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057A -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 - Google Patents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057A
KR20050118057A KR1020040070650A KR20040070650A KR20050118057A KR 20050118057 A KR20050118057 A KR 20050118057A KR 1020040070650 A KR1020040070650 A KR 1020040070650A KR 20040070650 A KR20040070650 A KR 20040070650A KR 20050118057 A KR20050118057 A KR 20050118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xadecanoyl
palmitoyl
cells
cancer
mad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희
Original Assignee
김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희 filed Critical 김상희
Priority to KR102004010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8095A/ko
Priority to CN2005800129149A priority patent/CN1946392B/zh
Priority to PCT/KR2005/001175 priority patent/WO2005112912A1/en
Priority to RU2006141418A priority patent/RU2341257C2/ru
Priority to JP2007509400A priority patent/JP4892473B2/ja
Priority to EP05764751A priority patent/EP1740169B1/en
Priority to KR1020050033744A priority patent/KR100767701B1/ko
Priority to CA2562897A priority patent/CA2562897C/en
Priority to US11/587,377 priority patent/US7662853B2/en
Publication of KR2005011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057A/ko
Priority to KR1020060102032A priority patent/KR100885679B1/ko
Priority to US12/640,875 priority patent/US20100137435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6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6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61K9/0058Chewing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75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physics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n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IDS & HIV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암 예방용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암 유도된 동물에서 암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은 각각 암치료용 및 암 예방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R1/R2는 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옥타데카디에노일(리놀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일(리놀레노일) 또는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노일(아라키도노일)을 나타내며,R3는 아세틸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Anti-cancer agent and health food containing acethyldiacylglycerole derivatives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녹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녹용은 사슴과(Cornu cervi)에 속하는 사슴의 각화되지 않은 유각을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인삼과 더불어 한방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약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녹용의 기원동물로는 사슴과에 속하는 매화록(Cervus nippon Temminick var. mantchuricus Swinhoe) 및 마록(Cervus elaphus L. Cornu Ceriv Pavum) 등이 있다.
녹용은 예로부터 강장작용, 생장, 발육촉진작용, 조혈작용, 신경쇠약 치료작용, 심부전증 치료작용, 오장육부의 기능항진작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동의보감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자양보신, 신체활력 증강 및 심근운동개선 효과, 피로회복, 신체 저항력 증진, 건뇌안신효과 등의 효과가 고대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녹용의 신비한 약효를 규명하기 위하여 그의 성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결과 녹용으로부터 유리아미노산과 미량원소, 육탄당 및 오탄당, 헥소사민, 우론산, 시알산, 산 뮤코다당류인 히알우론산과 황산콘드로이틴 A, 다양한 지방산, 프로스타글란딘류 등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또한 당지질 및 인지질, 콜레스테롤, 히포크산틴, 콜레스트-5-엔-3β, 7α-디올,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폴리아민 등이 분리, 보고되었다. 이 밖에도, 녹용에는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리셉터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 1위의 사망원인인 암질환은 매년 증가추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암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요법 등은 암세포 뿐 아니라 일반 정상 골수세포, 특히 면역 및 조혈기능을 조절하는 조혈세포(hematopoietic cell)까지도 동시에 손상시킴으로써 인체의 조혈기관과 면역기능을 마비시키는 것이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민간약으로 뛰어난 약효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녹용으로부터 분리한 유효 성분이 항암 작용을 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암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R1/R2는 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옥타데카디에노일(리놀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일(리놀레노일) 또는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노일(아라키도노일)을 나타내며,R3는 아세틸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5 가지 화합물들이 언급될 수 있다:
1) 1-올레오일-2-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R1/R2=9-옥타데세노일/헥사데카노일, R3=아세틸; 이하 "화합물 1"이라함)
2) 1-팔미토일-2-올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R1/R2=헥사데카노일/9-옥타데세노일, R3=아세틸; 이하 "화합물 2"라함)
3)1-팔미토일-2-리놀레일-3-아세틸글리세롤 또는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R1/R2=헥사데카노일/9,12-옥타데카디에노일, R3=아세틸; 이하 "화합물 3"이라함)
4) 1-팔미토일-2-리놀레닐-3-아세틸글리세롤(R1/R2=헥사데카노일/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일, R3=아세틸; 이하 "화합물 4"라함)
5)1-팔미토일-2-아라키도닐-3-아세틸글리세롤(R1/R2=헥사데카노일/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노일, R3=아세틸; 이하 "화합물 5"라함)
상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특히 하기 화학식 1a로 기재되는 화합물 3의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Monoacethyldiglyceride-3; 이하, 'MADG-3'으로 약칭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를 제공하며, 특히 하기 화학식 1a의 MADG-3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a>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분자량: 634)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녹용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즉, 녹용을 헥산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잔사를 다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액을 감압증류하여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추출방법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인 헥산 및 클로로포름의 양은 각각 사용된 녹용이 잠길 정도의 양이면 충분하며, 일반적으로는 녹용 1㎏에 대하여 헥산 및 클로로포름을 각각 4∼5ℓ정도의 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계속해서 일련의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및 TLC 방법에 의해 더 분획화시키고 정제한다. 즉,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의 후속 처리단계는 a)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용리액으로 클로로포름/메탄올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하고, 수득되는 분획을 TLC로 처리하여 Rf치에 따라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 1 부터 7 까지의 7가지 엑기스를 얻는 단계: b) 상기 단계 a) 에서 수득한 엑기스 중 엑기스-2를 용리액으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하고, 수득되는 분획을TLC로 처리하여 Rf치에 따라 엑기스 2-A 부터 2-F 까지의 6가지 엑기스를 얻는 단계: c) 상기 단계 b) 에서 수득한 엑기스중 엑기스 2-E를 용리액으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아세트산(20:1:0.5)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하고 수득되는 분획을 TLC로 처리하여 Rf치에 따라 엑기스 2-E-a 및 2-E-b 의 2 가지 엑기스를 얻는단계: 및 d) 상기의 단계 c) 에서 수득한 엑기스중 엑기스 2-E-a를 메탄올에 용해시켜 메탄올-가용성 분획 2-E-a-Ms와 메탄올-불용성 분획 2-E-a-Mi를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2-E-a-Ms와 -Mi의 전개용매: 헥산/에틸아세테이트/아세트산 = 20:1:0.5).
상기와 같이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 중에 최종적으로 수득된 메탄올-불용성 분획인 2-E-a-Mi 에 대하여 질량분광분석(massspectrometry)을 수행하여 이 분획에서 화학식1 로 표시되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각 화합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순수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은 공지되었거나 공지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강한 항암활성을 가진다. 즉, 상기와 같은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T 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단핵구 세포를 월등히 증식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T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세포와 세포의 관계는 다양한 조혈 세포 및 면역 세포를 자극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처리한 수상돌기세포는 무처리 세포에 비해 부착분자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하여 조혈 세포 및 면역 세포를 자극하여, 우수한 항암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항암제는 상기와 같은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총중량에 대해 20 내지 3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5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암제를 경구투여할 때에는 1일 1회 내지 3회, 25 내지 50 ㎎/㎏의 농도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암제는 항암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과 함께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1종 이상의 담체를 첨가하여 약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물, 글리세롤 및 에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Remingtons'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를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임상 투여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대상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1일에 1 내지 1.5 g을 경구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투약 단위의 제형들을 포함한다. 제형은 개별 투약 형태, 예를 들면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좌약 및 앰플제로 존재하고, 약제 중 유효 화합물의 함량은 개별 투약량의 분율 또는 배수에 해당한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여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여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화합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조혈모세포 촉진 작용을 하며, 림프구 활성촉진에 의한 면역증진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암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바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이 면역세포인 T 세포, 단핵구 및 수상돌기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면역 증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4 참조). 또한, 햄스터에 암세포를 주입하여 암의 발생을 유도한 후 MADG-3을 투입한 결과, 암 발생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도 8 참조). 따라서,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면역증강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질 캅셀 및 정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제조예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항암제를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암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담도암 또는 신장암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총중량에 대해 0.02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2 내지 0.6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햄스터에 암세포를 주입하여 암의 발생을 유도한 후 MADG-3을 투입한 결과, 암 발생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도 8 참조). 따라서, MADG-3을 포함한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이 항암효과가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제조예 2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이 T 세포 증식 및 단핵구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1-1>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이 T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C57BL/6 생쥐(아산생명과학연구소 동물실에서 제공) 비장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비장세포는 흡인(aspiration)과 플러싱(flushing)을 통해 단일 세포로 만들었다. 암모늄 클로라이드(amomonium chloride)를 사용하여 적혈구 세포를 제거하였으며, 나일론 울을 통과시키면서 세포 찌꺼기(debris)와 응괴(clump)를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항-염소 IgG(Miltenyi Biotec, bergich gladbach, Germany), 항-생쥐 CD4(Miltenyi Biotec, bergich gladbach, Germany) 또는 항-생쥐 CD8 항체(Miltenyi Biotec, bergich gladbach, Germany)를 포함하는 자석 비드(MACS bead, Miltenvi Biotec, bergich gladbach, Germany)를 이용하여 T 세포를 분리하였다(Turner and Dockrell (1996) Immunology, 87: 339-342).
분리한 T 세포는 IMDM 배지(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Gibco, Grand Island, NY) 및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이하, 'FBS'라 약칭함)(Gibco, Grand Island, NY)을 포함하는 배지로 현탁한 뒤 9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 × 104 세포수로 접종하였으며, 접종된 세포에 1 ㎍/㎖의 화합물 1, 2, 4 및 5와 0.01, 0.1 및 1 ㎍/㎖ 농도의 화합물 3(MADG-3)(이상, 이화여자 대학교 화학과에서 합성하여 제공) 및 20 ng/㎖ 농도의 IL-2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6일째 3H-티미딘을 각 세포 배양 웰당 1 μCi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 7일째 세포를 수득한 뒤 3H-티미딘 인코퍼레이션(incorporation) 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의 계산법으로 자극수치(Stimulation Index; 이하 'SI'라 약칭함)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SI = 실험군 웰에서 흡수한 3H-티미딘(실험군의 CPM) / 대조군의 웰에서 흡수한 3H-티미딘(대조군의 CPM)
그 결과,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T 세포의 SI가 2.05로 나타나 IL-2를 처리한 그룹과 유사하였다(표 1).
처리군 SI
IL-2(20 ng/㎖)* 2.05 ± 0.24
화합물 1(1 ㎍㎖)* 2.01 ± 0.43
화합물 2(1 ㎍㎖)* 2.03 ± 0.54
화합물 3(0.01 ㎍/㎖)** 1.83 ± 0.32
화합물 3(0.1 ㎍/㎖)* 1.96 ± 0.18
화합물 3(1 ㎍㎖)* 2.05 ± 0.64
화합물 4(1 ㎍㎖)* 1.98 ± 0.26
화합물 5(1 ㎍㎖)* 2.02 ± 0.38
상기 표에서 *P<0.05, **P<0.005이고, 각 수치는 3회 수행한 실험 결과이다.
<1-2>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이 단핵구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히스토파크 1077을 사용하여 인간의 전혈(whole blood)로부터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핵구 세포를 5 × 106 세포수/㎖ 농도로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 접종한 뒤 3시간 동안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3시간 동안 배양하고 난 뒤 흡착된 세포를 수득하여 10% FBS을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GIBCO, Grand Island, NY)로 현탁하였다. 각 웰당 생존하는 세포 5 × 104개를 1 ㎍/㎖ 농도의 화합물 1 내지 5 각각과 함께 9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6일째에 각 배양웰마다 1 μCi 3H-티미딘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양 7일째에 세포를 수득한 뒤 인코퍼레이션된 3H-티미딘을 정량하였다. 정량한 수치를 이용해 SI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SI = 샘플 웰에 있는 단핵구의 세포수 / 대조군 웰에 있는 단핵구의 세포수
그 결과, 화합물 1 내지 5 각각을 처리한 경우는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단핵구의 SI 수치가 10.86배나 증가하여 단핵구를 자극시킴을 알 수 있었다(표 2).
처리군 SI(± S.E)
무처리 대조군 1
화합물 1 (1 ㎍/㎖)* 9.97 ± 0.10
화합물 2 (1 ㎍/㎖)* 10.42 ± 0.15
화합물 3 (1 ㎍/㎖)* 10.68 ± 0.13
화합물 4 (1 ㎍/㎖)* 10.21 ± 0.18
화합물 5 (1 ㎍/㎖)* 9.75 ± 0.09
상기에서 *P<0.001이고, 각 수치는 2회 수행한 실험 결과이다.
<실시예 2> MADG-3이 T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Lispot 분석은 ELispot(ESAT-6 enzyme-linked immunospot assay) 플레이트의 각 웰의 바닥에는 사이토카인에 특이적인 캡쳐 항체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사이토카인을 정량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분석방법이다. 이에, T 세포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이토카인 양을 보다 높은 감도로 정량할 수 있는 ELispot 분석을 수행하였다. T 세포를 24웰 멸균 조직 배양 플레이트(Nunc, Denmark)에 2 × 106 세포수/㎖ 농도로 접종하고, MADG-3을 0.01, 0.1, 1 ㎍/㎖ 농도로 처리하거나 또는 IL-2를 20 ng/㎖ 농도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7일째 세포를 수득한 뒤 생쥐 IL-2를 일차 항체로 코팅된 멀티 테스트 플레이트(Elispot system kit, AID, Straberg, Germany)에 5 × 105 세포수/㎖ 농도로 접종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24시간 동안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뒤 T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IL-2의 양을 IL-2 ELispot 킷트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서 두 번 실험을 하였고, Elispot 판독기(AID ELispot Reader System)를 이용하여 ELispot 분석에 의해 세포가 생산하는 IL-2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MADG-3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T 세포의 활성이 무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1.5배 증가하였다(도 1).
<실시예 3> 화합물 3(MADG-3)이 수상돌기(Dendritic) 세포의 부착 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3-1> 수상돌기 세포 배양
골수(bone marrow) 세포는 C57BL/6 생쥐의 대퇴골과 정강이뼈로부터 공지된 방법으로 분리하였다(Park, J. et al. (2003) J. Korean Med. Sci., 18: 372-380). 분리한 세포를 RPMI 배지로 3회 세척한 뒤, 단핵구 세포(mononuclear cell)만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단핵구 세포를 RPMI 배지와 10% FBS를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3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부착배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배양하고 난 뒤, 부착배양한 단핵세포(monocyte)를 제거한 뒤 부착하지 않은 세포를 100 mm 조직 배양 디쉬에 접종하였다. 접종시 세포 농도는 1 × 105 세포수/㎖로 하였으며, RPMI 배지에 10% FBS를 첨가하고, 여기에 추가로 생쥐 rGM-CSF(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20 ng/㎖, 생쥐 IL-4(R&D systems) 10 ng/㎖ 및 생쥐 TNF-α(R&D systems) 2.5 ng/㎖을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 디쉬의 배지는 매 3일마다 교환해주었다. 배양 6일째 되는날 TNF-α를 첨가해 주었으며, 그로부터 11일이 될 때까지 3일마다 첨가해 주었다. 성숙 수상돌기 세포는 부착 분자 연구를 위한 RT-PCR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둥근형태의 과립세포를 3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상기 세포가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세포배양 웰의 바닥에 부착하여 배양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배양 6 내지 7일째 성숙 수상돌기 세포가 군집하여 자라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배양 9일째에 수상돌기 세포가 특이적으로 길고 작은 전골(protrusion)의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3-2> 수상돌기 세포의 표현형 결정
트리판 블루 염색에 대해 음성이고, 크기가 큰 세포를 살아있는 세포로 계수하였고, 이들의 각각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1 × 106개의 세포를 배양한 뒤, 세척하고 1%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는 FACScan(Beckton Dickinson, Mountain View, CA, U.S.A)을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ic analysis)함으로써 하기 마커에 대한 항체로 표현형을 결정하였다; 햄스터 IgG에 대한 동종형(isotype) 대조군, 쥐 IgG 2a, DC 마커:DEC 205(NLDC-145) 및 CD 11C, 동시-촉진/흡착(Co-stimutatory/adhesion) 분자: CD 80(B7-1) 및 CD 86(B7-2), 대식세포 마커: CD 14 및 F4/80, 과립백혈구(Granulocyte) 마커: Gr-1(Pharmingen, Hamburg, Germany).
그 결과, 공동자극 특이적 분자 마커인 CD80 및 CD86이 높은 수치로 나타났고, 수상돌기 세포 특이적 마커인 CD11c 및 DEC-205가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핵구 특이적 마커인 CD14 및 F4/80과 과립구 특이적 마커인 Gr-1에 대해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서 분리한 수상돌기 세포는 수상돌기 세포의 표현형을 정확히 나타내고, 97 내지 98%의 순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도 3).
<3-3> MADG-3의 처리 및 부착 분자의 발현 분석
세포와 세포의 관계는 다양한 조혈 세포 및 면역 세포를 자극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MADG-3이 상기 세포의 다양한 부착 분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배양한 수상돌기 세포에 MADG-3을 1 ㎍/㎖ 농도로 처리한 뒤 세포를 수득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RT-PCR에 사용한 프라이머로는 Icam-1(서열번호 1서열번호 2), Icam-2(서열번호 3서열번호 4), Vcam-1(서열번호 5서열번호 6), VLA-4(서열번호 7서열번호 8), VLA-5(서열번호 9서열번호 10), LFA-1(서열번호 11서열번호 12) 및 GAPDH(서열번호 13서열번호 14)를 사용하였고, 프라이머 세트는 2 ㎕의 DNA, 10× 완충액, 1.5 ㎕의 ㎎Cl2, 2 ㎕의 dNTP, 0.5 ㎕의 정방향(forward) 프라이머, 0.5 ㎕의 역방향(reverse) 프라이머, 0.2 ㎕의 폴리머라제(polymerase) 및 15.8 ㎕의 증류수로 구성되는 혼합액을 이용하였다.
올리고(dt)-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배양된 낮은 밀도 세포인 MS-5 및 수상돌기 세포로부터 분리된 전체 RNA를 역전사시키고, 94℃에서 30초, 65℃에서 30초 및 72℃에서 50초 반응시킴으로써 PCR을 수행하였다. PCR 실행 횟수는 총 34회를 실행하고, PCR 수행당 2배씩 증가하는 산물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RT-PCR 수행시 부착 분자로는 Vcam-1, Icam-1, Icam-2, VLA-4, VLA-5, LFA-1 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비교 정량하기 위해 GAPDH에 대한 PCR 반응을 수행하여 상응하는 cDNA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MADG-3을 처리한 수상돌기 세포는 무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부착 분자 Icam-2, VLA-5, LFA-1의 발현이 증가하였다(도 4).
<실시예 4> 피하 종양 이식법(국소 모델) 및 정맥주사 종양 주입법(전신 모델)을 통한 항암 효과 분석
6주령의 암컷 시리안 골든 햄스터(Syrian golden hamster)(Harlan, Indianapolis, India, USA)를 특정 병원균 부재 사육장에서 사육하였다. KIBG-5 세포(Molcular therapy, Vol.3, No4, pp431-437) 5 × 105개를 무혈청 RPMI 1640 배지 100 ㎕에 현탁한 뒤 곧바로 대퇴부 혈관으로 정맥주사(intravenously inject, I.V)하였다. 또한, KIBG-5 세포 1 × 105개를 무혈청 RPMI 1640 배지 100 ㎕에 현탁한 뒤 측복부에 피하주사(subcutaneously inject, S.C)하였다. 이때 KIBG-5 세포를 주입한 햄스터는 하기의 7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1) RPMI 배지를 처치한 대조군, 2) 변형되지 않은 BMSC 세포(2.5 × 106개)(Leukemia & Lymphoma, Vol.44, No11, pp1973-1978) 처치군, 3) Ad/ΔE1 100 MOI로 변형한 BMSC 세포군(Leukemia & Lymphoma, Vol.44, No11, pp1973-1978), 4) DC + 종양 분해질(5 × 106개) 처치군, 5) Ad/hIL-2 100 MOI로 변형한 BMSC 세포군 그룹(Leukemia & Lymphoma, Vol.44, No11, pp1973-1978), 6) Ad/hIL-2 100 MOI로 변형한 BMSC 세포군 + MADG-3 처치군 및 7) MADG-3 10 ㎎/일 처치군. BMSC 세포 주입군의 경우 일주일의 종양 세포 주입 후 또는 피하이식 후에 햄스터 마리당 2.5 × 106개의 BMSC를 단 1회 주입하였다. DC + 종양 분해질 처치군의 경우 국소적 이식 그룹 또는 정맥주사 주입그룹에서 모두 1, 2, 3, 4, 6, 8주마다 햄스터당 5 × 106개 DC + 종양 분해질을 주입하고 12주 동안 관찰하였다. MADG-3 처치군은 햄스터당 10 ㎎/㎏을 이식하였으며, -7일부터 7일까지 매주 2회로 8주 동안 처치하였다.
그 결과, 종양을 주입한지 4주째에 대조군인 RPMI 주입군, BMSC 세포 단독 주입군 및 BMSC + Ad/ΔE1 주입군의 경우는 종양이 형성되었지만(도 5), DC + 종양 분해질 주입군, MADG-3 주입군 및 BMSC + Ad/IL-2 주입군의 경우는 종양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종양을 주입한지 8주 후에 대조군인 RPMI 주입군, BMSC 세포 단독 주입군 및 BMSC + Ad/ΔE1 주입군, DC + 종양 분해질 주입군, MADG-3 주입군의 경우는 다발적 전이성(metastatic) 폐 병변(lung lesion)이 형성되었지만, BMSC + Ad/IL-2 주입군의 경우는 폐에서 어떠한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도 6, 도 7a도 7b).
또한, 종양을 피하주입한지 12주후에 대조군인 RPMI 주입군, BMSC 세포 단독 주입군, BMSC + Ad/ΔE1 주입군 및 DC + 종양 분해질 주입군, MADG-3 주입군은 주입 부위에서 종양이 형성되었지만, BMSC+Ad/hIL-2 주입군 및 BMSC+Ad/hIL-2+MADG-3 주입군의 경우는 종양이 형성되지 않았다(도 8).
<실시예 5> MADG-3의 독성실험
유기 화학적으로 합성한 MADG-3 시료를 에탄올 5% 용액으로 녹여 사용하였으며, 체중 20 g당 0.1 ㎖ 용량으로 경구 투여(p.o.)하였다. 대조군은 에탄올 5% 용액을 투여하였다. SPF 조건하에서 분양, 사육되고 있는 ICR 생쥐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경구투여하기 시작한 1일 전날 밤에 절식(fasting)시켰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마시게 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5-30 g 내외의 ICR 생쥐 수컷 8-10 마리를 한 군으로 하였고, 용량은 62.5 ㎎/㎏, 125 ㎎/㎏, 250 ㎎/㎏, 500 ㎎/㎏, 1 g/㎏, 2 g/㎏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고 투여한 날부터 죽는 마우스의 수 및 육안적인 이상여부를 14일간 관찰하였다. LD50은 리치필드-윌콕손(Lichfield-Wilcoxon)법으로 계산하였으며(白須, 泰彦, 吐山, 豊秋 : 新毒性 試驗法 - 方法 と 評價 - 급성독성 시험, Realize Inc., Tokyo, 1988), 체중 증가율은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수학식 3>
체중 증가율(%)= {14일째 체중 - 0일째 체중} ÷ {0일째 체중} × 100
그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쥐에 MADG-3을 62.5 ㎎/㎏ 내지 2 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여도 전혀 독성이 없었으며, 이를 통해 LD50은 모두 2 g/㎏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약물 투여 후 14일간 관찰했을 때 육안 이상여부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료를 투여한 동물의 체중은 투여하지 않은 동물 군과 같이 대체적으로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별한 체중증가 혹은 체중감소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MADG-3 투여량에 따른 사망률(%)
MADG-3 투여량(㎎/㎏) 0 62.5 125 250 500 1000 2000
사망생쥐수/경구투여 생쥐수 0/10 1/8 0/8 1/8 2/9 0/9 0/9
LD50 0 12.5 30 12.5 22.2 0 0
MADG-3 경구 투여 14일 후의 체중 증가
MADG-3 투여량(㎎/㎏) 0 63 125 250 500 1000 2000
투여 14일 후체중(g) 38.7±1.1 34.3±0.1 38.1±1.3 35.6±1.4 36.5±1.9 35.5±1.1 35.9±2.7
체중 증가율(%) 16.9 11.9 17.3 11.2 10.1 9.5 14.4
<제조예 1> 화합물 3(MADG-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를 통해 MADG-3이 항암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치료제의 제조예는 치료제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의 제조에도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1> 연질캅셀(soft gelatin capsules)의 제조
MADG-3 30%
비타민 C 4.5%
비타민 D3 0.001%
황산망간 0.1%
밀납 10%
팜유 25%
홍화씨유 30.399%
<1-2> 정제(tablet)의 제조
MADG-3 30%
비타민 C 10%
비타민 D3 0.001%
황산망간 0.1%
결정셀룰로오즈 25.0%
유당 32.999%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제조예 2> 화합물 1, 2, 4 및 5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화합물 3(MADG-3)대신에 각각 화합물 1, 2, 4 및 5를 동일 비율로 부가하는 외에 상기 제조예 1동일한 조성으로 각 연질캅셀 및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화합물 3(MADG-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를 통해 화합물 3(MADG-3)이 항암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식품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2-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MADG-3 0.48 ∼ 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2-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 ∼ 76.76 %
MADG-3 0.24 ∼ 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2-3> 캔디의 제조
설탕 50 ∼ 60 %
물엿 39.26 ∼ 49.66 %
MADG-3 0.24 ∼ 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2-4> 비스켓의 제조
박력1급 88 ㎏
중력1급 76.4 ㎏
정백당 16.5 ㎏
식염 2.5 ㎏
포도당 2.7 ㎏
팜쇼트닝 40.5 ㎏
암모 5.3 ㎏
중조 0.6 ㎏
중아황산나트륨 0.55 ㎏
쌀가루 5.0 ㎏
비타민 B1 0.003 ㎏
비타민 B2 0.003 ㎏
밀크향 0.16 ㎏
물 71.1 ㎏
전지분유 4 ㎏
대용분유 1 ㎏
제일인산칼슘 0.1 ㎏
살포염 1 ㎏
분무유 25 ㎏
MADG-3 0.2 ∼ 0.5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2-5> 아이스크림의 제조
유지방 10.0 %
무지유고형분 10.8 %
설탕 12.0 %
물엿 3.0 %
유화안정제(스팬,span) 0.5 %
향료(스트로베리) 0.15 %
물 63.31 ∼ 62.91 %
MADG-3 0.24 ∼ 0.64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2-6> 쵸코렛의 제조
설탕 34.36 ∼ 34.76 %
코코아 버터 34 %
코코아 매스 15 %
코코아 파우다 15 %
레시틴 0.5 %
바닐라향 0.5 %
MADG-3 0.24 ∼ 0.64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초코렛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화합물 1, 2, 4 및 5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화합물 3(MADG-3)대신에 각각 화합물 1, 2, 4 및 5를 동일 비율로 부가하는 외에 상기 제조예 1동일한 조성으로 각각 음료, 츄잉검, 캔디, 비스켓, 아이스크림 및 쵸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암세포를 주입하여 암의 발생을 유도한 햄스터에 녹용으로부터 분리한 유효성분인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주입한 경우 암의 발생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은 암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처리 대조군, IL-2 처리군(20 ng/㎖ 처리), MADG-3 처리군(1 ㎍/㎖ 처리)의 T 세포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에서 각 숫자는 IL-2 특이적인 항체를 포획한 스팟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2는 생쥐 골수 세포로부터 수상돌기 세포(DC)를 분리하고, GM-CSF, IL-4 및 TNF-α를 처리하여 배양한 뒤의 각 단계별 세포 형태 사진이다.
A : 생쥐 골수 세포를 2 ×106 세포수/100 mm 디쉬 농도로 접종한 직후의 사진(100× 확대한 현미경 사진),
B : 둥근 형태의 수상돌기 과립세포를 3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상기 세포가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세포배양 웰(well)의 바닥에 부착하여 성장함을 나타낸 사진(400× 확대한 현미경 사진),
C : 배양 6 내지 7일째 성숙 수상돌기 세포가 군집하여 자라나는 형태를 나타낸 사진(400× 확대한 현미경 사진), 작은 도면의 사진은 특정세포만 컴퓨터 상에서 약 2배정도 확대한 사진,
D : 배양 9일째에 수상돌기 세포가 특이적으로 길고 작은 전골(protrusion)의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한 사진(1000× 확대한 현미경 사진), 작은 도면의 사진은 특정세포만 컴퓨터 상에서 약 2배 정도 확대한 사진,
도 3은 Balb/c AnN 생쥐로부터 분리한 골수 수상돌기 세포(bone marrow dendritic cell)를 배양한 지 11일째에 수상돌기 세포 특이적 마커, 단핵구 특이적 마커 및 과립구 특이적 마커의 발현을 분석한 FACS 분석 그래프이다(이때, 햄스터 IgG 및 래트 IgG2a에 대한 이성체 대조군 염색이 세팅 마커 라인(직선)으로 사용되었다).
CD80 및 CD86 : 공동자극 특이적 분자 마커,
CD11c 및 DEC-205 : 수상돌기 세포 특이적 마커,
CD14 및 F4/80 : 단핵구/대식세포 특이적 마커,
Gr-1 : 과립구 특이적 마커,
도 4는 MADG-3을 수상돌기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부착 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한 RT-PCR 전기영동 사진이다.
레인 1 : Vcam-1, 레인 2 : Icam-1, 레인 3 : Icam-2,
레인 4 : VLA-4, 레인 5 : VLA-5, 레인 6 : LFA-1,
레인 7 : GAPDH, (+) : MADG-3 처리군, (-) : 무처리 대조군,
도 5는 종양세포 KIGB-5를 정맥주사하고, 각각 다른 조건으로 처리를 하여 4주 후 종양세포 주입부위에서의 종양 형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A : RPMI 주입군, B : BMSC 주입군,
C : BMSC + Ad/ΔE1 주입군,
도 6은 종양세포 KIGB-5를 정맥주사로 주입하고, 각각 다른 조건으로 처리를 하여 8주 후 폐에서의 종양형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A : RPMI 주입군, B : BMSC(2.5 × 106 세포수/일) 주입군,
C : BMSC(2.5 × 106 세포수/일) + Ad/ΔE1(50 MOI) 주입군,
D : DC(5 × 106 세포수/일) + 종양 분해질 주입군,
E : BMSC(2.5 × 106 세포수/일) + Ad/IL-2(50 MOI) 주입군,
F : MADG-3(50 ㎎/㎏/일) 주입군,
도 7a도 7b는 종양세포 KIGB-5를 정맥주사로 주입하고, 각각 다른 조건으로 처리를 하여 8주 후 폐에서의 종양형성을 조직학적으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7a에서,
A : RPMI 주입군,
B : BMSC(2.5 × 106 세포수/일) 주입군,
C : BMSC(2.5 × 106 세포수/일) + Ad/ΔE1(50 MOI) 주입군,
D : DC(5 × 106 세포수/일) + Ad/IL-2(50 MOI) 주입군.
도 7b에서,
A : RPMI 주입군,
B : DC(5 × 106 세포수/일) + 종양 분해질 주입군,
C : MADG-3(50 ㎎/㎏/일) 주입군,
도 8은 종양세포 KIGB-5를 피하이식하고(1 ×105 세포), 각각 다른 조건으로 처리를 하여 12주 후 형성된 종양 및 이의 크기를 측정한 사진이다.
A : RPMI 주입군,
B : BMSC(2.5 × 106 세포수/일) + Ad/ΔE1(100 MOI) 주입군,
C : BMSC(2.5 × 106 세포수/일) 주입군,
D : DC(5 × 106 세포수/일) + 종양 분해질 주입군,
E : BMSC(2.5 × 106 세포수/일) + Ad/IL-2(100 MOI) 주입군,
F : BMSC(2.5 × 106 세포수/일) + Ad/IL-2(100 MOI) + MADG-3(10 ㎎/㎏/일) 주입군,
G: MADG-3(10 ㎎/㎏/일) 주입군.
<110> KIM, Sang-Hee B. <120> Anti-cancer agent and health food containing monoacethyldiglyceride-3 as an effective ingredient <130> 3p-12-40 <160> 1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AM-1 forward primer <400> 1 ccaactggaa gctgtttgag ct 22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AM-1 reverse primer <400> 2 ttctgtcgaa ctccacagtc a 21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AM-2 forward primer <400> 3 catatggtcc gagaagcaga t 21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AM-2 reverse primer <400> 4 aagcatagca ggacagatgt c 21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CAM-1 forward primer <400> 5 ggttgggaag ccggtcacag tcaa 24 <210> 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CAM-1 reverse primer <400> 6 gcacacgtca gaacaaccga atcc 24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A-4 forward primer <400> 7 ctcagatctc cttgttggag cagc 24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A-4 reverse primer <400> 8 tgaatgcctg gtgtgtccta c 21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A-5 forward primer <400> 9 cagtggtgat gacactgatg a 21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LA-5 reverse primer <400> 10 agaagctaag gttgatgcag g 21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FA-1 forward primer <400> 11 tgacacttta cttgcgacca 20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FA-1 reverse primer <400> 12 gatgggtagt cgaactcatt g 21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13 accacagtcc atgccatcac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14 tccaccaccc tgttgctgta 20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R2는 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옥타데카디에노일(리놀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일(리놀레노일) 또는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노일(아라키도노일)을 나타내며,R3는 아세틸을 나타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1a로 기재되는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Monoacethyldiglyceride-3, MADG-3)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화학식 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항암제 총중량에 대해 20 내지 3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체중 1 ㎏당 25 내지 50 ㎎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담도암 또는 신장암을 치료하는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6.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용 건강식품.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R2는 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옥타데세노일(올레오일),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옥타데카디에노일(리놀레오일),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9,12,15-옥타데카트리에노일(리놀레노일) 또는 헥사데카노일(팔미토일)/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노일(아라키도노일)을 나타내며,R3는 아세틸을 나타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1a로 기재되는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Monoacethyldiglyceride-3, MADG-3)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용 건강식품.
    <화학식 1>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은 건강식품 총중량에 대해 0.0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용 건강식품.
KR1020040070650A 2004-04-24 2004-09-04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 KR20050118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805A KR20050118095A (ko) 2004-04-24 2004-12-21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면역증진제, 항암제 및 건강식품
EP05764751A EP1740169B1 (en) 2004-04-24 2005-04-22 Immunomoduating agent, anti-cancer agent and health food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derivatives
PCT/KR2005/001175 WO2005112912A1 (en) 2004-04-24 2005-04-22 Immunomoduating agent, anti-cancer agent and health food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derivatives
RU2006141418A RU2341257C2 (ru) 2004-04-24 2005-04-22 Иммуномодул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ораковое средство и здоровая пища, содержащая производные моноацетилдиацилглицерина
JP2007509400A JP4892473B2 (ja) 2004-04-24 2005-04-22 モノアセチル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免疫調節剤、抗癌剤及び健康食品
CN2005800129149A CN1946392B (zh) 2004-04-24 2005-04-22 单乙酰基二酰基甘油衍生物在制备自身免疫治疗剂和健康食品中的用途
KR1020050033744A KR100767701B1 (ko) 2004-04-24 2005-04-22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조절제 및 항암제
CA2562897A CA2562897C (en) 2004-04-24 2005-04-22 Immunomodulating agent, anti-cancer agent and health food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derivatives
US11/587,377 US7662853B2 (en) 2004-04-24 2005-04-22 Monoacetyldiacylglycerol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sepsis
KR1020060102032A KR100885679B1 (ko) 2004-04-24 2006-10-19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건강식품
US12/640,875 US20100137435A1 (en) 2004-04-24 2009-12-17 Monoacetyldiacylglycerol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Sep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8514 2004-04-24
KR1020040028514 2004-04-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057A true KR20050118057A (ko) 2005-12-15

Family

ID=3729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650A KR20050118057A (ko) 2004-04-24 2004-09-04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62853B2 (ko)
JP (1) JP4892473B2 (ko)
KR (1) KR20050118057A (ko)
CN (1) CN1946392B (ko)
RU (1) RU234125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6261A1 (en) * 2008-07-10 2010-01-14 Hong John J Methods for inducing stem cell migration and specialization with ec-18
US20100227021A1 (en) * 2009-03-06 2010-09-09 Woodland Outdoor Group, Llc Deer food formulations and related methods
MD3972C2 (ro) * 2009-03-11 2010-07-31 Ион МЕРЕУЦЭ Remediu şi metodă de tratament al stărilor precanceroase
KR101278874B1 (ko) * 2011-09-23 2013-06-26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RU2496871C1 (ru) * 2012-08-09 2013-10-27 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Осутин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стволовых клеток из костного мозга для внутрисосудистого введения
KR101621856B1 (ko) * 2013-08-19 2016-05-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921764C (en) 2013-08-19 2017-12-05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glycerid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AU2014309635B2 (en) * 2013-08-19 2017-04-06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glycerid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inhibiting blood cancer or metastasis
WO2015026123A1 (ko) * 2013-08-19 2015-02-26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922171C (en) * 2013-09-03 2018-07-03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glycerid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20150032223A (ko) * 2013-09-17 2015-03-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혈구계 세포 분화 또는 증식 촉진용 조성물
AU2015258840B2 (en) 2014-05-15 2018-03-15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
PL3597742T3 (pl) * 2014-10-09 2022-11-14 Yamaguchi University Wektor ekspresyjny CAR oraz komórki T wykazujące ekspresję CAR
JP6113133B2 (ja) 2014-11-06 2017-04-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US9808438B2 (en) * 2015-11-09 2017-11-07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mucositis
KR101817552B1 (ko) * 2016-10-13 2018-01-11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6822B1 (ko) * 2016-10-17 2018-03-09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L3716967T3 (pl) 2017-11-30 2023-12-11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Kompozycje do zapobiegania lub leczenia ostrej choroby popromiennej
KR2019006353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급성 방사선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6809B1 (ko) * 2018-10-11 2020-11-10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녹용 및 가시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A3126887A1 (en) * 2019-01-16 2020-07-23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ancer
KR102218540B1 (ko) * 2019-04-16 2021-02-22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및 당뇨병의 치료 방법
US20220062218A1 (en) * 2019-04-16 2022-03-03 Enzychem Lifescienc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iabetes
KR20220114532A (ko) * 2019-10-28 2022-08-17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암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조성물
WO2023067501A1 (en) * 2021-10-18 2023-04-27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ucositi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716A (ja) * 1985-07-11 1987-01-21 Nippon Oil & Fats Co Ltd 制がん剤
GB9116054D0 (en) * 1991-07-24 1991-09-11 Efamol Holdings Preparation of fatty acid medicaments
SG48993A1 (en) * 1992-10-01 1998-05-18 Wellcome Found Immunopotentiatory agent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DE4330664A1 (de) * 1993-09-10 1995-03-16 Beiersdorf Ag Verwendungen von Pflanzenölen
JPH0827010A (ja) * 1994-07-19 1996-01-30 Nichinichi Seiyaku Kk 制癌免疫療法剤
EP1061932B1 (en) 1997-11-20 2006-01-25 Gil Ja Jh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cervus nippon antlers having growth-stimulating activities of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gakaryocytes
US6307024B1 (en) * 1999-03-09 2001-10-23 Zymogenetics, Inc. Cytokine zalpha11 Ligand
US20020188024A1 (en) * 2000-08-23 2002-12-12 Chilton Floyd H. Fatty acid-containing emulsion with increased bioavailability
US20030032674A1 (en) * 2001-08-13 2003-02-13 Hwang Daniel H. Use of unsaturated fatty acids to treat severe inflammatory diseases
EP1515775A4 (en) * 2002-05-07 2010-03-03 Oncostim Inc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CANCER WITH ELECTROTHERAPY ASSOCIATED WITH CHEMOTHERAPEAN MEDICAMENTS AND RADIOTHERAPY
KR20050103259A (ko) 2004-04-24 2005-10-27 김상희 인터루킨-2 및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6392A (zh) 2007-04-11
RU2341257C2 (ru) 2008-12-20
JP4892473B2 (ja) 2012-03-07
CN1946392B (zh) 2010-12-29
US20100137435A1 (en) 2010-06-03
JP2007534681A (ja) 2007-11-29
RU2006141418A (ru) 2008-05-27
US20080200543A1 (en) 2008-08-21
US7662853B2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679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건강식품
US7662853B2 (en) Monoacetyldiacylglycerol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sepsis
US621483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vodiamine compound and method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or antiobesity
US2015017418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at3-mediated disease, comprising salvia plebeia r. br.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US8829057B2 (en) AMPK activating agent
EP3527206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tis containing monoacetyl diacylglycerol compound
JP5080284B2 (ja) 骨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その組成物を含有する機能性食品、健康食品及び医薬製剤、並びに歯根−歯周組織形成促進剤
KR20050103259A (ko) 인터루킨-2 및 모노아세틸디글리세라이드-3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KR20170088314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30102554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US20190388387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myofibrosis
KR101916271B1 (ko)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0807196B1 (ko) 피조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1416927B1 (en) Sesquiterpenoid derivatives hav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KR20050118095A (ko)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면역증진제, 항암제 및 건강식품
KR20150032223A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혈구계 세포 분화 또는 증식 촉진용 조성물
KR102283258B1 (ko) 진세노사이드의 사이클로스포린에 의한 면역 반응 개선 용도
CN109432116A (zh) 黄芪皂苷ⅲ在制备肿瘤免疫治疗药物中的用途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729820B2 (ja) 免疫賦活剤
KR102318957B1 (ko) 진세노사이드 mc 또는 mc1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1690B1 (ko) 글리폴린의 신규한 합성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86186A (ko) S-아릴 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으로 유도된 염증 치료용 조성물
JP2020033328A (ja) 血糖値上昇抑制剤、糖尿病抑制剤、及び食品組成物
CN108947982A (zh) 治疗非酒精性脂肪肝病的吡嗪衍生物、组合物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