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561A -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561A
KR20050051561A KR1020040097376A KR20040097376A KR20050051561A KR 20050051561 A KR20050051561 A KR 20050051561A KR 1020040097376 A KR1020040097376 A KR 1020040097376A KR 20040097376 A KR20040097376 A KR 20040097376A KR 20050051561 A KR20050051561 A KR 2005005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eparation
air
wall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비앙 다비드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5005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부에 의해 발생된 기류(F)에 이끌려온 오물들을 분리하여 수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접선방향을 따라 오물 분리실 로 연결되는 공기 흡입 튜브를 포함하고, 분리실의 중앙에는 다수의 개구(14)를 갖는 도관(6)이 구비되며, 이 도관(6)은 흡입부와 연결되고, 분리실은 오물 수집용기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도관(6)이 분리실을 향하여 공기의 이동방향(F)을 따라 기울어진 벽들(16)을 포함하고, 상기 각 벽(16)의 단부에는 편평하고 아래의 도관(6)과 평행을 이루는 개구(18)를 포함하며, 상기 도관(6)의 개구(14)는 벽(16)의 개구(18)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DEVICE OF SEPARATION OF THE GARBAG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흡입형 청소 장치, 더 상세하게는 원심분리 방식에 의한 오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분리실에서 공기가 회전하며 중앙의 도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일반적인 원통형 분리실을 구비하는 오물 분리 장치를 개량하는데 있다.
프랑스 특허 FR 2 786 682에 이러한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중앙 도관에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의 축은 거의 방사상으로 나 있다. 오물 수집 상자가 중앙도관 아래에 배치되며 분리실을 차단한다.
따라서, 주 흡입부를 작동시키면, 청소 중인 바닥의 오물들은 도관을 통해 흡입된다. 이 도관은 일반적으로 끝에 노즐이 달려 있고 분리실로 연결된다. 오물을 실은 기류는 그 후 접선 방향으로 분리실 내부로 들어간다.
여기서, 가장 무거운 오물들은 원심분리 효과 및 또한 구멍 뚫린 도관으로 이루어진 벽에 의해 주된 기류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오물들은 오물 수집용기 안으로 떨어진다.
특허출원 WO 03/047412는 내부 공간이 거의 원통형인 오물 분리실에 접선방형으로 연결되는 공기 흡입관을 포함하는 오물 분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이 원통형 분리실에 관한 것으로, 이 분리실은 특히 중앙부에 원통형 분리 그리드(grid)를 구비한다. 이 그리드는 흡입부에 연결된 도관과 분리실을 구분짓는데, 상기 도관은 특히 여과부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실은 방사상 방향으로 오물 배출관을 가지며, 이 오물 배출관은 원심분리된 오물을 수집하는 밀폐 용기에 연결된다. 이 오물 배출관 또한 접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된 문헌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주 흡입부를 작동시키면 오물을 실은 기류는 장치의 다양한 부품의 외형, 특히 분리실 부근의 좁은 통로를 지나면서 높은 속도로 가속되어 분리실로 들어간다.
여기서, 가장 무거운 오물들은 원심분리 효과와 원통형 그리드(grid)에 의해 주 기류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이 오물들은 배출관을 통해 밀폐용기 안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장치는 비교적 오물의 분리 효과가 좋은데, 이는 분리실 내의 공기의 높은 속도를 고려할 때, 그리고 흡입된 공기가 원통형 그리드에 접선방향으로 들어와 상기 원통형 그리드 내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서 지나가야 한다는 점(이는 평균 4분의 1바퀴에 가까운 방향의 변화를 뜻한다) 때문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분리장치의 개량형이 일본특허 JP 11290724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도관의 구멍들은 구를 4등분 한 형태의 벽에 의해 가려져 있다. 첨부 도면 1, 2a 및 2b는 종래 기술에서의 발전을 보여준다. 도 1은 분리실의 원심분리 방식의 원리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공기는 접선방향으로 분리실(2)로 들어가, 중앙 도관(6) 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4)로 유입된다. 분리된 오물들(8)은 용기(10) 안으로 떨어진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분리기의 개구(4) 위치에서, 공기의 경로를 실선으로 입자들은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공기는 거의 90°로 기울어진 경로로 개구(4)로 들어간다. 무거운 입자들은 자신의 속도 때문에 경로를 꺾을 수 없다. 또한, 이들 입자들은 원심분리 효과에 의해 원통형 분리실 가장자리로 이동된 후 용기(10)로 수거된다.
그러나, 몇몇 입자들, 특히 가벼운 입자들은 개구(4) 부근에 머물러 있으며, 도 2a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경로를 약간 꺾어 개구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기는 이러한 현상에 의해 미세한 입자들은 제대로 분리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도 2b는 이러한 장치의 개량형으로 일본 특허 JP 11290724의 다른 실시예 중 하나로 기술되어 있다. 단순화된 도면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구의 4분의 1 형태로 공기 회전 방향을 따라 개구(41)을 가려주는 벽(12)을 갖는다. 이러한 벽들에 의해 미세한 입자들은 분리실 가장자리로 이동되고,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개구들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로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장치의 오물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공기는 도관(6)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경로를 거의 180°변경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경로는 더 많이 구부러져 개구(41)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추가적인 파워 손실을 가져오고, 더 성능이 좋은 따라서 더 비싼 모터-팬을 필요로 한다.
또한, 벽(12)의 형상은 그 바닥 부분에서 도관(6)과 직각을 이루도록 구부러지므로 입자분리를 방해하는 난류(t)를 일으킨다. 그러면 먼지들이 서로 엉켜붙어 축적되는 구역들이 형성되어 원치않는 박테리아 서식처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파워 손실 없이 저렴한 수단을 사용하여 원심분리장치 내의 오물 분리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흡입부에 의해 발생된 기류에 이끌려 들어온 오물의 분리 및 수집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상기 장치는 접선방향을 따라 오물 분리실 안으로 연결되는 공기 흡입 튜브를 포함하고, 분리실 중앙에는 다수의 개구를 가진 도관이 구비되며, 도관은 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분리실은 오물 수거용기에 연결된다. 상기 장치는 특히 도관이 분리실을 향하여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기울어진 벽들을 포함하고, 각 벽의 단부에는 편평하고 아래의 도관과 평행을 이루는 개구를 포함하며, 도관의 개구는 벽의 개구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관의 개구 위치에 기울어진 벽이 존재함으로써 입자들이 공기 흡입 도관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들 벽의 단부에 개구들이 존재함으로써, 도관 내에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하게 되어 파워 손실을 최소화한다.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해, 벽에 의해 형성된 입자들의 도약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공기가 용이하게 도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사실상, 각 개구는 입자의 경로를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능력을 갖게 되므로 그 자체로 소형 분리기 역할을 한다. 다수의 개구들은 각 개구 위치에서 공기속도를 감속시키는데, 이는 원심분리효과를 떨어뜨리지 않고도 파워 손실을 제한하게 된다. 원심분리효과는 한편으로 공기속도와 관련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공기경로의 곡률 반경과도 관련이 있다. 여기에서와 같이, 곡률 반경을 크게 줄임으로써 파워 손실을 제한하면서 우수한 원심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은 양쪽 모서리에서 측벽과 접하고, 이 측벽은 도관 상에 부착된다. 이러한 측벽이 존재함으로써, 일종의 공기흐름상 새는 현상에 의해 입자들이 기울어진 벽의 측부를 통과하여 도관의 개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입자분리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기울어진 벽의 형상은 먼지들이 누적되는 사각지대를 형성하지 않도록 서로 겹쳐지지 않게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측벽이 존재함으로써 개구들 안으로 직접 관통하지 않고 상기 벽들의 각 측부로부터 순환해 나오는 약한 기류를 보존할 수 있다.
공기가 지나는 방향(F)과 수직방향의 도관의 높이에 커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멍들은 5점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현형태에 따르면, 도관 위치의 개구들은 공기의 회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기울어진 벽의 바로 아래를 초과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국지적으로 공기의 속도를 줄이도록 주된 공기가 지나는 표면을 확대시킴으로써 파워 손실을 더욱 제한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벽들이 도관에 대하여 10°내지 35°사이의 기울기를 가질때 최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에 따르면, 오물 분리 및 수거 장치는 적어도 500개 이상의 기울어진 벽을 가지며, 이들 벽들은 그 만큼의 입자분리기가 된다.
개구 크기에 관한 다른 실험을 통해, 벽의 개구는 지름이 2.5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mm인 경우 최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에서는, 원환체 형태의 원통형 분리실을 포함하고, 그 원통형 내벽은 흡입부와 연결되는 도관을 한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분리실을 쉽게 한정하여 오물이 부가 용기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환체 직경방향 단면은 노즐로부터 흡입된 오물이 도달하는 관들 중 최소 단면의 1 내지 4배로 형성되며, 이는 시스템을 콤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공기의 상당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물 분리 및 수집 주요 장치는, 상기 분리실 아래에 위치하고 공기유동상 연통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필터 형태의 제 2 여과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청소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필터의 형성에 있어 보다 큰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는 주름 필터일 수 있으며, 주름 필터는 분리면을 확장시켜 필터가 메워지는 현상을 연기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닛을 통해, 상기 주름 필터의 여과성능에 따라 여과 효율이 "HEPA"로 알려진 수준에 달할 수 있는 콤팩트한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c를 참조하여, 그리고 앞서 기술된 도 1, 도 2a 및 도 2b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즉, 공기 배출 도관(6)의 개구(14) 위치에 기울어진 벽들(16)이 도관과 α각을 가지고 도관 상에 부착되어 있다. 이 벽은 분리실로 들어오는 공기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이들 벽은 그 자유단에 개구(18)를 갖는데, 이는 편평하고 벽 아래의 도관과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이 개구(18)는 개구(14)와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되며, 이들 두 개구는 서로 위 아래로 놓여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점선으로 표시된 미세 입자의 경로는 기울어진 벽을 따라 도관에서 멀어진다. 입자들 중 어느 정도는 기울어진 벽(16)으로 형성된 도약대에 의해 튕겨져 나간다.
그러나, 벽에 형성된 개구(18), 즉 아래에 위치한 도관과 거의 평행을 이루는 이 개구에 의해 공기는 그 경로를 크게 변경할 필요없이 도관과 만나게 된다. 실선은 공기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구(18)는 입자 분리의 효과를 거의 떨어뜨리지 않고 공기가 도관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촉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관 위치의 개구 크기를 늘리면 파워 손실이 최소화된다. 즉, 도 2c 뿐만 아니라 도 3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개구(14)가 기울어진 벽의 앞쪽으로 연장되면 공기가 경로를 덜 구부리면서 이들 개구에 도달 할 수 있으며, 이는 파워 손실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렇한 개구의 확대는 입자들이 개구 안으로 들어오는 통로를 형성하지 않도록 적은 정도에 그쳐야 한다. 즉, 이는 파워 손실의 감소와 분리 효율의 감소를 감안하여 적절히 정해져야 한다.
도 3은 앞서 밝힌 원리에 근거한 구체적인 오물 분리 장치를 보여준다. 즉, 도관(6)은 원통형을 가지며, 그 높이 거의 전체에 공기가 통과할 다수의 구멍(14)들을 갖고 있다.
벽들(16)이 공기가 지나가는 방향(F)를 따라 각 개구(14) 앞에 배치된다. 이들 기울어진 벽은 그 자유단에서, 자유 정면 가장자리(15)를 통해 개구(14)와 연결되는 개구(18)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16)은 도관(6)에 부착되는 측면(20)을 가지고 있어, 입자들이 기울어진 벽(16) 둘레를 우회하여 개구(14)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들 측면은 기울어진 벽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개구(14)를 보호하고 기울어진 벽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입자들은 상기 벽들 위로 밀려 개구(14)로부터 멀리 튕겨져 나간다.
특기할 점은, 개구(14) 근처에 벽(16)과 측면(20)을 설치함으로써 그 자체로 입자 분리기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를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 장치는 분리실(2)을 포함하고, 이 분리실 중앙에는 진공청소기의 모터-팬부와 연결되는 도관(60)이 배치된다. 또한, 이 분리실은 상기 장치에 의해 분리되는 오물을 수집하는 용기(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관(6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다수의 분리기(40)를 포함하며, 각 분리기는 두개의 측면(20)과 결합한 기울어진 벽(16)과 이 기울어진 벽 아래의 도관(60)에 형성된 개구(14)가 모인 유닛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청소 중인 바닥에서 끌어온 오물을 실은 공기는 접선 방식으로 분리실(2) 내부로 들어간다. 이 공기는 도관(60) 안으로 유입된다. 이때, 공기는 분리기(40)들의 벽(16)을 따라가 도 2c에 설명된 바와 같이 미세한 입자들을 포함한 오물(28)이 분리된다. 공기에 실려와 이렇게 분리된 오물들(28)은 중력에 의해 수거용기(10)에 떨어진다.
도 5 및 그 다음 도면들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일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70)는 여러개의 바퀴, 특히 여기서는 두개의 뒷바퀴(72)에 지지되는 본체(71)를 포함한다. 기류 연결부(74)는 청소기 본체를 청소 중인 바닥과 접촉하는 노즐에 연결하여 청소기의 본체 안으로 오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청소기는 청소 중인 바닥의 오물들을 수거할 기류를 발생시키는 모터-팬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버튼(76)으로 청소기 모터를 작동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를 갖춘 분리실은 보호 뚜껑(78)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분리 장치에 의해 분리된 오물은 오물 수거용기(82)로 배출된다. 이 오물 수거용기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80)가 있다. 이 손잡이는 또한 청소기 운반을 위한 손잡이로도 사용되며, 청소기가 전반적으로 기울어 있고 상부에 이러한 손잡이가 있어 청소기의 무게중심 위치에서 청소기가 흔들리지 않도돌 하면서 청소기를 잡을 수 있다. 오물 수거용기(82)의 해제 버튼(84)은 청소기의 측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언락킹 버튼은 청소기의 각 측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분리 장치(50)는 분리실(53)로 연결된 공기흡입도관(52)을 구비하고, 분리실은 직경방향으로 장방형 단면을 가지는 원환체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공기흡입도관(52)은 몇몇 오물들이 중앙 도관에 직접 충격을 주게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L형 이음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기류가 분리실 안으로 들어갈 때 지나는 영역은 원형의 외부벽(54), 원형의 내부벽(55), 뚜껑(78)인 상부벽 및 바닥벽(57)에 의해 한정된다.
원형의 내부벽은 공기 배출관(56)을 한정한다. 공기배출관은 상부가 막혀 있으며, 필터, 바람직하게는 주름 필터를 포함하는 격실(58)과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된다. 이 격실은 또한 모터-팬부와 공기유동상 연결된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 필터의 형성에 있어 좀 더 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분리실이 오물흡입도관(52)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는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분리실 단면은 특허출원 WO 03/04741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노즐로 부터 흡입된 오물이 도달하는 관들 중 최소 단면의 1 내지 4배로 형성된다. 물론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 수단이 분리실 위치에 마련된다.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관(56)은 상기된 바와 같은 다수의 분리기(40)를 갖는다. 이들 분리기는 동일한 면적의 6개의 구역에 산재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역은 136개의 분리기가 있으므로 전체 816개의 입자 분리기를 갖는 셈이다. 이는 오물분리창치의 작은 크기를 고려할때 상당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 기울어진 벽(16) 위치에 있는 개구들의 크기는 약 1.5mm이고, 이들 벽이 도관과 이루는 각은 약 30°이며, 각 벽의 길이는 1.8mm이다. 도관(56)의 지름은 106mm이다.
도 7은 또한 도관(56)과 바닥벽(57)이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특히 이 위치에서 실링 문제를 해결해준다.
또한, 도관(56)의 폐쇄된 상부은 2개의 대칭 원호형의 오목부(62)를 포함하는데, 이는 먼지와 접촉하는 영역인 도관의 벽들이나 바닥벽(57)을 건드리지 않고 사용자가 분리장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분리실(53)에서 분리된 오물들의 출구는 분리실의 원형의 외부벽(54)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개구로 이루어지며, 이 개구는 짧은 도관(59)을 통하여 오물 수거용기(82)에 연결된다. 이 수거용기는 분리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여러 구현방식에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수거용기는 측면의 어느 한 쪽을 통해 비워질 수 있으며, 각 측면은 탈부착 가능한 뚜껑(81)으로 닫힌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오른손잡이든 왼손잡이든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손쉽게 용기를 비울 수 있다.
도 8, 도 9, 도 10은 도관(56)과 분리기(40)들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특히 격실(58)을 유지해주는 노치들(64)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격실은 도관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격실 내에 자리잡은 필터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도관(56)의 A-A 단면의 B부분 상세도에서 볼 수 있듯이, 각 분리기는 기울어진 벽(16)을 구비하고, 그 벽의 단부에 개구(18)가 마련된다. 또한, 도관(56)은 분리실로 들어가는 기류의 일반 이동방향(F)을 따라 기울어진 벽(16)의 뒤로 연장되는 개구(14)를 포함한다.
작동중 사용자는 주 흡입부를 작동시켜, 도관을 사용하여 청소 중인 바닥에서 오물을 흡입한다. 상기 도관은 노즐이 끝에 달리거나 또는 달려있지 않고, 도관(52)을 통해 분리실(53)에 연결된다. 오물을 실은 기류는 F 방향을 따라 60m/s에 달하는 속도, 장소에 따라 100m/s에 달하는 속도로 분리실 안으로 들어가는데, 이러한 고속은 장치의 여러 부품의 형상에 의해 얻어진다.
이때, 무거운 오물들은 원심분리 효과에 의해 주 기류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도관(55)의 분리기(40)들에 의해 미세한 입자들도 기류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이 오물들은 도관(59)을 통해 수거용기(82)로 들어가 쌓인다.
그리고 나서, 공기는 개구(18), 그 다음 개구(14)를 통해 도관(56)으로 들어가며, 이 곳에서 공기는 격실(58) 내의 필터에 의해 여과된다. 이 필터는 아주 미세한 먼지들까지 걸러내는 고도의 여과가 가능하다. 그 후, 정화된 공기는 흡입부로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다양한 구현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개구(14)들을 공기회전방향이 아니라 공기 흐름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공기가 지나가는 개구의 크기를 확대하면서 입자가 경로를 안쪽으로 꺾어 개구 안으로 들어갈 위험성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매우 콤팩트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 성능은 한편으로는 공기의 증가된 속도를 요하는 것으로 분리실 내에서 상당한 속도를 유지함으로써 구현되는 품질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소형 분리기"(40)가 존재함으로써 단순히 구멍만을 가진 장치에 비해 향상된 효율적인 오물 분리 장치를 말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 분리 장치를 확대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장착한 진공청소기,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분리 장치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소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요소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부분의 상세도이다.

Claims (10)

  1. 접선방향을 따라 오물(28) 분리실(2,53) 안으로 연결되는 공기 흡입 튜브(52)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실(2,53)의 중앙에는 다수의 개구(14)를 가진 도관(6, 56,60)이 구비되며, 상기 도관(6,56,60)은 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분리실(2,53)은 오물(28) 수거용기(10,82)에 연결되는, 진공 청소기(70)의 흡입부에 의해 발생된 기류(F)에 실려온 오물들을 분리하여 수집하는 장치(50)에 있어서,
    상기 도관(6,56,60)은 공기의 이동방향(F)을 따라 분리실을 향하여 기울어진 벽들(16)을 포함하고, 상기 각 벽(16)의 단부에는 편평하고 아래의 도관(6,56,60)과 평행을 이루는 개구(18)가 형성되며, 상기 도관(6,56,60)의 개구(14)는 벽(16)의 개구(18)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16)은 양쪽 모서리에서 측벽(20)과 접하고, 상기 측벽은 도관(6,56,50)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6,56,60) 위치의 개구(14)는 공기의 회전방향(F)을 따라 연장되어 기울어진 벽(16)의 바로 아래를 초과하거나 또는 공기의 회전방향(F)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16)은 도관(6,56,60)에 대하여 10°내지 35°사이의 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500개 이상의 기울어진 벽(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16)의 개구(18)는 지름이 2.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분리실(53)은 원환체 형태로, 그 원통형 내벽(55)은 흡입부와 연결되는 도관(56)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환체의 직경방향 단면은 노즐로부터 흡입된 오물이 도달하는 관들 중 최소 단면의 1 내지 4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실(53) 아래에 위치하고 공기유동상 연통하는 하우징(58) 내에 배치된 필터 형태의 제 2 여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수단은 주름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분리 수집 장치(50).
KR1020040097376A 2003-11-27 2004-11-25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 KR20050051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13914 2003-11-27
FR0313914A FR2862859B1 (fr) 2003-11-27 2003-11-27 Dispositif de separation des dechets pour aspira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61A true KR20050051561A (ko) 2005-06-01

Family

ID=3445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376A KR20050051561A (ko) 2003-11-27 2004-11-25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26267B2 (ko)
EP (1) EP1535561B1 (ko)
JP (1) JP4621008B2 (ko)
KR (1) KR20050051561A (ko)
CN (1) CN1620980B (ko)
AT (1) ATE387136T1 (ko)
DE (1) DE602004012047T2 (ko)
ES (1) ES2298703T3 (ko)
FR (1) FR2862859B1 (ko)
PL (1) PL153556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4094A1 (en) * 2003-03-17 2005-12-15 Demarco Thomas M Vacuum loader
GB2450736B (en) * 2007-07-05 2012-06-20 Dyson Technology Lt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JP4770821B2 (ja) * 2007-11-16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IT1398143B1 (it) * 2008-07-25 2013-02-14 Solarys Srl Aspirapolvere con dispositivo antiocclusione del filtro
EP3111118A4 (en) * 2014-02-28 2017-11-15 Fike Corporation Passive explosion isolation valve with pulse jet cleaning
GB201417125D0 (en) 2014-09-27 2014-11-12 Lavoie Michel Portable dust collector
EP3235413B1 (en) * 2016-04-21 2019-06-12 Senur Elektrik Motorlari San. Ve Tic. A.S. Cyclonic separator
GB2577884A (en) 2018-10-08 2020-04-15 Black & Decker Inc A vacuum cleaner
FR3119524B1 (fr) * 2021-02-05 2023-01-20 Seb Sa Appareil de nettoyage avec structure de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060U (ko) * 1975-10-17 1977-04-20
JPS5276777A (en) * 1975-12-19 1977-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ust collector
JPS54168854U (ko) * 1978-05-18 1979-11-28
JPS6210055U (ko) * 1985-07-02 1987-01-21
US5271750A (en) * 1991-07-15 1993-12-21 Stripping Technologies, Inc. Air filtration system with safety after-filter
JPH11290724A (ja) * 1998-04-09 1999-10-26 Yoji Nagano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同装置用ストレーナ
KR100412586B1 (ko) * 2001-06-01 2003-12-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US6810557B2 (en) * 2002-01-28 2004-11-02 Bissell Homecare, Inc. Cyclone separator with vacillating debris inhibitor
KR100445801B1 (ko) * 2002-02-27 2004-08-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US7018438B2 (en) * 2002-03-29 2006-03-28 Hmi Industries, Inc. Filte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5561B1 (fr) 2008-02-27
ATE387136T1 (de) 2008-03-15
CN1620980B (zh) 2010-05-26
DE602004012047T2 (de) 2009-02-19
DE602004012047D1 (de) 2008-04-10
US7326267B2 (en) 2008-02-05
FR2862859A1 (fr) 2005-06-03
US20050115212A1 (en) 2005-06-02
EP1535561A1 (fr) 2005-06-01
JP2005152643A (ja) 2005-06-16
JP4621008B2 (ja) 2011-01-26
CN1620980A (zh) 2005-06-01
ES2298703T3 (es) 2008-05-16
PL1535561T3 (pl) 2008-07-31
FR2862859B1 (fr)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83928B (zh) 单级旋风式真空清洁器
RU2328961C1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KR10043736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476267B2 (en) Filter cartridge for vacuum cleaner
KR100607440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US20040060146A1 (en)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US20090031525A1 (en) Dual Stage Cyclone Vacuum Cleaner
US20090300874A1 (en)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collection chamber
WO2006026414A2 (en) Cyclonic separa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N109952051B (zh) 真空吸尘器
RU23088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деления мусора для пылесоса
EP3009059B1 (en) Cleaner
JP4557783B2 (ja) 電気掃除機
JP2007000383A (ja) 電気掃除機
KR20050051561A (ko) 진공 청소기용 오물 분리 장치
KR10043737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77280B1 (ko) 진공 청소기
KR20190007293A (ko) 진공 청소기
KR101010485B1 (ko) 진공청소기
KR100996756B1 (ko) 진공청소기
JP4528641B2 (ja) 電気掃除機
JP2005021469A (ja) 電気掃除機
JP4195982B2 (ja) 電気掃除機
KR100577275B1 (ko) 진공청소기
KR10054662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