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486A -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486A
KR20060026486A KR1020067004757A KR20067004757A KR20060026486A KR 20060026486 A KR20060026486 A KR 20060026486A KR 1020067004757 A KR1020067004757 A KR 1020067004757A KR 20067004757 A KR20067004757 A KR 20067004757A KR 20060026486 A KR20060026486 A KR 2006002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hoistway
car
elevator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오키 하시구치
시게키 야마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6486A/en
Publication of KR2006002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4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8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6Drum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An elevator winch capable of omitting a machine chamber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top of an elevator shaft; and an elevator device. This elevator winch is constructed by arranging combinations of a drive motor and a drive sheave respectively at the opposite ends of a drive shaft. And, the winch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evator shaft so that each combination of a drive motor and a drive sheave is positioned outside widthwise of the cage.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Lifter and elevator device for elevators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winch which concerns on Example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2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Ⅳ-Ⅳ 화살표 방향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 IV-IV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Ⅵ-Ⅵ 화살표 방향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VI-VI arrow of FIG. 5;

도 7은 도 6의 D부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로프장력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pe tension measuring method in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winc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1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XⅡ-X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 XII-XII in FIG. 11;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권양기의 제어 블록도,1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inch machine in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winch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1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6의 XVⅡ-XV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s XVII-XVII in FIG. 16; FIG.

본 발명은 기계실이 생략된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the machine room is omitted and a winch applied thereto.

권양기를 승강로의 정상부에 설치한 기계실에 승강로의 연설방향에서 카와 겹치도록 배치하고, 로프의 양단을 머신 빔보다 아래 위치에 지지한 로프 엔드에 고정하도록 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484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기계실에 로프 엔드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계실 공간을 승강로의 수평투영면 정도로 축소할 수가 있다. 그러나, 박형이 아닌 권양기가 권양기로 사용되므로 권양기가 대형의 것이 되고, 권양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의 스페이스가 커지며, 기계실이 건물로부터 돌출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hoisting machine in the machine room which installed the top of a hoistway so that it overlaps with a car in the direction of hoistway, and fixed both ends of a rope to the rope end supported below the machine beam, for example is Japanes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48445. In this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rope end is not fixed to the machine room, the machine room space can be reduced to about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However, since the non-thin lifting machine is used as a lifting machine, the lifting machine becomes a large one, the space of the machine room for installing the lifting machine increases, and there is an unreasonable point that the machine room protrudes from the building.

또, 한대의 박형 구동모터부와 하나의 구동시브로 구성된 권양기를 승강로 정상부측에서 카와 승강로 측벽과의 극간에 배치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1043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를 설치하는 기계실이 불필요하고, 건물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승강로 정상부를 건물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대의 구동모터부에서 구동하므로 엘리베이터의 용량이나 속도가 커지면 구동모터부가 대형화된다. 또, 하나의 구동시브로 로프를 주행시키므로 엘리베이터의 용량이나 속도가 커지면 필요한 로프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구동시브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 결과, 권양기의 총두께가 두꺼워져버려 권양기를 카와 함께 승강로벽측과의 극간에 배치할 수 없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Moreover,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winch which consists of one thin drive motor part and one drive sieve between the poles and the side wall of the hoistway at the hoistway side i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7-10434, for example. It is. In this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 machine room for installing the winch is unnecessary, the building space can be saved, and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building. However, since one drive motor unit is driven, the drive motor unit becomes larger as the elevator capacity or speed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rope is driven by one drive sheave, the larger the capacity and speed of the elevator, the greater the number of ropes requir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drive sheave becomes thicker. As a result, the total thickness of the hoist became thick, and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hoist could not be disposed between the hoistway and the side of the hoistway w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한쌍의 구동시브를 구동축으로 연결하고, 또 박형(薄型)의 구동모터부를 구동축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서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승강로 정상부에서의 카의 폭방향의 양 둘레벽과 승강로의 벽면과의 극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해서 기계실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의 정상부 치수를 감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air of drive sheaves ar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s, and the thin drive motors are arrang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drive shafts. The purpose is to obtain an elevator winch that can be arranged between the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ar at the top of the hoistway and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so that the machine room can be omitted and the dimensions of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do.

또, 한쌍의 구동시브를 구동축으로 연결하고, 또 박형의 구동모터부를 구동축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한 권양기를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승강로 정상부에서의 카의 폭방향의 둘레벽과 승강로의 벽면과의 극간에 위치하도록 승강 로 정상부에 설치해서 기계실을 생략하고, 승강로가 건물에서 돌출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winch is formed by connecting a pair of drive sheaves to the drive shaft and arranging a thin drive motor part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and the peripheral w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at the top of the hoistway and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It aims to obtain an elevator device in which the machine room is omitted so that the hoistway does not protrude from the building so as to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poles.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구비한 것이다.An elevator wi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coaxially disposed with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a drive shaft and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respectively.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구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levator wi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re arranged coaxially relative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a drive motor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e shaft adjacent to the first drive sheave.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트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제1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를 정하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 및 제2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istway and a hoistway guided by a car rail provid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hoistway, the hoistway being freely arranged, and the hoistway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car and the ano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guided by rails for counterweights installed in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lifter, freely lifting and lifting, hoisting ropes suspending the car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and arrang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In the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a hoisting device, the hoisting machine is formed with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drive sheave coaxially disposed and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the first and second A drive shaft connecting drive sheaves, and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ortion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respectively, and the winches are first drive sheaves. And positioning the first drive motor part so as to approach the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counterweight and not overlapping the car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drive sheave and the second drive motor part, The second counterweight is disposed near the top of the hoistway, with the second counterweight approaching the wall surface of the adjacent hoistway, and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the car with respect to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the hoistway.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트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istway and a hoistway guided by a car rail provid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hoistway, the hoistway being freely arranged, and the hoistway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car and the ano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guided by rails for counterweights installed in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lifter, freely lifting and lifting, hoisting ropes suspending the car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and arrang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In the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a hoisting device, the hoisting machine is formed with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drive sheave coaxially disposed and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the first and second A drive shaft for connecting a drive sheave and a drive motor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ive shaft adjacent to the first drive sheave; The first driving sheave and the driving motor part are arranged to approach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adjacent to the first counterweight, and to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the car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istwa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의 (a)는 상면도, 도 1의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winch | lifter which concerns on Example 1 of this invention, FIG. 1 (a) is a top view, and FIG. 1 (b) is a side view. 2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IV-IV in FIG. to be.

우선, 이 실시예 1에 의한 권양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winch | winder which concerns on this Example 1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이 엘리베이터용 권양기(1)는 소위 기어리스의 권양기이고, 중간부로서의 구동축(2)과, 구동축(2)의 일단측에 배치된 제1 구동모터부(3A)와, 이 제1 구동모터부(3A)의 외측에서 구동축(2)의 일단부에 고착된 제1 구동시브(4A)와, 구동축(2)의 타단측에 배치된 제2 구동모터부(3B)와, 제2 구동모터부(3B)의 외측에서 구동축(2)의 타단부에 고착된 제2 구동시브(4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는 두께가 폭에 대해 평탄한 박형구조의 것으로, 그 두께를 후술하는 카운터웨이트의 두께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는 예를 들면 전기모터로 구성되고, 그 고정자가 프레임(3a)에 고착되며, 그 회전자가 구동축(2)에 고착되어 있다.The elevator winch 1 is a so-called gearless hoist, a drive shaft 2 serving as an intermediate portion, a first drive motor portion 3A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ive shaft 2, and the first drive motor portion. The first drive sheave 4A fixed to one end of the drive shaft 2 from outside the 3A, the second drive motor portion 3B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drive shaft 2, and the second drive motor portion. It consists of the 2nd drive sheave 4B fixed to the other end part of the drive shaft 2 from the outer side of 3B.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ortions 3A and 3B are of a thin structure having a fla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width,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preferably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unterweight described later. Thes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ortions 3A, 3B are constituted of, for example, electric motors, the stator of which is fixed to the frame 3a, and the rotor of which is fixed to the drive shaft 2.

또, 구동축(2)의 지름은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의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작동 브레이크가 각 구동모터(3A),(3B)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The diameter of the drive shaft 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ortions 3A, 3B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Although not shown, an operating brake is integrally provided to each of the driving motors 3A and 3B.

다음에, 이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승강로의 연설방향을 상하방향과 승강로의 연설방향과 직교하는 평면(평단면)에서의 승강로의 안쪽방향 및 폭방향을 각각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 승차장 도어측이 승강로의 전부 (前部)에 대응하고 있다.Next,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this Example 1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in the plane (flat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hoisting direction of the hoistway shall be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respectively. Moreover, the boarding point door side corresponds to the front part of a hoistway.

카(5)는 카바닥(6a), 둘레벽(6b) 및 천정(6c)에 의해 상자형태로 조립된 카실(6)과, 아래틀(7a), 좌우 한쌍의 세로틀(7b) 및 위틀(7c)에 의해 카실(6)의 전후방향의 중앙부를 상하좌우에서 둘러싸듯이 틀상으로 조립된 카틀(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바닥(6a)이 아래틀(7a)에 고착되어서 카실(6)과 카틀(7)이 일체화 되어 있다. 또, 카도어(8)가 카실(6)의 전부의 둘레벽(6b)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카용 매다는 활차(9A),(9B)가 카바닥(6a)의 좌우방향의 양단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The car 5 has a box 6 assembled in a box shape by a car bottom 6a, a circumferential wall 6b and a ceiling 6c, a lower frame 7a,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7b and a weft. It consists of the frame | assembly 7 comprised by frame (7c) so that the center part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sing 6 may be enclosed i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Then, the car bottom 6a is fixed to the lower frame 7a so that the casing 6 and the cartle 7 are integrated. Moreover, the cardor 8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6b of the whole of the casing 6, and the trolley | bogies 9A and 9B of the 1st and 2nd car hangings are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r bottom 6a. Rotation is free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제 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는 각각 다수개의 중량편(10a)을 쌓아올려서 강제(鋼製)의 틀체(10b)에 배치하고, 관통 볼트(도시않음)로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카운터웨이트용 매다는 활차(11B)가 제2 카운터웨이트 (10B)의 틀체(10b)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제1 카운터웨이트용 매다는 활차가 마찬가지로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틀체(10b)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10A and 10B is construc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weight pieces 10a and arranging them on a frame 10b of steel, and fixed with a through bolt (not shown). It is. Then, the pulley 11B for the second counterweight hanging is free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b of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Although not shown, the pulley for the first counterweight is similarly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b of the first counterweight 10A.

기계대(12)가 승강로(15)의 평단면의 약 후반분을 덮도록 승강로(15)의 천정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카용 레일(16)이 승강로(15)의 좌우벽면 근방에서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또,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이 각 카용 레일(16)과 승강로(15)의 후벽면과의 사이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쌍을 이루고 상하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The machine table 12 is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5 so as to cover approximately the second half of the flat section of the hoistway 15. And the car rail 16 extends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left-right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unterweight rails 17 are pair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each of the car rails 16 and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in a vertical manner.

그리고, 카(5)가 카도어(8)를 전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카용 레일(16)의 쌍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에 상하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의 각 쌍에 안내되어 각각 승강로 (15)내에 상하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 (10B)는 승강로(15)의 좌우 벽면에 인접해서 상하방향에 관해서 카(5)와 겹치지 않도록, 즉 카(5)의 수평투영면 밖에 위치하고 있다. 또, 카(5)의 수평투영면과는 카(5)를 승강로의 연설방향에서 본 면을 말한다.Then, the car 5 is guided to the pair of car rails 16 with the car door 8 facing in all directions, and is arranged in the hoistway 1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10A and 10B are guided to each pair of the counterweight rails 17 and are arranged in the hoistway 1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Here,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10A and 10B are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wall surfaces of the hoistway 15 so as not to overlap the car 5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at is, located outside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5. . In additi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5 means the surface which looked at the car 5 from the direction of the hoistway.

또, 권양기(1)가 구동축(2)을 좌우방향으로 일치시켜서 프레임(3a)을 기계대(12)의 하면에 고착해서, 또 구동축(2)을 기계대(12)의 하면에 고착된 한쌍의 부착구(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때, 부착구(13)의 기계대(12)로부터의 돌출높이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의 기계대(12)로부터의 돌출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 구동축 (2)은 카(5)의 수평투영면상에서 카틀(7)의 위틀(7c)과 거의 평행하고, 전후방향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모터부(3A) 및 제1 구동시브(4A)는 제1 카운터웨이트(10A)가 인접하는 승강로(15)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카(5)의 수평투영면 밖에서, 또,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구동모터부(3B) 및 제2 구동시브(4B)는 제2 카운터웨이트(10B)가 인접하는 승강로 (15) 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카(5)의 수평투영면 밖에서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the winches 1 fixed the drive shaft 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fix the frame 3a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chine table 12, and the drive shaft 2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chine table 12. Rotation is freely supported and attached to the attachment hole 13. At this time, the protruding height from the machine stage 12 of the attachment port 13 is the machine stag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ortions 3A, 3B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It is lower than the height of protrusion from (12). Moreover, the drive shaft 2 is locate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weft 7c of the bottle 7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5, and is located in the back of the front-back direction. Then, the first driving motor portion 3A and the first driving sheave 4A approach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to which the first counterweight 10A is adjacent, so that the first driving motor portion 3A and the first driving sheave 4A are outside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5, and furthermore, 1 It is located above the counterweight 10A. Similarly, the second drive motor portion 3B and the second drive sheave 4B allow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to approach the wall surface of the adjacent hoistway 15 so that the second counterweight is outside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5. It is located above 10B.

또, 권양로프(18)의 일단이 승강로(15)의 정상측에서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위쪽의 제1 로프고정(19A)에 고정되어 있다. 이 권양로프(18)는 제1 로프고정 (19A)으로부터 내려지고,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제1 카운터웨이터용 매다는 활차에 통과된 후, 제1 구동시브(4A)까지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는 제1 구동시브(4A)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카(5)의 하부까지 내려진다. 계속해서 권양로프(18)는 카(5)의 좌우 하부에 부착된 제1 및 제2 카용 매다는 활차(9A),(9B)에 통과된 후, 제2 구동시브(4B)까지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는 제2 구동시브(4B)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제2 카운터웨이트 (10B)까지 내려진다. 또, 권양로프(18)는 카(5)의 좌우 하부에 부착된 제1 및 제2 카용 매다는 활차(9A),(9B)에 통과된 후, 제2 구동시브(4B)까지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는 제2 구동시브(4B)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제2 카운터웨이트 (10B)까지 내려진다. 또, 권양로프(18)는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제2 카운터웨이트용 매다는 활차(11B)에 통과된 후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의 타단이 승강로(15)의 정상측에서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 위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로프고정(19B)에 고정되어 있다.One end of the hoisting rope 18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ing 19A above the first counterweight 10A on the top side of the hoistway 15. The hoisting rope 18 is lowered from the first rope fixing 19A,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pulley for the first counterweight hanger whose rotation is free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nterweight 10A, the first driving sheave ( Up to 4A). Then, the hoisting rope 18 passes along the rope groove of the first drive sheave 4A and then desc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5. Subsequently, the hoisting rope 18 is passed up to the second drive sheave 4B after passing through the pulleys 9A and 9B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car 5. Then, the hoisting rope 18 is passed along the rope groove of the second drive sheave 4B and then lower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In addition, the hoisting rope 18 is raised to the second drive sheave 4B after passing through the pulleys 9A and 9B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car 5. Then, the hoisting rope 18 is passed along the rope groove of the second drive sheave 4B and then lower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The hoisting rope 18 is raised after passing through the pulley 11B, where the second counterweight hanger is free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The other end of the hoisting rope 18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ing 19B that is fixed above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on the top side of the hoistway 15.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어장치,조속기, 위치검출장치 등의 각 기기가 도 2에서의 스페이스(A),(B),(C)에 설치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each device such as a control device, a governor, and a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spaces A, B, and C in FIG.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1)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 부(3A),(3B)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권양로프(18)가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주행되고,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In the elevator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arts 3A, 3B of the winch 1 are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are It rotates with the drive shaft 2. Thus, the hoisting rope 18 is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and 4B,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10A and 10B are the car rail 16 and the counterweight. It guides to the rail 17 for elevating and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15.

이와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한 권양기(1)는 구동축(2)의 양단에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에서 분담구동이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용량이나 속도가 커져도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를 대형화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그래서, 대용량이나 고속도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해도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 (3B)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이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를 카실의 좌우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극간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15)의 정상부의 높이치수를 감축할 수가 있는 권양기를 실현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nche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3A and 3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2, so that the elevator capacity and speed are increased.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ortions 3A and 3B can be cop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Therefore, even when applied to a large-capacity or high-speed elevator,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arts 3A, 3B,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arts 3A, 3B, and first. Since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and 4B can be disposed between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circumferential walls 6b of the cag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the height dimension of the top of the hoistway 15 can be reduced. A winch can be realized.

또, 이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구동모터부(3A) 및 제1 구동시브(4A)를 카실(6)의 좌측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또 제2 구동모터부(3B) 및 제2 구동시브(4B)를 카실(6)의 우측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권양기(1)를 승강로(15)의 천정에 부착된 기계대(12)의 하면에 부착하고 있다. 그래서, 승강로(15)의 정상부에서 카(5)와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와의 간섭이 없으므로 카(5)의 구동축(2) 및 부착구(13)와 간섭하는 직전까지 상승시킬 수가 있고, 승강로(15)의 정상부의 높이치수를 감축할 수가 있다. 또, 도 2에서의 스페 이스(A),(B),(C)가 공 스페이스가 되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에 필요한 제어장치, 조속기, 위치검출장치 등의 각 기기를 스페이스(A),(B),(C)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동시에, 각 기기의 설치에 부수하는 승강로(15)의 평단면적의 증대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5)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실(6)의 후부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극간 S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15)의 평단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drive motor portion 3A and the first drive sheave 4A are disposed between the left circumferential wall 6b of the casing 6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And the second drive motor portion 3B and the second drive sheave 4B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right circumferential wall 6b of the casing 6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1)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chine table 12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5. Therefore, the car 5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3A and 3B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and 4B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hoistway 15. It is possible to raise up to just before it interferes with the drive shaft 2 and the attachment port 5 of 5), and the height dimension of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15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paces A, B and C in Fig. 2 become empty spaces, each device such as a control device, a governor, a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the like required for an elevator device is replaced with a space (A), (B), By using (C), it is possible to simply install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5 accompanying the installation of each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10A and 10B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 5, the gap S between the rear peripheral wall 6b of the car compartment 6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is provided. Can be made small, and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5 can be made small.

또,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5)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권양기(1)의 구동축(2)(중간부)을 카(5)의 카틀(7)(카실(6)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철(凸)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카(5)의 카틀(7)과 구동축(2)과의 간섭이 없고, 그만큼 승강로(15)의 정상부의 높이치수를 감축할 수가 있다.Moreover, this elevator apparatus has the iron which protrudes from the drive shaft 2 (middle part) of the winch 1 in the cage 7 (carcass 6) of the car 5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istway 15. Since it is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iii) part, the height of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15 can be reduc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ar 7 and the drive shaft 2 of the car 5.

실시예 2.Example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로프장력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VI-VI arrow of FIG. 5,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D of FIG. 6, and FIG.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rope tension measuring method 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e example 2. FIG.

이 실시예 2에서는 권양로프가 제1 카운터웨이트(10A)를 현가하는 제1 권양로프(18A)와, 제2 카운터웨이트(10B)를 현가하는 제2 권양로프(18B)로 구성되어 있다. 또, 권양기(1), 카(5),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 카용 레일(16),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 등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hoisting rope is composed of a first hoisting rope 18A suspending the first counterweight 10A and a second hoisting rope 18B suspending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The hoisting machine 1, the car 5,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10A, 10B, the car rail 16, the counterweight rail 17, and the like are arrang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have.

여기서, 권양로프의 건너 매는 방법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우선, 제1 권양로프(18A)는 그 일단이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틀체(10b)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1 권양로프(18A)는 틀체(10b)로부터 제1 구동시브 (4A)까지 올려지고, 제1 구동시브(4A)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카(5)의 하부까지 내려진다. 여기서, 제1 권양로프(18A)는 카(5)의 좌측 하부에 부착된 제1 카측 로프고정판(20A)에 고정된다.First, one end of the first hoisting rope 18A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b of the first counterweight 10A. Then, the first hoisting rope 18A is lifted from the frame 10b to the first drive sheave 4A, passed along the rope groove of the first drive sheave 4A, and the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5. Lowered. Here, the first hoisting rope 18A is fixed to the first car side rope fixing plate 20A attach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car 5.

한편, 제2 권양로프(18B)는 그 일단이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 틀체(10b)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2 권양로프(18B)는 틀체(10b)로부터 제2 구동시브 (4B)까지 올려지고, 제2 구동시브(4B)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카(5)의 하부까지 내려진다. 그래서, 제2 권양로프(18B)는 카(5)의 우측 하부에 부착된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B)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second hoisting rope 18B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b of the second counterweight 10B. The second hoisting rope 18B is raised from the frame 10b to the second drive sheave 4B, passed along the rope groove of the second drive sheave 4B, and the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5. Lowered. Thus, the second hoisting rope 18B is fixed to the second car side rope fixing plate 20B attach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car 5.

이들의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단말은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 개마다에 로프소켓(2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로프소켓(21)의 로드(21a)가 제1 및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A),(20B)의 관통공(20a)에 삽통되고, 장력검출수단으로서의 압전소자(22) 및 압축스프링(23)이 로드(21a)의 연출부에 장착되고, 또 장력조정용 너트(24)가 로드(21a)에 나사고정되어 장력 조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는 각각 장력 조정기구를 통해서 제1 및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A),(20B)에 고정되어 있다.Terminals of thes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18B are connected to the rope sockets 21 one by one as shown in FIG. Then, the rod 21a of the rope socket 2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a of the first and second car side rope fixing plates 20A, 20B,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22 and the compression spring as the tension detecting means. 23 is mounted o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rod 21a, and the tension adjusting nut 24 is screwed onto the rod 21a to form a tension adjusting mechanism.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r side rope fixing plates 20A and 20B through a tension adjusting mechanism.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A),(20B)과 압축스프링(23)에 협지되어 있는 압전소자(22)에 인가되는 압력을 장력계측기(25)에 의해 계측함으로써 얻어진다. 그래서, 미리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장력조정용 너트(24)의 결착력을 조정하여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소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1)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가 각각 제1 및 제2 구동시브(4A), (4B)에 의해 주향되고, 카(5) 및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In the elevator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en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are the first and second car side rope fixing plates 20A and 20B and the compression spring 23 as shown in FIG. 8.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2 held by the pressure gauge is obtained by measuring by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Therefore, the binding force of the tension adjusting nut 24 is adjusted in advance using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and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The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3A, 3B of the winch 1 are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are driven by the drive shaft 2. Is rotated together. Thus,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18B are dir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respectively, and the car 5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 10A) and 10B are guided to the car rail 16 and the counterweight rail 17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15.

또, 예를 들면 정기정검시에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각 로프의 장력이 소정치로부터 어긋난 경우 마찬가지로 장력조정작업을 하게 된다.For example, the tension of the 1st and 2nd winding ropes 18A, 18B is measured using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at the time of periodical inspection. And when the tension | tensile_strength of each rope of the 1st and 2nd hoisting rope 18A, 18B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value, tension adjustment work will be similarly performed.

이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해서 권양로프가 제1 카운터웨이트(10A)를 현가하는 제1 권양로프(18A)와, 제2 카운터웨이트(10B)를 현가하는 제2 권양로프(18B)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1에서 필요했던 각 매다는 활차가 불필요해지고, 구성이 간소화되어 저가격화가 도모된다.Thus, in Example 2,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Example 1, the hoisting rope suspends the 1st hoisting rope 18A which suspends the 1st counterweight 10A, and the 2nd hoisting rope which suspends the 2nd counterweight 10B. Since it is comprised by (18B), each hanger which was needed by the said Example 1 becomes unnecessary a pulley,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price reduction is attained.

또, 이 실시예 2에서는 압전소자(22), 압축스프링(23) 및 장력조정용 너트 (24)로 된 로프장력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 (18B)의 각 로프의 장력을 소정치로 수시조정가능하다. 그래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불균등하게 되고, 카(5)가 기울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2, since the rope tension adjusting mechanism includ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22, the compression spring 23, and the tension adjusting nut 24 is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18B The tension of each rope can be adjusted at any time. Thus, the ten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becomes uneven, and the car 5 can be prevented from inclining.

또,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 (18A),(18B)의 장력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하지 않고, 타격법에 의해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tension of the 1st and 2nd hoisting rope 18A, 18B is measured using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in the said Example 2, it does not use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and it strikes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may be measured by the method.

실시예 3.Example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의 (a)는 상면도, 도 9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XⅡ-X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권양기의 제어 블록도이다.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winch | lifter which concerns on Example 3 of this invention, FIG. 9 (a) is a top view, and FIG. 9 (b) is a side view. Fig. 10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 XII-XII in Fig. 11. 1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inch machine in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 3에 의한 권양기(1A)는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로서의 제1 및 제2 구동축(2A),(2B)와, 제1 구동축(2A)의 일단측에 배치된 제1 구동모터부 (3A)와, 제1 구동모터부(2A)의 외측에서 제1 구동축(2A)의 일단부에 고착된 제1 구동시브(4A)와, 제2 구동축(2B)의 타단측에 배치된 제2 구동모터부(3B)와, 제2 구동모터부(3B)의 외측에서 재2 구동축(2B)의 타단부에 고착된 제2 구동시브(4B)와, 제1 구동축(2A)의 타단과 제2 구동축(2B)의 일단을 연결하는 클러치(26)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winch 1A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2A and 2B serving as intermediate portions, and a first drive disposed at one end side of the first drive shaft 2A. It is arrang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motor portion 3A, the first drive sheave 4A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drive shaft 2A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drive motor portion 2A, and the second drive shaft 2B. Of the second drive motor portion 3B, the second drive sheave 4B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e shaft 2B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drive motor portion 3B, and the first drive shaft 2A. It consists of the clutch 26 which connects the other end and one end of the 2nd drive shaft 2B.

그리고, 이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양기 1 대신에 권양기 1A를 사용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And the elevator apparatus by this Example 3 is comprised like Example 2 except having used the winding machine 1A instead of the winding machine 1 as shown to FIG.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미리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장력조정용 너트(24)의 체결력을 조정하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소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1)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 (3B)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가 각각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주향되고, 카(5) 및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In the elevator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lamping force of the tension adjusting nut 24 is adjusted in advance by using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and the ten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are set to predetermined values. . The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3A and 3B of the winch 1 are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and 4B are driven by the drive shaft 2. Is rotated together. Here,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18B are dir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respectively, and the car 5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 10A and 10B are guided to the car rail 16 and the counterweight rail 17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15.

그리고, 제어장치(30)가 도 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22)의 출력신호 (로프장력신호)를 모니터하고, 이 출력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 (18B)간의 장력차를 연산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30)는 장력차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클러치(26)를 작동시켜서 제1 및 제2 구동축(2A),(2B)의 연결을 해제하고, 장력차가 설정치내에 수납되도록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의 회전각을 제어한다. 그리고, 장력차가 설정치내에 수납되면, 클러치(26)를 작동시켜서 제1 및 제2 구동축(2A),(2B)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를 동일 회전각으로 구동한다.Then, the control device 30 monitors the output signal (rope tension signal)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22 as shown in Fig. 13, an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18B. The tension difference between them is being calculated. When the tension difference exceeds the set value, the control device 30 operates the clutch 26 to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2A and 2B, and the first and second values are stored within the set value. The rotation angles of the second drive motor portions 3A and 3B are controlled. When the tension difference is stored within the set value, the clutch 26 is operat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2A and 2B,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ortions 3A and 3B are the same. Drive at rotation angle.

또, 예를 들면 정기점검시에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 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각 로프의 장력이 소정치로부터 어긋난 경우, 마찬가지로 장력조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tension gauge 25 measures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during periodic inspection. Then, when the tensions of the ropes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value, the tension adjusting operation is similarly performed.

이와 같이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에 차이가 발생하면, 양 장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의 회전각이 제어장치(13)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그래서, 카(5)가 경사된 상태에서 승강동작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안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얻어진다.Th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f a difference occurs in the ten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18B,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3A, ( The rotation angle of 3B)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3. Therefore, the lifting ope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ar 5 is inclined is prevented beforehand, and a safe elevator apparatus is obtained.

실시예 4.Example 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의 (a)는 상면도, 도 14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XVⅡ-XV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winch | lifter which concerns on Example 4 of this invention, FIG.14 (a) is a top view, FIG.14 (b) is a side view. Fig. 15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n XVII-XVII arrow direction sectional view of Fig. 16. to be.

이 실시예 4에 의한 권양기(1B)는 도 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로서의 구동축(2)과, 구동축(2)의 일단측에 배치된 제1 구동모터부(3A)와, 제1 구동모터부 (3A)의 외측에서 구동축(2)의 일단부에 고착된 제1 구동시브(4A)와, 구동축(2)의 타단부에 고착된 제2 구동시브(4B)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winch 1B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drive shaft 2 as an intermediate portion, a first drive motor portion 3A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ive shaft 2, and a first drive motor. The first drive sheave 4A fixed to one end of the drive shaft 2 outside the portion 3A and the second drive sheave 4B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2 are constituted.

그리고, 이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 15 내지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권양기 1 대신에 권양기 1B를 사용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 예 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And the elevator apparatus by this Example 4 is comprised like Example 2 except having used the winch 1B instead of the winch 1 as shown to FIG. 15-17.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미리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장력조정용 너트(24)의 체결력을 조정하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소정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1B)의 제1 구동모터부(3A)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가 각각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주향되고, 카(5) 및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 (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In the elevator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ensioning force of the tension adjusting nut 24 is adjusted in advance using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is reduced. It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Then, the first drive motor portion 3A of the winch 1B is drive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2. Thus,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18B are dir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4B, respectively, and the car 5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 10A) and 10B are guided to the car rail 16 and the counterweight rail 17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15.

또, 예를 들면 정기점검시에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각 로프의 장력이 소정치로부터 어긋난 경우, 마찬가지로 장력조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For example, the tension | tensile_strength of the 1st and 2nd winding ropes 18A, 18B is measured using the tension measuring device 25 at the time of periodical inspection. Then, when the tensions of the ropes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18A and 18B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value, the tension adjusting operation is similarly performed.

이 실시예 4에 의한 권양기(1B)에서는 구동시브가 구동축(2)의 양단에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로프개수를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로 분담해서 주향시킬 수가 있다. 그래서, 엘리베이터의 용량, 속도가 커지고, 필요한 로프개수가 증가해도 제1 및 제2 구동시브(4A), (4B)의 두께의 증가가 억제되므로 제1 구동모터부(3A)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 (4A),(4B)를 카(5)의 좌우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벽면과의 극간에 배치가 가능하다.In the winches 1B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drive sheave is constituted by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and 4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2,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ropes is determined by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two drive sheaves 4A and 4B can be divided and directed. Therefore, even if the capacity and speed of the elevator increase and the number of required ropes increases,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4A and 4B is suppressed, so that the first drive motor part 3A and the first and firs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two drive sheaves 4A and 4B between the left and right circumferential walls 6b of the car 5 and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15.

따라서, 이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ly,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exhibits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또, 이 실시예 4에 의한 권양기(1B)는 구동모터부가 제1 구동모터부(3A)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가격화가 도모된다.Moreover, since the drive motor part is comprised only by the 1st drive motor part 3A, the winding machine 1B which concerns on this Example 4 can attain price redu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의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re arranged relatively coaxially and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Since the drive shaft and the 1st and 2nd drive motor parts respectively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h ends of the said drive shaft are provided, the elevator winch which can reduce the height of a top part of a hoistway is obtained.

또, 상기 구동축은 제1 및 제2 구동축으로 분할구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축이 클러치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권양로프의 장력차를 해소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shaf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are connected via a clutch, the t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hoisting rope can be eliminated.

또,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의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저가격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가 얻어진다.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re arranged coaxially with each other, the drive shafts ar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ince the drive motor part provided in the one end of the said drive shaft adjacent to the drive sieve is provided, the low cost elevator winch which can reduce the height of a top part of a hoistway is obtained.

또,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 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터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제1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 및 제2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얻어진다.In addition, the counter-waiter is installed in the air direction of the hoistway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hoistway and the car rail provided in the hoisting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hoist provided freely, and between the ca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and the hoistway.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guided by a rail for lifting and freely arranged, a hoisting rope suspending the car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and a hoist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In the above, the winch is formed with a first coaxially arranged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sieve, the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 and the drive shaf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 and And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art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and the winch machine includes a first drive sheave and a first drive motor part, wherein the first count The second weight moves closer to the wall surface of the adjacent hoistway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weight does not overlap the car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second drive sheave and the second drive motor part are adjacent to the second counterweight.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approach the hoistway wall surface an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so as not to overlap the ca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hoistway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또, 상기 권양로프가 상기 제1 구동시브에 가교되어 상기 카와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에 고정된 제1 권양로프와, 상기 제2 구동시브에 가교되어 상기 카와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에 고정된 제2 권양로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매다는 활차의 개수가 삭감되고, 저가격화가 도모된다.The first lifting rope is cross-linked to the first driving sheave and fixed to the car and the first counterweight, and the second to the second driving sheave is fixed to the car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ince it is composed of a lifting rope, the number of pulleys to be suspended is reduced, and the price is reduced.

또, 상기 구동축은 제1 및 제2 구동축을 클러치를 통해서 연결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권양로프의 장력을 각각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과, 상기 장력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의 권양로프의 장력을 모니터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권양로프에 장력차가 생겼을 때에 상기 클러치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 장력차가 허용범위내에 수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권양로프간의 장력차를 자동적으로 해소할 수가 있다.Further, the drive shaft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through a clutch, the tens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the second hoisting rope,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tension detecting means Monitor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disconnect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by the clutch when a tension difference occurs in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and the tension differenc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 parts to be accommodated therein is provided so that the t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isting ropes can be automatically eliminated.

또,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터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저가격화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얻어진다.In addition, a counter-waiter provided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hoistway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hoistway, the car guided by the car rail provided in the hoisting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hoisting freely disposed, and the two poles of the hois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and the hoistway.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guided by a rail for lifting and freely arranged, a hoisting rope suspending the car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and a hoist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In the above, the winch is formed with a first coaxially arranged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sieve, the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 and the drive shaf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 and And a driving motor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driving shaft adjacent to the first driving sieve, and the winch lifter drives the first driving sieve and the driving motor unit. The first counterweight is positioned near the wall of the hoistway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the car with respect to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second drive sheave is directed to the wall of the hoistway adjacent to the second counterweight. Since it is located near the top of the hoistway by being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the ca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hoistway of the hoistway, a low-cost elevator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hoistway of the hoistway is obtained.

또, 상기 권양기는 상기 구동축을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 의 상부 철(凸)부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 높이를 한층 감축할 수 있다.Further,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so that the drive shaft is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the upper convex part of the ca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istway extends, so that the height of the hoistway top can be further reduced.

Claims (1)

서로 대향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coaxially opposed to each other, a drive shaft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eaves, and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Elevator winche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KR1020067004757A 2006-03-08 2002-03-15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KR200600264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757A KR20060026486A (en) 2006-03-08 2002-03-15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757A KR20060026486A (en) 2006-03-08 2002-03-15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169A Division KR100597941B1 (en) 2002-03-15 2002-03-15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486A true KR20060026486A (en) 2006-03-23

Family

ID=3713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757A KR20060026486A (en) 2006-03-08 2002-03-15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64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KR20000052619A (en) Elevator system
JP5577275B2 (en) Elevator with floor height adjustment mechanism
KR20080058280A (en)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US20080142313A1 (en) Elevator Apparatus
JP3991657B2 (en) elevator
KR100597941B1 (en)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KR100415749B1 (en) Elevator
KR100685505B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4041702A1 (en) Elevator equipment
KR20060111682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110138B2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4022471A1 (en) Elevator equipment
WO2018198232A1 (en) Elevator device
WO2006040813A1 (en) Elevator apparatus
KR20060026486A (en)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JP2011051736A (en) Elevator device
JP3508768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2068641A (en) Elevator apparatus
JP2002241070A (en) Elevator device
EP3068721A1 (en) Elevator drive
WO2006018868A1 (en) Elevator device
WO2023195166A1 (en) Elevator car device
JP2000118911A (en) Elevator
KR100470427B1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