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105A -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105A
KR20050077105A KR1020040004742A KR20040004742A KR20050077105A KR 20050077105 A KR20050077105 A KR 20050077105A KR 1020040004742 A KR1020040004742 A KR 1020040004742A KR 20040004742 A KR20040004742 A KR 20040004742A KR 20050077105 A KR20050077105 A KR 20050077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emote control
control code
cod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870B1 (ko
Inventor
금지은
김진희
이종화
송재연
이윤선
임세윤
권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8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대상 장치로 해당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구비하며, 이러한 원격제어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 모드시에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한다.

Description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제어대상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제어대상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제어대상 장치의 동작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문이나 차량의 잠금 장치의 개폐나, 전등의 온/오프(on/off) 스위칭, 또는 가전 제품의 구동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치들에게 그 동작을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원격제어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리모콘 등을 구비하며 통상 적외선(IR: Infra Red)이나 RF(Radio Frequency)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제어대상 장치들에게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통상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를 하려는 제어대상 장치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적외선이나 RF 신호에 실어 전송하는 원격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미리 저장된 제어 신호와 비교하여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대상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 시스템은 그 편리성으로 인해 보다 다양한 장치들에게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 원격제어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그 종류나 제조 회사 및 신호를 보내는 방식 등에 따라서 다른 기종과 서로 호환이 안되며, 제어 신호가 통상 한 장치 내에서만 존재하므로. 이에 따른 사용상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문의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적외선 송수신 장치는 차량의 문을 개폐 할 수 있는 다른 적외선 개폐 장치와 호환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제어대상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 장치를 개별적으로 소지하여야 함으로, 이에 따른 구비 비용상의 문제와 그러한 원격제어 장치의 소지, 보관 및 분실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각 가정(또는 빌딩 등)의 출입문 개폐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원격제어 장치는 해당 가족(및 출입 인증자)별로 각각 원격제어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구비 비용이 들게 된다.
한편, 최근들어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오디오,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정 내의 다양한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여러 개의 리모콘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는 일명 유니버셜 리모콘 등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니버셜 리모콘 등은 새로운 가전 제품을 새로 구입할 경우에 이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그 제어대상이 가전 제품 등에 한정되는바 통상 댁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출입문 개폐나 차량의 문을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무선 장치의 구비 비용을 줄이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지 및 보관이 편리하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제어대상 장치의 추가 및 원격제어 장치의 추가가 용이하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대상 장치로 해당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는 원격제어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시스템은 크게 다양한 종류의 각종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인터넷 상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의 제어코드 관리 서버(웹서버)(150)와, 상기 웹서버(150)로 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웹서버(150)로부터 각종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거나 자체 저장된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하며 제어대상 장치와 RF 또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제어 신호에 의해 자체 장착된 장치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대상 장치(17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대상 장치(170)는 차량이나 출입문 및 캐비닛 등의 잠금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무선망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120)와, 이동통신 서버(130) 및 WAP 서버(14)를 거쳐 상기 제어코드 관리 서버(웹서버)(150)과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도 1 중 원격제어 단말기(110) 및 원격제어대상 장치(170)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무선부(112)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채널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을 하강변환하고, 채널별로 구별하여 제어부(111) 및 음성처리부(114)로 출력한다. 무선부(112)로부터 제어부(111)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 등이 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114)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무선부(112)는 제어부(11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처리부(114)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적절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14)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스피커(SPK)는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음성처리부(114)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부(112)로 출력한다.
표시부(117)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진행 상태 등을 문자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는 장치와, 진동 모터 및 알람 램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17)의 액정표시장치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시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문자 또는 아이콘 및 캐릭터로 변환하여 이를 표시한다. 키 입력부(118)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을 조작받기 위한 기능 키 등으로 구성된다.
메모리부(119)는 롬(ROM)과 램(RAM)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11)의 동작 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과, 사용자에 의해 저장되는 영역 및 제어부(111)의 각종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원격제어 동작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과, 원격제어 동작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조작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부(117)에 표시될 메뉴 및 동작 설정 관련 데이터 및 각종 제어대상 장치(110)의 제어코드를 저장한다. 원격제어신호 출력부(115)는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제어대상 장치(170)로 원격제어 메시지를 적외선 신호 또는 RF 신호로 무선 송출한다.
제어부(111)는 원격제어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19)에 저장된 원격제어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 동작 설정시에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포함한 원격제어 메시지가 상기 원격제어신호 출력부(115)를 통해 해당 원격제어대상 장치(170)로 무선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등 원격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음으로 제어대상 장치(17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대상 장치(170)는 제어신호 수신부(175), 제어코드 비교부(177), 제어코드 관리부(176), 제어신호 출력부(178) 및 전원부(17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어대상 장치(170)에서, 전원 공급부(173)는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가 설치되는 장치의 동작 전원 공급부와 연동하도록 구성 되거나,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상기와 같은 각 기능부들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신호 수신부(175)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코드 관리부(176)와 제어코드 비교부(177)로 제공한다. 제어코드 관리부(173)는 초기 제어대상 장치 설치시에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해두며, 이후 제어코드 변경에 대한 원격제어 메시지의 수신시에 제어코드를 변경한다. 제어코드 비교부(177)는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175)에서 전달받은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와 상기 제어코드 관리부(173)에 저장된 제어코드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며, 동작신호 출력부(178)는 상기 제어코드 비교부(177)의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 수행을 위한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동작신호 출력부(178)에서 출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제어대상 장치(170)가 설치된 해당 출입문 개폐 장치, 차량 도어 개폐 장치, 차고 출입문 개폐 장치 등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원격제어 단말기(110) 및 제어대상 장치(170)를 구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은 크게, 원격 제어 단말기(110)에서 제어대상 장치(170)를 제어하는 동작과,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변경하는 동작과,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상기 웹서버(15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받는 동작 및 원격 제어 단말기(110)간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주고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각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170)의 원격제어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동작은 먼저 사용자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동작 설정 메뉴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미리 제공되는 원격제어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표시부(117)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확인하면서 키입력부(118)의 키들을 조작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메뉴 항목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510단계에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미리 저장되어진 제어대상 장치(170)에 대한 항목을 적절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3에서는 이러한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원격제어 모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일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어대상 장치(170)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 적절한 디자인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아이콘들에게 번호를 부여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118)에 구비된 숫자키 등을 조작함으로 적절한 아이콘, 즉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형태로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항목이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단순히 문자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화면상에 터치스크린 등을 구비하여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대상 장치(170) 항목을 디스플레이한 다음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키입력시까지 대기하며 키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를 512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514단계로 진행한다. 514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키가 미리 적절히 설정된 제어대상 선택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대상 선택키일 경우에는 이후 516단계로 진행한다. 516단계에서는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로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제어대상 장치(170)가 차량일 경우에 해당 차량의 아이콘에는 2번이 설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동차 형태의 아이콘을 확인하고 키입력부(118)의 숫자키에서 2번 숫자키를 입력하면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차량 제어대상 장치(170)로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코드를 포함한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초기 등록 정보는 각 제어대상 장치(170)를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새로이 등록할 때에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조회사나 판매소 등에 구비될 수 있는, 본 발명이 채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단말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어코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제어 메시지는 제어대상 장치 ID(Identification) 영역과 제어코드 영역으로 구성되며, 이외에도 부가적으로 제어명령 영역이 첨부될 수 있다. 제어대상 장치(170)는 미리 설정된 대역의 RF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를 검색하여 입력되는 무선 신호 중에서 상기 제어대상 ID를 화인하고 해당 제어대상 ID가 자신의 ID일 경우에 제어코드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코드는 사용자 인증용 암호일 수 있으며,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제어대상 장치(17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며, 한편, 상기 도 5에 도시된 514단계에서 입력된 키의 확인 결과 제어대상 선택키가 아닐 경우에는 이후 518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가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 변경키인지 확인하여 제어코드 변경키일 경우에는 이후 60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코드 변경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코드 상기 518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제어코드 변경키가 아닐 경우에는 이후 5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입력된 키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상기 600단계에서의 제어코드 변경모드의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 변경 동작의 흐름도이다. 제어코드 변경모드에서는 먼저 612 및 614단계에서 상기 도 5의 510 및 512단계에서와 같이, 설정된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키 입력을 대기하며 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 615단계로 진행한다. 616단계에서는 해당 입력된 키가 제어대상 선택키인지 확인하여 제어대상 선택키일 경우에 이후 617단계로 진행한다. 617단계에서는 해당 제어대상의 설정된 제어코드를 디스플레이하며, 변경할 제어코드를 입력받게 된다. 이후 618단계에서는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로 변경된 제어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 변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대상 장치(170)로 전송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제어 메시지에서 상기 제어코드 영역에는 이전의 제어코드가 입력되며, 제어명령 영역에는 새로운 제어코드의 변경을 알리는 명령어와 새로운 제어코드의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는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자신의 ID를 가진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코드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며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 관리부(176)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코드를 변경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는 웹서버(150)상에서 관리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서버(150)에 접속하여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단계를 거친 다음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거나, 또한 제어코드의 소유자임을 인증한 다음 제어코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웹서버(150)로의 원격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웹서버(150)에 접속하여 먼저 710단계에서 사용자 인증 동작을 거친다. 이후 720단계에서는 웹서버(150)에 설정된 다수의 서비스 기능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코드 관리 기능을 선택하고 이러한 제어코드 관리 기능 중에서 제어코드 다운로드 또는 제어코드 변경 항목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제어코드 다운로드 기능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이후 기 저장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먼저 722단계에서 제어대상 장치(170)를 선택하고 이후 724단계에서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제어대상 장치(170)의 ID 등에 대한 정보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720단계에 기능 선택시 제어코드 변경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후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변경하여 변경한 정보를 업로드하는데 먼저 732단계에서는 제어대상 장치(170)를 선택하고 이후 734단계에서는 상기 선택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하게 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서버(150)를 이용한 제어코드 관리 동작은 해당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분실 및 기기변경이나 또는 타 단말기로 적절한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제공하여 줄 때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본 발명이 채용된 원격제어 단말기에 해당 저장하고 있는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곧바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코드 전달기능은 출입문 개폐 장치에 설치되는 제어대상 장치(170)와 같이 인증된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에 각 사용자의 원격제어 단말기(110)로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또는 모든 제어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 동작은 먼저 사용자가 먼저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동작 설정 메뉴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미리 제공되는 이동기기간 제어코드 전달 메뉴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제어코드 전달 메뉴가 설정되면, 먼저 812단계에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미리 저장되어진 제어대상 장치(170)에 대한 항목을 적절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키입력시까지 대기하며 키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를 814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816단계로 진행한다. 816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키가 미리 적절히 설정된 제어대상 선택키 또는 전체 제어대상 선택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대상 선택키 또는 전체 제어대상 선태키일 경우에는 이후 817단계로 진행한다. 817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제어코드를 전송할 상대방 원격제어 단말기(이동기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이후 818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 원격제어 단말기(이동기기)로 상기 선택된 제어코드(또는 전체 선택된 제어코드)를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 제어코드 전달 메시지 포맷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시에 상대방 단말기는 수신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어코드 전달 메시지임을 확인하여 이를 적절히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 방식은 구비 비용을 줄이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소지 및 보관이 편리하며 특히 웹서버를 통해 제어코드를 관리함으로 제어코드(및 이를 저장한 기기)의 분실시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제어대상 장치의 추가 및 원격제어 장치의 추가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 중 원격제어 단말기 및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 중 원격제어 단말기의 원격제어 모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로 전송되는 원격제어 메시지의 일 예시 포맷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원격제어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 변경 동작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웹서버로의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동작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 동작의 흐름도

Claims (7)

  1.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대상 장치로 해당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인터넷 상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의 제어코드 관리 서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는 상기 제어코드 관리 서버로 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거나 자체 저장된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장치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를 제공받아, 초기 제어대상 장치 설치시에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해두며, 제어코드 변경에 대한 원격제어 메시지의 수신시에 제어코드를 변경하는 제어코드 관리부와,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와 상기 제어코드 관리부에 저장된 제어코드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코드 비교부와,
    상기 제어코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 수행을 위한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신호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시스템.
  4.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는 원격제어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원격코드 변경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변경할 제어코드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로 변경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 다운로드/업로드 모드시에, 무선망을 통해 제어코드 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한 제어코드 관리 서버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코드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제어코드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변경될 제어코드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 전달 모드시에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과,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 항목의 제어코드를 전송할 상대방 원격제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로 상기 선택된 제어코드를 구비한 제어코드 전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KR1020040004742A 2004-01-26 2004-01-26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4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42A KR100547870B1 (ko) 2004-01-26 2004-01-26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42A KR100547870B1 (ko) 2004-01-26 2004-01-26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05A true KR20050077105A (ko) 2005-08-01
KR100547870B1 KR100547870B1 (ko) 2006-01-31

Family

ID=3726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742A KR100547870B1 (ko) 2004-01-26 2004-01-26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8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22B1 (ko) 2006-02-24 2007-06-12 (주) 엘지텔레콤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제공방법
WO2012129064A1 (en) * 2011-03-18 2012-09-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face for local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a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support for provisioning on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8818417B2 (en) 2011-10-13 2014-08-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wireless device location using automatic location update via a provisioning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US9065813B2 (en) 2011-03-18 2015-06-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er device for coupling an industrial field instrument 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474B1 (en) * 1999-09-10 2011-0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downloading of a control inte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mobile station
JP3914668B2 (ja) * 1999-09-24 2007-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携帯端末
KR20020050490A (ko)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통합 리모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80013A (ko) * 2001-04-10 2002-10-23 멀티웨이시스템 주식회사 적외선 통합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50251B1 (ko) * 2001-11-22 2004-09-24 최형락 만능 리모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75029A (ko) * 2002-03-15 2003-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콘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22B1 (ko) 2006-02-24 2007-06-12 (주) 엘지텔레콤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제공방법
WO2012129064A1 (en) * 2011-03-18 2012-09-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face for local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a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support for provisioning on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9065813B2 (en) 2011-03-18 2015-06-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er device for coupling an industrial field instrument 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9405285B2 (en) 2011-03-18 2016-08-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face for local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a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support for provisioning on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10015826B2 (en) 2011-03-18 2018-07-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er device for coupling an industrial field instrument 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US8818417B2 (en) 2011-10-13 2014-08-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wireless device location using automatic location update via a provisioning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870B1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207B2 (en) Electronic lock with user interface
US5201067A (en)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remote control capability
CA2888971C (en) Electronic lock having a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US7027881B2 (en) Remote control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US8981898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359069B2 (en) One button access to network services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US2011010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pairing and enabling the reciprocal locating of key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KR20010111166A (ko) 휴대폰의 메뉴 아이콘 변경 방법 및 메뉴 구성 편집 방법
WO2001073720A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KR20020048960A (ko) 음성 명령을 통한 원격 제어기 및 무선 전화기를 결합한시스템 및 방법
US20080001774A1 (en) Remote control with UPnP suppor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JP2006129219A (ja) ネットワーク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携帯型通信装置
US7312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 detection
KR100547870B1 (ko)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626475B2 (ja) 携帯型情報処理端末、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操作方法
KR200700025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186063A (ja) 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携帯型無線端末
KR20070072671A (ko) 근거리의 차량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휴대폰을이용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40023923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16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시동/도어 제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0474692B1 (ko) 휴대폰의 메뉴 구성 편집방법
KR2012001288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0522235B1 (ko) 리모콘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JP4631226B2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カスタマイズ方法
KR2006009318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