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767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767B1
KR101414767B1 KR1020070047311A KR20070047311A KR101414767B1 KR 101414767 B1 KR101414767 B1 KR 101414767B1 KR 1020070047311 A KR1020070047311 A KR 1020070047311A KR 20070047311 A KR20070047311 A KR 20070047311A KR 101414767 B1 KR101414767 B1 KR 10141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area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1080A (en
Inventor
민지영
송유미
정계숙
장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767B1/en
Publication of KR2008010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0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표시부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미지 확대 메뉴 선택시, 제1 표시부에 제1 이미지를 확대한 제2 이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1 이미지에서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이미지 중에서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역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며, 확대한 이미지의 일 영역을 제 1 표시부에 표시하고,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이미지 전체를 제 2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미지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first image on a first display unit, displays one area of a second image obtained by enlarging a first image on a first display unit when the image enlarging menu is selected,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Then, in correspondence to the selected position in the first image, the are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mong the second images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search function more simply and efficiently by displaying one area of the enlarged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entir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n the second display unit.

이동통신, 터치스크린, 이미지 확대 Mobile communication, touch screen, image enlargement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FIG. 1 and FIG. 2 are views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8A and 8B illustrate opera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9A and 9B illustrate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 그리고FIGS. 10A and 10B illustrate opera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이다.11A and 11B illustrate opera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more easily and efficiently search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을 통해 그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이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 가능한 기본적인 서비스로 전화통화 서비스를 꼽을 수 있으나, 최근 고화질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됨에 따라 이미지 촬영 및 이미지 송수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terminal that enables a user to receive various ser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particular, a telephone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regarded as a basic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recently, a high-quality digital camera function is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n image shooting and an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can be provided to a user.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이미지를 촬영하고, 외부 장치와 이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 키를 통해 표시된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다.The user can take an image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an image with an external device. The imag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can search the displayed image through the input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단일 표시부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고 탐색하면, 이미지 확대 모드 에서 전체 이미지를 한번에 볼 수 없고, 방향키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탐색함에 따라 세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However, if an image is displayed and searched through a single display unit, the entire image can not be viewed at a time in the image enlarging mode, and detailed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by searching an image using the direction ke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를 확대 표시하는 경우, 전체 이미지를 터치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터치 입력 등을 이용하여 확대된 이미지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which can display an entire image through a separate display unit such as a touch screen, enlarge and display an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 1 표시부에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미지 확대 모드 선택시, 상기 제 1 표시부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에서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역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first image on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 second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one area of the image and displaying the first image on a second display unit and moving an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in the first imag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 1 표시부, 제2 표시부, 및 이미지 확대 모드 선택시, 상기 제 1 표시부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확대한 제2 이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표시부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선택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역이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st area of a second image,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firs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an are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in the first image to be displayed and moved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FI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본체(10a) 및 본체(10a)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폴더(10b)를 포함한다. 폴더(10b)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20)를 포함하며, 카메라(20)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n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a and a folder 10b install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in the main body 10a. The folder 10b includes a camera 20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the camera 20 can tak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본체(10a) 측면에 사이드키(14a)를 구비한다. 사이드키(14a)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표시하는 이미지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Als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side key 14a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a. An enlargement or reduction command for an image display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side key 14a may be input.

사이드키(14a)는 도 1에 도시된 방향키 이외의 다른 형태로도 구현가능하다. 예컨대, 사이드키(14a)는 트랙 볼로 구현 가능하며, 이 경우 사이드키(14a)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ide key 14a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other than the direction key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side key 14a can be implemented as a trackball. In this case, the side key 14a can enlarge or reduce the image display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side key 14a, and move in any direction.

본체(10a)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12), 이미지 확대 모드에서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이미지의 배율을 조절하거나 이동하는 사이드키(14a), 및 입력키(14b)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10a includes a second display portion 12 for displaying an image, a side key 14a for adjusting or moving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portion 11 in the image enlarging mode, and an input key 14b do.

폴더(10b)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1)를 포함한다. 제 1 표시부(11)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 1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 1 이미지 표시 중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 2 표시부(12)에 제 1 이미지 전 체를 표시하고, 제 1 표시부(11)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한다.The folder 10b includes a first display portion 11 for displaying an image. The first display unit 11 displays the first image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selected during the first image displ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splays the entire firs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2 Display one area of the image.

사용자는 제 2 표시부(12)에 표시된 제 1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 전체를 보는 동시에, 사이드키(14a) 및 입력키(14b)를 통해 이미지 확대, 축소 및 이동 명령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 영역을 확대, 축소 및 이동할 수 있다.The user can view the entire image through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section 12 and input any one of the image enlargement, reduction and movement commands through the side key 14a and the input key 14b, The second image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can be enlarged, reduced and moved.

입력키(14b)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입력을 전달하고, 사이드키(14a)에 구비된 상하 방향키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 2 표시부(1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 2 표시부(12)는 상기 제 1 이미지 전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에 대한 확대, 축소 및 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key 14b carries an input for moving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image, and the up and down keys provided in the side key 14a may transmit an input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image.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second display unit 12 may output the entire first image and input enlargement, reduction and movement commands for the display region of the second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1), 이미지 확대 모드가 실행되면 이미지 전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12), 제 1 표시부(11) 및 제 2 표시부(12)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축소 및 이동하는 제어부(13), 및 표시된 이미지의 탐색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4)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1 for displaying an image, a second display unit 12 for displaying an entire image 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executed, A control unit 13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and enlarging, reducing and moving the displayed image, and a key input unit 14 for inputting a search command for the displayed imag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미지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5),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향처리부(16), 및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7)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emory 15 for storing data including an image, a sound processing unit 16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

무선통신부(17)는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규격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사용되는 용도나 그 사용지역 등에 따라 상이하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여러 통신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무선통신부(17)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거나 적어도 한 규격 이상의 무선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standar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standard differ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used, its use area,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of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to provide a service,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17 is configured to process at least one radio signal or at least one radio signal.

키입력부(14)는 본체(10a)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키(14a), 및 입력키(14b)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4)를 통해 이미지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는 메모리(15)에서 이미지를 인출하거나 무선통신부(17)를 통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 제 1 표시부(11)는 상기 이미지 전체를 제 1 이미지로 표시한다.The key input unit 14 includes a side key 14a and an input key 14b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a. When an image display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4, the control unit 13 fetches an image from the memory 15 or receives an imag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 in real time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 The first display unit 11 displays the entire image as a first image.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하고, 제 1 이미지를 제 2 표시부(12)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제 1 표시부(11)를 통해 확대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보는 동시에, 제 2 표시부(12)에 표시된 제 1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 전체를 볼 수 있다.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enlarged on the first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 The user can view the entire image through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while viewing one area of the enlarged second imag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 [

제 2 표시부(1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제 2 표시부(12)에서 터치 입력된 부분에 따라,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제 2 이미지에서 터치 입력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분을 제 2 이미지의 확대 입력 및 축소 입력을 위한 부분으로 할당하고, 제 2 표시부(12)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 2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12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3 can move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from the second imag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ortion touch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12. [ In addition,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may be allocated as a portion for enlargement input and reduction input of the second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제 2 표시부(1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 2 표시부(12)의 특정 부분이 두 번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제 2 이미지에서 두 번 터치 입력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치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시부(12)의 특정 부분이 계속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터치 입력한 시간에 비례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제 2 이미지에서 터치 입력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f a specific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touched twice,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input area in the second image can be displayed and replaced. When a specific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continuously touched, the control unit 13 touches the second image reg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proportion to the time of touch input It is possible to quickly mov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t.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제 1 이미지로서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400).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3 displays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s a first image (S400).

S400 단계에서 제 1 표시부(11)에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410). S41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를 구동하지 않는다.If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step S400,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enlarging mode is selected (S410). If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not selected in step S410, the control unit 13 does not drive the image enlargement mode.

그러나, S41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420). 제 2 이미지는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이미지로서, 제 1 표시부(11)에는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이 표시된다.However, if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selected in step S410,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enlarged on the first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S420). The second image is an enlarged image of the first image, and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section 11. [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상기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하는 한편, 제 1 이미지를 제 2 표시부(12)에 표시한다(S430).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 전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미지의 전체 화면을 제공한다. 제 2 표시 부(12)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displays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n step S430. The second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entire first image,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a full screen of the image. The second display unit 12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touch input.

사용자가 키입력부(14) 및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이동할 위치를 선택하면(S440),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S440 단계에서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450). S440 단계에서 사용자가 이동할 위치를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이동하지 않는다.If the user selects a position to be moved in the first imag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with the touch screen at step S440,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first display unit 11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to be displayed is moved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in step S440 and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S450). The controller 13 does not move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unless the user selects a position to move.

S440 단계에서 이동할 위치가 선택되지 않거나, S450 단계에서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460). S46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3)는 다시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f the position to move is not selected in step S440 or the posi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is completed in step S450,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an image enlargement mode end command is input (S46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60 that the image enlargement mode end command has not been input,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a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again.

한편, 상기 S46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 및 제 2 표시부(12)의 이미지 표시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60 that the image enlargement mode end command has been input, the control unit 13 ends the image display of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는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제 1 이미지로서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500). 제어부(13)는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메모리(15)에서 인출하거나, 무선통신부(17)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할 수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s a first image (S500). The control unit 13 can extract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memory 15 or receive it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 in real time and display it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

제 1 이미지가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되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510). S51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1 이미지의 영역을 메모리(15)에 저장한다(S590).When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enlarging mode is selected (S510). If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not selected in step S510, the controller 13 stores the area of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the memory 15 (S590).

그러나, S51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520). 한편 제어부(13)는 제 2 표시부(12)에 상기 제 1 이미지 전체를 표시함으로써(S530), 사용자에게 상기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전체 화면을 제공한다.However, if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selected in step S510,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enlarged on the first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S52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entire firs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S530),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full screen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제 2 표시부(12)는 본체(10a)에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확대, 축소, 및 이동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제어부(13)에 전달한다.The second display unit 12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on the main body 10a.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by the touch screen transmits a touch input to at least one of the commands for enlarging, reducing, and moving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to the control unit 13.

제 1 표시부(11)에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이 표시되고, 제 2 표시부(12)에 제 1 이미지 전체가 표시되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40). 상기 위치 이동 명령은 키입력부(14) 및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When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the entir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a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in the first image S540). The position movement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any one of the key input unit 1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제 2 표시부(12)에 표시된 제 1 이미지가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터치 입력에 따라 확대, 축소 또는 이동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touched, the control unit 13 enlarges, reduces or moves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 ≪ / RTI >

S540 단계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입력된 이미지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550). 상기 위치 이동 명령에 따라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에서 배율 조절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560).In step S550, the controller 13 moves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to the input image area and displays the moved image area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step S550. When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image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command,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magnification control is selected in the first image (S560).

한편, S540 단계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에서 배율 조절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560).On the other hand, if no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ted in step S540,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magnification control is selected in the first image (S560).

S560 단계의 배율 조절은 사이드키(14a) 및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 2 표시부(1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3)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분에 제 2 이미지의 배율을 조절하는 배율 조절 입력부를 할당한다. 배율 조절 입력부가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배율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The magnification adjustment in step S560 may be inputted through either the side key 14a or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3 assigns a scaling input unit for adjusting a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magnification control input section is touched, the control section 13 enlarges or reduce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S560 단계에서 배율 조절이 선택되면, 제어부(13)는 사이드키(14a) 및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배율 조절 명령에 따라,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배율을 변화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570). 배율 확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 영역의 배율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If the magnification control is selected in step S560,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12 in accordance with the magnification control command inputted through either the side key 14a or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with the touch screen The magnification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S570). When the enlargement magnifica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section 13 enlarges and display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are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section 11.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배율 조절이 완료되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80).When the magnification adjustment of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an image magnification mode end command is input (S580).

한편, S560 단계에서 배율 조절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가 종료되는지 판단한다(S580). S58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다시 입력되는지 판단 한다(S540).On the other hand, if magnification control is not selected in step S560,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magnification mode is terminated (S580). If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not terminated in step S580,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a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again in the first image (S540).

한편, S58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배율 및 영역을 메모리(15)에 저장한다(S590). 제 2 이미지를 다시 표시하는 경우, 제어부(13)는 S590 단계에서 메모리(15)에 저장한 제 2 이미지의 배율 및 영역을 인출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In step S590, the control unit 13 stores the magnification and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the memory 15 (S590).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gain, the controller 13 extracts the magnification and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stored in the memory 15 in step S590 and displays the magnification and the area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는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제 1 표시부(11)에 제 1 이미지로 표시한다(S600). 제어부(13)는 상기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메모리(15)에서 인출하거나, 무선통신부(17)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s the first image (S600). The control unit 13 fetches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memory 15 or receives the imag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 in real time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

상기 S600 단계에서 제 1 표시부(11)에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5). S605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이미지의 영역을 메모리(15)에 저장한다.If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step S600,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selected (S605). If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not selected in step S605, the control unit 13 stores the area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the memory 15. [

S605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하고(S610), 제 1 이미지 전체를 제 2 표시부(12)에 표시한다(S615).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selected in step S605, the controller 13 displays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enlarged on the first image on the first display part 11 (S610), and the entir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part 12) (S615).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12)는 본체(10a)에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표시부(1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면, 제어부(13)는 제 2 표시부(12)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이동하고,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배율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for displaying the first image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on the main body 10a.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3 moves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 The magnification of the area can be enlarged or reduced.

제 1 표시부(11) 및 제 2 표시부(12)에 각각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 및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3)는 제 1 이미지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620). S620 단계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배율 조절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50). If one area of the second image and the first image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a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in the first image (S62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20 that no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a magnification control command is input in the first image (operation S650).

S620 단계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상기 입력이 특정 영역에 대한 두 번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25). 상기 입력은 제 2 표시부(12)에 표시된 제 1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한 두 번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If the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in step S620,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is two inputs to the specific area (S625). The input may be two touch inputs to a specific area of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12. [

S625 단계에서 상기 위치 이동 명령에 대한 입력이 특정한 위치에 대한 두 번의 입력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3)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상기 입력된 영역으로 스킵(skip)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630).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 영역을 제 1 이미지에서 터치 입력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의 영역으로 치환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 상기 두 번 터치 입력을 통해,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이 표시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이동 과정 없이 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25 that the input to the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two inputs for a specific position, the controller 13 skips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image to the input area, 11 (S630).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second image are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by replacing the second image are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with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rea.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s displayed without moving to the area to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touch input.

S625 단계에서 위치 이동 명령에 대한 입력이 특정한 위치에 대한 두 번의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3)는 상기 입력된 위치로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 제어부(13)는 상기 선택한 영역이 입력되는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상기 선택한 영역으로 이동한다(S635). 제 2 표시부(1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면, 제어부(13)는 상기 선택한 영역이 터치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탐색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25 that the input to the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not the two inputs to the specific position, the control unit 13 moves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image to the input position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do. The control unit 13 moves the display region of the second image to the selected region in proportion to the input time of the selected region (S635). If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3 can adjust the speed of searching for the image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selected region is touched.

S630 단계 및 S635 단계에서 제 2 이미지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 영역의 배율 조절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640).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image is moved in step S630 and step S635,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magnification control of the second image are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s selected (step S640).

S640 단계에서 배율 조절이 선택되면, 제어부(13)는 입력되는 배율 조절 명령에 따라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배율을 변화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S645). 상기 배율 조절 명령은 사이드키(14a) 및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If the magnification control is selected in step S640, the controller 13 change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input magnification adjustment command and displays the magnification on the first display part 11 (S645). The magnification control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any one of the side key 14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를 통해 배율 조절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분을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배율을 조절하는 입력부로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상기 할당된 부분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의 배율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When a magnification control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3 may assign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to an input unit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region. The control unit 13 enlarges or reduce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region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allocated portion and displays the enlarged or reduced magnification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S640 단계에서 배율 조절이 선택되지 않거나 S645 단계에서 배율 조절이 종료되면, 제어부(13)는 이미지 확대 모드가 종료되는지 판단한다(S650). 한편, S65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제 2 표시부(12)에 표시된 제 1 이미지에서 위치 이동 명령이 다시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620).If the magnification control is not selected in step S640 or the magnification control is ended in step S645,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magnification mode is terminated (S650). If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not completed in step S650,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a posi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again in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S620).

S650 단계에서 이미지 확대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 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배율 및 영역을 메모리(15)에 저장한다(S655). 제 2 이미지를 다시 표시하는 경우, 제어부(13)는 메모리(15)에 저장한 상기 제 2 이미지의 배율 및 영역을 인출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terminated in step S650, the controller 13 stores the magnification and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the memory 15 (S655). When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gain, the control unit 13 may extract the magnification and the area of the second image stored in the memory 15 and display the magnification and the area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표시부(11)는 제 2 이미지(70)의 일 영역(71a)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72)를 전체 모드로 표시한다.7A and 7B illustrate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A, the first display unit 11 displays one area 71a of the second image 7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first image 72 in the full mode.

한편, 제 2 표시부(1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터치 입력을 제어부(13)에 전달하며, 제 2 표시부(12)의 특정 부분은 제 2 이미지(70)의 배율을 조절하는 입력부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배율 확대 입력부(73) 및 배율 축소 입력부(7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transmits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 unit 13 and the specific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allocated as an input unit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70 . The input sec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gnification enlargement input section (73) and a magnification reduction input section (74).

이미지 확대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제 1 이미지(72)를 확대한 제 2 이미지(70)의 일 영역(71a)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에 제 1 이미지(72) 전체를 표시한다. 제 1 이미지(72)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이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상기 터치 입력을 판단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으로 제 2 이미지(70)의 표시 영역(71a)을 이동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2 이미지(70)의 표시 영역(71a)이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으로 화살표(76)를 따라 이동한다.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one area 71a of the second image 70 in which the first image 72 is enlarg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The entire first image 72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3 judges the touch input and displays the display area 71a of the second image 70 in the area 75 to be moved when the area 75 to be moved is touched in the first image 72, . Referring to FIG. 7A, the display area 71a of the second image 70 moves along the arrow 76 to the area 75 to be moved.

도 7b을 참조하면, 제 1 표시부(11)는 터치 입력에 따라 제 2 이미지(70)의 표시 영역(71b)을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이 두 번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2 이미지(70)의 표시 영 역(71a)을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70)의 영역(71b)으로 치환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the first display unit 11 moves the display region 71b of the second image 70 to the region 75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When the area 75 to be moved is touched twice,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display area 71a of the second image 70 in the second image 70 corresponding to the area 75, Area 71b and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section 11. [

한편, 제어부(13)는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이 터치 입력되는 시간에 비례하여 제 2 이미지(70)의 표시 영역(71a)을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75)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이동한 제 2 이미지(70)의 영역(71b)을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The controller 13 rapidly moves the display area 71a of the second image 70 to the area 75 to be moved in proportion to the touch input time of the area 75 to be moved, 2 area 70b of the image 7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 1 표시부(11)는 제 2 이미지(80)의 일 영역(81a)를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82) 전체를 표시한다.8A and 8B illustrate opera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he first display unit 11 displays one area 81a of the second image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entire first image 82. [

제 2 표시부(1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터치 입력을 제어부(13)에 전달하며, 제 2 표시부(12)의 특정 부분은 제 2 이미지(80)의 배율 확대 입력부(73) 및 배율 축소 입력부(74)로 할당된다.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and transmits a touch input to the control unit 13. A specific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connected to the magnification enlargement input unit 73 and the magnification reduction input unit 73 of the second image 80, (74).

이미지 확대 모드가 실행되면, 제 1 표시부(11)는 제 1 이미지(82)를 확대한 제 2 이미지(80)의 일 영역(81a)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82) 전체를 표시한다.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executed, the first display section 11 displays one area 81a of the second image 80 enlarged with the first image 82, and the second display section 12 displays one area 81b of the first image 80 82).

이미지 확대 모드에서 배율 확대 입력부(73)가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2 이미지(80)의 표시 영역(81a)을 확대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제 2 이미지(80)의 표시 영역(81a)이 확대 영역(83)만큼 확대된다. 상기 확대 영역(83)의 크기는 상기 터치 입력하는 시간에 비례한다.When the magnification enlargement input section 73 is touched and input in the image enlargement mode, the control section 13 enlarges the display area 81a of the second image 80. Referring to FIG. 8A, the display area 81a of the second image 80 is enlarged by the enlarged area 83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he size of the enlarged area 83 is proportional to the touch input time.

도 8b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확대 영역(83)으로 확대된 제 2 이미지(80)의 표시 영역(81b)이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다. 제어부(13)는 배율 확대 입력부(73)가 터치 입력되는 시간에 비례하여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80)의 영역(81a)을 확대 영역(83)으로 빠르게 확대하고, 확대한 제 2 이미지(80)의 영역(81b)을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8B, the display area 81b of the second image 80 enlarged to the enlarged area 83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part 11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he control unit 13 rapidly enlarges the area 81a of the second image 8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to the enlarged area 83 in proportion to the time when the enlarged magnification input unit 73 is touched, The area 81b of the second image 8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 1 표시부(11)는 제 2 이미지(90)의 일 영역(91a)를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92) 전체를 표시한다.9A and 9B illustrate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he first display unit 11 displays one area 91a of the second image 9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entire first image 92. [

한편, 제 2 표시부(1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터치 입력을 제어부(13)에 전달하며, 제 2 표시부(12)의 특정 부분은 제 2 이미지(90)의 배율 확대 입력부(73) 및 배율 축소 입력부(74)로 할당된다.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transmits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 unit 13. A specific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 is connected to the magnification enlargement input unit 73 and magnification Reduction input unit 74 is allocated.

이미지 확대 모드가 실행되면, 제 1 표시부(11)는 제 1 이미지(92)를 확대한 제 2 이미지(90)의 일 영역(91a)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92)의 전체를 표시한다. 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executed, the first display section 11 displays one area 91a of the second image 90 enlarged on the first image 92, and the second display section 12 displays one area 91a of the first image 92 92 as a whole.

이미지 확대 모드에서 상기 배율 축소 입력부(74)가 터치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2 이미지(90)의 표시 영역(91a)을 축소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제 2 이미지(90)의 표시 영역(91a)이 축소 영역(93)으로 축소된다. 상기 터치 입력되는 시간이 길수록 축소 영역(93)은 더 작아질 수 있다.When the magnification reduction input unit 74 is touched and input in the image enlargement mode, the control unit 13 reduces the display area 91a of the second image 90. Referring to FIG. 9A, the display area 91a of the second image 90 is reduced to the reduced area 93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he longer the touch input time, the smaller the area 93 can be.

도 9b을 참조하면, 제 2 이미지(90)의 표시 영역(91b)은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축소 영역(93)으로 축소되어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다. 일실시예로 제어부(13)는 배율 축소 입력부(74)가 터치 입력되는 시간에 비례하여, 제 2 이미지(90)의 표시 영역(91a)을 축소 영역(93)으로 빠르게 축소하고, 축소된 제 2 이미 지(90)의 영역(91b)를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the display area 91b of the second image 90 is reduced to the reduced area 93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part 11. The controller 13 rapidly reduces the display area 91a of the second image 90 to the reduced area 93 in proportion to the time when the magnification reduction input unit 74 is touched, 2 area 91b of the image 90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이미지 확대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100a)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에 제 1 이미지(110) 전체를 표시한다.10A and 10B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one area 100a of the second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the first image 110 ) ≪ / RTI >

제 2 표시부(1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제어부(13)로 전달한다. 제어부(13)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의 영역(100a)을 확대, 축소 및 이동한다.The second display unit 12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by the touch screen recognizes the touch input and transmits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 unit 13. The control unit 13 enlarges, reduces, and moves the area 100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제 2 표시부(12)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130)이 터치 입력되면, 제 2 표시부(12)는 상기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제어부(13)에 전송한다. 제어부(13)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100a)을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130)으로 이동한다. 제 1 표시부(11)는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130)으로 이동한 제 2 이미지의 영역(100b)을 표시한다.The second display unit 12 recognizes the touch inpu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3 when the area 130 to be moved is touch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by the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3 moves the area 100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to the area 130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he first display unit 11 displays the area 100b of the second image moved to the area 130 to be moved.

제 2 표시부(12)에 표시된 제 1 이미지(110)는 제 1 표시부(11)에 현재 표시된 영역을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 2 표시부(12)는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100a)을 제 1 이미지(110)에 탐색 화면(120a)으로 표시함으로써, 제 1 표시부(11)에 현재 표시되는 제 2 이미지 영역(100a)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The first image 11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can be displayed by separately displaying the area currently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 10A, the second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100a in the first image 110 as the search screen 120a, 2 image area 100a.

도 10b를 참조하면,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의 영역(100b)이 터치 입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이미지(110)의 탐색 화면(120b)은 이동한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100b)을 표시한다.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110)를 통해 이미지 전체를 표시하고, 제 1 이미지(110)에 표시되는 탐색 화면(120b)을 통해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100b)이 전체 이미지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0B, as the area 100b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moves to the touch input, the search screen 120b of the first image 110 displays the moved second image Area 100b is displayed. The second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entire image through the first image 110 and displays the display region 100b of the second image through the search screen 120b displayed on the first image 110 in the entire image Provides information on where it is located.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이미지 확대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200a)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2)에 제 1 이미지(210) 전체를 표시한다.11A and 11B illustrate opera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one area 200a of the second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nd the first image 210 ) ≪ / RTI >

제어부(13)는 사이드키(14a)의 입력에 따라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 영역(200a)의 배율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 제어부(13)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제 2 표시부(12)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200a)의 배율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can enlarge or reduce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area 200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ide key 14a.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 may enlarge or reduce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200a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사이드키(14a)가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상기 입력에 따라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 영역(200a)의 배율을 조절한다. 사이드키(14a)의 위 방향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200a)의 배율을 확대하고, 사이드키(14a)의 아래 방향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200a)의 배율을 축소한다.When the side key 14a is input, the control unit 13 adjust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area 200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The controller 13 enlarge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area 200a and when the downward direction key of the side key 14a is input, the controller 13 displays the second image The magnification of the area 200a is reduced.

이미지 확대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3)는 제 2 표시부(12)에 제 1 이미지(210) 전체를 표시하고,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 영역(200a)을 제 1 이미지(210)에 탐색 화면(220a)으로 표시한다. 제 2 표시부(12)는 제 1 이미지(210)를 통해 이미지 전체를 표시하고, 미리보기 영역(220a)을 통해 제 2 이미지의 표시 영역(200a)이 전체 이미지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entire first image 210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 and displays the second image area 200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as the first image 210. [ Is displayed on the search screen 220a. The second display unit 12 displays the entire image through the first image 210 and provides information on where the display area 200a of the second image is located in the entire image through the preview area 220a do.

사이드키(14a)의 위 방향키(230)를 통해 배율 확대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는 제 1 표시부(11)에 표시된 제 2 이미지 영역(200a)의 배율을 확대한 영역(200b)을 상기 제 1 표시부(11)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3)는 확대된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200b)을 제 1 이미지(210)에 미리보기 영역(220b)으로 표시하여, 확대된 제 2 이미지 표시 영역(200b)의 위치 정보(220b)를 제공한다.The magnification enlargement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pper direction key 230 of the side key 14a so that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enlarged area 200b of the second image area 200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 On the first display section (11). The control unit 13 displays the enlarged second image display area 200b in the preview area 220b in the first image 210 and displays the position information 220b in the enlarged second image display area 200b ).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확대한 이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이미지를 전체 모드로 출력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미지 표시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이미지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ne area of an enlarged image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in full mode, Image search function can be provided.

또한, 제 2 표시부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에 따라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영역 및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이미지를 확대, 축소 및 탐색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display unit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the area and magnifica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image can be more easily enlarged, reduced, and searched.

Claims (17)

제 1 표시부에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first image on a first display unit; 이미지 확대 모드 선택 시, 상기 제 1 표시부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확대한 제 2 이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하고, 터치스크린인 제 2 표시부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Displaying one area of a second image obtained by enlarging the first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the image enlarging mode is selected and displaying the first image on a second display unit which is a touch screen; 상기 제1 이미지에서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역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Moving and displaying an are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a selected position in the first image; And 상기 제 2 표시부의 특정 위치를 터치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배율을 변화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And changing a magnificat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이미지 배율을 조절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배율을 변화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And changing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input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미지 확대 모드를 종료하면,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And stor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upon completion of the image enlargement mod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 1 이미지를 다시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저장한 이미지를 인출하여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again, displaying the stored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2 표시부의 특정 위치를 두 번 터치 입력하면,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된 영역을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상기 터치 입력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치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Replacing the displayed area of the second image wit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in the second image and displaying the second area when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second display part is touched twic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2 표시부의 특정 위치를 터치 입력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된 영역을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상기 터치 입력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The control unit moves the displayed area of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imag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in proportion to the time of touch inputting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Way.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 1 표시부;A first display portion in which a first image is displayed; 터치스크린인 제 2 표시부; 및A second display unit which is a touch screen; And 이미지 확대 모드 선택시,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확대한 제2 미지의 일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선택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역이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When the image enlargement mode is selected, a second unknown area in which the first image is enlarged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section,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s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that an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moved and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부의 특정 위치를 터치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 2 이미지의 배율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display unit as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is touched. 제 9 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배율을 조절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이미지의 배율을 변화시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magnification of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an input for adjusting an image magnification and displays the magnified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2 이미지 표시를 종료하면,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emory for storing an area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upon comple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1 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다시 표시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 2 이미지의 영역을 인출하여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fetches an area of the second image stored in the memory and displays it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aga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 1 표시부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rein the touch screen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display unit. 제 9 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부의 특정 위치가 두 번 터치 입력되면,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된 영역을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상기 터치 입력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치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replaces the displayed area of the second image wit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in the second image and displays the second image when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is touched twice. Communication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부의 특정 위치가 터치 입력되는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된 영역을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상기 터치 입력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displayed area of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imag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in proportion to the time at which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is touched.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70047311A 2007-05-15 2007-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14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311A KR101414767B1 (en) 2007-05-15 2007-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311A KR101414767B1 (en) 2007-05-15 2007-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80A KR20080101080A (en) 2008-11-21
KR101414767B1 true KR101414767B1 (en) 2014-07-03

Family

ID=4028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311A KR101414767B1 (en) 2007-05-15 2007-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7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59B1 (en) * 2018-10-31 2019-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mo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544A (en) * 2004-05-04 2005-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06079B1 (en) 2005-05-17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20070023350A (en) * 2005-08-24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544A (en) * 2004-05-04 2005-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17736B1 (en) 2004-05-04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06079B1 (en) 2005-05-17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20070023350A (en) * 2005-08-24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80A (en)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4393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632642B2 (en) Terminal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automated scroll based on moving speed
US201000267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nlarged target region of a reproduced image
KR101372369B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EP232338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in video conference system
US9560224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operation device, scre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screen display control program
EP18680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larging an image and controlling the enlarged im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35199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WO2005006733A1 (en) Data communications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transmission program
KR10182314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283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image of portable terminal
US2007007597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according to movement of mobile terminal
JP396538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WO2006049506A1 (en) A method for remote operation of a computer using a mobile device
EP2899986A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KR101339483B1 (en) Method for capturing web-page,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14147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US20060005222A1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having separate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enlarged portion of web page while simultaneously displaying web page at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EP2056594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92123A (en) Image record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66419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program
KR1003571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ternet picture of internet video apparatus
KR200400755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zoom of display device
EP1772801A2 (en) Method for searching data in a wireless terminal
KR102231378B1 (en) Mobile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