 마우스의 USB 허브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또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마우스의 구조와 달리 카메라 (920)가 마우스의 내부 공간에 탈착이 되는 것이 아니라 마우스의 후단 일부분 전체(930)가 분리 또는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마우스의 후단 부분(이하, '카메라 장착부'라 함)(930)에는 카메라가 고정되어 장착되거나 탈착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930)에 카메라(920)가 탈부착되는 경우는 도 1a 내지 도 1c의 카메라 장착부의 구조를 응용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930)는 소정의 연결부(910)를 통해 마우스 본체와 연결된다. 연결부(910)는 긴 경첩 형태이며, 구체적으로 연결부(910)는 상호 보완적인 구조의 긴 막대 구조로 각각 마우스 본체(900) 및 카메라 장착부(930)에 구현된다. 카메라 장착부(930)는 긴 막대를 마우스 본체의 원통형 홈 구조에 옆에서 밀어 넣거나 끼어 넣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장착부(930) 도 9e에서 처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카메라(920)가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카메라 장착부(930)는 카메라를 위한 전력부/무선인터페이스부(950)를 구현한며, 유선 통신의 경우에는 마우스 본체 또는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할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구비하여야 한다.
마우스의 바닥에는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는 영상 입력 창(940)이 존재한다. 카메라 장착부(930)에 장착된 카메라(920)는 마우스에 장착되어 있을 때 영상 입력 창(94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사용자는 카메라 장착부(930) 자체를 위로 움직여 바닥이 아닌 공간상의 소정의 이미지를 카메라 렌즈로 입력될 수 있게 하여 화상 통신 등 카메라 고유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c는 도 9a 내지 도 9e의 마우스 구조에서 연결부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카메라 장착부(1000)에 구현된 연결부(1030)는 USB 포트(1010)와 회전부(1020)를 포함한다. USB 포트(1010)는 카메라가 유선 통신을 하는 경우 마우스에 구현된 USB 허브에 연결하며 도 10c에는 USB 포트(1010)의 일 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의 USB 허브에 USB 포트를 끼워 넣어 카메라 장착부(1000)를 마우스 본체에 고정시킨다. 카메라 장착부는 회전부(1020)를 자체에 포함하며, 회전부(1020)는 일방향이 개방된 원형 모양의 홈에 구를 끼워 넣은 형태로 구현되므로 상하 및 좌우로 모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가 무선 통신의 경우 USB포트는 필요하지 않으며 USB 포트 부분은 단순히 마우스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사용하면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마우스(1100)에는 USB, 시리얼, 패러럴 또는 IEE1394 형태의 슬롯(1120)이 있으며, 카메라(1110)는 이 슬롯들(11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카메라(1110)가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는 걸개나 슬롯을 변형하여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 가능한다. 필요에 따라 카메라 장치에는 받침대, 고리, 클립 형태의 고정 장치가 부착됨으로써 마우스로부터 떼어냈을 때 다른 곳에 세우거나 고정시켜 화상 통신 등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에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카메라의 초점 거리 및 외부 영상의 확대 축소,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마우스에 장착된 카메라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여 마우스 바닥으로부터 바코드, 2차원 코드등을 입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우스로부터 카메라를 탈착할 필요없이 공간상의 영상을 입력받아 화상 통신 등을 할 수 있다.

Claims (14)

  1. 일측면을 통해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착부;
    바닥면에 창을 낸 영상 입력 창; 및
    상기 영상 입력 창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 영상을 반사하여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렌즈에 상기 외부 영상이 도달하도록 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 창은 투명한 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렌즈 초점 조절부와 연결되는 초점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와 상기 카메라의 렌즈사이에서 상기 입력 영상이 지나가는 경로와 수직한 면에서 오목 렌즈 및 볼록 렌즈의 위치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오목 렌즈 및 블록 렌즈와 연결된 상기 마우스 일측면에 위치한 초점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 조절부는 상기 오목 렌즈 및 블록 렌즈를 상기 입력 영상이 지나가는 경로와 평행하게 앞 뒤로 이동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6. 카메라의 내장을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착부;
    바닥면에 창을 낸 제1 영상 입력 창; 및
    상측면의 일부분에 창을 낸 제2 영상 입력 창;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렌즈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영상 입력 창은 상기 렌즈를 하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달 가능하고, 상기 제2 영상 입력 창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상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도달 가능한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마우스의 일측면을 통해 상기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카메라가 탈부착되는 일측면에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카메라가 탈착된 경우에 내부 공간을 막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부착될 경우에 상기 내부 공간 안쪽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에 스프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장치는 한 번 누름 시 눌러진 상태로 고정되며 다시 한 번 누름 시 원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0.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는 렌즈 주위에 조명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1.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카메라를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2.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3.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부피의 홈을 가지는 마우스 본체;
    상기 소정 부피의 홈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
    상기 카메라 장착부와 상기 마우스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장착부를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 및
    바닥면에 창을 내어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바닥면에 위치한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게 하는 영상 입력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우스 본체에 형성된 일부분이 개방된 원형의 제1홈과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형성된 상기 제1홈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의 원형구를 연결하여 상기 카메라 장착부가 상하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KR1020040080336A 2004-10-08 2004-10-08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KR10059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36A KR100594190B1 (ko) 2004-10-08 2004-10-08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PCT/KR2005/003328 WO2006080717A1 (en) 2004-10-08 2005-10-07 Mouse with camera for seperation and attachment
JP2007535612A JP2008516333A (ja) 2004-10-08 2005-10-07 カメラの分離/付着が可能なマウス
US11/664,729 US20070262960A1 (en) 2004-10-08 2005-10-07 Mouse With Camera For Separation and Attachment
CNA2005800394341A CN101080688A (zh) 2004-10-08 2005-10-07 带有可分离可连接相机的鼠标
EP05856479A EP1820086A4 (en) 2004-10-08 2005-10-07 MOUSE WITH REMOVABLE AND ATTACHABLE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36A KR100594190B1 (ko) 2004-10-08 2004-10-08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344A true KR20060031344A (ko) 2006-04-12
KR100594190B1 KR100594190B1 (ko) 2006-06-30

Family

ID=3674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336A KR100594190B1 (ko) 2004-10-08 2004-10-08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62960A1 (ko)
EP (1) EP1820086A4 (ko)
JP (1) JP2008516333A (ko)
KR (1) KR100594190B1 (ko)
CN (1) CN101080688A (ko)
WO (1) WO2006080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6677A1 (en) * 2008-09-16 2010-03-18 Peter Garrett Computer Peripheral Device Used for Communication and as a Pointing Device
DE102009017986A1 (de) * 2009-04-21 2010-10-28 Beb Industrie-Elektronik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erkmalserkennung von Wertscheinen
CN101650609A (zh) * 2009-06-30 2010-02-17 上海序参量科技发展有限公司 摄录型鼠标器
KR101113596B1 (ko) * 2010-06-11 2012-02-22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마우스형 입력부를 갖는 영상 확대 장치
CN102446001B (zh) * 2010-10-09 2014-03-1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可变形相机鼠标
DE102015206341A1 (de) * 2015-04-09 2016-10-13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und ein Vermessungssystem zur optischen Vermessung eines Objek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7360A1 (en) * 1992-06-03 1993-12-04 Paul Dvorkis Optical readers
CA2189700C (en) * 1995-12-27 2000-06-20 Alexander George Dickinson Combination mouse and area imager
US5859420A (en) * 1996-02-12 1999-01-12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Optical imaging device
DE19744441A1 (de) * 1997-10-08 1999-04-15 Sick Ag Elektronisches Zeigegerät mit optoelektronischer Sensoreinrichtung
JPH11203041A (ja) 1998-01-16 1999-07-30 Nec Corp 指紋画像入力装置
US6525306B1 (en) 2000-04-25 2003-02-25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mouse with integral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239231Y1 (ko) 2001-04-17 2001-10-11 류상철 디지털카메라 내장형 마우스
KR200277390Y1 (ko) 2002-03-20 2002-06-03 스텝시스템주식회사 유,에스,비 포트가 장착된 컴퓨터 마우스
JP2004252648A (ja) 2003-02-19 2004-09-09 Canon Inc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多機能マウス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US7019733B2 (en) * 2003-03-31 2006-03-28 Ban Kuan Koay Optical mouse adapted for use on glass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16333A (ja) 2008-05-15
KR100594190B1 (ko) 2006-06-30
WO2006080717A1 (en) 2006-08-03
EP1820086A4 (en) 2008-06-04
US20070262960A1 (en) 2007-11-15
EP1820086A1 (en) 2007-08-22
CN101080688A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906B2 (en) Automatic data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90228197A1 (en) Barcode-reading enhancement system for a computing device that comprises a camera and an illumination system
JP2004032507A (ja) カメラ付携帯端末機用光学情報読取アダプタ
US20160188940A1 (en) Reconfigurable sled for a mobile device
KR100594190B1 (ko) 카메라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우스
US10430625B2 (en) Barcode read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one-way mirror
EP1193641A2 (en) Compact and low cost manufacturing structure of a bar code reader
US6045238A (en) Illumination assembly for an optical viewing device
US10303911B2 (en) Mobile device configured to use motion detection to optimize activation of video capture for fast decoding
CN109740392A (zh) 扫描装置及其扫描引擎
KR20050026347A (ko) 홍채 패턴 촬영장치
KR100726772B1 (ko) 사이즈가 축소된 메모리 카드 수용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EP3043235B1 (en) Reconfigurable sled for a mobile device
KR100690826B1 (ko) 카메라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209980256U (zh) 分体式的读码装置
US5708901A (en) Cover assembly for a camera
JP4273649B2 (ja) 情報コード読取装置
EP2068191A1 (en) Image output device capable of enlarged projection
JP7040729B2 (ja) ファイバースコープ接続具、及びファイバースコープシステム
KR102077835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동물 코 이미지 캡쳐를 위한 보조장치
JP2003333392A (ja) 撮像機能付情報通信端末装置
JP4103398B2 (ja) 光学式情報読取装置
JPH09259215A (ja) コードリーダ
JP3785990B2 (ja) 光学式情報読取装置
KR101019477B1 (ko) 플래쉬가 구비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