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5717A -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717A
KR20050085717A KR1020057011173A KR20057011173A KR20050085717A KR 20050085717 A KR20050085717 A KR 20050085717A KR 1020057011173 A KR1020057011173 A KR 1020057011173A KR 20057011173 A KR20057011173 A KR 20057011173A KR 20050085717 A KR20050085717 A KR 20050085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ble
fastening section
sec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얼 제임스 헤이스
마이클 제임스 알로웨이
래이몬드 브루스 맥라우클란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5008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7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하우징(14)은 격납 영역 내부(40)에서 이에 부착된 접촉부(16)로써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18)을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격납 영역(40)을 갖는 주 본체(34)와, 리빙 힌지(38)에 의해 주 본체(34)에 연결된 체결 섹션(36)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체결 섹션(36)은 전방 단부(54)와 후방 단부(56)를 포함한다. 체결 섹션(36)이 주 본체(34)의 격납 개구 내부에 삽입될 때, 전방 단부(54)는 격납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16)의 후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후방 단부(54)는 케이블(18)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하도록, 주 본체(34)에 대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18)을 가압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FLEXIBLE CABLE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커넥터와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6,024,605호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리빙 힌지를 갖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가요성의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FFC) 또는 가요성의 인쇄 회로 케이블(FPC) 상에 적재되는 포스트가 존재하는 전기 접촉부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차량 산업에서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격납하기 위한 커넥터 포켓 또는 공동을 갖는 배선 프레임이 차량 배선 설비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조립 중, 모든 단부에 사전 부착되는 단자를 갖는 와이어는 배선 개략도에 따라 하나의 커넥터로부터 다른 커넥터로 한번에 루트가 정해진다. 이러한 조립 방법은 비용이 절감되고, 회로의 복잡성을 처리하는 데 효율적이고, 설비의 재설계없이 회로 변경을 수용하는 데 탄력적임이 증명되었다.
차량이 보다 작아지고 전기/전자 컨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상당히 큰 와이어 설비의 루트를 정하기 위해 차량 내부의 공간을 찾는 것은 보다 어렵게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한 방법은 공간과 중량을 절약하도록 분리된 와이어 대신에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FFC) 또는 가요성의 인쇄 기판(FPC)을 사용하는 것이다.
과거에, FFC 또는 FPC를 사용하는 차량 와이어 설비를 형성하도록 허용된 방법은 전도체에 단자를 부착시키고 커넥터를 조립시키기 위해 자동 매스 터미네이션 시스템(automated mass termination system)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자동 매스 터미네이션 시스템은 자동 조립 기계를 구입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자본 투자를 요구한다. 또한, 자동 시스템은 보다 복잡한 설비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회로 변경이 수용되는 것은 어렵거나 또는 불가능할 수도 있다. 자동 매스 터미네이션 시스템의 상대적으로 큰 자본 투자와 제한된 탄력성은 차량 적용에서의 그 성공성을 제한한다. 그러나, 중량과 공간을 절약하도록 와이어 설비를 제조하는 FFC/FPC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차량 제조자에 의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조립 라인 공정 중 차량의 보다 작은 영역 내부로 삽입될 수 있지만 낮은 체적과 높은 체적 양에 모두에 대해 그리고 조립 기계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자본 투자 없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와이어 설비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도1은 서로 연결되도록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한 두 개의 전기 커넥터와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조립체의 구성 요소의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케이블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케이블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은 도3에 도시된 조립체의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은 도4에 도시된 조립체의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9 및 도10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한 태양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하우징은 격납 영역 내부에서 접촉부가 이에 부착된 상태로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격납 영역을 갖는 주 본체와, 리빙 힌지에 의해 주 본체에 연결된 체결 섹션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체결 섹션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체결 섹션이 주 본체의 격납 개구 내부에 삽입될 때, 전방 단부는 격납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의 후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후방 단부는 케이블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하도록, 주 본체에 대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가압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과, 케이블에 부착된 전기 접촉부와, 접촉부와 내부에 위치된 케이블의 일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하우징은 주 본체와, 체결 섹션과, 주 본체에 체결 섹션을 연결하는 리빙 힌지를 포함한다. 체결 섹션은, 하우징으로부터 접촉부의 후퇴를 차단하는 체결 섹션의 전방 단부 및 케이블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하도록 주 본체에 대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체결 섹션의 후방 단부를 갖는 주 본체 내의 격납 개구 내부에 삽입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방법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은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에 전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커넥터 하우징의 주 섹션 내부에 접촉부와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의 일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주 섹션의 격납 개구 내부에 커넥터 하우징의 체결 섹션을 삽입하는 단계와, 체결 섹션이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할 때, 주 섹션과 체결 섹션 사이의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의 일부를 클램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은 주 섹션에 체결 섹션을 연결하는 리빙 힌지를 포함하고, 체결 섹션을 삽입하는 단계는 리빙 힌지를 굽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 및 다른 특성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서로 연결되도록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한 두 개의 전기 커넥터와 케이블 조립체(10, 12)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임의의 크기, 형상 또는 타입의 요소 또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전기 커넥터 및 케이블 조립체(10)는 커넥터 하우징(14)과, 전기 접촉부(16) 및 전도체 케이블(18)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도체 케이블(18)은 가요성의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 또는 가요성의 인쇄 회로 케이블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가요성 케이블이다. 가요성의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 및 가요성의 인쇄 회로 케이블은 본 기술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도체 케이블(18)은 두 개의 전기 전도체(20, 21)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체 케이블(18)은 두 개 이상 또는 이하의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 케이블(18)의 한 단부는 그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기 접촉부(1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전기 접촉부(16)는 각각 하나의 전도체(20, 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도체 케이블(18)의 대향 단부는 전기 또는 전자 구성 요소 또는 다른 전기 커넥터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제1 조립체(10)는 두 개의 전기 접촉부(16)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조립체는 2개 이상의 또는 이하의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기 접촉부(16)는 케이블 장착 섹션(22)과 정합 접촉부 섹션(24)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기 접촉부(16)는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잘 공지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전기 접촉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정합 접촉부 섹션(24)은 전방 단부 개방 개구(26)에서 정합 전기 접촉부의 수형 접촉부 섹션을 격납하도록 구성된 암형 접촉부 섹션을 포함한다. 케이블 장착 섹션(22)은 정합 접촉부 섹션(24)의 한 측면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블 장착 섹션(22)의 대향 측면은 정지 표면(28)을 포함한다. 또한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된, 정합 접촉부 섹션(24)은 주 단자 래치(30)를 포함한다. 래치(30)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고 후방 단부 래치 표면(32)을 포함한다.
케이블 장착 섹션(22)은 두 개의 케이블 관통 섹션(33)을 포함한다. 관통 섹션(33)은 케이블(18)의 전도체(20 또는 21) 내부에 또는 이를 통해 삽입되고 케이블과의 고정된 기계적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는 접촉부(16)와 케이블(18) 내의 전도체(20 또는 21) 사이에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한다. 또한 케이블 장착 섹션(22)은 각각의 전도체 주위의 일부의 케이블 주위로 왜곡된 측방향 아암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전기 연결부는 때때로 포스트 적재 연결부로서 칭해지고, 여기서 단자 또는 접촉부(16)는 하우징(14) 내부로의 삽입전 가요성 케이블(18) 상에 적재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부(16)와 케이블(18) 사이에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4)은 바람직하게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4)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은 일반적으로 주 본체(34)와, 체결 섹션(36)과, 주 본체(34)에 체결 섹션(36)을 연결하는 리빙 힌지(38)를 포함한다.
주 본체(34)는 일반적으로 접촉부(16)와 케이블(18)의 일부를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격납 영역(40)을 포함한다. 격납 영역(40)은 두 개의 접촉부 격납 섹션(42)을 갖는 전방 영역을 포함한다. 두 개의 접촉부 격납 섹션(42)은 주 본체(34)로부터의 전방 단부 개구(44)를 포함한다. 주 본체(34)의 상단 측면은 제2 조립체(12)와 래칭 결합하기 위한 래칭 섹션(46)을 포함한다(도1 참조). 래칭 섹션(46)은 주 본체(34)의 나머지로부터 일반적으로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래칭 섹션(46)은 제2 조립체(12)와 스냅 체결 장착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다. 격납 영역(40)의 후방 단부는 주 본체(34)의 후방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개방된다.
주 본체(34)의 바닥 측면은 래치 격납 개구(48)와 체결 섹션 격납 개구(50)를 포함한다. 래치 격납 개구(48)는 접촉부(16)의 주 단자 래치(30)를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다. 래치 격납 개구(48)의 후방 표면(52)은 래치(30)의 후방 단부 래치 표면(32)을 결합시키기 위한 정지 표면을 형성한다. 정지 표면(52)과 래치 표면(32) 사이의 결합부는 접촉부 격납 섹션(42)으로부터 접촉부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주 접촉부 래칭 시스템을 형성한다. 체결 섹션 격납 개구(50)는 개구(50) 내부로 체결 섹션(36)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다.
체결 섹션(36)은 전방 단부(54)와 후방 단부(56)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방 단부(54)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58)과 정지 표면(60)을 포함한다. 체결 섹션(36)이 격납 개구(50) 내부로 삽입될 때, 스냅 체결 래칭 섹션(58)은 주 본체에 전방 단부(54)를 래칭 결합시킴으로써 주 본체(34)와 결합한다. 정지 표면(60)은 접촉부(16)의 정지 표면(28)의 바로 뒤에 위치 설정된다. 정지 표면(28) 바로 뒤의 정지 표면(60)의 위치는 래치(30)에 의해 제공된 주 단자 체결부를 보완하도록 종속 단자 체결부를 형성한다.
체결 섹션(36)의 후방 단부(56)는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62)와 스냅 체결 래칭 섹션(64)을 포함한다. 스냅 체결 래칭 섹션(64)은 외부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체결 섹션(36)이 격납 개구(50) 내부로 삽입될 때, 스냅 체결 래칭 섹션(64)은 주 본체에 후방 단부(56)를 래칭 결합시킴으로써 주 본체(34)에 결합된다.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62)는 격납 영역(40)의 후방 단부에서 주 본체(34)에 대해 전도체 케이블(18)을 가압하거나 클램핑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형상 결정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 섹션(36)은 두 개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첫째로, 체결 섹션(36)은 접촉부가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부주의로 인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촉부(16)에 대한 종속 단자 체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체결 섹션(36)은 커넥터 하우징(14)에 전도체 케이블(18)을 클램핑하기 위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 섹션(36)은 리빙 힌지(38)에 의해 주 본체(34)에 연결된다. 리빙 힌지(38)는 체결 섹션이 개구(50) 내부에 삽입되기 전 주 본체(34)에 대해 체결 섹션을 보유한다. 이는 커넥터 하우징(14)이 접촉부(16)와 케이블(18)에 부착되기 전, 체결 섹션(36)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빙 힌지(38)는 체결 섹션(36)이 개구(50) 내부에 삽입될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혀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주 본체(34)에 대해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체결 섹션(36)의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단을 갖는 표면 섹션(66)은 체결 섹션(36)의 후방 단부가 격납 영역(40) 내부로 너무 깊게 삽입되어 전도체(18)를 영구히 압착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 본체(34)의 바닥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금부터 도1, 도2, 도4,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제2 전기 커넥터와 케이블 조립체(12)가 추가로 설명된다. 제2 전기 커넥터와 케이블 조립체(12)는 커넥터 하우징(74)과, 전기 접촉부(76) 및 전도체 케이블(78)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도체 케이블(78)은 가요성 케이블이고 일반적으로 가요성의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 또는 가요성의 인쇄 회로 케이블을 포함한다. 전도체 케이블(78)의 한 단부는 그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접촉부(7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전기 접촉부(76)는 전도체(80, 81) 중 각각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도체 케이블(78)의 대향 단부는 전기 또는 전자 구성 요소 또는 다른 전기 커넥터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제2 조립체(12)는 두 개의 전기 접촉부(76)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조립체는 2개 이상 또는 이하의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기 접촉부(76)는 케이블 장착 섹션(82)과 정합 접촉부 섹션(82)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기 접촉부(76)는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잘 공지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전기 접촉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정합 접촉부 섹션(84)은 접촉부(16) 중 하나의 암형 접촉부 섹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수형 접촉부 섹션을 포함한다. 케이블 장착 섹션(82)은 정합 접촉부 섹션(84)의 한 측면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한다. 정합 접촉부 섹션(84)의 후방 단부는 정지 표면(88)을 포함한다. 또한 정합 접촉부 섹션(84)은 주 단자 래치(90)를 포함한다. 래치(90)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고 후방 단부 래치 표면(92)을 포함한다.
케이블 장착 섹션(82)은 두 개의 케이블 관통 섹션(93)을 포함한다. 관통 섹션(93)은 케이블(78)의 전도체(80 또는 81) 내부로 그리고 이를 통해 삽입되고 케이블과의 고정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는 접촉부(76)와 케이블(78) 내의 전도체(80 또는 81) 사이에 전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부(76)와 케이블(78) 사이의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하우징(74)은 바람직하게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74)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74)은 주 본체(94)와, 체결 섹션(96) 및 주 본체(94)에 체결 섹션(96)을 연결하는 리빙 힌지(98)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주 본체(94)는 접촉부(76)와 케이블(78)의 일부를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후방 격납 영역(100)과 제1 조립체(10)의 전방 단부를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전방 격납 영역(101)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후방 격납 영역(100)은 두 개의 접촉부 격납 섹션(102)을 갖는 전방 영역을 포함한다. 주 본체(94)의 상단 측면은 제1 조립체(10)와 래칭 결합하기 위한 래칭 섹션을 포함한다(도1 참조). 래칭 섹션(106)은 슬롯(85)과 래칭 표면(83)을 포함한다. 후방 격납 영역(100)의 후방 단부는 주 본체(94)의 후방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개방된다.
주 본체(94)의 상단 측면은 래치 격납 개구(108)를 포함한다. 주 본체(94)의 바닥 측면은 체결 섹션 격납 개구(110)를 포함한다. 래치 격납 개구(108)는 접촉부(76)의 주 단자 래치(90)를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다. 래치 격납 개구(108)의 후방 표면(112)은 래치(90)의 후방 단부 래치 표면(92)과 결합하기 위해 정지 표면을 형성한다. 정지 표면(112)과 래치 표면(92) 사이의 결합부는 접촉부 격납 섹션(102)으로부터 접촉부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주 접촉부 래칭 시스템을 형성한다. 체결 섹션 격납 개구(110)는 개구(110) 내부로 체결 섹션(96)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다.
체결 섹션(96)은 전방 단부(114)와 후방 단부(116)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방 단부(114)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118)과 정지 표면(120)을 포함한다. 체결 섹션(96)이 격납 개구(110) 내부로 삽입될 때, 스냅 체결 래칭 섹션(118)은 주 본체에 전방 단부(114)를 래칭 결합시킴으로써 주 본체(94)에 결합된다. 정지 표면(120)은 접촉부(76)의 정지 표면(88)의 바로 뒤에 위치 설정된다. 정지 표면(88) 바로 뒤의 정지 표면(120)의 위치는 래치(90)에 의해 제공된 주 단자 체결부를 보완하도록 종속 단자 체결부를 형성한다.
체결 섹션(96)의 후방 단부(116)는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122)와 스냅 체결 래칭 섹션(124)을 포함한다. 스냅 체결 래칭 섹션(124)은 외부 측 방향으로 연장한다. 체결 섹션(96)이 격납 개구(110) 내부로 삽입될 때, 스냅 체결 래칭 섹션(124)은 주 본체에 후방 단부(116)를 래칭 결합시킴으로써 주 본체(94)에 결합된다.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122)는 격납 영역(100)의 후방 단부 내에서 주 본체(94)에 대해 전도체 케이블(78)을 가압하거나 또는 클램핑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 섹션(96)은 두 개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첫째로, 체결 섹션(96)은 접촉부가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부주의로 인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촉부(76)에 대한 종속 단자 체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체결 섹션(96)은 커넥터 하우징(74)에 전도체 케이블(78)을 클램핑하기 위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 섹션(96)은 리빙 힌지(98)에 의해 주 본체(94)에 연결된다. 리빙 힌지(98)는 체결 섹션이 개구(110) 내부에 삽입되기 전 주 본체(34)에 대해 체결 섹션을 보유한다. 이는 커넥터 하우징(74)이 접촉부(76)와 케이블(78)에 부착되기 전 체결 섹션(96)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빙 힌지(98)는 체결 섹션(96)이 개구(110) 내부에 삽입될 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혀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주 본체(94)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체결 섹션(96)의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단을 갖는 표면 섹션(126)은 체결 섹션(96)의 후방 단부가 격납 영역(100) 내부로 너무 깊게 삽입되어 전도체(78)를 영구히 압착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 본체(94)의 바닥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금부터, 또한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도1에 도시된 조립체(1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130)이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130)은 네 개의 전기 접촉부(16)와 4개의 전도체를 갖는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로써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하우징(130)은 주 본체(132)와, 체결 섹션(134)과, 리빙 힌지(136)를 포함한다. 리빙 힌지(136)는 주 본체(132)에 체결 섹션(134)을 연결시킨다. 체결 섹션(134)은 전방 단부(138)와 후방 단부(140)를 포함한다. 후방 단부(140)는 두 개의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142)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144)을 포함한다. 전방 단부(138)는 4개의 돌출부(146)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146)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148)과 정지 표면(150)을 포함한다. 그루브(152)는 주 본체(132) 내에 분리된 격리부 일부(154)를 수용하도록 돌출부(146) 사이에 제공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14)과 유사하게, 커넥터 하우징(130)은 체결 섹션(134)을 격납하도록 구성된 체결 섹션 격납 개구(156)를 포함한다. 체결 섹션(134)은 개구(156)와 주 본체(132)에 장착된 스냅 체결부 내부로 삽입된다.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142)는 후방 격납 영역(158) 내의 주 본체(132)에 대해 평평한 가요성 전도체 케이블의 측방향 에지를 클램핑할 수 있다. 정지 표면(150)은 접촉부(16)의 후퇴에 대한 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30)은 전기 접촉부(16)의 주 단자 래치(30)를 격납하기 위해 주 본체(132) 내의 래치 격납 개구(160)를 포함한다.
또한 지금부터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도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조립체(12)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162)이 도시된다. 커넥터 하우징(162)은 4개의 전기 접촉부(76)와 4개의 전도체를 갖는 가요성 케이블을 격납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하우징(162)은 주 본체(164)와, 체결 섹션(166) 및 리빙 힌지(168)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주 본체(164)는 전방 격납 영역(170)과, 후방 격납 영역(172)과, 래치 격납 영역(174) 및 체결 섹션 격납 개구(176)를 포함한다. 또한, 주 본체(164)는 래칭 표면(178)과 슬롯(180)을 포함한다. 래칭 표면(178) 및 슬롯(180)은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 슬롯(85)과 표면(83)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전방 격납 영역(170)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에 커넥터 하우징(130)을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다. 래치 격납 영역(174)은 접촉부(76)의 래치(90)를 격납하도록 구성된다. 체결 섹션(166)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체결 섹션(13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체결 섹션의 특징부에 상응하는 도11 및 도12에 사용된다. 체결 섹션(166)은 체결 섹션 격납 개구(176) 내부로 삽입되는 스냅 체결부일 수 있다.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142)는 후방 격납 영역(172) 내의 주 본체(164)에 대해 전도체 케이블의 측방향 에지를 클램핑할 수 있다. 정지 표면(152)은 접촉부(76)의 후퇴에 대한 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단지 실시예임을 알아야만 한다. 다양한 변경예 및 변형예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행해질 수 있는 그러한 모든 대체, 변화 및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7)

  1. 격납 영역 내부에서 접촉부가 이에 부착된 상태로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격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격납 영역을 갖는 주 본체와,
    리빙 힌지에 의해 주 본체에 연결되고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는 체결 섹션을 포함하고,
    체결 섹션이 주 본체의 격납 개구 내부로 삽입될 때, 전방 단부는 격납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의 후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후방 단부는 주 본체에 대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릴리프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주 본체와, 체결 섹션 및 리빙 힌지는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주 본체는 접촉부의 주 단자 래치를 격납하도록 구성된 래치 격납 개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체결 섹션의 전방 단부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체결 섹션의 후방 단부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6. 제1항에 있어서, 리빙 힌지는 주 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7. 제1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 하우징과,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과,
    케이블에 부착되는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접촉부와 케이블의 일부는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체결 섹션은, 하우징으로부터 접촉부의 후퇴를 차단하는 체결 섹션의 전방 단부 및 케이블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하도록 주 본체에 대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체결 섹션의 후방 단부를 갖는 주 본체 내의 격납 개구 내부로 삽입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접촉부는 케이블을 통해 관통하는 포스트 적재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9.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과,
    케이블에 부착된 전기 접촉부와,
    접촉부와 내부에 위치된 케이블의 일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주 본체, 체결 섹션 및 주 본체에 체결 섹션을 연결하는 리빙 힌지를 포함하고, 체결 섹션은, 하우징으로부터 접촉부의 후퇴를 차단하는 체결 섹션의 전방 단부 및 케이블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하도록 주 본체에 대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체결 섹션의 후방 단부를 갖는 주 본체 내의 격납 개구 내부로 삽입 가능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접촉부는 케이블을 통해 관통하는 포스트 적재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주 본체, 체결 섹션 및 리빙 힌지는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주 본체는 접촉부의 주 단자 래치를 격납하도록 구성된 래치 격납 개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체결 섹션의 전방 단부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체결 섹션의 후방 단부는 스냅 체결 래칭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5. 제9항에 있어서, 리빙 힌지는 주 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6.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에 전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커넥터 하우징의 주 섹션 내부로 접촉부와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의 일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주 섹션의 격납 개구 내부로 커넥터 하우징의 체결 섹션을 삽입하는 단계와,
    체결 섹션이 커넥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부를 형성할 때, 주 섹션과 체결 섹션 사이의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의 일부를 클램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은 주 섹션에 체결 섹션을 연결하는 리빙 힌지를 포함하고,
    체결 섹션을 삽입하는 단계는 리빙 힌지를 굽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에 전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단계는 평평한 전도체 케이블을 통해 접촉부의 일부를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11173A 2002-12-18 2003-11-14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KR20050085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2,240 US6604966B1 (en) 2002-12-18 2002-12-18 Flexible c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322,240 2002-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717A true KR20050085717A (ko) 2005-08-29

Family

ID=2766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173A KR20050085717A (ko) 2002-12-18 2003-11-14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04966B1 (ko)
EP (1) EP1593183A4 (ko)
JP (1) JP2006511918A (ko)
KR (1) KR20050085717A (ko)
AU (1) AU2003290795A1 (ko)
CA (1) CA2508357C (ko)
MX (1) MXPA05006361A (ko)
WO (1) WO20040620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05B1 (ko) * 2005-04-25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7994555B2 (en) * 2007-06-14 2011-08-0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in transistor using perpendicular magnet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9281A (ja) * 2001-03-23 2002-10-04 Mitsumi Electric Co Ltd 雄型コネクタ端子
TWM251330U (en) * 2004-01-06 2004-11-21 Sheng-Shing Liau Easily convertible plug structure
DE102006030784B4 (de) * 2006-06-30 2008-05-15 Erni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einer Sekundärverriegelung
US8221152B2 (en) * 2007-04-11 2012-07-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b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682180B2 (en) * 2008-04-29 2010-03-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terminal retention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JP5289154B2 (ja) * 2009-04-15 2013-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2972861B1 (fr) * 2011-03-15 2014-06-0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ment de fiche avec organe de decharge de contrainte
US8721374B2 (en) * 2011-07-22 2014-05-1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8951066B2 (en) 2011-07-22 2015-02-10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2014017085A (ja) * 2012-07-06 2014-0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5660113B2 (ja) * 2012-12-13 2015-01-2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04041B2 (ja) * 2013-12-26 2015-11-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484660B2 (en) * 2014-11-13 2016-11-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N113013799B (zh) * 2021-02-26 2023-02-03 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固定夹具及数据传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3539A (en) * 1983-12-27 1987-09-15 Amp Incorporated Ribbon coax cable connector
JPS61103878U (ko) 1984-12-14 1986-07-02
JPH031898Y2 (ko) 1985-07-08 1991-01-21
US4907990A (en) 1988-10-07 1990-03-13 Molex Incorporated Elastically supported dual cantilever beam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JPH02244574A (ja) 1989-03-17 1990-09-28 Yazaki Corp コネクタ
JPH09147957A (ja) 1995-11-22 1997-06-06 Yazaki Corp 二重係止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US5647775A (en) 1995-12-07 1997-07-1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means
US6024605A (en) 1997-12-19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ing living hinge
EP0948101B1 (en) * 1998-04-02 2002-11-2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making contact with at least one flat foil conductor
US6126488A (en) 1998-06-30 2000-10-03 Lucent Technologies, Inc. Network interface device retrofit module for selective pairs on a 66-type block
US6305981B1 (en) * 1999-03-09 2001-10-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tact securing flap
JP2001210409A (ja) * 2000-01-28 2001-08-0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用のコネクタ及びフラット回路体のコネクタへの接続構造
JP3683769B2 (ja) * 2000-03-02 2005-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への分岐コネクタ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DE50101128D1 (de) * 2000-11-02 2004-01-22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für Flachkab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05B1 (ko) * 2005-04-25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7994555B2 (en) * 2007-06-14 2011-08-0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in transistor using perpendicular magnet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2043A1 (en) 2004-07-22
CA2508357C (en) 2010-10-19
EP1593183A1 (en) 2005-11-09
CA2508357A1 (en) 2004-07-22
AU2003290795A1 (en) 2004-07-29
EP1593183A4 (en) 2007-08-29
US6604966B1 (en) 2003-08-12
JP2006511918A (ja) 2006-04-06
MXPA05006361A (es) 200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582B1 (ko) 케이블 상호 접속 장치
US5397247A (en) Connector construction
US6004163A (en) Electrical multi-pole plug-and-socket-type connector with associated socket part
KR20050085717A (ko)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EP0202916A2 (en) Strain relief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9281605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KR100248966B1 (ko) 감지 단자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US6997756B2 (en) Connector terminal, a connector and a mounting method
WO2007127467A2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EP0795930B1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EP0384591B1 (en) Strain relief structure
US6234840B1 (en) Shield connector
US6283793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JP2868405B2 (ja) 雌型端子
US20020127904A1 (en) Relay connector
JP2005149935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EP0631351A2 (en) Wire-to-board electrical connector
JPH09147960A (ja) 汎用コネクタ及びその結合方法
CN108174621B (zh) 连接器单元、装入电气部件的连接器以及带连接器的电气部件
EP06348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upling metal terminals in a housing
US6340321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530262A2 (en) Multiconnection device
EP1530264A2 (en) Socket contact
US6503096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