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660A -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660A
KR20050108660A KR1020040033645A KR20040033645A KR20050108660A KR 20050108660 A KR20050108660 A KR 20050108660A KR 1020040033645 A KR1020040033645 A KR 1020040033645A KR 20040033645 A KR20040033645 A KR 20040033645A KR 20050108660 A KR20050108660 A KR 2005010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late
horizontal
pin
recor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흥구
Original Assignee
곽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흥구 filed Critical 곽흥구
Priority to KR102004003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660A/ko
Publication of KR2005010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6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기준대를 사용하여 상하악골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기준대를 사용하여 양쪽 동공의 연장선을 이용하여 환자의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근반사를 최소화하여 장치 장착에서 오는 오차를 최소화하고,2)수직적 악간관계의 변화에서 오는 오차를 없애기 위해서 철핀(기록핀)을 환자의 접번회전로와 일치시키므로서 임상적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Maxillo-Mandibular relation Recod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공의 수평선을 이용하는 수평기준대를 사용하여 환자의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하악위(Mandibular Position)에서 상악(Maxilla)에 대한 하악(Mandible)의 위치적 관계를 악간관계(Maxillo-Mandibular relation)라고 하는데, 치과 환자 중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새로운 상악과 하악의 약관 관계를 채득 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후방, 측방 및 수직의 삼차원적인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채득하여야 한다. 상악에 대한 하악의 악간관계는 1)수직적 악간관계인 수직고경(vertical dimension)과 2)수평적인 악간관계인 중심위(Centric relation)이 합쳐져서 3차원적인 악간관계를 구성하는데 중심위는 환자의 수직 고경(Vertical Dimension)하에서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채득되는 수평적 악간관계로서 근 신경계(Neuro-muscular System)의 비긴장성 위치 관계이다. 이러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대표적인 방식은 구강 내에 기록장치를 상악과 하악에 장착하여 환자 스스로 운동하도록 유도하여 전후방 및 측방 운동을 통하여 고딕아치(Gothic Arch)라는 수평 면상에 전후방 및 측방 운동의 한계 운동로의 기록을 표시하게 한다.종래 기술의 한계점으로 수직적 악간관계인 수직고경의 변화에 따라서 기록판에 기록되는 수평적 악간관계인 중심위의 위치가 변화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록핀(철핀)의 방향을 환자의 접번회전로와 일치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고딕아치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기록판(1)에 정점(2)을 중심으로 전방 한계 운동로(2-1)와, 측방 한계 운동로(2-2)를 그리면 정점(2), 전방 한계 운동로(2-1), 및 측방 한계 운동로(2-2)의 형태가 건축물의 고딕아치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정점(2)을 전방 및 측방 운동이 이루는 기시점(Starting Point)으로 고려되며 하악에 부착된 기록용 철핀(Stylus)(이하에 설명함) 이 정점(2)위치에 있을 때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jaw relationship)에 있다고 정의한다. 이때 편악(상악 또는 하악)의 무치악 환자나 양악(상악과 하악)의 무치악 환자에서는 환자마다 갖는 고유의 수직 고경상태에서 수평적 악간관계 기록(Gothic Arch)을 통하여 그 정점인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jaw relationship)를 얻어서 그 위치에 중심 교합을 형성하면 된다.
악간관계 기록장치에 관하여는 본원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개번호: 실용1999-0039660,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등록번호: 20-0320649,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평면도로, 치아(4)의 하악 제 1 대구치(4-1)의 중심와(4-2)의 연장선 중앙에 선단핀(5-1)이 위치하는 철핀(5)을 너트 구조의 볼(40)에 나사 결합하고, 볼(40)은 기판(60)상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대립한 지지판(5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지지판(50)과 기판(60)은 상호 조임나사(54)에 의하여 결합하여 볼(40)을 압박하도록 기능 한다. 상기 지지판(50)하부에는 치아 사이의 공간에 안치되는 크기의 기판(60)이 결합되고(결합 수단의 예로는 조임나사(54)를 들 수 있다), 기판(60)의 모서리부 수개소에는 치아(4) 표면과 당접하는 지지핀(70)이 나사(71) 결합으로 고정된다.
도 3은 도 2의 A-A 선 확대 단면도로, 선단핀(5-1)을 선단에 가지는 봉부(5-4)는 하단에 나사부(5-5)를 두어 너트 기능의 볼(40)과 나사 결합하고, 볼(40)은 호형홈(53)을 가지는 지지판(50) 및 기판(60)을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치시킨 상태에서 조임나사(54)로 볼(40)의 조임 기능을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50) 하부에 결합되는 기판(60)에는 지지핀(70)이 나사(71)로 결합된다. 상기 볼(40)이 삽입되는 철핀(5)의 하부에는 나사부(5-5)가 형성되고 중앙은 봉상의 봉부(5-4)를 이루고 봉부(5-5)상단은 선단핀(5-1)을 이룬다. 상기 봉부(5-4)에 대응하는 볼(40)에는 실린더홈(41) 및 나사홈(43)이 형성되며, 볼(40)상단에는 실린더홈(41)과 연장되는 내경을 가지는 관상의 스커트부(4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5-5)에 대응하는 볼(40)에는 나사부(5-5)가 회전하여 철핀(5)을 상하 이동시키는 나사홈(43)이 형성된다.
수직조절캡(11)은 기록판(1)을 지지하며 철핀(5)의 선단핀(5-1)에 끼워진다. 상기 수직조절캡(11)은 일면이 상기 기록판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철핀이 끼워지는 홈이 상기 일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철핀을 상기 수직조절캡에 끼운 상태에서 수직조절캡을 기록판과 면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철핀이 상기 기록판에 수직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종래의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사용을 설명하면, 환자의 치형을 떠서 이를 기초로 석고로 치형(하악 모형)을 만들고, 본 고안의 기록장치(100)를 구비하여 하악 모형에 설치한다. 설치시에는 도 4와 같은 부착 기준대(90)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초기 세팅을 할 수 있는바, 무치악 환자에서는 먼저 철핀(5)을 수직 상태로 세워 철핀을 정위치에 손쉽게 오도록 세팅한다. 또한 유치악 환자에서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부착 기준대(90)를 사용하여 환자의 특성에 따라 철핀(5)을 전방 경사시키고 좌우 균형을 잡는다. 상기에서 부착 기준대(90)의 전방 깊이 측정바(95)는 앞니의 길이나 잇몸의 깊이 등을 알 수 있어 치아 교정이나 의치 조립 시에 편리하다. 또한 보철의 경우에도 좌우 수평선(92)과 직교선(94) 및 호형 수평띠(93)가 있어 편리하게 대응 부위를 빨리 기준을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치형이 보철이나 틀니를 요하는 경우 상술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합기에서 미리 도 2와 같이 기록장치(100)를 만든다,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미리 기록장치(100)를 하악 모형에서 부착 기준대(90)로 중심 등의 초기 위치를 잡고 이어 환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지지핀(70)을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기판(60)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하거나, 조임나사(54)를 사용하여 철핀(5)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철핀(5) 상단에 캡(11)을 씌우고 교합기의 상악 대응 부위(상악 구개면(30))에 겔상의 결합제(1-1)를 바른다.
그리고 이를 환자의 치아에 도 2와 같이 결합시키는데, 만약 약간의 오차가 있으면 나사 등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재조정하면 된다(조정의 용이를 위하여 양 조임나사(54)의 헤드 방향은 상호 반대로 오도록 조립하여 필요시 헤드가 위로 오도록 한 1개소만 조정하여 재조정하면 편리하다). 철핀(5)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지지판(50)의 조임나사(54)를 돌려 풀거나 조임으로써 볼(40)의 각도를 미세 조정하면 된다. 이렇게 볼(40)이 회전하고 필요에 따라서 세팅될 수 있는 것은 도 3과 같이 볼(40)과 지지판(50) 및 기판(60)의 호형홈(53)이 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임나사(54)를 조이면, 지지판(50) 및 기판(60)의 호형홈(53)이 볼(40)표면을 눌러서 조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기록장치(100)의 철핀(5)을 사용하여 상기 기록판(1)에 대고 전방 및 측방으로 하악을 움직이면 도 1과 같은 고딕아치의 정점(2), 측방 한계 운동로(2-2) 및 전방 한계 운동로(2-1)를 수득하고 이를 고딕아치를 기록하였다고 말한다. 이렇게 세팅이 되면 그 상태에서 치아와 호형 기판(60) 사이를 별도의 부드러운 결합제(도시하지 않음)로 충진시켜 굳히면 착용이 편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기록판을 결합체에 부착시킬 때 기록판이 환자의 구강구조상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특정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악간관계 기록방법의 경우에는 환자의 접번운동로의 기울기와 상기 기록판의 기울기가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임나사를 풀어 상기 철핀의 방향을 상기 접번운동로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한 후 상기 기록판을 상기 철핀에 수직으로 놓이도록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간관계 기록장치는 상기 조임나사를 풀어 상기 철핀이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는 순간에 그 전에 맞추어져 있던 철핀의 방향이 상실되어 수정하고자 하는 방향의 기울기 이외에도 다른 방향의 기울기의 변화가 동시에 발생하여 철핀의 정확한 방향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판을 구강 내에서 양측 동공선과 좌우수평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는 악간관계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접번회전로와 일치 시키기 위해서 철핀의 방향을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정확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악간관계 기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악간관계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판과; 상기 기록판의 수평위치를 맞추기 위한 수평기준대와; 상기 기록판에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로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간관계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장치의 구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간관계 기록장치는 기록판(200), 수평기준대(300) 및 기록부(400)로 구성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기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수평기준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기록부(400)는 기록핀(410)과; 상기 기록핀(410)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420)과; 볼(420)을 수용하는 호형홈을 가지며 볼(420)을 고정 가능토록 하부 기판(440)과 결합하는 지지판(430)과; 상기 지지판(430)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와 수평 상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기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록핀(410)은 선단핀(411)을 갖는 철핀으로 구현되며 정중 시상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판(200)은 기록핀(410) 대응 부위의 반대악에 설치된다.
상기 기록판(200)에는 상기 선단핀에 의해 환자의 하악골운동로가 그려진다.
상기 기록판(200)은 결합제에 부착되며 결합제(500)는 상기 기록부(400)가 위치하는 악과 반대악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기준대(300)는 상기 기록판(200)이 기록되는 사람의 양측 동공의 연장선과 평행이 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기준대(300)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기준대(300)는 몸체(310)와 고정봉들(321,322,323) 및 수평끈(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10)는 구강내로 삽입되는 중앙연장편(311)과, 상기 중앙연장편(31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좌측연장편(312)과 우측연장편(313)을 가지며 "??"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연장편(312), 우측연장편(313)의 일단에는 각각 좌측고정봉(322), 우측고정봉(323)이, 중앙연장핀(311)의 일단에는 중앙고정봉(321)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중앙연장편(311)의 타단에는 상기 기록판(200)이 놓여지는 지지대(330)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기준대(300)를 이용하여 기록판(200)의 수평을 양측동공의 연장선에 맞추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6a 및 6b는 수평기준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먼저, 상악부에 부드러운 결합제(500)를 붙인 후 수평기준대(300)의 지지대에 기록판(200)을 올려 놓고 중앙연장편(311)이 구강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기록판(200)은 구강 내에서 상기 결합제(500)에 부착된다. 이때 기록판(200)은 환자의 양 눈의 양측동공의 연장선과 수평을 이루도록 해야 하는데, 상기 수평끈(340)이 이용된다.
수평끈은 상기 수평기준대(300)의 중앙연장편(311)과 수평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수평끈(340)을 양측동공의 연장선과 평행을 이루도록 하면 몸체의 지지대(330) 상에 놓이는 기록판(200)은 동공의 수평선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도 6a는 수평끈(340)과 동공의 수평선이 평행을 이루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6b는 수평끈(340)과 동공의 수평선이 평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악간관계 기록방법]
1. 기록판의 좌우 방향 조절
도 7은 기록판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7에서의 방향 B-B을 좌우방향, 방향 C-C를 상하방향이라고 한다.
먼저, 기록판(200)을 두개골의 좌우 동공선에 평행하도록 일치시켜 기록판(200)의 좌우 평형을 조절한다.
기록판(200)의 좌우 평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기준대(300)를 사용하며 그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수평기준대(300)에 놓여진 기록판(200)이 상악부측 구강에 접촉되도록 한 후 동공의 수평선과 수평끈(340)이 평행이 되도록 상기 기록판(200)의 좌우 기울기를 조절한다.
2. 기록판 전후 방향 조절
기록판(200)과 대합되는 반대 악골에 부착된 기록핀(410)(예컨대 기록판(200)이 상악골에 부착된다면 하악골에 기록핀(410)이 부착되고, 기록판(200)이 하악골에 부착된다면 상악골에 기록핀(410)이 부착된다.)이 상기 기록판(200)과 수직관계가 되도록 재형성하여 기록핀(410)의 각도가 두개골의 좌우동공선과 수직관계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록핀(410)의 각도를 자유롭게 움직여서 반대악에 부착된 기록판(200)과 수직관계가 재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
3. 접번운동로의 각도에 따른 기록판의 기울기 조절
1)고딕하치의 2회 기록을 통한 접번운동로의 기울기와 기록핀의 기울기의 동일여부 측정
상기와 같이 기록판(200)의 좌우방향이 맞춰진 다음에는 상기 기록핀(410)의 방향이 접번운동로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치하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록핀(410)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고딕하치를 2회 기록한 후 기록된 2개의 고딕아치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면 된다.
도 8은 기록판에 고딕아치가 2회 기록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고딕아치의 2회기록에 의해 기록핀(410)의 방향과 접번운동로의 방향의 일치여부를 조사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록핀(410)의 높이를 제 1높이에 놓은 후 제 1고딕아치를 기록한다.
다음, 기록된 제 1고딕아치를 다음에 기록되는 고딕아치와 구별될 수 있도록 제 1고딕아치의 일부에 물감을 덧칠한다.
다음, 기록핀(410)의 높이를 높여 제 2높이에 놓은 후 제 2고딕아치를 기록한다.
상기 기록핀(410)의 기울기와 환자의 접번운동로의 기울기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도 8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딕아치와 제 2고딕아치는 상기 기록판(200)의 동일한 위치에 기록되어 서로 겹쳐져 보일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록핀(410)의 기울기와 환자의 접번운동로의 기울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도 8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딕아치와 제 2고딕아치는 상기 기록판(2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기록될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제 1고딕아치는 덧칠된 부분이 잘려진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제 2고딕아치는 물감이 덧칠된 이후에 기록된 것이므로 덧칠에 의해 모양이 변경되지 않는다.
이때 제 1고딕아치와 제 2고딕아치의 이격거리는 상기 기록핀(410)의 기울기와 환자의 접번운동로의 기울기의 차이에 따라 그 거리가 달라진다. 즉, 상기 기록핀(410)의 기울기와 환자의 접번운동로의 기울기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상기 이격거리는 커진다.
2) 기록판의 기울기 조절
상기와 같이 상기 기록핀(410)의 기울기와 환자의 접번운동로의 기울기의 차이에 의해 제 1고딕아치와 제 2고딕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록판(20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야 한다. 또한, 기록핀(410)은 기록판(200)에 수직인 상태로 놓여야 하므로 기록판(200)의 기울기가 변하면 기록핀(410)의 기울기 역시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결국 기록판(200)과 기록핀(410)의 기울기를 모두 조절하여야 한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딕아치와 제 2고딕아치는 전후방향으로만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때에는 기록판(200)의 전후기울기만을 변경하면 제 1고딕아치와 제 2고딕아치가 일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기록판 및 기록핀(4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기록판이 놓이기 위한 홈을 갖는 결합제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제에 기록판이 놓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결합제의 기록판이 놓이는 홈에 기록판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해 보형물을 붙인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1고딕아치와 제 2고딕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기록핀(410)의 기울기가 접번운동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인데, 특히 기록판(200)의 전후방향으로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기록판(200)의 좌우기울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후방향의 기울기만을 변경함으로써 이들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기록핀(410)의 조임나사(450)를 풀면 기록핀(410)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기울기가 모두 변하게 된다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기록핀(410)은 고정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기록판(200)을 결합제에서 제거한 후 그 홈(510)에 기록핀(410)의 기울기와 환자의 접번운동로의 기울기와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을 정도로 기록판(20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두께의 보형물(520)을 채워 넣고 다시 기록판(200)을 결합제에 부착한다.
그러면 상기 기록판(200)은 좌우방향의 기울기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후방향의 기울기만 변경된다.
다음, 상기 조임나사(450)를 풀어 상기 기록핀(41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기록핀(410)에 수직조절캡을 씌운다. 수직조절캡을 씌우고 상기 수직조절캡을 상기 기록판(200)에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임나사(450)를 조여 상기 기록핀(410)을 고정하면 상기 기록핀(410)은 상기 보형물에 의해 보정한 기록판(200)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전후방향의 기울기가 변화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결국은 기록핀(410)과 접번운동로와의 기울기 차이만큼의 각도가 보정이 되어 기록핀(410)과 접번운동로의 기울기가 일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기준대를 사용함으로써 기록판을 구강 내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핀의 방향을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정확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고딕아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사용되는 부착기준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기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간관계 기록장치의 수평기준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 및 6b는 수평기준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기록판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기록판에 고딕아치가 2회 기록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기록판이 놓이기 위한 홈을 갖는 결합제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결합제에 기록판이 놓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의 결합제의 기록판이 놓이는 홈에 기록판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해 보형물을 붙인 것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기록판 300 : 수평기준대
400 : 기록부 410 : 기록핀
420 : 볼 430 : 지지판
440 : 기판 500 : 결합제

Claims (7)

  1.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악간관계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판과;
    상기 기록판의 수평위치를 맞추기 위한 수평기준대와;
    상기 기록판에 환자의 하악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로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간관계 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판이 부착되며 상기 기판이 위치하는 악과 반대악에 고정되는 결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간관계 기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기록핀과;
    상기 기록핀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과;
    상기 볼을 수용하는 호형홈을 가지며 볼을 고정 가능토록 하부 기판과 결합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와 수평 상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간관계 기록장치.
  4.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기준대는 중앙연장편, 우측연장편, 좌측연장편이 "??" 형태로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중앙연장편, 우측연장편, 좌측연장편의 일단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중앙고정봉, 우측고정봉, 좌측고정봉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연장편의 타단에는 상기 기록판이 놓여지는 지지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간관계 기록장치.
  5. 기록판의 좌우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기울기을 맞추는 단계;
    상기 기록판의 수평면상에 환자의 전후방 및 측방 운동의 제 1한계운동로의 기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록판의 수평면상에 환자의 전후방 및 측방 운동의 제 2한계운동로의 기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한계운동로와 상기 제 2한계운동로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한계운동로와 상기 제 2한계운동로가 불일치 정도에 따라 결합제에 부착되는 기록판의 좌우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 기울기 경사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경사가 조절된 기록판에 철핀이 수직이 되도록 철핀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간관계 기록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판의 좌우평형을 맞추는 단계는 수평기준대를 이용하여 기록판과 수평기준대의 접촉면이 면접촉된 상태에서 환자의 좌우동공선과 수평기준대가 수평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상기 경사가 조절된 기록판에 철핀이 수직이 되도록 철핀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간관계 기록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한계운동로와 제 2한계운동로를 기록하는 단계 사이에는 제 1한계운동로를 제 2한계운동로와 구별되도록 덧칠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간관계 기록방법.
KR1020040033645A 2004-05-12 2004-05-12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KR20050108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45A KR20050108660A (ko) 2004-05-12 2004-05-12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45A KR20050108660A (ko) 2004-05-12 2004-05-12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660A true KR20050108660A (ko) 2005-11-17

Family

ID=3728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645A KR20050108660A (ko) 2004-05-12 2004-05-12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66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80B1 (ko) * 2009-07-16 2011-06-17 주식회사 쿠보텍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WO2014109516A1 (ko) * 2013-01-11 2014-07-17 Lee Chae-Bung 치과용 페이스 보우
WO2016186449A1 (ko) * 2015-05-18 2016-11-24 곽흥구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CN109938868A (zh) * 2019-04-10 2019-06-28 王仲 一种用于记录下颌骨髁状突正中关系位置的装置及其方法
KR20210064708A (ko)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덴탈비전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60319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씨앤디자인치과기공소 치아 균형정보 획득용 스틱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80B1 (ko) * 2009-07-16 2011-06-17 주식회사 쿠보텍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WO2014109516A1 (ko) * 2013-01-11 2014-07-17 Lee Chae-Bung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1422992B1 (ko) * 2013-01-11 2014-07-24 안영홍 치과용 페이스 보우
WO2016186449A1 (ko) * 2015-05-18 2016-11-24 곽흥구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CN109938868A (zh) * 2019-04-10 2019-06-28 王仲 一种用于记录下颌骨髁状突正中关系位置的装置及其方法
KR20210064708A (ko)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덴탈비전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10130675A (ko) 2019-11-26 2021-11-01 주식회사 덴탈비전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60319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씨앤디자인치과기공소 치아 균형정보 획득용 스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6593B2 (ja) 顎咬合器及び咬合フォーク柱を備える顔弓
US11259907B2 (en)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JP3815916B2 (ja) 下顎の中心位顎間関係記録装置
US5090901A (en) Face bow and adjustable occlusal fork
US20120295219A1 (en) Dental articulator for positioning the arcades without the use of plaster
JP3988893B2 (ja) 咬合器において上顎歯列弓模型を位置決め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S5918053B2 (ja) 顎の中心関係および顎運動の記録を行う際に用いる口腔内記録装置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KR20050108660A (ko)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WO2004082511A1 (ja) 歯科用フェイスボウ
JP4221209B2 (ja) 仮想咬合平面再現装置
JP3819358B2 (ja) 咬合器
JP4342888B2 (ja) 瞳孔線表示方法
KR20040034561A (ko) 의치상과 그 제작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기구
JPH0636812Y2 (ja) 咬合器
KR101645880B1 (ko)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JP2007300984A (ja) 歯科用咬合器及び口角基準アーム
KR100251238B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JP2002263120A (ja) 義歯製作装置
JPH0621457Y2 (ja) 咬合器
KR200320649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JPH0323057B2 (ko)
JPH0685788B2 (ja) 下顎運動機能再整器及び位置決めセツト器具
Tradowsky Articulator adjustments using the transfer vise
JP2004105651A (ja) 歯科用咬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