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544A -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544A
KR20050106544A KR1020040031312A KR20040031312A KR20050106544A KR 20050106544 A KR20050106544 A KR 20050106544A KR 1020040031312 A KR1020040031312 A KR 1020040031312A KR 20040031312 A KR20040031312 A KR 20040031312A KR 20050106544 A KR20050106544 A KR 2005010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icture
displaying
display box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17736B1 (en
Inventor
이종명
한용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736B1/en
Publication of KR2005010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7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1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valves or valve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을 확대 및 축소하는 방법이, 사진을 표시하는 과정과, 확대 및 축소 보기 선택 시, 상기 사진을 제1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1화면의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박스 이동 시, 이동된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박스 크기 조절 시, 크기가 조절된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a photo in a mobile terminal includes displaying a photo and displaying the photo on a first screen when selecting an enlarged or reduced view, wherein the photo is selected by a display box of the first screen. Displaying an image of the image selected on the second screen by moving the display box, moving the display box on the second screen,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 box when the display box is resized. And displaying the image selected by the box on the second screen.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확대 및 축소 방법{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How to zoom in and out of photos on a mobile device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을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a picture in the mobile terminal.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촬영되어 저장된 정지화상은 특수효과 및 사진꾸미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정지화상에 대한 확대 및 축소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다. Currently,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vert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by implemen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MT 2000 standa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may be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a function of displaying a video signal by adding a camera or a TV receiv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as described above can take a video screen and display it as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and can also transmit the captured video screen. In addition, the still image photographed and stor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provides various functions to the user through special effects and picture decorators, but does not provide an enlargement and reduction function for the still ima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을 확대 및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isplaying a picture by enlarging and reducing the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을 확대 및 축소하는 방법이, 사진을 표시하는 과정과, 확대 및 축소 보기 선택 시, 상기 사진을 제1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1화면의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박스 이동 시, 이동된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박스 크기 조절 시, 크기가 조절된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a photo in a mobi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displaying a photo and displaying the photo on a first screen when selecting an enlarged or reduced view and displaying the photo on a display box of the first screen. Displaying an image of the selected photo on the second screen; displaying a video of the photo selected by the moved display box on the second screen when the display box is moved;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 box. And displaying the image selected by the adjusted display box on the second scree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진보기모드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 중 선택된 사진을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모드를 나타내며,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는 상기 사진보기모드에서 표시된 사진을 제1화면 및 제2화면을 통해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는 모드를 나타낸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ture viewing mode indicates a mode of displaying a selected picture amo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memory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mode of the picture shows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picture displayed in the picture viewing mode. Shows the mode to zoom in and out on th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F unit 123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2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COD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125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or transmits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에서 제1화면의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확대 및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보기모드에서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해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에서 제1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제2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may include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may include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n image of a photo selected by a display box of a first screen in a magnification and reduction mode of a pho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save the programs that you control to display. The data memory also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In addition, the memory 130 may store a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mory 130 may store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60 in the picture view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mory 130 may store image data of the second decoded picture to display on the first screen in the enlarged and reduced pictur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코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보기모드에서 선택된 사진을 상기 디코딩부를 통해 제1디코딩 후 표시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에서 상기 표시부130에 제1화면 및 제2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진보기모드에서 표시되었던 사진을 상기 디코딩부를 통해 제2디코딩 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제1화면의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화면에서 표시박스의 이동 및 변경된 크기를 통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1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include a deco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a picture selected in the picture view mode after the first decoding through the decoding un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in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mode of the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icture is displayed in the picture viewing mode through the decoding unit; 2 After the decoding is controlled to display on the first scree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o display the image of the photo selected by the display box of the first screen on the second scree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o display the image of the select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through the movement and the changed size of the display box on the firs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module 14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The image processor 1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5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a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상기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보기 모드에서 선택된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에서 제1화면 및 제2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화면에는 상기 사진보기모드에서 표시되었던 사진을 표시하고, 상기 제2화면에는 상기 제1화면의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5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unit 16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LC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a photo selected in the photo view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in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mode of the pictu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creen displays the picture displayed in the picture view mode, the In the second screen, an image of a photo selected by the display box of the first screen may be displayed.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로 전환하는 전환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화면의 표시박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키나, 상기 표시박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키를 구비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27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ing key for switching to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mode of the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27 may include a moving key for moving the display box of the first screen or a size adjusting key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3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3 및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 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 when a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a key input unit 127 and sets a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receives a dial received through the data processor 120. After processing th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through the RF unit 123 and output. Thereafter, when the other subscriber generates the response signal, the counter subscriber detects this through the RF unit 123 and the data processor 120.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data processor 120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ext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20 on the display 160.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의 확대 및 축소하는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An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a photo in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진의 확대 및 축소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a - 도 3b는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진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표시영역크기는 640*480이라 가정하고, 제1화면의 표시영역크기는 80*60이라 가정하며, 제2화면의 표시영역크기는 176*144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2A and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enlarging and reducing a photo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IG. 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area size of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picture is 640 * 480, the display area size of the first screen is 80 * 60, and the display area size of the second screen is 176 * 144. It is assumed and explained.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 메뉴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휴대단말기 메뉴의 종류 중 디지털캠코더를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디지터 캠코더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디지털 캠코더의 종류 중 포토앨범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진의 종류를 표시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사진들의 종류 중 해당 사진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진보기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선택된 사진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선택된 사진을 상기 표시부160의 표시영역크기(640*480)에 표시하기 위해 디코딩부를 통해 제1디코딩한 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3a는 상기 사진보기모드에서 제1디코딩을 통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된 사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시부160에 사진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된 사진에 대한 사용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사용메뉴 중 사진의 확대 및 축소보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3b와 같은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로 전환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사진보기모드에서 표시되었던 사진을 제1화면310의 표시영역크기(80*60)에 표시하기 위해 디코딩부를 통해 제2디코딩한 후 상기 제1화면31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1화면310에는 표시된 사진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박스315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320에 확대하여 표시한다.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320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표시박스315의 좌표 값을 리드한 후, 상기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리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320의 표시영역크기에 맞추어 표시하기 위한 스케일링 과정을 통해 상기 제2화면320에 확대된 사진으로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2A,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a menu,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type of the portable terminal menu. When the digital camcorder is selected among the types of the portable terminal menu,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type of the digital camcorder. When selecting a photo album among the types of the digital camcorder,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1 and proceeds to step 202 in which the type of the photo stored in the memory 130 is displayed. When selecting a corresponding picture from among the displayed pictures,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3 and switches to the picture view mode in step 204 in which the selected pictur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step 204,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selected picture on the display unit 160 after the first decoding through the decoding unit to display the selected area on the display area size (640 * 480) of the display unit 160. 3A illustrates a phot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through first decoding in the photo viewing mode. If the user selects a menu while the pictur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it in step 205 and displays a usage menu for the displayed picture. When the enlarged and reduced view of the picture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use menu,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6 and proceeds to step 207 to switch to the enlarged and reduced mode of the picture as shown in FIG. 3B. In step 207, the controller 110 decodes the picture displayed in the picture viewing mode on the display area size 80 * 60 of the first screen 310 through the decoding unit and displays the picture on the first screen 310. . In this case, the first screen 310 includes a display box 315 for selecting a displayed picture, and the controller 110 enlarges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pictur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on the second screen 320. In the process of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pictur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on the second screen 320, first, the controller 110 read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display box 315, and then displays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 is extracted.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extracted image data as an enlarg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320 through a scaling process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screen 320.

상기 도 3b는 상기 사진의 확대 및 축소모드에서 표시박스를 구비하며 사진을 표시하는 제1화면310과,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2화면320을 나타내고 있다.  FIG. 3B illustrates a first screen 310 including a display box in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mode of the picture, and a second screen 320 in which the picture imag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is enlarged and displayed.

상기 제1화면310에 구비된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제2화면320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중,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화면310에 구비된 표시박스315의 방향이동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박스의 이동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부126에 구비된 방향키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좌측 또는 우측의 방향이동에 따라 변경된 표시박스315의 좌표값을 리드 한 후 상기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리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320의 표시영역크기에 맞추어 표시하기 위한 스케일링 과정을 통해 상기 제2화면320에 확대된 사진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박스는 픽셀단위로 이동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부126에 구비된 방향키를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측 또는 하측의 방향이동에 따라 변경된 표시박스315의 좌표 값을 리드 한 후 상기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리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320의 표시영역크기에 맞추어 표시하기 위한 스케일링 과정을 통해 상기 제2화면320에 확대된 사진으로 표시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화면310에 구비된 표시박스315의 크기조절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박스의 조절되는 크기를 감지한다.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부126에 구비된 방향키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상기 표시박스315의 크기를 조절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크기가 변경된 표시박스315의 좌표 값을 리드 한 후 상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서 상기 리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320의 표시영역크기에 맞추어 표시하기 위한 스케일링 과정을 통해 상기 제2화면320에 확대 또는 축소된 사진으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박스315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증가하면서 크기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제2화면320에는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될 것이며, 상기 표시박스315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감소하면서 크기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제2화면320에는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이 확대되어 표시될 것이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부126에 구비된 방향키를 통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상기 표시박스315의 크기를 조절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크기가 변경된 표시박스315의 좌표 값을 리드 한 후 상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리드된 좌표 값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320의 표시영역크기에 맞추어 표시하기 위한 스케일링 과정을 통해 상기 제2화면320에 확대 또는 축소된 사진으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박스315가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증가하면서 크기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제2화면320에는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될 것이며, 상기 표시박스315가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감소하면서 크기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제2화면320에는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이 확대되어 표시될 것이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direction movement of the display box 315 provided on the first screen 310 while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provided on the first screen 310 on the second screen 320.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0 and detects a moving direction of the display box. If the user moves to the left or right through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6,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11 and proceeds to step 212. In step 212, the controller 110 read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display box 315 changed according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movement and extract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 from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extracted image data as an enlarg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320 through a scaling process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screen 3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box is moved in units of pixels. Alternatively, when the user moves upward or downward through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6,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3 and proceeds to step 214. In step 214, the controller 110 read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display box 315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movement of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nd extract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 from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extracted image data as an enlarg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320 through a scaling process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screen 320. Alternatively, when the user selects the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display box 315 provided on the first screen 310,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5 and detects the adjusted size of the display box. When the user adjusts the size of the display box 315 to the left or the right through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6,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6 and proceeds to step 217. In step 217, the controller 110 read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display box 315 whose size is changed to the left or the right, and extract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s from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extracted image data as an enlarged or reduc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320 through a scaling process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screen 320. If the size is changed while the display box 315 increas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 picture imag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is reduc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320, and the display box 315 decreas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f the size is changed, the photo imag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320. Alternatively, when the user adjusts the size of the display box 315 upward or downward through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6,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18 and proceeds to step 219. In step 219, the controller 110 read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display box 315 whose size is chang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nd extract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 from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extracted image data as an enlarged or reduc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320 through a scaling process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screen 320. If the size of the display box 315 is changed as the display box 315 increases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the picture imag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is reduc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320, while the display box 315 decreases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If the size is changed, the photo imag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320.

상기 표시박스315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상기 제2화면320에 표시하는 중 상기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2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화면320에 표시된 사진의 영상을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22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저장되는 제2화면320의 영상들은 상기 204단계의 사진보기모드에서 표시된 사진과 함께 해당폴더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save while displaying the image of the photo selected by the display box 315 on the second screen 320,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20 and displays the image of the photo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320 in the memory. Proceed to step 221 to save to 130. Images of the second screen 320 stored in step 211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older together with the picture displayed in the picture viewing mode of step 204.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진을 확대 및 축소함으로써, 사진촬영 후 PC로 사진을 옮기지 않고도 확대 및 축소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박스의 이동 및 크기 조절을 통해 사진을 확대 및 축소하여 보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s and reduces a picture in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enlarged and reduced picture can be confirmed without moving the picture to the PC after the picture is taken. In addition, by moving and resizing the display box,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who want to enlarge and reduce the pi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사진의 확대 및 축소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A and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enlarging and reducing a photo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 도 3b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3A to 3B are views for explaining FIG.

Claims (9)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을 확대 및 축소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zooming in and out of a picture on a mobile terminal, 사진을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 the photo, 확대 및 축소보기 선택 시, 상기 사진을 제1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1화면의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picture on the first screen and displaying an image of the picture selected by the display box of the first screen on the second screen when the enlarged or reduced view is selected; 상기 표시박스 이동 시, 이동된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n image of a photo selected by the moved display box on a second screen when the display box is moved; 상기 표시박스 크기 조절 시, 크기가 조절된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 box, displaying the image selected by the sized display box on the second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을 표시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picture comprises: 사진을 선택하는 과정과,The process of selecting photos, 상기 선택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제1디코딩하는 과정과,First decoding image data of the selected photo; 상기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displaying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on a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을 제1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photo on the first screen comprises: 상기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제2디코딩하는 과정과,Second decoding the image data of the picture; 상기 제2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제1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displaying image data of the second decoded photo on a firs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의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image of the photo selected by the display box of the first screen on the second screen comprises: 상기 표시박스의 좌표값을 리드하는 과정과,Reading coordinates of the display box; 상기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리드된 좌표값에 대응되는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image data of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 from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상기 추출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And displaying image data of the extract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박스는 상측/하측 및 좌측/우측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display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up / down and left / r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표시박스에 의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image of the photo selected by the moved display box on the second screen comprises: 이동이 따라 위치된 표시박스의 좌표값을 리드하는 과정과,Read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y box where the movement is located, 상기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리드된 좌표값에 대응되는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image data of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 from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상기 추출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And displaying image data of the extract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박스는 상측/하측 및 좌측/우측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display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up / down and left / r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박스 크기조절을 통해 선택된 사진의 영상을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image of the photo selected by adjusting the display box size on the second screen comprises: 크기 조절에 따라 변경된 표시박스의 좌표값을 리드하는 과정과,Read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y box changed according to the scaling; 상기 제1디코딩된 사진의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리드된 좌표값에 대응되는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image data of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read coordinate value from the image data of the first decoded picture; 상기 추출된 사진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2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And displaying image data of the extracted picture on the second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화면에 표시된 사진의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storing the image of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KR1020040031312A 2004-05-04 2004-05-04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17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12A KR100617736B1 (en) 2004-05-04 2004-05-04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12A KR100617736B1 (en) 2004-05-04 2004-05-04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544A true KR20050106544A (en) 2005-11-10
KR100617736B1 KR100617736B1 (en) 2006-08-28

Family

ID=3728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312A KR100617736B1 (en) 2004-05-04 2004-05-04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73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49B1 (en) * 2006-01-06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797482B1 (en) * 2006-02-24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aking a Picture by Using the Same
KR100872349B1 (en) * 2007-04-03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frame inserting thereof
KR101046195B1 (en) * 2007-10-19 2011-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ze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KR101414767B1 (en) * 2007-05-15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49B1 (en) * 2006-01-06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797482B1 (en) * 2006-02-24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aking a Picture by Using the Same
KR100872349B1 (en) * 2007-04-03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frame inserting thereof
KR101414767B1 (en) * 2007-05-15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KR101046195B1 (en) * 2007-10-19 2011-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ze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736B1 (en)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06B1 (en) Method for displaying emotion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11798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mage displaying on a portable terminal
KR100630149B1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89480B1 (en) Method for resizing image size in wireless terminal
KR1006177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 and image edition method using that
US2007007596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according to movement of mobile terminal
KR10073529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60607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EP17250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effects in image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17736B1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703462B1 (en) Method for changing image attach mod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08B1 (en) Method for saving and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630165B1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in wireless terminal
KR100557154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815121B1 (en) Method for magnifying of selected area using screen divis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6079B1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13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6342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zoom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64154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picture mov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16B1 (en) Method for turning image state in wireless terminal
KR2006013623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060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0700444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20050113807A (en) Method for performing of slide show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