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830A - Mobile keypad system - Google Patents

Mobile keypa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830A
KR20060026830A KR1020040075708A KR20040075708A KR20060026830A KR 20060026830 A KR20060026830 A KR 20060026830A KR 1020040075708 A KR1020040075708 A KR 1020040075708A KR 20040075708 A KR20040075708 A KR 20040075708A KR 20060026830 A KR20060026830 A KR 2006002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uttons
keypad
function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정헌
Original Assignee
송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헌 filed Critical 송정헌
Priority to KR102004007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6830A/en
Publication of KR2006002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8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소형 키보드 또는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켓PC, PDA, PDA폰 등과 같은 초소형 기기에 문자입력 및 편집을 위해 갖추어야 할 일체 또는 분리된 키패드를 최소한의 자판 및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소형화와 고기능화를 이루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문자입력 제1군 26키, 기능키 제2군 7키, 방향키 제3군 조그다이얼 2개 또는 방향키 4키로 구성되며 일반 노트북 키보드에서 제공 하는 거의 모든 문자와 기호및 기능을 상기 키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버튼 수의 감소에 따른 기능제한을 최소화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문자입력 및 편집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다.

Figure 112004515126413-PAT00001

키패드(Keypad), 키, 조그다이얼, 버튼=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mall keyboard or keypad, in particular, to a compact keyboard and a system by minimizing the keyboard and system with an integral or separate keypad to be provided for text input and editing in a miniature device such as a pocket PC, PDA, PDA phone, etc. To achieve this.

To do this, it consists of 26 key inputs, 26 group of function keys, 7 key of 2nd group, 2 jog dials of 3rd group, or 4 keys of direction keys. It can be configured to minimize the functional restrictions caused by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buttons, thereby minimizing inconvenience in use, and speed up the text input and editing process.

Figure 112004515126413-PAT00001

Keypad, Key, Jog Dial, Button = Key

Description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Mobile Keypad System}Portable Keypad System

도1은 본 발명 키패드 시스템을 적용한 폴더형 포켓PC로서 전개도1 is a development view as a folding pocket PC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keypad system

도2는 본 발명 키패드 시스템을 적용한 키패드의 문자 제1군만 배치 예2 is a layout example of only the first group of characters of the keypa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keypad system is applied

도3은 본 발명 키패드 시스템을 적용한 키패드의 기능 제2군만 배치 예3 is a layout example of only the second function group of the keypa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keypad system is applied

도4는 본 발명 키패드 시스템을 적용한 키패드의 방향키 제3군으로 2개의 조그다이얼 배치 예4 is a layout example of two jog dials as a third group of direction keys of a keypad to which the keypa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5는 본 발명 키패드 시스템을 적용한 키패드의 방향키 제3군으로 4키를 사용한 예5 is an example of using the four keys as the third group of the arrow keys of the keypa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keypad system is applied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Parts of Drawing>

1 : 액정 스크린, 2 : 키버튼, 3 : 단말기 상부body,1: liquid crystal screen, 2: key button, 3: upper body of the terminal,

4 : 키패드 시스템을 적용한 단말기 하부body 5 : 조그다이얼, 4: lower part of terminal applying keypad system 5: jog dial,

6 : 4버튼식 방향키6: 4-button directional key

종래의 키보드 및 키패드는 데스크탑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노트북, 포켓PC및 PDA 심지어는 핸드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하여 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는 도구로 서 한글, 영어, 일어 외 수많은 언어의 입력기기로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이동형 정보통신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이 가능토록 축약 형 입력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형태로는 88키에서 103키등의 일반형 및 전자수첩과 PDA에 사용되는 소형버튼형 그리고 핸드폰 버튼을 사용하는 10키 내외의 각종 조합법등 사용기기종류와 자판 배열법 및 조합법등 그 종류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PDA와 같은 이동기기 소형 키패드에 있어서 버튼의 소형화를 시킨 제품은 기존 일반형 키보드를 그저 크기만 축소시켜 입력속도가 매우느리고 입력문자 및 편집기능에 제한이 많아 문자 입력 활용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Conventional keyboards and keypads are used to input characters and symbols using dial buttons on desktop computers, word processors, laptops, pocket PCs, PDAs, and even mobile phones, and are used as input devices in Korean, English, Japanese, and many other language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he shorthand input method is used for easy portability and use, and the use type is the 88- to 103-key general type and small button type used for electronic notebooks and PDAs, and mobile phones. There are many kinds and types of equipment such as various combination methods of about 10 keys using buttons, keyboard layout method and combination methods. However, in the small keypad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PDA, a product that has been miniaturized has a problem in that the input speed is very slow by reducing the size of an existing general type keyboard, and the character input and editing functions are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형 기기에 알 맞게 소형화를 시키며 이동형 기기를 지지하는 손가락의 필요성에 키패드 작동은 양 엄지와 검지 위주의 사용을 고려하며 전반적인 키패드의 구성은 좌우분리형상을 갖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글2벌식 자판 배열의 활용성을 살려 좌측부 에는 자음군을 우측부 에는 모음군을 두고 영문은 QWERTY 배열에 바탕을 두어 통일성 및 사용자의 초기 적응성을 높이고 보다 향상된 Shift, Ctrl, Alt 의 조합 기능키를 두어 일반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최소수의키로 다양한 문자 및 기호를 입력 가능케 하고 다양한 편집기능을 갖으며, 2개의 조그다이얼을 상.하.좌.우 방향키로 활용하여 화면의 스크롤 및 문자입력 커서의 이동성능 및 화면이동과 편집기능 등을 높이는 등 소형화에도 고기능 문자 입력 및 편집기능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the keypad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 of bo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to the need of the finger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keypad has a left and right separated shape, generally use Utilizing the Hangul 2 beol type keyboard layout, the consonant group on the left side, the vowel group on the right side, and the QWERTY array on the English side improve the unity and user's initial adaptability, and improve the combination function keys of Shift, Ctrl, Alt.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utility of general programs, various characters and symbols can be input with the minimum number of keys, and various editing functions can be used, and two jog dials can be used as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scroll and input characters on the screen. High-performance character input and editing function even in miniaturization such as cursor movement performance, screen movement and editing function In providing.

키패드의 구성에 있어서 도2와 같이 주요문자버튼으로 좌측13버튼 우측13버튼 도합 26버튼의 문자 제1군 버튼이 있으며, 도3과 같이 개별독립기능 및 조합문자 기능버튼이 좌측부 2버튼 중앙부3버튼 우측부2버튼 도합7버튼으로 기능 제2군 버튼이 구성되며, 도4와 같이 문자입력커서 및 편집 그리고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담당하는 조그다이얼(회전형버튼) 2개의 제3군과 기타 문자입력 및 편집 외에 기기의 사용버튼인 제4군 버튼으로 구성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2, the main character buttons include the left 13 buttons, the right 13 buttons, and a total of 26 buttons for the first group of characters. The second group of buttons consists of a total of seven buttons on the right side, and the second group of buttons is composed of two groups of jog dials (rotary buttons) for character input cursor and editing and scrolling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And a fourth group button that is a use button of the device in addition to editing.

제1군 버튼은 한글과 한자, 영문 대소문자, 숫자 및 산술문자와 기호 그리고 Function키 의 기본 문자 입력 군으로 구성되며 이의 전환 및 조합사용은 제2군버튼과 함께 이용한다.The first group button is composed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English upper and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arithmetic characters and symbols, and basic character input group of Function key. Its conversion and combination use together with the second group button.

제2군 버튼은 제1군버튼의 제2문자 기능을 활용 하는 조합기능을 위주로 구성되며 한글과 영문의 기본 문장기호인 . ! '' _ @ $ , ? 를 Shift키와 조합해 입력 할 수 있으며 또한 Space(띄어쓰기), Del(지우기), Enter(입력확인), Esc(취소), 구동중인 이전프로그램으로 이동(◀), 구동중인 다음프로그램으로 이동(▶) 버튼과 Alt기능, Ctrl기능의 기능버튼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group button is mainly composed of the combination function that utilizes the second character function of the first group button. ! '' _ @ $,? You can enter in combination with Shift key and also Space, Del, Delete, Enter, Esc, Cancel, Move to previous program (◀), Move to next program (▶) ) Button, Alt function, and Ctrl function button.

3군 방향버튼은 도4와 같이 키패드의 상단 측면 부에 2개의 조그다이얼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은 좌측에 좌.우 방향다이얼과 우측에 상.하 방향다이얼로 기본 구성되어 독립 기능으론 입력커서의 상.하.좌.우 이동기능을 갖고, '좌Shift' 버튼을 누른 상태로 움직이면 프로그램화면의 상.하.좌.우 이동기능을 하며, '우Shift' 버튼을 누른 상태로 움직이면 커서의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영역설정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화면의 이동기능이란 프로그램창의 상.하.좌.우 스크롤기능 을 말하며, 영역설정이란 복사, 지우기, 잘라내기 등을 하기 위한 영역 설정을 말한다.The 3 group direction buttons are composed of two jog dials on the upper sid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4 and each function consists of left and right direction dials on the left side and up and down direction dials on the right side. Move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screen, and press and hold the 'Shift' button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program screen. Press and hold the 'Shift' button to move the cursor. It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in position and functions as an area setting function. Here, the screen movement function refers to the scrolling function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of the program window, and the area setting means the area setting for copying, erasing, and cutting.

3군 방향버튼은 도4와 같이 조그다이얼 사용을 권장하지만 도5와같이 4방향키로도 사용가능하다.3 group direction button is recommended to use the jog dial as shown in Figure 4 but can also be used as a four-way key as shown in FIG.

버튼의 좀더 상세한 사용설명은 다음과 같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utton is as follows:

일단 사용상태는 이동식기기의 워드나 전자사전 또는 메시지 입력창 등 문자 입력을 요하는 상태를 가정하의 설명이다.The use state is a descrip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a character input such as a word, an electronic dictionary or a message input window of a mobile device is required.

제1군키의 문자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first group key.

제2군 중앙의 '한.영.숫' 변환 키를 눌러 한글입력상태로 바꾸면 한글과 제2기능문자에 버튼마다 램프가 켜져 사용 할 문자의 인식성을 높여준다.If you switch to Hangul input mode by pressing 'Korean, English, Numeral' conversion key in the center of the 2nd group, lamps will be lit for each button for Hangul and the second function charact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the character to be used.

제1군 좌측의 자음키와 우측의 모음키는 현재 한글표준자판으로 활용되는 2벌식 자판 배열을 참고 배치되었으며 단어 '한국'을 입력시 'ㅎ'&'ㅏ'&'ㄴ'&'ㄱ'&'ㅜ'&'ㄱ' 이다.The consonant keys on the left and the vowel keys on the right of the first group are arranged with reference to the 2 beol type keyboard layout that is currently used as the Hangul standard keyboard. When the word 'Korea' is entered, 'ㅎ' & 'ㅏ' & 'ㄴ' & 'ㄱ' & 'TT' and 'ㄱ'.

이때 마침표를 뒤에 붙일 경우 '좌Shift' 를 누르면 '.' 가 찍힌다. 이는 눌려진 상태에선 좌Shift 기능대기 상태이지만 다른 조합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로 버튼을 뗄 경우 마침표인 '.'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느낌표를 뒤에 붙일 경우엔 '!'는 '우Shift' + '좌Shift' 로 입력된다. 이때 방금 입력한 '!'를 삭제할 경우 3군의 '좌조그다이얼' 1칸 좌로 회전 후 커서가 뒤로 이동하면 '우Shift' + 'Del' 키를 눌러 삭제한다. 이는 'Del' 기능이 'Space' 기능키의 제2기능 이기 때문이다.If you put a period at the end, press 'Shift' to '.' Is taken. This is the left shift function in the pressed state, but when the button is released without pressing any combination button, it is recognized as a period '.'. If the exclamation point is followed, '!' Is entered as 'Shift' + 'Shift'. At this time, if you delete '!' Just entered, rotate the left side of the 'Group Jog Dial' by 3 spaces and move the cursor backward to delete it by pressing 'Shift' + 'Del' key. This is because the 'Del' function is the second function of the 'Space' function key.

'한국2002'의 입력 방법은 'ㅎ'&'ㅏ'&'ㄴ'&'ㄱ'&'ㅜ'&'ㄱ'& '좌Shift' + '2' & '좌Shift' +'00' & '좌Shift' + '2' 이다. 이는 2군 기능키의 '한.영.숫' 변환 키를 사용하지 않아도 한글 키의 제2 기능키로 'Shift'키를 활용한 쌍자음과 숫자 그리고 기본산술기호 등을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을 한자로 변환 하려면 '한국'을 입력한 후 문자의 바로 다음 커서상태에서 '좌또는우Shift' + '한.영.숫' 키를 누르면 된다. 이는 '한.영.숫' 키의 제2 기능이 한자와 한글 변환 이기 때문이다.Input method of 'Korea 2002' is' ㅎ '&' ㅏ '&' ㄴ '&' ㄱ '&' TT '&' ㄱ '&' left shift '+' 2 '&' left shift '+ '00' 'Shift' + '2'. This is because two consonants, numbers, and basic arithmetic symbols using the 'Shift' key can be used as the second function key of the Hangul key without using the 'Korean, English, Numeric' conversion key of the group 2 function key. To convert 'Korea' to Hanja, enter 'Korea' and press 'Left or Right Shift' + 'Korean.English.' This is because the second function of the Han, English and Numeric keys is the conversion of Hanja and Hangul.

이는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 사용법이 다를 수 있으나 키 값의 뜻으로 '한글은한자로, 한자는 한글로변환요구' 라는 기능요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i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gram configuration, but the function value of 'Hangul is Hanja and Hanja is Hangul Hangul' occurs as a key value.

다음 영문 입력 설명.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nglish input.

'한.영.숫' 키를 눌러 영문으로 전환하면 키들의 영문글자에 램프가 들어와 문자의 인식성을 높여준다.If you switch to English by pressing the 'Korean, English, Numeric' key, the lamp will light up the English letters of the keys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the letters.

기기를 구동후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았다면 기기의 기본값으로 대문자나 소문자로 시작된다.If the device is not case-sensitive after starting, the device defaults to either uppercase or lowercase.

대문자로 입력이 진행 될 경우로 가정하며 'KOREA'를 입력하려면 'K'&'O'&'R'&'E'&'A' 를 눌러 입력하고 소문자로 입력하려면 '좌또는우Shift'+'한.영.숫' 를 늘러 대소문자를 변환시켜주고 'k'&'o'&'r'&'e'&'a' 를 입력한다.It is assumed that the input is performed in capital letters. To input 'KOREA', press 'K' & 'O' & 'R' & 'E' & 'A' to enter. Increase 'one, alphanumeric' to convert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and type 'k' & 'o' & 'r' & 'e' & 'a'.

영문 입력시 '좌또는우Shift' 키는 순간적인 대소문자를 전환하는 기능으로 'Korea'를 사용할 땐 '좌Shift'+'K'&'o'&'r'&'e'&'a' 로 입력한다. 이렇게 영문은 대소문자를 수시로 변환하는 과정에 'Shift' 키를 사용하므로 제2군에 배치된 . ! ' _ @ $ , ? 만을 '한.영.숫' 전환키 없이 'Shift' 키와 조합하여 사용 할 수 있으며 그외의 숫자또는 문장기호와 산술기호 등은 '한.영.숫' 키를 눌러 숫자입력으로 바꾼뒤 입력해야 한다.The left or right shift key switches between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when entering English. When using Korea, the left shift + K and o and r and e and a Enter In this way, English uses 'Shift' key to convert case from time to time. ! '_ @ $,? Only the 'Shift' ke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hift' key without changing the 'Han.Num.' Key, and other numbers or punctuation and arithmetic symbols must be entered after pressing 'Han.Num.' do.

다음 숫자 및 기호 입력 설명.Description of the following number and symbol inputs.

'한.영.숫' 키를 눌러 숫자로 전환하면 키들의 숫자와 기호에 램프가 들어온다.When you press the 'English, English, and Korean' keys to convert to a number, the numbers and symbols on the keys light up.

숫자 키들은 상기한 한글과 영문 입력방식과 동일하게 입력 편집 할 수 있으며 '좌Shift'+'숫자 1∼0' 및 '00' 키와 '\'키로 일반키보드의 'F1'∼'F12' 의 Fuction 키 기능을 수행한다.Numerical keys can be edited in the same way as the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shifts of 'F1' to 'F12' on the general keyboard are performed using 'left shift' + 'numbers 1 to 0' and '00' and '\' keys. Performs the Fuction key function.

제2군 기능키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econd group of function keys

'좌Shift'키는 1군과 2군과 3군의 조합으로 제2기능키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보조해줌과 동시에 독립적으로 '.' 문자와 '우Shift'+'좌Shift' 로 '!'를 입력 할 수 있다.'Shift' key is a combination of Group 1, Group 2, and Group 3 to assist you in performing the second function key function. You can enter '!' As the character and 'Shift' + 'Left Shift'.

제1군이 'Shift'키와 조합 사용되는 제2 기능은 한글일 경우 쌍자음, 숫자, 문장기호, 산술기호 등이며, 영문일 경우 동시 사용하는 문자의 대소문자를 변환해준다.The second function used by the first group in combination with the 'Shift' key is double consonants, numbers, punctuation symbols, arithmetic symbols, etc. in Korean, and converts the case of characters simultaneously used in English.

제2군의 'Shift'키와 조합 사용되는 제2 기능은 우선 문자로 '.' , '!', '''. '_'. '@', '$', ','. '?'등의 문장 주요구성 기호이며 이는 한글,영문,숫자 모드에서 공통으로 입력 할 수 있다. 또한 Del, Esc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functio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hift' key of the second group is a '.' , '!', '' '. '_'. '@', '$', ','. It is the main constituent symbol of '?', Etc. It can be input in common in Korean, English, and numeric mode. It also performs Del and Esc functions.

제3군과 'Shift'키의 조합 사용되는 제2 기능은 '좌Shift' + '상.하.좌.우' 방향으로 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동시킬수 있으며, '우Shift' + '상.하.좌.우' 방향 으로 커서의 위치에서 영역설정을 할 수 있다.Combination of the 3rd group and the 'Shift' key The second function used can move the screen of the program in the direction of 'Shift' + 'Up, Down, Left, Right', and 'Shift' + 'Up. You can set the area at the cursor posi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pace' 키는 독립적인 기능으로 한 칸 띄우기를 하며, 'Enter' 키는 확인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부의 '◀' 키의 독립기능은 구동중인 이전 프로그램들로 전환 할 수 있으며, 문자와 조합시에는 'Alt' 기능을 수행하여 'Alt'+'문자' 로 일반키보드의 Alt 기능을 수행한다.'Space' key is an independent function, one space is displayed, and 'Enter' key is to confirm input function. The independent function of the '◀' key in the center can be switched to the previous programs running, and when combined with the letters, it performs the 'Alt' function and performs the Alt function of the general keyboard with 'Alt' + 'characters'.

'▶' 키의 독립기능은 구동중인 다음 프로그램들로 전환 할 수 있다. 문자와 조합시에는 Ctrl 기능을 수행하여 'Ctrl'+'C'= 복사기능,'Ctrl'+'V'= 붙여넣기 기능 등을 수행 할 수 있다.The independent function of the '▶' key can be switched to the next running program. When combined with letters, the Ctrl function can be performed to perform 'Ctrl' + 'C' = copy function and 'Ctrl' + 'V' = paste function.

'한.영.숫' 키는 한글, 영문, 숫자 및 기호 등의 입력선택을 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Shift'키와의 조합된 제 2기능으로 한자/한글변환, 영문대/소문자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Korean, English, Numeric' key performs a typical function for input selection of Korean, English, numbers, and symbols,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second function combined with the 'Shift' key. Functions such as / lowercase conversion.

제3군 방향키의 설명.Explanation of Third Group Directional Keys.

이동기능키로서 2개의 조그다이얼 또는 4개의 방향키로 구성되며Move function key consists of 2 jog dials or 4 direction keys.

좌측 다이얼은 좌.우 로 우측 다이얼은 상.하 로 구분된다.The left dial is divided left and right, and the right dial is divided up and down.

커서 대기상태에선 독립적인 기능으로 커서의 위치이동을 수행하며(상.하.좌 우), '좌Shift'+조합으로는 프로그램창의 상.하.좌.우 이동기능을, '우Shift'+ 조합으로는 커서위치에서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영역설정을 할 수 있다.In Cursor Standby mode, it moves the position of the cursor as an independent function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Shift' + combination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program window, and 'Right Shift' + In combination, the area can be set up, down, left and right at the cursor position.

조그다이얼의 경우 회전중의 1회 마디마디 값마다 커서의 한칸 한칸 이동 및 상하로 한줄 한줄이동 값을 발생한다.In case of jog dial, the value of moving one cursor and one line of up and down of cursor is generated for each measure value during rotation.

제4군키의 설명.Explanation of the fourth group key.

상기 제1,2,3군키의 문자입력, 편집, 방향이동, 화면전환 등을 제외한 전원 on/off PDA폰의 경우 통화/끊기 버튼 등 문자입력과는 별개의 기능 버튼 군이다.In the case of power on / off PDA phone except for text input, editing, directional movement, screen change, etc.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up keys, a function button group separate from the text input, such as a call / end button, is used.

상기 발명인 소형 키패드의 사용목적은 소형화된 이동 정보통신 기기에 일체화 또는 분리된 형태로서 자판의 인체공학적인 설계와 자판배열의 암기로 자판을 보지 않고 고속으로 문자를 입력하는데 발명의 목적을 갖으므로 자판배열의 형태는 도1과 같이 양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는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서 엄지의 회전각에 대응하는 1군과 2군의 자판배열을 갖으며 검지의 손끝부위에 제3군의 조그다이얼 또는 방향버튼을 갖는다.The purpose of using the small keyp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rated or separated form of a miniaturized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the object of the invention to input characters at high speed without looking at the keyboard by memorizing the ergonomic design of the keyboard and the arrangement of the keyboard. The shape of the array is an ergonomic shape using bo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as shown in Fig. 1 having a keyboard arrangement of group 1 and 2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thumb and a third group of jog dials at the fingertips of the index finger. Or a directional button.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형 정보통신기기 및 문자입력기능의 키패드등 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소형화된 자판배치 및 축약된 자판기능으로 한글,영문,숫자 및 기호등을 효과적으로 입력 할 수 있으며 엄지와 검지만으로 빠르고 광범위한 문자 입력, 편집을 가능하게 해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 for a mobi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xt input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nput Korean, English, numbers, symbols, etc. with a compact keyboard layout and a reduced keyboard function. Allows text input and editing.

Claims (3)

키패드 또는 키패드를 장착한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 26개의 문자버튼 제1군을 가지고, 이 1군의 문자버튼은 제2군의 기능키인 '좌.우Shift', 'Alt','Ctrl' 4개의 버튼과 조합됨으로써 제2 문자입력 또는 제2 기능실행을 수행하며,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keypad or a keypad, the first group of 26 character buttons has a group of character buttons. The group of character buttons are 'left, right', 'alt', 'Ctrl' 4 Combined with two buttons to perform a second character input or second function execution, 7개의 기능버튼 제2군을 가지고, 독립적인 띄어쓰기='Space', 입력='Enter', 한.영.숫자전환='한.영.숫' 와 같은 기능수행을 하며, 제1,2,3군 버튼과 조합되어 문자,기호 입력 및 편집기능을 수행하며,It has 7 groups of 7 function buttons,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independent spacing = 'Space', input = 'Enter', one alphanumeric conversion = 'one alphanumeric'. It is combined with 3 group buttons to perform text and symbol input and editing. 제3군 2개의 조그다이얼 또는 4개의 방향버튼을 갖고 상.하.좌.우로 커서이동 및 '좌.우Shift'버튼과 조합되어 화면이동 그리고 편집영역 설정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The third keypad has two jog dials or four direction buttons and moves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left, right' button to move the screen and set the editing area.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기능버튼2군의 한.영.숫자 전환키를 눌러 사용언어 및 문자군을 전환할 때 문자1군 버튼들 내부에 램프 또는 다이오드 등의 발광장치가 버튼내의 해당모드문자만을 밝혀줘 문자의 인식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갖는 키패드 시스템 및 정보통신 단말기When switching between language and character group by pressing Korean, English and numeric conversion key of function button 2 group, the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lamp or diode inside the character 1 group buttons reveals only the corresponding mode character in the button. Keypad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with functions to increase th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문자버튼 제1군과 기능버튼 제2군은 양 엄지의 회전축모양으로 배열되며 방 향버튼3군의 조그다이얼 또는 방향키는 키패드의 상부 측면에 위치해 검지 끝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양 엄지와 검지 네 손가락만으로 문자입력, 편집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키패드 시스템 및 정보통신단말기The first group of character buttons and the second group of function buttons are arranged in the shape of the axis of rotation of both thumbs, and the jog dial or direction keys of the three direction buttons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keypad and can be controlled at the tip of the index finger. Keypad system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features to perform text input and editing functions with only a finger
KR1020040075708A 2004-09-21 2004-09-21 Mobile keypad system KR200600268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708A KR20060026830A (en) 2004-09-21 2004-09-21 Mobile keypa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708A KR20060026830A (en) 2004-09-21 2004-09-21 Mobile keypa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830A true KR20060026830A (en) 2006-03-24

Family

ID=3713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708A KR20060026830A (en) 2004-09-21 2004-09-21 Mobile keypa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683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en) *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in wireless terminal
KR100948230B1 (en) * 2008-05-13 2010-03-18 엘지엔시스(주)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0147611A1 (en) * 2009-06-16 2010-12-23 Intel Corporatio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CN105528130A (en) * 2014-10-24 2016-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A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9851897B2 (en) 2009-06-16 2017-12-26 Intel Corporatio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en) *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in wireless terminal
KR100948230B1 (en) * 2008-05-13 2010-03-18 엘지엔시스(주)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0147611A1 (en) * 2009-06-16 2010-12-23 Intel Corporatio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US9013423B2 (en) 2009-06-16 2015-04-21 Intel Corporatio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US9851897B2 (en) 2009-06-16 2017-12-26 Intel Corporatio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US10133482B2 (en) 2009-06-16 2018-11-20 Intel Corporatio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CN105528130A (en) * 2014-10-24 2016-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A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CN105528130B (en) * 2014-10-24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115B1 (en) Key input device
US6657560B1 (en) Rounded keypad
US7446755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employing a toggle input control
WO2002088920A1 (en)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JPH07261896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key arranging method for individual region of input device thereof
KR101599227B1 (en) Touch screen type keyboard of smartphone easily changing among korean, english and other characters
JPH06102979A (en) One handed keyboard
JP2005531064A (en) keyboard
WO2003107632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60026830A (en) Mobile keypad system
JPH11327762A (en) Input device provided with mouse function
JP3071751B2 (en) Key input device
JP4190951B2 (en) Key input device, mobile phone, and key input method
KR100404752B1 (en) Apparatus for inputing character using multi contact switch and method for arranging character on multi contact switch
KR100432267B1 (en) Easy korean keyboard
KR101637163B1 (en)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JP2003198703A (en) Mobile phone capable of entering character at ultrahigh speed
KR20050120517A (en) Key array of keyboard
KR101483170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JP5016087B2 (en) keyboard
JP2004038897A (en) Input device of cellular telephone for directly inputting target character
JP4395177B2 (en) keyboard
KR200290008Y1 (en) Zigzag Type Multi Contact Point Keybuttons
KR200412641Y1 (en) A 12 direction navigation key for inputting figures and letters
JPH10207608A (en) Key inp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