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230B1 -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230B1
KR100948230B1 KR1020080044138A KR20080044138A KR100948230B1 KR 100948230 B1 KR100948230 B1 KR 100948230B1 KR 1020080044138 A KR1020080044138 A KR 1020080044138A KR 20080044138 A KR20080044138 A KR 20080044138A KR 100948230 B1 KR100948230 B1 KR 10094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ight emitting
unit
input
pi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8389A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4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230B1/en
Publication of KR2009011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눌러야할 버튼에 대응하는 발광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눌러야할 버튼을 용이하게 확인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핀 패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pin pa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enable a user to easily identify and recognize a button to be pressed by operating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a button to be pressed by the user.

핀 패드, 버튼, 발광 Pin pad, button, glow

Description

핀 패드 및 그의 제어방법{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핀 패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pin pa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핀 패드(Persnal identification number : PIN Pad)는 은행 창구에서 고객이 거래 시, 사용자가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In general, a PIN pad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enter a password when a customer makes a transaction at a bank teller.

고객이 은행 창구에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래 명세서를 작성하여 계정계 측(Teller)에게 제출한다. 그러면, 계정계 측에서는 고객에게 핀 패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하고, 이에 따라 고객은 상기 핀 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In order for the customer to perform the necessary work at the bank window, a transaction statement is prepared and submitted to the teller. Then, the accounting unit instructs the customer to enter a password on the pin pad, and thus the customer enters the password using the pin pad.

그런데, 상기 핀 패드에는 다수 개의 숫자 버튼과, 확인, 취소, 정정 등의 처리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고객이 어느 버튼을 눌러야 하는지 정확하게 모르며, 사용자가 버튼을 잘못 누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pin p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umeric buttons and processing buttons for checking, canceling, and correcting, the pin pad does not know exactly which button to pr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may press a button incorrectly.

또한, 고객은 계정계 측의 안내를 받으면서 눌러야 하는 버튼을 찾아야 하므로 업무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ustomer needs to find a button to be pressed while receiving guidance from the accounting system, which causes a problem of slowing down the processing speed.

본 실시예의 목적은 고객이 눌러야할 버튼에 대응하는 발광부를 작동시킴으로써, 고객이 눌러야할 버튼을 유도하여, 신속하게 정확하게 고객이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하는 핀 패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pin pa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by activating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a button to be pressed by a customer to induce a button to be pressed by the customer so that the customer can press the button quickly and accurately.

일 측면에 따른 핀 패드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버튼부; 상기 각 버튼부에 대응하여 상기 각 버튼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발광부; 및 상기 다수 개의 버튼부 중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버튼부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 개의 버튼부에는, 숫자 입력을 위한 숫자 버튼부와, 상기 입력된 숫자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버튼부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부에는 상기 숫자 버튼부에 대응하는 제 1 발광부와, 상기 처리 버튼부에 대응하는 제 2 발광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버튼부의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발광부를 온시키고, 입력이 완료된 경우 온된 발광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in pad according to one aspect,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 each consisting of one or more button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for emitting each of the button par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tton part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to operate in response to a button unit requiring inpu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wherei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include a number button unit for inputting a number and the input number.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button par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button part. If necessary,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and when the input is completed,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ff.

다른 측면에 따른 핀 패드의 제어방법에는, 다수 개의 버튼부 중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버튼부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버튼부와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는 단계; 상기 버튼부의 조작이 완료된 경우 상기 발광부가 오프되는 단계; 및 상기 발광부가 오프된 후에는, 다음으로 입력이 요구되는 버튼부가 선택되고 이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pin pad, including selecting a button unit requiring input from a plurality of button units; Turning on a light emit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part; Turning off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is completed; And after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ff, a button unit requiring input is next selected, and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눌러야할 버튼에 대응하여 발광부가 작동하여 사용자의 버튼 누름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눌러야할 버튼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operates in response to a button to be pressed by the user, thereby inducing the user to press the button,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button to be pressed.

또한, 발광부가 작동되어 버튼의 조작을 가이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게 버튼을 찾아 누를 수 있으므로, 금융 업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is operated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o that the user can find and press the button more quickly, thereby reducing the financial business time.

또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숫자 버튼 LED가 온됨과 동시에, 정정을 위한 정정 버튼 LED 및 이동 버튼 LED가 함께 점등됨에 따라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 과정에서 잘못 입력된 숫자를 쉽게 정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numeric button LED for guiding the password input is turned on and the correction button LED and the navigation button LED for lighting are turned on together, the user can easily correct the wrong number input during the password input process. hav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의 핀 패드가 구비되는 금융 업무 처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nancial business processing system equipped with a pin pad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금융 업무 처리 시스템(100)에는, 은행서버 일종인 계정계 Host (110)와,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된 메모리 수단의 정보를 Reading 및 비밀번호 등의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일종인 핀 패드(130)와, 상기 계정계 Host 및 상기 핀 패드(130)와 유/무선 연결되며, 금융 기관 업무종사자인 Teller가 사용하는 계정계 단말기(12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financial business processing system 100 includes a pin pad, which is a type of user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n accounting host 110, which is a type of bank server, and memory means in which user information is stored, such as reading and password. 130 is connected to the accounting host and the pin pad 130 / wired / wireless, and includes an accounting terminal 120 used by Teller, a financial institution operator.

상기되는 구성에 의하면, 금융기관 업무 등을 수행할 고객인 사용자 측에서 거래 명세서를 작성하여 계정계 측인 금융기관 업무 종사자 Teller에게 제출하고, 사용자 단말기인 핀 패드(130)를 통하여 사용자 측의 정보 중의 하나인 비밀번호가 입력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transaction statement is prepared by the user who is to perform financial institution work, etc., and submitted to Teller, a financial institution employee who is an accounting instrument, and on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s provided through the pin pad 130 as a user terminal. Password is entered.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핀 패드(130)에는,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131)와,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부(133)와, IC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부(132)와, 상기 버튼부(133)가 발광되도록 하기 위한 발광 유닛(140)과, 상기 발광 유닛(14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31)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37)가 포함된다. 2 and 3, the pin pad 130 includes a display unit 131 on whic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re displayed, a button unit 133 for the user to in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n IC card for inserting th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slot unit 132, a light emitting unit 140 for causing the button unit 133 to emit light, and a controller 137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140, the display unit 131, and the like are included.

상세히, 상기 버튼부(133)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부(134)와, 입력된 비밀번호의 확인, 취소, 정정을 선택하기 위한 처리 버튼부(135)와, 방향 이동을 위한 이동 버튼(136)이 포함된다. In detail, the button unit 133 includes a numeric button unit 134 for inputting a password, a processing button unit 135 for selecting confirmation, cancellation, and correction of the input password, and a movement button for direction movement. 136 is included.

상기 숫자 버튼부(134)에는, 0에서 9로 구성되는 10개의 버튼이 포함된다. 즉, 상기 숫자 버튼부(134)는 10개의 버튼의 집합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버튼"이라 함은 단일의 버튼을 의미하고, "버튼부"는 다수 개의 버튼의 집합을 의미한다. The number button unit 134 includes ten buttons composed of 0 to 9. That is, the number button unit 134 is a set of ten buttons.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button" means a single button, and "button part" means a set of a plurality of buttons.

상기 처리 버튼부(135)에는, 확인 버튼, 취소 버튼, 정정 버튼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 버튼부(136)에는, 좌측 버튼, 우측 버튼, 상측 버튼, 하측 버튼이 포함된다. The processing button unit 135 includes a confirmation button, a cancel button, and a correction button. The move button unit 136 includes a left button, a right button, an upper button, and a lower butto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숫자 버튼부(134)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처리 버튼부(134)의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input the password using the numeric button unit 134, and after the password input is completed, the user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processing button unit 134.

한편, 상기 발광 유닛(140)에는, 상기 숫자 버튼부(134)에 대응하는 제 1 발광부(141)와, 상기 처리 버튼부(135)에 대응하는 제 2 발광부(142)와, 상기 이동 버튼부(136)에 대응하는 제 3 발광부(143)가 포함된다. Mean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41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button unit 134,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142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button unit 135, and the movement.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143 corresponding to the button unit 136 is included.

상기 각 발광부(141, 142, 143)는 상기 각 버튼부(134, 135, 136)의 조작이 요구되는 경우에 작동한다(온된다). 즉, 상기 각 발광부(141, 142, 143)는 사용자가 눌러야할 버튼에 대응하여 온되어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 및 가이드한다. 그리고, 버튼의 조작이 완료되면, 이에 대응하여 발광부(141, 142, 143)는 오프된다. Each of the light emitting parts 141, 142, and 143 is activated (turned on) when an operation of each of the button parts 134, 135, and 136 is required. That is,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41, 142, and 143 is turned on corresponding to a button to be pressed by the user to guide and guide the user's button manipulation. When the butt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light emitting units 141, 142, and 143 are turned off correspondingly.

상기 각 발광부(141, 142, 143)는 일 례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버튼부(141, 142, 143)를 구성하는 버튼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각 발광부(141, 142, 143)는 다수 개의 LED의 집합을 의미한다.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41, 142, and 143 may us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s an example, and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units 141, 142, and 143. . That i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41, 142, and 143 means a set of a plurality of LEDs.

그리고, 상기 각 버튼은 상기 LED의 광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각 버튼의 적어도 일부는 LED의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층이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buttons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of the LED may be transmitted, or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buttons may have a transmissive layer through which light of the LED may pass.

그리고, 상기 각 발광부(141, 142, 143)는 서로 동일한 색을 발광하거나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할 수 있다.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41, 142, and 143 may emit the same color or emit different colors.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를 이용한 금융 업무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숫자 버튼부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핀 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처리 버튼부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는 핀 패드의 평면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nanci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using the pin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plan view of the pin pad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operated; 6 is a plan view of a pin pad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operat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측은 필요한 거래 명세서를 작성하게 된다(S1). 그리고, 사용자 측은 작성된 명세서를 계정계 측에게 제출하게 된다(S2).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핀 패드(130)는 버튼 입력 대기 상태이며, 상기 핀 패드(130)의 발광부(141, 142, 143) 즉, LED는 오프 상태이다. 4 to 6, the user side prepares a necessary transaction specification (S1). The user side submits the created statement to the accounting instrument (S2). In this state, the pin pad 130 is in a button input standby state, and the light emitting units 141, 142, and 143, that is, the LEDs of the pin pad 130 are in an off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핀 패드(130)의 제어부(137)에서는 계정계 단말기(120)에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4).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137 of the pin pad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a password input from the account terminal 120 (S4).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37)는 상기 숫자 버튼부(134)에 대응하는 제 1 발광부(141, "숫자 버튼 LED"라 함)가 온되도록 하여(S5), 사용자의 숫자 버튼 조작을 유도하게 된다.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putting a password, the controller 137 cause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41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button unit 134 to be turned on (S5). It will induce the user to operate the numeric buttons.

즉, 도 5와 같이 상기 숫자 버튼 들과 대응하는 수의 LED가 발광하게 되고, 빛이 상기 숫자 버튼 들을 통과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숫자 버튼 들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number of LE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buttons emits light, and light passes through the number button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number buttons.

그리고, 상기 숫자 버튼 LED와 대응되는 버튼 외의 다른 버튼, 예를 들면 처리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37)는 눌러진 버튼의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When a button other than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button LED, for example, a processing button is pressed, the controller 137 ignores the signal of the pressed button.

그 다음, 상기 제어부(137)에서는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6). 비밀번호 입력의 완료 여부는 일반적으로 4개 또는 6개의 숫자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ext, the control unit 137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completed (S6). Completion of the password is generally determined whether four or six numbers are ente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숫자 버튼 LED는 오프되고, 처리 버튼부(135)에 대응하는 제 2 발광부(142 : "처리 버튼 LED"라 함)가 온되도록 하여(S7), 사용자가 처리 버튼 들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word input is completed, the numeric button LED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142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button 135 is turned on (S7), so that the user You will be prompted to press the processing buttons correctly.

즉, 도 6과 같이 상기 처리 버튼 들과 대응하는 수의 LED가 발광하게 되고, 빛이 상기 확인 버튼, 정정 버튼 및 취소 버튼을 통과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처리 버튼 들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number of LEDs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buttons emits light, and light passes through the confirmation button, the correction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rocessing buttons. .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확인 버튼, 정정 버튼, 처리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을 누를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user can press any of the confirmation button, correction button, and processing button.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잘못 눌러서 정정 또는 다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정정 버튼 또는 취소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정정 버튼 또는 취소 버튼을 누르는 경우(S9), 처리 버튼 LED는 오프되고(S10), 단계 5로 복귀하여 숫자 버튼 LED가 재차 온된다. If the user wants to correct or re-enter the wrong password, he can press the correct button or the cancel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correct button or the cancel button (S9), the process button LED is turned off (S10), and returns to step 5, and the numeric button LED is turned on again.

반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경우 확인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7)에서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눌렀다고 판단되는 경우(S8), 입력된 비밀번호가 계정계 단말기(120)로 전송되고(S11), 처리 버튼 LED는 오프된다(S12).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enters the password correctly, the user can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control unit 137 that the user pressed the confirmation button (S8), the input password is transmitted to the account terminal 120 ( S11), the processing button LED is turned off (S12).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눌러야할 버튼부에 대응하여 발광부가 작동하여 사용자의 버튼 누름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눌러야할 버튼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button portion to be pressed by the user, thereby inducing the user to press the button, and thus, the user can accurately check the button to be pressed.

또한, 발광부가 작동되어 버튼의 조작을 가이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게 버튼을 찾아 누를 수 있으므로, 금융 업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is operated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o that the user can find and press the button more quickly, thereby reducing the financial business time.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를 이용한 금융 업무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작동된 상 태를 보여주는 핀 패드의 평면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cessing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the pin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8 is a plan view of the pin pa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operated.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발광부 작동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측은 필요한 거래 명세서를 작성하게 된다(S30). 그리고, 사용자 측은 작성된 명세서를 계정계 측에게 제출하게 된다(S31).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핀 패드(130)는 버튼 입력 대기 상태이며, 상기 핀 패드(130)의 발광부(141, 142, 143) 즉, LED는 오프 상태이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user side prepares a necessary transaction specification (S30). Then, the user side submits the created statement to the accounting instrument (S31). In this state, the pin pad 130 is in a button input standby state, and the light emitting units 141, 142, and 143, that is, the LEDs of the pin pad 130 are in an off state.

이 상태에서 상기 핀 패드(130)의 제어부(137)에서는 계정계 단말기(120)에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3).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137 of the pin pad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a password input from the account terminal 120 (S33).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37)는 상기 숫자 버튼 LED가 온되도록 하여(S34), 사용자가 숫자 버튼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putting a password, the control unit 137 causes the number button LED to be turned on (S34) to induce the user to press the number button correctly.

즉, 도 8과 같이 상기 숫자 버튼 들과 대응하는 수의 LED가 발광하게 되고, 빛이 상기 숫자 버튼 들을 통과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숫자 버튼 들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number of LE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buttons emits light, and light passes through the number button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number buttons.

또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37)는 도 8과 같이 상기 정정 버튼에 대응하는 정정 버튼 LED 및 이동 버튼에 대응하는 이동 버튼 LED가 온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이동 버튼 LED 중에서는 좌측 버튼과 우측 버튼에 대응하는 LED가 온된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putting a password, the controller 137 turns on the correction button LED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button and the movement button LE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button as shown in FIG. 8. At this time, among the move button LEDs, LEDs corresponding to the left button and the right button are turned on.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버튼을 이용하여 잘못 입력된 위치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정정 버튼을 눌러 잘못 입력된 숫자를 정정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fter the user moves to the wrongly input position using the move button, the user can correct the incorrectly input number by pressing the correct button.

여기서, 상기 정정 버튼 LED는 연속적으로 온된 상태가 유지되거나, 온/오프가 반복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correction button LED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on, or on / off may be repea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그 다음, 상기 제어부(137)에서는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5). Next, the control unit 137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completed (S35).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숫자 버튼 LED는 오프되고, 처리 버튼부(135)에 대응하는 처리 버튼 LED가 온되도록 하여(S36), 사용자가 처리 버튼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word input is completed, the number button LED is turned off, and the process button LE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button unit 135 is turned on (S36), thereby inducing the user to press the process button correctly.

즉, 제 1 실시예의 도 6과 같이 상기 처리 버튼 들과 대응하는 수의 LED가 발광하게 되고, 빛이 상기 확인 버튼, 정정 버튼 및 취소 버튼을 통과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처리 버튼 들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of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LEDs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buttons emits light, and light passes through the confirmation button, the correction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so that the user easily recognizes the processing buttons. You can do it.

만약, 사용자가 정정 버튼 또는 취소 버튼을 누르는 경우(S38), 처리 버튼 LED는 오프되고(S39), 단계 34로 복귀하여 숫자 버튼 LED가 재차 온된다. If the user presses the correct button or the cancel button (S38), the process button LED is turned off (S39),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4 where the numeric button LED is turned on again.

반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경우 확인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눌렀다고 판단되는 경우(S37), 입력된 비밀번호가 계정계 단말기로 전송되고(S40), 처리 버튼 LED는 오프된다(S41).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enters the password correctly, the user can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and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pressed the confirmation button (S37), the input password is transmitted to the account terminal (S40), the processing button LED Is turned off (S41).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비밀번호의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숫자 버튼 LED가 온됨과 동시에, 정정을 위한 정정 버튼 LED 및 이동 버튼 LED가 함께 점등됨에 따라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 과정에서 잘못 입력된 숫자를 쉽게 정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s the numeric button LED for guiding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turned on and the correction button LED and the moving button LED are turned on together to correct the user, the user may easily input the wrong number during the password input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rrected.

도 1은 본 실시예의 핀 패드가 구비되는 금융 업무 처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nancial business processing system equipped with a pin pad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i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를 이용한 금융 업무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nanci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using the pin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숫자 버튼부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핀 패드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pin pad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operated;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처리 버튼부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는 핀 패드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pin pad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processing button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operated;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 패드를 이용한 금융 업무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nanci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using the pin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핀 패드의 평면도. 8 is a plan view of a pin pad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a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operated;

Claims (9)

삭제delete 각각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버튼부; A plurality of button units each consisting of one or more buttons; 상기 각 버튼부에 대응하여 상기 각 버튼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발광부; 및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for emitting each of the button par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tton parts; And 상기 다수 개의 버튼부 중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버튼부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to operate in response to a button unit requiring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상기 다수 개의 버튼부에는, 숫자 입력을 위한 숫자 버튼부와, 상기 입력된 숫자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버튼부가 포함되고, 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include a number button portion for inputting a number and a processing button portion for processing the input number. 상기 다수 개의 발광부에는 상기 숫자 버튼부에 대응하는 제 1 발광부와, 상기 처리 버튼부에 대응하는 제 2 발광부가 포함되며,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button par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button par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버튼부의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발광부를 온시키고, 입력이 완료된 경우 온된 발광부를 오프시키는 핀 패드.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button unit when the input is required, and turns off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input is completed.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부가 온되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 버튼부 중 입력된 숫자를 정정하기 위한 정정 버튼이 발광되도록 상기 제 2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핀 패드.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so that a correction button for correcting a number input among the processing button units is emitted whil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위치 이동을 위한 이동 버튼부와, 상기 이동 버튼부와 대응되는 제 3 발광부가 더 포함되며, A movement button unit for moving a position and a third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button unit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정정 버튼을 발광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발광부의 작동시, 상기 제 3 발광부가 동시에 작동되는 핀 패드.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part is operated simultaneously when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is operated to emit the correction butto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각 발광부에는 상기 각 버튼부의 버튼의 수와 대응되는 수의 LED가 포함되는 핀 패드.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s includes a pin pa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ttons of the respective button units.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작동되는 발광부와 대응되는 버튼부 외의 버튼부의 조작 시, 상기 제어부는 조작된 버튼부의 입력 신호를 무시하는 핀 패드. The control unit ignores an input signal of the operated button unit when the button unit other than the button unit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is operated. 다수 개의 버튼부 중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버튼부가 선택되는 단계; Selecting a button unit requiring input from a plurality of button units; 선택된 버튼부와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는 단계; Turning on a light emit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part; 상기 버튼부의 조작이 완료된 경우 상기 발광부가 오프되는 단계; 및 Turning off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is completed; And 상기 발광부가 오프된 후에는, 다음으로 입력이 요구되는 버튼부가 선택되고 이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핀 패드의 제어방법. And after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ff, a button unit requiring input is selected next, and a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선택된 버튼부의 조작 과정에서 정정을 위한 버튼부가 추가적으로 선택되고, 이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핀 패드의 제어방법. The control method of the pin pa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ditionally selecting a button portion for correction in the operation of the selected button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portion.
KR1020080044138A 2008-05-13 2008-05-13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948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38A KR100948230B1 (en) 2008-05-13 2008-05-13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38A KR100948230B1 (en) 2008-05-13 2008-05-13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389A KR20090118389A (en) 2009-11-18
KR100948230B1 true KR100948230B1 (en) 2010-03-18

Family

ID=4160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138A KR100948230B1 (en) 2008-05-13 2008-05-13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23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0609B1 (en) 1997-04-17 2001-10-3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User interface with guide lights
KR20010097216A (en) * 2000-04-20 2001-11-08 서평원 Method for recognizing the keypad in a telephone
KR200343413Y1 (en) * 2003-12-11 2004-03-02 주식회사 국민은행 Apparatu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pad
KR20060026830A (en) * 2004-09-21 2006-03-24 송정헌 Mobile keypa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0609B1 (en) 1997-04-17 2001-10-3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User interface with guide lights
KR20010097216A (en) * 2000-04-20 2001-11-08 서평원 Method for recognizing the keypad in a telephone
KR200343413Y1 (en) * 2003-12-11 2004-03-02 주식회사 국민은행 Apparatu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pad
KR20060026830A (en) * 2004-09-21 2006-03-24 송정헌 Mobile keypa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389A (en)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1666A (en) Automatic bank teller machine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11780017B2 (en) Key duplication machine having user-based functionality
US10429930B2 (en) Accessible tactile features for blind and partially sighted PIN entry and touchscreen usage
CN111016444B (en) Thermal printer with quick release cover
JP2006018613A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5118409B2 (en) Operating device
JPH01319882A (en) Bar code reader
KR100948230B1 (en) Pin pa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451226B2 (en) User input device with optical tracking engine that operates through transparent substrate
US202004024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user
JP2006251838A (en) Input unit, electronic device, and account terminal device
JP5989224B2 (en) LED block display device providing educ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302000A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US7719519B2 (en) Input device which emits and/or reflects optical electromagnetic radiation for use on a display screen
KR20080039041A (en) Apparatus of menu selection and status display for micro projector
JP6458852B1 (en) Input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JP2010165288A (en) Vending machine
KR101658488B1 (en) Touch screen stamp and data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JP4456240B2 (en) Fingerprint verification device
JP2006277334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S60262235A (en) Key input device
KR20190074836A (en) User interfac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portable settler
KR920005603B1 (en) Input system of touch panel and method therefor
JP2851345B2 (en) Sales data processing equipment
JP2001034396A (en) Password number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