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839A -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839A
KR20050045839A KR1020040090631A KR20040090631A KR20050045839A KR 20050045839 A KR20050045839 A KR 20050045839A KR 1020040090631 A KR1020040090631 A KR 1020040090631A KR 20040090631 A KR20040090631 A KR 20040090631A KR 20050045839 A KR20050045839 A KR 2005004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imaging
imaging device
frame member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또마사시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4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ens Barre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촬상 장치는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지지하는 광학계 지지체와, 상기 촬상 광학계에 유도된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광학계 지지체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광학계 지지체를 광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광학계 지지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와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조립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IMAGE PICKUP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WITH 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로의 내장에 적합한 소형 박형으로 피사체 거리에 따라서 초점 조절 가능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형으로 박형의 촬상 장치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 및 박형의 휴대 단말에 탑재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원격지로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정보도 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 이용되는 촬상 소자로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0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 전화기나 PDA에 탑재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줌 렌즈를 탑재하거나 매크로 촬영에 대응 가능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줌이나 매크로 촬영을 위한 렌즈군 이동의 구성으로서, 광축 방향으로 신축하는 압전 소자를 액튜에이터로서 이용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7612호 공보
상기한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촬상 장치는, 사용되는 촬상 소자가 소형화된 것에 대응하여 촬상 광학계의 초점 거리가 매우 짧고, 또한 Fno.이 2 내지 4 정도 밝기 때문에, 상부면측에서의 초점 심도는 매우 얕게 되어 촬상면에 대한 촬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과 그 설정 위치 및 촬상 소자와 광축의 수직도에는 엄격한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에 대해,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렌즈 유닛은 광축 방향을 구동 방향으로서 진동하는 압전 소자를 배치하고, 이 압전 소자의 단부면에 접속된 축을 렌즈 이동의 가이드 부재인 가이드 축으로 하고 있으므로, 가이드 축을 고정 지지할 수 없어 촬상면에 대한 가이드 축의 수직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이들 휴대 단말에 내장되는 촬상 장치는 박형화를 위해, 촬상 소자를 패키지하지 않고 센서 칩의 상태로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프린트 기판 상에 가이드 축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프린트 기판과 가이드 축과의 수직이 확보되어도, 프린트 기판 상에서 촬상 소자가 경사져 실장된 경우에는 촬상 소자면과 가이드 축과의 수직은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프린트 기판 상에서 촬상 소자가 기울어 실장되어도, 촬상 소자면과 가이드 축과의 수직도가 확보되고, 이에 의해 촬상 소자면과 촬상 광학계의 광축과의 수직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초점 조절 가능한 촬상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항 1)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지지하는 광학계 지지체와, 상기 촬상 광학계에 유도된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광학계 지지체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광학계 지지체를 광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광학계 지지체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를 상기 촬상 소자에 접촉시켜 조립 부착한 촬상 장치.
(항 2)
또한 기판을 갖고, 상기 촬상 소자는 상기 기판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항 1에 기재된 촬상 장치.
(항 3)
또한 기판을 갖고,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접촉되어 있지 않은 항 1 또는 항 2에 기재된 촬상 장치.
(항 4)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기판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항 3에 기재된 촬상 장치.
(항 5)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혹은 자외선과 열의 병용 경화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항 4에 기재된 촬상 장치.
(항 6)
상기 광학계 지지체를, 상기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중 어느 1매의 렌즈로, 일체로 형성한 항 1 내지 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
(항 7)
항 1 또는 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이하,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T)의 외관도이다.
도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T)는, 표시 화면(D)을 구비한 케이스로서의 상부 하우징(71)과, 조작 버튼(P)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72)이 힌지(7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촬상 장치(S)는, 상기 도면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71) 내의 표시 화면(D)의 하방으로 내장되어 있고, 상부 하우징(71)의 외표면측으로부터 피사체광을 도입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촬상 장치(S)의 위치는 상부 하우징(71) 내의 표시 화면(D)의 상방(외표면측)에 배치해도 좋다. 또 휴대 전화기는 절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이 촬상 장치(100)가 도1에 도시한 촬상 장치(S)의 위치에 내장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촬상 소자의 실장된 프린트 기판(11), 촬상 소자를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12), 이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상부면에 조립되어 피사체광이 입사하기 위한 개구부(13)를 갖는 덮개 부재(14), 촬상 장치(100)를 휴대 단말의 다른 기판에 접속을 위한 커넥터부(17) 및 이 프린트 기판(11)과 커넥터부(17)를 접속하는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은 촬상 장치(100)의 이면측을 통해 포토 인터럽터(PI)와, 액튜에이터인 스텝핑 모터(이하, STM이라 칭함)(31)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포토 인터럽터(PI)와, STM(31)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촬상 장치(100)는 두께 8 ㎜ 정도, 짧은 변 방향 10 ㎜ 정도, 긴 변 방향 15 ㎜ 정도 크기의, 매우 소형의 것이다.
이하, 촬상 장치(100)의 내부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의 중복을 피해 설명한다. 촬상 장치(100)는 촬상 광학계부와, 액튜에이터와, 이 액튜에이터와 촬상 광학계를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기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3은 촬상 장치(100)의 촬상 광학계부의 단면도이다. 도3에 있어서, O는 광축, 부호 1은 제1 렌즈, 2는 제2 렌즈, 3은 제3 렌즈, 7은 적외광을 차단하는 적외 컷트 필터, 8은 촬상 소자, 21은 광학계 지지체, 22 및 23은 광학계 지지체(21)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시 안내 부재인 광학계 지지체 가이드 부재(이하, 가이드 축이라 함)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계 지지체(21)는 제1 렌즈(1), 제2 렌즈(2), 제3 렌즈(3), 개구 조리개(4), 고정 조리개(5)로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50)를 그 내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한, 광학계 지지체(21)는 가이드 축(22)과 끼워 맞추는 가이드 통(21g) 및 가이드 축(23)과 결합하는 U자형의 결합부(21k)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촬상 광학계(50)를 지지한 광학계 지지체(21)는 가이드 축(22, 23)에 따라서, 광축(O)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 부재(12)는 부착부(12d)를 구비하고, 프린트 기판(11) 상에 실장(접착 및 전기적 접속)된 촬상 소자(8)에 부착부(12d)가 접촉하도록 조립 부착되고, 외주부에서는 프린트 기판(11)과 약간의 간극(d)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12d)는 촬상 소자(8)의 광전 변환면(기준면)(8a) 측의 광전 변환을 행하는 면 이외의 부위에서 접촉한다. 가이드 축(22, 23)은 이 외부 프레임 부재(12)와 덮개 부재(14)에 의해 지지되고, 덮개 부재(14)의 상부면의 접시 자리부(14a, 14b)에서 고정된다. 계속해서, 외주부의 간극(d)을 매립하도록 프린트 기판(11)이 접착제(B)에 의해 고정된다.
도9는 촬상 소자(8)의 상부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부호 8a는 광전 변환면, 8b는 광전 변환부의 주위면, 8c는 결선용 단자인 패드, 8d는 광전 변환부이다. 촬상 소자(8)의 광전 변환면(8a)의 중앙에는 화소가 2차적으로 배치된 광전 변환부(2d)가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촬상 소자(8)의 내부이며 또한 내측에 화상 처리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주위면(8b)이 형성되어 있다. 광전 변환부의 주위면(8b)의 외연 근방에는 다수의 패드가 배치되어 있다. 결선용 단자인 패드(8c)는 프린트 기판(11)(이하, 기판이라 함) 상의 소정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부착부(12d)는, 도9에서 점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소자(8)의 주위면(8b)에 있어서, 패드(8c)의 내측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도4는 촬상 소자(8)와 프린트 기판(11)이 경사져 접착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는 촬상 장치(100)의 촬상 광학계부의 단면도이다. 도3과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은 다른 점에 대해서만 행한다.
촬상 소자(8)가 접착제(C) 의해 프린트 기판(11)에 대해 경사져(경사 각도 : α) 접착된 경우라도, 부착부(12d)가 촬상 소자(8)에 접촉하여 조립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프레임 부재(12)는 촬상 소자(8)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되고,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지지된 가이드 축(22, 23)은 촬상 소자(8)의 광전 변환면(8a)과 항상 수직을 유지할 수 있어, 이 가이드 축(22, 23)에 따라서 이동하는 광학계 지지체(21) 및 촬상 광학계(50)도, 항상 촬상 소자(8)의 광전 변환면(8a)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부착부(12d)와 촬상 소자(8)의 광전 변환면(8a)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조립 부착됨으로써, 촬상 소자(8)와 프린트 기판(11)이 경사져 접착되어도 외부 프레임 부재(12)와 촬상 소자(8)가 부착부(12d)에서 접촉되어 있으므로,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지지된 가이드 축(22, 23)과 촬상 소자(8)의 광전 변환면(8a)은 항상 수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적외 컷트 필터(7)는 촬상 소자(8)의 광전 변환면(8a)에 서로 마주 대해 외부 프레임 부재(12)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내부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도2에 도시한 촬상 장치(100)로부터 덮개 부재(14) 및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을 제거 및 광축 방향으로부터 본 것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 부재(12)는 대략 직사각형이며, 상술한 가이드 축(22, 23)은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고, 광학계 지지체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통(21g) 및 U자형의 결합부(21k)도 이에 수반하여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대각 위치에는 광학계 지지체(21)의 위치 검출용의 포토 인터럽트(PI)가 배치되고, 광학계 지지체(21)에 일체로 형성된 차폐부(21p)가 광학계 지지체(21)의 이동에 수반하고, 포토 인터럽터(PI)의 투수광부 사이에 삽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차폐부(21p)는 촬상 광학계(50)가 촬상 소자(8) 측에 있을 때 포토 인터럽트(PI)의 투수광부 사이에 인입하고, 피사체측으로 이동하여 포토 인터럽터(PI)의 투수광부 사이로부터 이탈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통(21g)에는 돌기부(21f)가 형성되어 외부 프레임 부재의 절결부로부터 STM(31) 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STM(31)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회전축을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대해 어긋남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STM(31)은 그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구동축으로서 리드 스크류(31r)가 설치되고, 액튜에이터로서의 STM(31)과 구동축이 직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STM(31)의 회전축과 리드 스크류(31r)의 구동축을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고, 기어 등으로 연결한 구성이라도 좋다. 이 리드 스크류(31r)에는 너트(32)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 너트(32)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정지도 결합하고 있고, STM(31)의 회전 즉 리드 스크류(31r)의 회전에 의해 광축과 어긋남의 위치 관계가 되는 도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너트(32)에는 결합부(32f)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32f)는 구동 방향 변환 기구인 결합판(24)에 결합하고, 결합판(24)은 동시에 가이드 통(21g)의 돌기부(21f)도 결합하고 있다. 이 구동 방향 변환 기구인 결합판(24)은 핀(33)에 의해 외부 프레임 부재(12)의 벽면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도5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은 도3에서 설명한 촬상 소자(8)의 위치를 나타내고, 파선으로 나타낸 원형은 도3에서 설명한 외부 프레임 부재(12)로 형성된 촬상 소자(8)와의 부착부(12d)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6은 구동 방향 변환 기구인 결합판(24)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한 결합판(24)을 STM(31)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위치 관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프린트 기판(11)의 위치 및 광축(0)을 부가하고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판(24)은 핀(33)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고, 긴 구멍부(25)는 돌기부(21f)와, 긴 구멍부(26)는 결합부(32f)와 각각 결합하고 있다. 상기 도면을 이용하여, 액튜에이터인 STM(31)에 의해 구동되는 결합부(32f)와 결합판(24)과 가이드 통(21g)으로 형성된 돌기부(21f)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있어서, 결합부(32f)가 리드 스크류(31r)(도5 참조)의 회전에 의해 실선의 위치로부터 파선의 위치로 프린트 기판(1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결합판(24)은 실선의 상태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긴 구멍부(25)도 실선의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회전하고, 이 긴 구멍부(25)에 결합하는 돌기부(21f)는 가이드 축(22)(도3, 도5 참조)에 규제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O)과 평행한 방향[프린트 기판(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광학계 지지체(21) 즉 촬상 광학계(50)는 피사체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리드 스크류(31r)를 역회전시키면,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복귀된다는, 역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즉 리드 스크류(31r)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촬상 광학계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긴 구멍부(26)의 회전 이동 반경을 크게, 긴 구멍부(25)의 회전 이동 반경을 작게 설정하거나 혹은 긴 구멍부(26)의 길이 방향의 경사를 핀(33)의 중심과 긴 구멍부(2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N1)의 경사에 가까운 값으로 하고, 긴 구멍부(25)의 길이 방향의 경사를 핀(33)의 중심과 긴 구멍부(25)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N2)의 경사보다 경사진 값으로 함으로써 구동축에 의한 구동량을 축소하여 촬상 광학계에 전달할 수 있고, 구동축측의 구동의 눈금량보다 미세한 눈금으로 촬상 광학계를 구동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촬상 광학계의 위치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의 광축과 액튜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을 어긋남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광축 방향을 특히 얇게 한 촬상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튜에이터와 구동축의 전체 길이가 촬상 장치의 광축 방향이 길이보다 길어도 어긋남의 위치에 횡 배치로 하고, 액튜에이터와 구동축을 같은 방향으로배치함으로써 박형화할 수 있어 원하는 형상 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튜에이터와 촬상 광학계 사이에 구동 방향을 변환하는 구동 방향 변환 기구를 배치하고, 구동 방향 변환 기구로 액튜에이터의 구동량을 축소하여 촬상 광학계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정확한 촬상 광학계의 위치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또한, 촬상 소자와 촬상 광학계를 내포하는 대략 직사각구형의 외부 프레임 부재의 대각 위치에 촬상 광학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배치함으로써, 용적 효율을 향상시켜 이상한 형태의 외형이 되지 않고 원하는 형상 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가 휴대 단말에 탑재된 경우의 개략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7은 촬상 장치(100)가 탑재된 휴대 단말(T)의 기능 중, 카메라 모드로 설정하였을 때의 동작 개략의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 있어서, 우선 카메라 모드로 세트되어졌는지 여부를 판단(S101)하고, 카메라 모드로 세트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촬상 광학계를 과초점 거리로 이동시킨다(S102).
이 촬상 광학계의 과초점 위치로의 이동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촬상 장치(100)의 비사용시에는, 광학계 지지체(21)로 형성된 차폐부(21p)는 포토 인터럽터(PI)의 투수광을 차폐하고 있다. 우선, STM(31)을 구동하여 촬상 광학계(50) 즉 광학계 지지체(21)를 피사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포토 인터럽터(PI)는 차폐부(21p)가 투수광부로부터의 이탈을 검지한다. 이 차폐부(21p)가 투수광부로부터 이탈하는 위치를 기점으로서, STM(31)을 소정의 스텝수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촬상 광학계를 과초점 거리로 설정한다. 이 소정의 스텝수는, 미리 제조 공정에서 촬상 장치 개개에 측정하여 결정된 개개에 다른 수치가 이용된다(도4, 도5 참조).
이 후, 촬상 소자를 구동하여 얻어진 화상을 차례로 표시 화면(D)(도1 참조)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한다(S103). 이어서, 다시 카메라 모드가 확인되고(S104), 카메라 모드이면 S105로 이행하고 촬영에 구비하여 촬영시의 노광량을 결정한다. 이 후, 릴리스 기능이 부여된 버튼[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조작 버튼(P) 중 어느 하나라도 좋음]이 온이 되는 것을 대기한다(S106). 릴리스 기능이 부여된 버튼이 온이 될 때까지는, S104 내지 S106을 반복하여 끊임없이 촬영시의 노광량을 갱신한다. 이는, 촬영될 때까지 피사체 조건이 여러 가지 변화하는 데 대응하기 때문이다.
릴리스 기능이 부여된 버튼이 온이 되면, 과초점 거리의 화상 도입 및 또한 촬상 광학계를 조출하여 근거리에 초점을 맞춘 위치에서 화상 도입을 행하고, 각각의 위치에서의 화상을 평가하여 가장 핀트가 좋은 화상이 얻어진 위치로 촬상 광학계를 이동시킨다(S107). 이에 의해 AF 동작이 완료된다. 이 후, 촬상 소자 내의 전하를 클리어한 후, 촬영을 위한 전하 축적을 행한다(S108). 이 때의 노광 조건에 S105로 결정된 노광량이 이용된다.
이 후, 촬상 소자의 축적된 전하, 즉 촬상 신호를 판독하여(S109) 이 촬상 신호를 A/D 변환하고(S110), 이 A/D 변환 후의 데이터를 화상 처리한 후, 화상 데이터의 압축 처리를 행한다(S111). 계속해서, 기록용 메모리에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S112). 이상으로 1매의 촬영이 종료된다.
이 후, S101로 복귀하고, 다시 카메라 모드가 확인되어 카메라 모드이면 S102로 이행하고, 카메라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는 S121로 이행하여 촬상 광학계를 초기 위치 즉, 광학계 지지체(21)로 형성된 차폐부(21p)가 포토 인터럽터(PI)의 투수광을 차폐하는 위치까지 촬상 소자측으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촬상 장치 내의, 예를 들어 촬상 소자 등의 카메라 모드 종료 동작을 행하고(S122), 소정의 다른 모드로 이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촬상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이 카메라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의 동작 개략이다.
도8은 촬상 장치(100)의 촬상 광학계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도3에 도시한 광학계 지지체(21)의 기능을 제2 렌즈(2)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도3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렌즈(2)는 가이드 축(22)에 끼워 맞추는 가이드 통(2g)과, 결합판(24)에 결합하는 돌기부(2f)와, 가이드 축(23)에 결합하는 U자형의 결합부(2k)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렌즈(2)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통(2g)이 촬상 광학계 전체를 지지하는 광학계 지지체가 된 것이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제2 렌즈(2)에는 차광성의 도장 혹은 차광성 부재가 접착된 차폐부가 포토 인터럽터의 투수광부에 삽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리개(41)가 제1 렌즈(1)에 접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에 가이드 통(2g)과, 결합부(2k)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개재 부품을 없앨 수 있어 소형화뿐만 아니라, 가이드 축과 촬상 광학계의 광축의 평행도를 보다 용이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항 1의 형태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 부재를 촬상 소자에 접촉시켜 조립 부착함으로써, 외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된 광학계 지지체 가이드 부재는 촬상 소자면과 항상 수직이 유지되게 되고, 프린트 기판 상에 실장되는 촬상 소자가 기판에 대해 경사져 부착되어도, 촬상 소자에 대응하여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촬상 소자면과 촬상 광학계의 광축과의 수직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항 2 내지 항 5의 구성에 따르면, 항 1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항 6의 형태에 따르면 광학계 지지체와,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중 어느 1매의 렌즈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개재 부품을 불필요로 하므로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광학계 지지체 가이드 부재와 촬상 광학계의 광축과의 평행도를 보다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항 7의 형태에 따르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갖는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3은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부의 단면도.
도4는 촬상 소자와 프린트 기판이 경사져 접착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부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
도6은 구동 방향 변환 기구인 결합판의 평면도.
도7은 촬상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의 기능 중 카메라 모드로 설정하였을 때의 동작 개략의 흐름도.
도8은 촬상 장치의 촬상 광학계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촬상 소자의 상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촬상 소자
8a : 광전 변환면(기준면)
11 : 프린트 기판
12 : 외부 프레임 부재
12d : 부착부
14 : 덮개 부재
21 : 광학계 지지체
22, 23 : 가이드 축(광학계 지지체 가이드 부재)
50 : 촬상 광학계
100(S) : 촬상 장치
O : 광축
T : 휴대 전화기
d : 간극

Claims (7)

  1. 피사체광을 유도하는 촬상 광학계와,
    상기 촬상 광학계를 지지하는 광학계 지지체와,
    상기 촬상 광학계에 유도된 피사체광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광학계 지지체를 내포하는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광학계 지지체를 광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광학계 지지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와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조립된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가 고정되어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간극이 제공되어,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는 기판과 접촉되지 않은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기판은 접착제에 의해 함께 고정된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자외선과 열의 병용 경화형 접착제 및 자외선과 수분의 병용 경화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 지지체는 상기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중 어느 1매의 렌즈로 일체로 형성된 촬상 장치.
  7. 제1항에 따른 촬상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
KR1020040090631A 2003-11-12 2004-11-09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KR20050045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2273 2003-11-12
JP2003382273A JP4622237B2 (ja) 2003-11-12 2003-11-12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39A true KR20050045839A (ko) 2005-05-17

Family

ID=3443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631A KR20050045839A (ko) 2003-11-12 2004-11-09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531617A1 (ko)
JP (1) JP4622237B2 (ko)
KR (1) KR20050045839A (ko)
TW (1) TW2005223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00912D0 (en) * 2006-01-17 2006-02-22 1 Ltd Miniature camera lens arrangement
JP4413956B2 (ja) 2007-08-21 2010-02-1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機
TWI402979B (zh) * 2007-12-13 2013-07-21 Sharp Kk 電子元件晶圓模組、電子元件模組、感測器晶圓模組、感測器模組、透鏡陣列盤、感測器模組之製造方法、及電子資訊裝置
CN105527699A (zh) * 2016-02-19 2016-04-27 南京昂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光学镜头组
CN106624749B (zh) * 2016-12-16 2018-11-27 苏州美仪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用于手机摄像头模组的全自动剥离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201A (ja) * 1998-02-19 1999-08-27 Asahi Optical Co Ltd 光軸調整機構を有する撮像装置
JP4562820B2 (ja) * 1998-03-02 2010-10-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の取付方法
JP3915513B2 (ja) * 2001-01-12 2007-05-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3821652B2 (ja) * 2001-02-26 2006-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3490694B2 (ja) * 2001-03-28 2004-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25253B2 (en) * 2001-04-02 2005-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Zoom lens and electronic still camera using it
JP4061936B2 (ja) * 2002-03-22 2008-03-1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302565A (ja) * 2002-04-10 2003-10-24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1617A1 (en) 2005-05-18
TW200522343A (en) 2005-07-01
JP4622237B2 (ja) 2011-02-02
JP2005148197A (ja)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193B2 (en) Imaging device and camera
US7324748B2 (en) Focal plane shutter and image sensing apparatus
US8582020B2 (en) Imaging apparatus with a camera body whereon an interchangeable lens can be removably mounted
KR100917538B1 (ko) 촬상 소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감시카메라 장치
JP2007219199A (ja)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レンズの製造方法
US20060215055A1 (en) Camera lens module
JP200730628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1835953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US7782549B2 (en) Camera
JP680699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7108434A (ja) レンズ・シャッタ結合ユニット
WO2005003835A1 (ja) 撮像装置、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CN219105316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JP2006217473A (ja) 固体撮像素子の取付構造とこれを用いた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6317547A (ja) 反射光学系組立ユニットと、反射光学系組立ユニットを用いた撮像装置
KR20050045839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JPWO2006035580A1 (ja) レンズ鏡胴、および該レンズ鏡胴を備えた撮像装置、カメラ、携帯機器
JP2007132989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04045652A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7114421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システム
EP1530366A2 (en) An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ing apparatus
JP2005121950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WO2008018454A1 (fr) Dispositif imageur
JP4873134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10181684A (ja) 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