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256A -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256A
KR20050072256A KR1020040000634A KR20040000634A KR20050072256A KR 20050072256 A KR20050072256 A KR 20050072256A KR 1020040000634 A KR1020040000634 A KR 1020040000634A KR 20040000634 A KR20040000634 A KR 20040000634A KR 20050072256 A KR20050072256 A KR 20050072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enu
button
information
optical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강수
김병진
유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2256A/ko
Priority to KR1020067015902A priority patent/KR101084150B1/ko
Priority to EP04774410A priority patent/EP1704567B1/en
Priority to AT04774410T priority patent/ATE540405T1/de
Priority to PCT/KR2004/002149 priority patent/WO2005065052A2/en
Priority to CN2004800398761A priority patent/CN1902705B/zh
Priority to US10/927,085 priority patent/US8630725B2/en
Priority to TW093128672A priority patent/TWI315869B/zh
Publication of KR2005007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레이 디스크(BD)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에서의 메뉴 사운드 (Menu sound) 구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면 일측에 복수의 버튼(button)을 구비하고, 특정 버튼(current button)에서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이동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복수의 메뉴 페이지 (menu page)을 구비하고, 특정 메뉴 페이지(current menu page)에서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 이동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화면 일측에 버튼(button)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button)의 선택(selected)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되, 상기 사운드는 해당 버튼(button)의 속성을 나타내는 보이스(voice) 사운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통해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메뉴 정보를 다양한 사운드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되어, 고밀도 광디스크의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

Description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 기록재생장치 {Method for managing and reproducing a Menu sound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본발명은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메뉴 사운드(Menu sound)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레이디스크 (Blu-ray Disc)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메뉴 사운드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재생하는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기록 매체(HD-DVD), 예를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이하 "BD"라고 한다)가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HD-DVD 기술인 블루레이 디스크(BD)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
관련하여,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을 응용한 광기록재생기의 개발도 시작되었으나, 아직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이 완비되지 못하여 완성된 광기록재생기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게 사실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블루레이 디스크(BD)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재생의 선택 및 재생방식의 결정을 위해 사용자와의 인터액션(interaction)를 수행하는 메뉴 정보가 체계화되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에서는 상기 메뉴 정보에 대한 통일된 규격사항이 완비되어 있지 않아, 본격적인 블루레이디스크(BD) 기반의 광기록재생기를 개발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메뉴 선택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메뉴 사운드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도 특히 문제가 된다 할 것이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블루레이 디스크 (BD)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에 적합한 새로운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과 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바, 그 기술적과제는 다음과 같다.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방식을 결정하는 메뉴의 선택시 특정의 사운드를 제공하되, 특히 메뉴 사운드 정보를 다양한 사용환경에 적합하고, 사용편리성을 증대하는 규격화된 정보로서 체계화하여 제공하자 하며,
또한 상기 구성된 메뉴 사운드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광디스크(BD)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은, 화면 일측에 복수의 버튼(button)을 구비하고, 특정 버튼 (current button)에서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이동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또다른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은, 복수의 메뉴 페이지 (menu page)을 구비하고, 특정 메뉴 페이지(current menu page)에서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 이동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또다른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은, 화면 일측에 버튼(button)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button)의 선택(selected)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되, 상기 사운드는 해당 버튼(button)의 속성을 나타내는 보이스(voice) 사운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은, 특정 버튼(current button)에서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커서(cursor)의 이동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방향별로 설정된 사운드 정보(sound_id)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운드 정보에 해당하는 버튼 사운드 (button sound)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또다른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은, 특정 메뉴 페이지 (menu page)에서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의 이동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방향별로 설정된 사운드 정보(page_sound_id)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운드 정보에 해당하는 페이지 사운드 (page sound)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또다른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은, 버튼(button)별로 버튼 (button)의 속성을 나타내는 보이스 사운드 정보 (voice_sound)를 구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버튼(button)이 선택(selected)되면, 보이스 사운드 정보 (voice_sound)를 구비하고 있는 버튼(button)인 경우는 해당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를 AV스트림으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또다른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은, 로딩된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에 따라 메뉴 사운드를 재생하되,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 변경명령이 있으면, 해당 메뉴 사운드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에 따라 메뉴 사운드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로딩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해당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메모리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와, 사용자의 특정 메뉴 선택시, 메뉴 선택에 해당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오디오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구성방법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먼저, 도1~도2를 통해 본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 재생관리를 위한 파일구조 및 데이터 기록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메뉴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파일구조상의 특정 파일내에 포함되어 제공되어 질 것이다.
도1은 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아래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BD디렉토리 (BDMV)가 존재하고, BD디렉토리 (BDMV) 내에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브티 (interactivity)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파일(상위파일) 정보로서 인덱스 파일(index.bdmv)과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를 포함함과 아울러, 실제 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재생정보와 이를 재생하는 방법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3개의 디렉토리로서,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 (PLAYLIST), 클립인포 디렉토리 (CLIPINF) 및 스트림 디렉토리 (STREAM)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 3가지 종류의 디렉토리 및 이에 포함되는 파일에 대해 우선 설명하고, 이후 본발명과 관련된 메뉴 사운드 정보와 파일간의 관련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스트림 디렉토리 (STREAM)내에는 디스크내에 특정 포맷으로 기록된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이를 "AV스트림"이라고 한다)에 대한 파일들이 존재하며, 예를들어, 현재 널리 알려진 엠펙2 (MPEG2) 방식의 트랜스포트(Transport) 패킷 (packet)으로 기록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므로, AV스트림 파일 (01000.m2ts , 02000.m2ts)의 확장명을 "*.m2ts" 로 구분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AV스트림을 BD규격에서는 특히 클립 스트림파일(clip stream file)이라고 명명하기도 하며, 본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메뉴 사운드 데이터가 AV스트림 파일내에 인터액티브 그래픽 스트림 (interactice graphic stream)과 멀티플렉싱 (multiplexing)되어 있거나, AV스트림과는 별도의 파일 (seperate file)형태로 존재하게 될 것이다.
클립인포 디렉토리 (CLIPINF)는 상기 각각의 AV스트림(*.m2ts)과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 파일(01000.clpi, 02000.clpi)들로 구성되어 진다. 특히, 클립인포 파일(*.clpi)은 대응하는 AV스트림의 속성정보 및 타임정보 (timing information)등을 기록하며, 이중 타임정보는 엔트리 포인트 맵(Entry Point Map)에 의해 프레젠테이션 타임 스탬프 (PTS: Presentation Time Stamp)와 소스 패킷 넘버 (SPN: Source Packet Number)를 맵핑(mapping)하여 주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일대일 대응하는 AV스트림(*.m2ts)과 클립인포 파일( *.clpi)을 묶어 BD 규격에서는 이를 "클립(clip)"이라고 명명한다. 따라서 클립인포 디렉토리 (CLIPINF)내의 파일 "01000.clpi"은 스트림 디렉토리 (STREAM)내의 파일 "01000.m2ts"에 대한 속성정보 및 타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파일 "01000.clpi"과 "01000.m2ts"가 하나의 클립(clip)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 (PLAYLIST)는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로 구성되며, 각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특정 클립(clip)이 재생되는 시간(playing interval)을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플레이아이템(PlayItem)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아이템 (PlayItem)은 재생을 원하는 특정 클립(Clip), 즉 플레이아이템 (PlayItem)내에서 클립명 (Clip_Information_File_ name)으로 지정되는 클립(clip)의 재생시작 시각(In-Time)과 재생종료 시각(Out-Time)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결국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플레이아이템 (PlayItem)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클립(clip)의 재생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재생 파일정보가 된다. 또한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내에는 필요에 의해 서브 플레이아이템 (SubPlayItem)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전술한 BD디렉토리(BDMV)내에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브티 (interactivity)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파일로서 인덱스 파일(index.bdmv)과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이 존재하는 바, 특히 인덱스 파일(index.bdmv)은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 위주로 구성되며,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내에는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메뉴 정보(Menu)와 타이틀(Title) 정보가 구비되어 진다.
관련하여, 본발명에서는 "메뉴 사운드 (menu sound)"를 새로이 정의하고자 하며, "메뉴 사운드 (menu sound)"는 사용자가 특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또는 메뉴 선택에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간결한 음(音)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발명에서는 메뉴 버튼(button)의 선택 및 이동시 제공되는 "버튼 사운드 (button sound)", 메뉴 페이지(page) 이동시 제공되는 "페이지 사운드 (page sound)" 및 버튼선택시 제공되는 "보이스 사운드 (voice sound)"를 통칭하여 "메뉴 사운드 (menu sound)"로 명명하였다. 이하 상기 "메뉴 사운드 (menu sound)" 및 메뉴 사운드 관리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3 이하에서 후술하고자 한다.
도2는 상기 파일구조와 관련된 정보들이 디스크내에 기록되는 형태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디스크내주로부터 보면, 전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정보로서 파일시스템 정보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과, 기록된 AV스트림 (*.m2ts)을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인포 파일과, 상위파일(일반파일)로서 인덱스 파일(index.bdmv),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이 기록되는 영역 (이를 "Database Area"라고도 한다), 및 오디오/비디오/그래픽 등 실데 데이터가 기록된 AV스트림 영역 (AV stream Area)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ser)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영역(Database Area)내의 메뉴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정보를 통해 재생을 원하는 AV스트림과 이의 재생방식을 결정하여 활용하게 된다.
도3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 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 사운드 (button sound)"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제1 실시예는 버튼(button)의 선택 및 커서(cursor)를 이용한 버튼간 이동시의 메뉴 사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사용된 "버튼(button)"의 의미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브(interactive)를 위해 화면내에 제공되는 일종의 아이콘(icon)으로서,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버튼이 가진 명령(command)대로 특정의 프로그램이 동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의미에서 본발명에서는 상기 버튼(button)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뉴 정보로 간주하여, 버튼 사운드 (button sound)를 메뉴 사운드 (menu sound)의 일종으로 명명한 것이다. 사용예에 따라서는 이를 "클릭 사운드 (click sound)"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상기 도3 에서의 메뉴 사운드를 설명하면, 예를들어,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복수의(예를들어, 5개) 버튼이 존재하고, 이중 가운데 버튼(center button)을 중심으로 각각 상(upper) 버튼(button), 하(lower) 버튼(button), 왼쪽(left) 버튼(button), 오른쪽(right) 버튼(button)이라고 정의하면, 각 버튼의 이동시에 특정의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사운드 정보(sound_id)를 부여하게 된다.
즉, 사용자 지시에 의해 동작하는 커서(cursor)가, 가운데 버튼(center button)으로부터 상(upper) 버튼(button)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에는 "button_sound_id = 3"을 부여하고, 가운데 버튼(center button)으로부터 하(lower) 버튼(button)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에는 "button_sound_id = 4"을 부여하고, 가운데 버튼(center button)으로부터 오른쪽(right) 버튼(button)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에는 "button_sound_id = 5"을 부여하고, 가운데 버튼(center button)으로부터 왼쪽(left) 버튼(button)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에는 "button_sound_id = 6"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화면내의 임의의 버튼에서 인접한 다른 버튼으로 이동시에 이동방향별 서로 상이한 버튼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메뉴 선택시의 주의를 환기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시각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청각적으로 상이한 버튼 사운드를 제공받음으로서, 더욱 편리하게 광디스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사용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동방향별 사운드를 모두 동일한 버튼 사운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경우는 버튼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를 이동방향별로 구별하지 않고 모두 동일한 값을 부여함으로서 구현될 것이다.
또한, 본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화면내의 각각의 버튼은 그 상태에 따라서도 특정의 버튼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버튼의 상태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 바, 예를들어 커서(cursor)의 위치가 해당 버튼과는 상관없는 경우는 "노말상태 (Normal)"가 되고 이때는 사운드가 제공되지 않을 것이나, 커서(cursor)의 위치가 해당 버튼위에 존재하는 "선택상태 (Selected)"가 되면, 해당 버튼위에 커서가 존재함을 알려주는 특정 버튼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 = 1)에 의해 지정된 버튼 사운드를 제공하고 되고, 나아가 해당 버튼을 클릭(click)하게 되면 "활성상태 (activated)"가 되면서 해당 버튼에 의한 프로그램을 실행함과 동시에 특정의 버튼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 = 2)에 의해 지정된 버튼 사운드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할 경우 화면내의 버튼의 선택시 뿐만 아니라 버튼간의 이동시에도 특정의 사운드를 제공함으로서 더욱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 버튼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는 각 버튼별로 이에 해당하는 파일정보내에 기록되어 있고, 광기록재생장치내의 제어부(도6, 12)는 상기 커서(cursor)의 이동을 확인하게 되면, 커서(cursor)의 이동에 해당되는 버튼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를 파일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특정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에 의해 지정된 버튼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버튼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를 파일정보내에 기록하는 방법과 확인된 버튼 사운드 정보를 이용한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6, 도7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4는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지 사운드 (page sound)"에 관한 것이다.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사용된 "메뉴 페이지(page)"의 의미는, 특정 메뉴가 화면을 바꾸어 연속적인 새로운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에 각각의 화면을 "메뉴 페이지"라고 명명하며, 블루레이 디스크(BD)의 경우는 멀티 페이지(Multi-page) 메뉴 및 팝업 메뉴 (PopUp menu)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에 따라, 메뉴 페이지간 이동은 빈번히 발생하는 기능이라 할것이다.
본발명의 제2 실시예는 메뉴 페이지 (menu page)의 이동시에 메뉴 사운드로서 페이지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들어, 도4는 타이틀(Title) 메뉴로부터 하위 챕터(chapter) 메뉴를 선택하는 멀티 페이지 메뉴를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사용자와의 인터액션 (interaction)을 수행하는 하나의 페이지 화면은 파일정보내에서 "ICS (Interactive Composition Segement)"로 명명하여 제공되어 지는 바, 각각의 페이지 화면을 순서대로 ICS #1 ~ ICS #4로 정의해 두었다.
우선, ICS #1은 초기 타이틀 메뉴로서 화면내에 3개의 타이틀 버튼을 구비한 경우로서, 사용자가 이중 타이틀 #1 버튼을 클릭(click)하면 타이틀 #1에 해당하는 하위 챕터(chapter) #1, #2가 구비된 ICS #2로 메뉴 페이지가 이동하게 되고, ICS #2에서 다음 페이지 (Next) 버튼이나 이전 페이지 (Previous) 버튼을 클릭하면 각각 ICS #3 또는 ICS #1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고, ICS #3과 ICS #4도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진다. 즉, ICS #3 에는 타이틀 #1에 해당하는 하위 챕터(chapter) #3, #4가 구비되고, ICS #4 에는 타이틀 #1에 해당하는 하위 챕터(chapter) #5, #6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 다음 페이지 (Next) 버튼 및/또는 이전 페이지 (Previous)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미도시하였으나 ICS #3 또는 ICS #4 에서 ICS #1 (Title menu)으로 바로 이동하는 버튼도 존재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발명은 상기 메뉴 페이지 (menu page)간의 이동시에도 특정의 메뉴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페이지간 이동방향별로 상이한 페이지 사운드 정보 (page_sound_id)를 구비하고, 해당하는 페이지 이동시에 특정의 사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의 페이지 사운드의 경우에도 페이지 이동방향별로 상이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동일한 페이지 사운드 정보 (page_sound_id)를 적용하여, 어느 경우에서나 페이지 이동시에는 동일한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다음(Next) 페이지 이동시와 이전(Previous) 페이지 이동시로 페이지 사운드를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도 하나의 페이지 화면내에 존재하는 버튼간에는 도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튼 사운드"를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5는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이스 사운드 (voice sound)"에 관한 것이다.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사용된 "보이스 사운드 (voice sound)"의 의미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선택(selected 상태)하면, 해당 버튼의 실행과 관련된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즉 버튼의 실행과 관련없는 임의 사운드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설정된 사람의 음성 또는 콘멘트(comment)나 배경음악등과 같이 해당 버튼을 직감할 수 있는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이스 사운드 (voice sound)는 전술한 "버튼 사운드(제1 실시예)"나 "페이지 사운드(제2 실시예)"에 비해 약간 장시간의 재생이 필요하며, 디스크 제작자(Author)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어 질 것이나, 최대 5초이내에 특정 버튼별 보이스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5에서는 일예로, 축구경기 (football)와 배구경기 (Volleyball)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되,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버튼의 실행과 관련된 보이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 특정의 보이스 사운드 정보(voice_sound_id)를 부여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보이스 사운드의 제공은 특정 버튼이 클릭되어 활성되기 이전인 선택상태(selected)에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의 보이스 사운드를 확인한 후, 최종 클릭을 통해 해당 버튼에 따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로서 전술한 제1 ~ 제3 실시예를 통해, 버튼의 선택, 버튼간 이동, 페이지 이동시에 임의의 사운드 또는 보이스 사운드를 제공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메뉴 이용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시각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다양한 메뉴 사운드를 제공함으로서 편리하게 광디스크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
도6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현하는 광기록재생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디스크내에 기록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관련 데이터를 메모리(15)에 프리로딩(preloading)하여 일시 저장해 둔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와 이에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1 실시예(도3)의 버튼 사운드 데이터와 제2 실시예(도4)의 페이지 사운드 데이터의 경우는 PCM(pusl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메모리(15)에 저장될 것이나, 제3 실시예(도5)의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의 경우는 인터액티브 그래픽 스트림 (interactive graphic stream)과 함께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AV스트림 파일(*.m2ts)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경우 미리 해당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여 메모리등에 일시저장한 후 해당 버튼의 선택시 저장된 보이스 사운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의 메뉴 선택 행위, 즉, 버튼을 실행하거나, 버튼간에 커서 (cursor)를 이동하거나, 메뉴 페이지를 이동하는 등의 인터액션(interaction)을 제어부(12)가 확인하게 되면, 이를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정보(button_sound_id , page_sound_id , voice_sound_id)로 변경하여 메모리내에 저장된 사운드 정보(sound_id)와 맵핑된 사운드 데이터를 오디오믹서 (Audio Mixer, 18)를 통해 오디오 출력부(19)로 출력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오디오믹서(18)는 AV디코더(17) 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오디오 (main Audio) 신호와 메모리(15) 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사운드 (menu sound)를 통합하여 오디오 출력부(19)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사용된 메모리(15)는 광기록재생장치내에 존재가능한 다양한 저장수단 (RAM, buffer 등)을 통칭하여 하나의 메모리(15)로 표현한 것으로서, 상이한 명칭을 가진 복수의 저장수단을 통해 본발명의 메모리(15)를 대체할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7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 정보를 파일정보내에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AV스트림 파일(*.m2ts)내의 "ICS (Interactive Composition Segment)" 정보내에 메뉴 사운드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ICS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와의 인터액션을 수행하는 인터액티브 그래픽 화면을 구성하는 개별 정보로 이루어진 단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ICS내에는 복수의 버튼 정보("button()")가 구비되고, 각각의 버튼은 고유의 버튼 넘버 (button_number)로 관리되어 진다.
즉, 버튼과 관련된 정보는 버튼 넘버(button_number)내에 고유의 버튼 관리정보로 기록되어 지는 바, 이는 다시 인접한 버튼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인접 버튼 정보" ("neighbor_info()")와, 해당 버튼의 "노말상태 정보" ("normal_state _info()")와, 해당 버튼의 "선택상태 정보" ("selected_state_info()")와, 해당 버튼의 "활성상태 정보" ("actioned_state_info()")로 구분되어 각각 기록되어 진다.
따라서, 본발명 제1 실시예(도3)의 버튼 사운드 정보는 특히, 버튼의 이동에 따른 사운드 정보를 의미하므로 인접 버튼 정보 ("neighbor_info()")내에 기록하거나 선택상태 정보 ("selected_state_info()")내에 기록하는 방식이 모두 가능하고, 각각의 방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즉, 버튼간 이동에 따른 버튼 사운드 정보를 인접 버튼 정보 ("neighbor_ info()")내에 기록하는 경우는 (ex. 1), 현재 버튼을 기준으로 각각 상 버튼(upper button), 하 버튼(lower button), 왼쪽 버튼(left button), 오른쪽 버튼(right button)의 넘버(number)을 기록하고, 해당 버튼 넘버로 이동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사운드 정보를 각각 기록하여 둔다. 따라서, "upper_button_sound_id"는 현재 버튼에서 커서(cursor)를 상(upper)방향으로 이동시에 제공되는 사운드 정보를 의미하고, "lower_button_sound_id"는 현재 버튼에서 커서(cursor)를 하(lower)방향으로 이동시에 제공되는 사운드 정보를 의미하고, "left_button_sound_id"는 현재 버튼에서 커서(cursor)를 왼쪽(left)방향으로 이동시에 제공되는 사운드 정보를 의미하고, "right_button_sound_id"는 현재 버튼에서 커서(cursor)를 오른쪽(right)방향으로 이동시에 제공되는 사운드 정보를 의미하게 된다. 만약 현재 버튼으로부터 이동가능한 버튼이 왼쪽(left) 방향 뿐이라면, "left_button_number"와 "left_button _sound_id"만이 정상값으로 기록되어 질 것이고, 나머지 필드의 값은 해당 방향의 버튼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기정의된 값 (예를들어, 현재 버튼 넘버와 동일한 값)이 기록되어 질 것이다.
또한, 버튼간 이동에 따른 버튼 사운드 정보를 선택상태 정보 ("selected_ state_info()")내에 기록하는 경우는 (ex. 2), 현재 버튼의 선택상태가 되었을때의 기본 사운드 정보 (default_sound_id)와 현재 버튼이 어느 버튼으로부터 이동해 왔는지를 알려주는 이전 버튼 정보 (from_button1_number와 from_button2_number, 2군데에서 이동가능한 경우)와 각각의 버튼 사운드 정보 (from_button1_sound_id와 from _button2_sound_id)를 기록해 둔다. 따라서, 커서(cursor)가 이전 버튼 #1 (from_button1_number)으로부터 이동하여 현재 버튼의 선택상태가 되었다면, 이전 버튼 #1 사운드 정보 (from_button1_sound_id)에 의해 지정된 사운드 데이터가 제공되어 질것이다.
또한, 본발명 제2 실시예(도4)의 페이지 사운드 정보는 특히, 메뉴 페이지간의 이동에 따른 사운드 정보를 의미하므로 버튼 정보와는 별도로 ICS별로 하나의 페이지 사운드 정보(page_sound_id)를 구비하여 해당 페이지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또는 다른 페이지로부터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 온 경우에 각각 페이지 사운드 정보(page_sound_id)가 지정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의 이동성을 표현 가능하도록 복수의 페이지 사운드 정보(page_sound_id)를 ICS내에 정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사용예에 따라서는 페이지 사운드 정보(page_sound_id)를 별도로 이용하지 않고, 다른 사운드 정보를 이용 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예를들어 새로운 페이지로 전환되는 경우, 이를 지정하는 버튼정보("button()")내의 선택상태 정보 ("selected_ state_info()")내에서 기본 사운드 정보 (default_sound_id)를 페이지 사운드 정보(page_sound_id)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발명 제3 실시예(도5)의 보이스 사운드 정보는, 특정 버튼의 선택상태시에 해당하는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ICS()내의 버튼정보("button ()")내의 선택상태 정보 ("selected_state_info()")내에 보이스 사운드 정보(voice_sound_id)로 기록해 둔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는 버튼 사운드나 페이지 사운드와 비교시 장시간(예를들어 최고 5초)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데이터로 인터액티브 그래픽 스트림상에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되어 기록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할 것인 바, 이경우에는 선택상태 정보 ("selected_state _info()")내에 해당 버튼의 선택상태에 대응한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정보 (voice _sound_existence)를 구비함으로서, 광기록재생장치는 해당 정보(voice_sound _existence)가 검출되면 인터액티브 그래픽 스트림상에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되어 기록된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8, 도9는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온/오프("on/off")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메뉴 사운드의 온/오프("on/off")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특정의 재생구간에서는 전술한 상기 제1 ~제3 실시예와 같은 메뉴 사운드를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오히려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기능일 수도 있으므로, 이경우 사용자가 스스로 메뉴 사운드 기능을 오프(off) 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반대의 경우 메뉴 사운드가 오프(off)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를 온(on)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디스크 제작자 (Author)도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시 특정 재생구간은 메뉴 사운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것(off)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재생구간을 광기록재생장치가 재생시에는 시스템적으로 메뉴 사운드가 자동 오프(off)되도록 설정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할것이다.
도8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 상태를 변경가능한 광기록재생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디스크내에 기록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메뉴 사운드 설정상태 정보를 메모리(15)에 프리로딩(preloading)하여 일시 저장해 둔다. 즉, 특정의 레지스터(register) 정보로서 현재 로딩된 광디스크의 재생 설정상태를 저장하게 되는 바, 이에는 메뉴 사운드 상태 (Menu sound)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광기록재생장치가 로딩된 광디스크로부터 메뉴 사운드 설정상태가 온(on)임을 확인하였으면 해당 레지스터(register)를 온(on)으로 설정해 두게 된다. 이후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메뉴 사운드를 해제 (off)하는 명령이 전달되면 해당 레지스터(register)를 오프(off)로 설정한 후 이후 재생시에는 메뉴 사운드를 제공하지 않게 된다.
관련하여, 도9는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의 변경허용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파일정보내에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특히, 이는 사용자 명령 (UO ; User Operation)에 의해 메뉴 사운드 상태 변경을 허용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내 파일정보에는 사용자 명령을 허용하는 지를 표시하는 "UO(User Operation)_mask_Table"이 플레이리스트내의 AppInfoPlayList() 및 PlayItem()과 전술한 ICS() 등에 각각 존재하고, 모든 "UO_mask_Table"내의 정보가 허용 (permission)상태로 되어야 해당 사용자 명령이 허용되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특정의 재생구간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 변경을 허용 (permission)하거나 금지(forbiden)하기 위해서, 디스크 제작자(Author)는 "UO_mask_Table"내에 "menu_sound_mask" 정보를 구비하여 메뉴 사운드 설정의 변경허용 여부를 표시한 정보로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즉, "UO_mask_Table"내에 새로운 정보로서, "menu_sound_mask" 필드를 도입하고, "menu_sound_mask = 0"이면 메뉴 사운드의 설정 변경을 허용(permission)하는 구간임을 의미하고, "menu_sound_mask = 1"이면 메뉴 사운드의 설정 변경을 금지(forbiden)하는 구간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해 둔다.
또한, 사용자(User) 또는 디스크 제작자(Author)에 의하여 설정되는 "UO(User Operation)"로서, "menu_sound_on()" , "menu_sound_off()"를 새롭게 정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 가능하도록 하거나,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디스크 제작시 해당 제어상태를 미리 설정하게 할수 있다.
상기 도8과 도9를 통해 디스크 제작자(Author)는 본발명의 고밀도 광디스크를 제작시 특정 재생구간별로 메뉴 사운드 설정을 스스로 변경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변경을 허용하거나, 또는 금지하는 모든 방법을 활용할 수 있어 메뉴 사운드를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할 것이다.
도10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현하는 제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디스크내에 메뉴 사운드 정보 (sound_id)와 관련된 메뉴 사운드 데이터가 모두 없거나, 또는 메뉴 사운드 정보 (sound_id)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시스템 메모리(15-1)를 활용하여 메뉴 사운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광디스크내에는 기정의된 메뉴 사운드 정보 (sound_id)만이 존재하고, 상기 사운드 정보 (sound_id)에 관련된 메뉴 사운드 데이터는 디스크내에 기록하지 않고, 광기록재생장치내의 특정 메모리 (이를 시스템 메모리(15-1)라고 명명한다)내에 저장해 둠으로서, 사용자의 버튼 선택이나, 페이지 이동시에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시스템 메모리(15-1)로부터 출력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방식이 된다.
또한, 광디스크내에 아무런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광기록재생장치의 제어부(12)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시, 관련된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를 발생하여 시스템 메모리(15-1)를 활용하여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제작자(Author)는 광디스크내에 기정의된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만을 기록해두고(또는 기록해두지 않고), 메뉴 사운드 데이터는 기록하지 않아도 되어, 디스크 제작에 편리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반면, 상기의 경우 광기록재생장치는 시스템 메모리(15-1)에 저장된 메뉴 사운드 데이터만을 제공하게 될것이고, 이는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다양한 사운드를 직접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활용이 어려운 점이 있다 할것이다.
관련하여, 도11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현하는 제5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본적인 메뉴 사운드는 광기록재생장치내의 시스템 메모리(15-1)로부터 제공됨과 아울러,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광디스크내에 별도의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를 기록해 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즉, 디스크 제작자(Author)는 기본적인 메뉴 사운드 기능은 광기록재생장치내의 시스템 메모리(15-1)등을 활용하도록 메뉴 사운드 정보만을 정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메모리(15-1)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적인 다양한 메뉴 사운드에 대해서는 직접 메뉴 사운드 정보와 데이터를 정의하여 광디스크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가진 시스템 메모리(15-1)가 구비된 광기록재생장치내에, 상기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별도 정의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광기록재생장치는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메뉴 사운드 정보와 관련된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메모리(15-2)에 일시저장해두고, 사용자의 메뉴 선택을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를 우선 디스크 제작자 (Author)가 별도 정의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가 일시저장된 메모리(15-2)로부터 우선 제공하되, 디스크 제작자(Author)로부터 정의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 시스템 메모리(15-1)에 저장된 메뉴 사운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예를들어, 시스템 메모리(15-1)에는 특정 버튼의 활성상태(activation)에 대한 메뉴 사운드 만이 정의되어 있고, 버튼간 이동 및 페이지 이동은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별도 정의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에 의해 정의 된 경우,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클릭(activation)하면 시스템 메모리(15-1)내에 정의된 메뉴 사운드 정보가 제공되어 질 것이나, 버튼간 이동시나 페이지 이동시에는 메모리 (15-2)에 정의된 메뉴 사운드가 제공되어 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예를 활용하면, 시스템 메모리(15-1)내에는 기본적인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만을 제공하고, 나머지 추가적이고 다양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는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별도 정의하여 디스크내에 기록해 둠으로서, 더욱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참고로 도11에서 적용된 두개의 메모리 (15-1, 1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메모리내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독립된 메모리로 구현하되, 서로 상이한 명칭(예를들어, ROM, RAM)으로 정의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 것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며, 또한, 도11에서 시스템 메모리(15-1)와 일시저장 메모리(15-2)에 서로 상이한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가 정의된 경우를 도시하 였으나, 동일한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가 두개의 메모리 (15-1, 15-2)에 모두 정의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제작자(Author)에 의해 정의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메모리(15-2)가 우선 적용되어 질 것이다.
도12는 본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의 전체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 및 메뉴 사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픽업부(11)와 픽업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픽업부(11)로 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상기 메뉴 사운드 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를 일시저장하여 활용가능하도록 하는 메모리(15)와,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이 기본적으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를 포괄하여 "기록재생부"라고 하기도 한다.
또한, AV디코더(17)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출력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AV인코더 (18)는 광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들어 엠펙2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기록재생부내의 신호처리부 (13)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2)는 전체 광기록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서, 사용자의 특정 메뉴 선택시, 메뉴 선택에 해당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AV디코더(17)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이 특정 버튼(current button)에서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이동하는 제1 실시예(도3)의 경우이거나, 또는 특정 메뉴 페이지(current menu page)에서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 이동하는 제2 실시예(도4)의 경우에는, 해당 사운드 정보(sound_id 또는 page_sound_id)에 의해 지정된 PCM데이터를 출력하게 될 것이고, 또는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해당하는 특정 버튼이 해당 버튼(button)의 속성을 나타내는 보이스 (voice) 사운드를 제공하는 제3 실시예(도5)의 경우에는 해당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를 그래픽 스트링상에 독출하여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15)는 본발명의 제4 실시예(도10) 또는 제5 실시예(도11)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시스템 메모리(15-1)와 디스크로부터 프리로드(preloaded) 된 메뉴 데이터가 일시저장되는 메모리(15-2)로 활용되어 질 것임은 자명하다 할것이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과 재생방법 및 장치를 통해,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메뉴 정보를 다양한 사운드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되어, 고밀도 광디스크의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고, 특히, 시각적인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게도 효율적으로 메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게 된다.
도1은 본발명의 고밀도 광디스크의 파일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발명의 고밀도 광디스크에의 데이터 기록형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지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이스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현하는 간략화된 광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7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 정보가 기록된 파일정보내의 신택스(syntax)를 도시한 것이고,
도8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 설정 변경을 구현하는 간략화된 광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9는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 설정 변경의 허용여부를 표시하는 정보가 기록된 파일정보내의 신택스(syntax)를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메모리를 이용한 메뉴 사운드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11은 본발명의 메뉴 사운드를 구성하는 제5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메모리와 일시저장 메모리를 이용한 메뉴 사운드의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12는 본발명의 전체 광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픽업 12 : 제어부
13 : 신호처리부 15 : 메모리
17 : AV디코더 18 : 오디오믹서
19 : 오디오 출력부
15-1 : 시스템 메모리
15-2 : 일시저장 메모리

Claims (30)

  1. 화면 일측에 복수의 버튼(button)을 구비하고,
    특정 버튼(current button)에서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이동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이동은, 상(upper), 하(lower), 좌(left), 우(right) 방향으로 구성하고 이동방향별 사운드를 달리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이동은, 상(upper), 하(lower), 좌(left), 우(right) 방향으로 구성하고 모두 동일한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특정 버튼(current button)이 선택(selected)되거나, 활성(activated)되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운드는 AV스트림 파일(*.m2ts)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6. 복수의 메뉴 페이지 (menu page)을 구비하고,
    특정 메뉴 페이지(current menu page)에서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 이동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 이동은, 이전(previous), 이후(next) 방향으로 구성하고 이동방향별 사운드를 달리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 이동은, 이전(previous), 이후(next) 방향으로 구성하고 모두 동일한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운드는 AV스트림 파일(*.m2ts)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10. 화면 일측에 버튼(button)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button)의 선택(selected)시에 기설정된 사운드를 제공하되, 상기 사운드는 해당 버튼(button)의 속성을 나타내는 보이스(voice) 사운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voice) 사운드는 최대 5초이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voice) 사운드는 AV스트림 파일(*.m2ts)내의 인터액티브 그래픽 스트림 (interactive graphic stream)과 함께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뉴 사운드의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광디스크 파일정보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운드의 변경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는, 광디스크내 특정 재생구간별로 해당 재생구간과 관련된 파일정보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15. 특정 버튼(current button)에서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커서(cursor)의 이동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방향별로 설정된 사운드 정보(sound_id)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운드 정보에 해당하는 버튼 사운드 (button sound)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16. 특정 메뉴 페이지 (menu page)에서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의 이동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방향별로 설정된 사운드 정보(page_sound_id)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운드 정보에 해당하는 페이지 사운드 (page sound)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17. 버튼(button)별로 버튼 (button)의 속성을 나타내는 보이스 사운드 정보 (voice_sound)를 구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버튼(button)이 선택(selected)되면, 보이스 사운드 정보 (voice_sound)를 구비하고 있는 버튼(button)인 경우는 해당 보이스 사운드 데이터를 AV스트림으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18. 로딩된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에 따라 메뉴 사운드를 재생하되,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 변경명령이 있으면, 해당 메뉴 사운드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에 따라 메뉴 사운드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 변경명령은, 사용자(user)로부터 전달 받은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 변경명령은, 디스크 제작자(Author)가 기설정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내의 특정 재생구간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 변경의 허용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해당 재생구간과 관련된 파일정보로부터 독출하여, 해당 재생구간에서의 메뉴 사운드 설정 상태 변경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22. 특정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에 연관된 메뉴 사운드 데이터가 저장된 시스템 메모리를 구비한 광기록재생장치에서,
    사용자의 특정 메뉴 선택시,메뉴 선택에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에 연관된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메뉴 사운드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운드 정보(sound_id)는 로딩된 광디스크로부터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재생방법.
  24. 로딩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메모리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와,
    사용자의 특정 메뉴 선택시, 메뉴 선택에 해당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오디오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은, 특정 버튼(current button)에서 인접한 버튼(neighbor button)으로 이동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은, 특정 메뉴 페이지(current menu page)에서 인접한 메뉴 페이지(neighbor menu page)로 이동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에 의해 해당 버튼(button)의 속성을 나타내는 보이스 (voice)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28. 특정 메뉴 사운드 정보 및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 메모리와, 로딩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일시저장 메모리와,
    사용자의 특정 메뉴 선택시, 메뉴 선택에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중 어느하나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광디스크에 메뉴 사운드 정보 및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시스템 메모리로부터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 사운드 정보 및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 메모리와, 로딩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메뉴 사운드 정보 및 해당하는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일시저장 메모리에 동일한 메뉴 사운드 정보가 기록된 경우에는 일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메뉴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KR1020040000634A 2004-01-06 2004-01-06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50072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634A KR20050072256A (ko) 2004-01-06 2004-01-06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1020067015902A KR101084150B1 (ko) 2004-01-06 2004-08-26 사운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와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EP04774410A EP1704567B1 (en) 2004-01-06 2004-08-26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sound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AT04774410T ATE540405T1 (de) 2004-01-06 2004-08-26 Aufzeichnungsmedium mit datenstruktur zur verwaltung von tondaten und aufzeichnungs- und wiedergabeverfahren und -vorrichtungen
PCT/KR2004/002149 WO2005065052A2 (en) 2004-01-06 2004-08-26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sound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2004800398761A CN1902705B (zh) 2004-01-06 2004-08-26 具有管理声音数据的数据结构的记录介质以及记录和再现方法及装置
US10/927,085 US8630725B2 (en) 2004-01-06 2004-08-27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sound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
TW093128672A TWI315869B (en) 2004-01-06 2004-09-22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sound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634A KR20050072256A (ko) 2004-01-06 2004-01-06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256A true KR20050072256A (ko) 2005-07-11

Family

ID=368477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634A KR20050072256A (ko) 2004-01-06 2004-01-06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1020067015902A KR101084150B1 (ko) 2004-01-06 2004-08-26 사운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와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902A KR101084150B1 (ko) 2004-01-06 2004-08-26 사운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와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30725B2 (ko)
EP (1) EP1704567B1 (ko)
KR (2) KR20050072256A (ko)
CN (1) CN1902705B (ko)
AT (1) ATE540405T1 (ko)
TW (1) TWI315869B (ko)
WO (1) WO20050650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5137B2 (en) 2000-03-16 2014-02-04 Apple Inc. Fast, language-independent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y voice
EP1641259B1 (en) * 2003-06-30 2009-09-02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US7757173B2 (en) * 2003-07-18 2010-07-13 Apple Inc. Voice menu system
KR100782808B1 (ko) * 2004-01-13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렉티브 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저장 매체 및 그 재생장치
KR101226487B1 (ko) * 2004-12-01 2013-01-28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US20060241945A1 (en) * 2005-04-25 2006-10-26 Morales Anthony E Control of settings using a command rotor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20080229206A1 (en) * 2007-03-14 2008-09-18 Apple Inc. Audibly announcing user interface elements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9330720B2 (en) 2008-01-03 2016-05-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US8996376B2 (en) 2008-04-05 2015-03-31 Apple Inc.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US10496753B2 (en) 2010-01-18 2019-12-03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20100030549A1 (en) 2008-07-31 2010-02-04 Lee Michael M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US9959870B2 (en) 2008-12-11 2018-05-01 Apple Inc. Speech recognition involving a mobile device
US10241644B2 (en) 2011-06-03 2019-03-26 Apple Inc. Actionable reminder entries
US10241752B2 (en) 2011-09-30 2019-03-26 Apple Inc.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US20120311585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Organizing task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9858925B2 (en) 2009-06-05 2018-01-02 Apple Inc.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US9431006B2 (en) 2009-07-02 2016-08-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ES2359902B1 (es) * 2009-11-18 2012-04-16 Universidad Carlos Iii De Madrid Sistema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sonora multimicrofónica con seguimiento y localización de puntos de interés en un escenario.
US10679605B2 (en) 2010-01-18 2020-06-09 Apple Inc. Hands-free list-reading b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705794B2 (en) 2010-01-18 2020-07-07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10553209B2 (en) 2010-01-18 2020-02-0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free notification summaries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682667B2 (en) 2010-02-25 2014-03-25 Apple Inc.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US10762293B2 (en) 2010-12-22 2020-09-01 Apple Inc. Using parts-of-speech tagging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spelling correction
US9262612B2 (en) 2011-03-21 2016-02-16 Apple Inc.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US8994660B2 (en) 2011-08-29 2015-03-31 Apple Inc. Text correction processing
US10134385B2 (en) 2012-03-02 2018-11-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US9483461B2 (en) 2012-03-06 2016-11-01 Apple Inc. Handling speech synthesis of content for multiple languages
US9280610B2 (en) 2012-05-14 2016-03-08 Apple Inc. Crowd sourcing information to fulfill user requests
US9721563B2 (en) 2012-06-08 2017-08-01 Apple Inc. Name recognition system
US9495129B2 (en) 2012-06-29 2016-11-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voice-activated navigation and browsing of a document
US9576574B2 (en) 2012-09-10 2017-02-21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by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US9547647B2 (en) 2012-09-19 2017-01-17 Apple Inc. Voice-based media searching
DE212014000045U1 (de) 2013-02-07 2015-09-24 Apple Inc. Sprach-Trigger für einen digitalen Assistenten
US9368114B2 (en) 2013-03-14 2016-06-14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WO2014144949A2 (en) 2013-03-15 2014-09-18 Apple Inc. Training an at least partial voice command system
WO2014144579A1 (en) 2013-03-15 2014-09-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 adaptive speech recognition model
US9582608B2 (en) 2013-06-07 2017-02-28 Apple Inc. Unified ranking with entropy-weighted information for phrase-based semantic auto-completion
WO2014197336A1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WO2014197334A2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ed pronunciation of words for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WO2014197335A1 (en) 2013-06-08 2014-12-11 Apple Inc.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DE112014002747T5 (de) 2013-06-09 2016-03-03 Apple Inc.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m Ermöglichen einer Konversationspersistenz über zwei oder mehr Instanzen eines digitalen Assistenten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CN105265005B (zh) 2013-06-13 2019-09-17 苹果公司 用于由语音命令发起的紧急呼叫的***和方法
AU2014306221B2 (en) 2013-08-06 2017-04-06 Apple Inc. Auto-activating smart responses based on activities from remote devices
KR102170827B1 (ko) 2013-11-22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음향출력장치 및 음향출력장치의 구동방법
US9620105B2 (en) 2014-05-15 2017-04-11 Apple Inc. Analyzing audio input for efficient speech and music recognition
US10592095B2 (en) 2014-05-23 2020-03-17 Apple Inc. Instantaneous speaking of content on touch devices
US9502031B2 (en) 2014-05-27 2016-11-22 Apple Inc. Method for supporting dynamic grammars in WFST-based ASR
US10289433B2 (en) 2014-05-30 2019-05-14 Apple Inc. Domain specific language for encoding assistant dialog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633004B2 (en) 2014-05-30 2017-04-25 Apple Inc.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US9760559B2 (en) 2014-05-30 2017-09-12 Apple Inc. Predictive text input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85630B2 (en) 2014-05-30 2017-10-10 Apple Inc.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N-gram and unigram language models
EP3149728B1 (en) 2014-05-30 2019-01-16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10078631B2 (en) 2014-05-30 2018-09-18 Apple Inc. Entropy-guided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and character n-gram language models
US9430463B2 (en)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734193B2 (en) 2014-05-30 2017-08-15 Apple Inc. Determining domain salience ranking from ambiguous words in natural speech
US9842101B2 (en) 2014-05-30 2017-12-12 Apple Inc. Predictive conversion of language input
US10659851B2 (en) 2014-06-30 2020-05-19 Apple Inc. Real-time digital assistant knowledge updates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10446141B2 (en) 2014-08-28 2019-10-15 Apple Inc.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ased on user feedback
US9818400B2 (en) 2014-09-11 2017-11-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US10789041B2 (en) 2014-09-12 2020-09-29 Apple Inc. Dynamic thresholds for always listening speech trigger
US9646609B2 (en) 2014-09-30 2017-05-09 Apple Inc. Caching apparatus for serving phonetic pronunciations
US9886432B2 (en) 2014-09-30 2018-02-06 Apple Inc. Parsimonious handling of word inflection via categorical stem + suffix N-gram language models
US10074360B2 (en) 2014-09-30 2018-09-11 Apple Inc.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US9668121B2 (en) 2014-09-30 2017-05-30 Apple Inc. Social reminders
US10127911B2 (en) 2014-09-30 2018-11-13 Apple Inc.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US10552013B2 (en) 2014-12-02 2020-02-04 Apple Inc. Data detection
US9711141B2 (en) 2014-12-09 2017-07-18 Apple Inc. Disambiguating heteronyms in speech synthesis
US9865280B2 (en) 2015-03-06 2018-01-09 Apple Inc. Structured dictation using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10567477B2 (en) 2015-03-08 2020-02-18 Apple Inc.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9899019B2 (en) 2015-03-18 2018-02-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uctured stem and suffix language models
US9842105B2 (en) 2015-04-16 2017-12-12 Apple Inc. Parsimonious continuous-space phrase representation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083688B2 (en) 2015-05-27 2018-09-25 Apple Inc.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US10127220B2 (en) 2015-06-04 2018-11-13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from short strings
US10101822B2 (en) 2015-06-05 2018-10-16 Apple Inc. Language input correction
US9578173B2 (en) 2015-06-05 2017-02-21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186254B2 (en) 2015-06-07 2019-01-22 Apple Inc. Context-based endpoint detection
US10255907B2 (en) 2015-06-07 2019-04-09 Apple Inc. Automatic accent detection using acoustic models
US11025565B2 (en) 2015-06-07 2021-06-01 Apple Inc.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9697820B2 (en) 2015-09-24 2017-07-04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concatenation-sensitive neural networks
US11010550B2 (en) 2015-09-29 2021-05-18 Apple Inc. Unified language modeling framework for word prediction, auto-completion and auto-correction
US10366158B2 (en) 2015-09-29 2019-07-30 Apple Inc. Efficient word encoding for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US11587559B2 (en) 2015-09-30 2023-02-21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049668B2 (en) 2015-12-02 2018-08-14 Apple Inc.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446143B2 (en) 2016-03-14 2019-10-15 Apple Inc. Identification of voice inputs providing credentials
US9934775B2 (en) 2016-05-26 2018-04-03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based on predicted concatenation parameters
US9972304B2 (en) 2016-06-03 2018-05-15 Apple Inc. Privacy preserving distributed evaluation framework for embedded personalized systems
US10249300B2 (en) 2016-06-06 2019-04-02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049663B2 (en) 2016-06-08 2018-08-14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DK179588B1 (en) 2016-06-09 2019-02-2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HOME ENVIRONMENT
US10509862B2 (en) 2016-06-10 2019-12-17 Apple Inc. Dynamic phrase expansion of language input
US10192552B2 (en) 2016-06-10 2019-01-29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whispered speech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US10067938B2 (en) 2016-06-10 2018-09-04 Apple Inc. Multilingual word prediction
US10490187B2 (en) 2016-06-10 2019-11-26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automated status repor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049B1 (en) 2016-06-11 2017-09-18 Apple Inc Data driven natural language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DK179343B1 (en) 2016-06-11 2018-05-14 Apple Inc Intelligent task discovery
US10043516B2 (en) 2016-09-23 2018-08-0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593346B2 (en) 2016-12-22 2020-03-17 Apple Inc. Rank-reduced token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K201770439A1 (en) 2017-05-11 2018-12-13 Apple Inc. Offline personal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201770431A1 (en) 2017-05-15 2018-12-20 Apple Inc. Optimizing dialogue policy decisions for digital assistants using implicit feedback
DK201770432A1 (en) 2017-05-15 2018-12-21 Apple Inc. Hierarchical belief states for digital assistants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5187A (en) * 1979-02-05 1984-04-24 Best Robert M Video games with voice dialog
US5537141A (en) * 1994-04-15 1996-07-16 Actv, Inc. Distance learning system providing individual television participation, audio responses and memory for every student
US6009234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TW430785B (en) * 1995-04-14 2001-04-21 Toshiba Corp Interactively broadcasting recording-media and its regeneration system
US5682511A (en) * 1995-05-05 1997-10-28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viewer interface for an interactive network system
CN100364009C (zh) * 1995-08-21 2008-0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生设备及记录方法
US6314556B1 (en) * 1997-11-07 2001-11-06 Deroyal Business Systems, Llc Modular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tilizing reusable software objects
JPH11205718A (ja) * 1998-01-07 1999-07-30 Hitachi Ltd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US6453459B1 (en) * 1998-01-21 2002-09-17 Apple Computer, Inc. Menu auth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low-level DVD configuration functions and thereby ease an author's job
US7032236B1 (en) * 1998-02-20 2006-04-18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system for processing program guides and associated multimedia objects
US7113694B2 (en) * 1998-08-18 2006-09-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naging navigation information in rewrit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for
US6825875B1 (en) * 1999-01-05 2004-11-30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Hybrid recording unit including portable video recorder and auxillary device
US6286001B1 (en) * 1999-02-24 2001-09-04 Doodlebug Onlin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ccess to data on content servers in a distributed network
US6642939B1 (en) * 1999-03-30 2003-11-04 Tivo, Inc. Multimedia schedule presentation system
US6453420B1 (en) * 1999-04-21 2002-09-17 Research Investment Network,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uthorizing the use of electronic content utilizing a laser-centric medium
US6385739B1 (en) * 1999-07-19 2002-05-07 Tivo Inc. Self-test electronic assembly and test system
JP2001275089A (ja) * 2000-03-27 2001-10-05 Toshiba Corp ディジタルビデオ記録媒体並びにディ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再生装置
US6951516B1 (en) * 2001-08-21 2005-10-04 Nintend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communications using discrete video game platforms
KR100448452B1 (ko) * 2000-06-09 2004-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 기록매체의 메뉴 지원방법
US7245719B2 (en) * 2000-06-30 2007-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optical disk,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20082730A1 (en) * 2000-12-21 2002-06-27 Microsoft Corporation Universal media player
US6925594B2 (en) * 2001-02-28 2005-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aving selected hyperlinks for retrieval of the hyperlinked documents upon selection of a finished reading button in a web browser
US6950993B2 (en) * 2001-08-02 2005-09-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nd dynamic layout of resizable dialog type windows
US20040056894A1 (en) * 2002-09-19 2004-03-25 Igor Zaika System and method for describing and instantiating extensible user interfaces
JP4442564B2 (ja) * 2002-11-28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510980B (zh) 2003-01-31 2011-06-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记录方法以及再现方法
EP1619891B1 (en) * 2003-02-28 2010-06-02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EP1463052A1 (en) * 2003-03-25 2004-09-2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representing animated menu buttons
WO2004102423A1 (en) * 2003-05-14 2004-11-25 Dharamdas Gautam Goradia Interactive system for building and sharing databank
US20040235520A1 (en) * 2003-05-20 2004-11-25 Cadiz Jonathan Jay Enhanced telephony computer user interface allowing user interaction and control of a telephone using a personal computer
PT1940166E (pt) * 2003-07-03 2011-02-07 Panasonic Corp Meio de gravação, instrumento de reprodução, método de gravação, circuito integrado, programa, e método de reprodução
US7293227B2 (en) * 2003-07-18 2007-11-06 Microsoft Corporation Associating image files with media content
US8068718B2 (en) * 2003-09-02 2011-11-29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system integration circuit, program,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0725B2 (en) 2014-01-14
WO2005065052A2 (en) 2005-07-21
KR20070005591A (ko) 2007-01-10
EP1704567B1 (en) 2012-01-04
WO2005065052A3 (en) 2005-09-15
TW200523904A (en) 2005-07-16
KR101084150B1 (ko) 2011-11-17
CN1902705A (zh) 2007-01-24
ATE540405T1 (de) 2012-01-15
US20050149214A1 (en) 2005-07-07
TWI315869B (en) 2009-10-11
CN1902705B (zh) 2012-07-04
EP1704567A2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2256A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사운드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US8358905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graphic informati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20060065474A (ko) 로컬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050072255A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서브타이틀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JP4880765B2 (ja) グラフィック情報を管理する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43284A (ko) 기록매체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KR101092451B1 (ko) 그래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와 기록 및 재생 방법
KR101008624B1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파일 구성방법 및 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50089353A (ko) 고밀도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데이터 파일 구성 방법 및재생 방법과 장치
KR20060136442A (ko) 기록매체와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