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245A -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245A
KR20050029245A KR1020057001783A KR20057001783A KR20050029245A KR 20050029245 A KR20050029245 A KR 20050029245A KR 1020057001783 A KR1020057001783 A KR 1020057001783A KR 20057001783 A KR20057001783 A KR 20057001783A KR 20050029245 A KR20050029245 A KR 2005002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valve body
discharge hole
hol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시로야스시
스가하라유지
Original Assignee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을 갖는 용기에 충전된 내용액을 당해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재와, 당해 토출부재를 입부에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토출부재는,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토출부 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또 액압을 받으면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 및/또는 유로를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토출구멍 및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DISCHARGE MEMBER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가요성을 갖는 용기에 충전된 내용액을 당해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재와, 당해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점안(點眼) 용기와 같이 내용액을 적하시켜 사용하는 용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41(a), (b)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150) 가 사용된다. 이 토출부재 (150) 는 용기 본체 (152) 의 입부 (mouth portion: 152a) 에 장착되는 것으로, 토출구멍 (151) 의 내경은, 용기 본체 (152) 를 가압함으로써 내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고, 또한 용기 본체 (152) 를 가압하지 않을 때에 내용액이 토출되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며, 토출구 (153) 의 직경은, 내용액을 액적(液滴 : 154)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도 41 에 나타내는 용기에 있어서는, 토출구 (153) 에 세균 등의 미생물이나 먼지, 이물질 등이 부착될 우려가 높고, 특히 점안 용기의 경우에는, 각막이나 눈꺼풀과의 접촉에 의해 토출구 (153) 에 미생물이 부착될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토출시킨 후에는, 가압에 의해 변형된 용기 본체 (152) 를 복원시키기 위해 토출구 (153) 로부터 외기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42(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 (153) 에 부착된 미생물, 먼지 등이 토출구 (153) 에 잔류된 내용액 (점안액: 155) 과 함께 용기 본체 (152) 안으로 역류될 우려가 있다. 또, 도 42(b) 중, 부호 156 은 내용액 (점안액: 155) 중의 기포를 나타낸다.
용기 본체의 내부에 미생물, 먼지 등이 침입하면 내용액의 부패, 열화 등을 초래하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점안 용기에 수용되는 점안액에는 방부제로서의 염화벤잘코늄, 파라벤류 등이 배합되어 있다. 그러나, 점안액의 종류에 따라서는 방부제를 함유하는 처방이 곤란하거나, 방부제를 배합시킴으로써 점안액 사용자에게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이 생기거나 하는 우려도 있다. 그러므로,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 또는 그 사용량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 내에 매우 소량의 점안액만을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소위 1 회용 점안 용기가 제공되어 있다. 이 점안 용기에 따르면 방부제의 비사용을 실현할 수 있지만, 비용면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특정한 용도에 한정되게 되어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0055호에는, 외층과, 그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내층을 구비한 소위 디라미네이트 보틀을 채용한, 필터가 부착된 토출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토출 용기에 의하면, 내용액의 토출 후에도 토출구로부터 용기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 중으로 세균류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내용액의 토출에 따르는 용기 내압의 변화에 대응시키기 위해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내부 용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용기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9017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6454호에는, 유통 구멍 직경의 크기를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한 다공성 필터를 토출구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항균성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약액 등이 스며든 상태로 다공성 필터가 건조되면, 약액 중의 용질에 의해 필터에 막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용도에 따라서는 점안액이 현탁액인 경우가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막힘 문제가 한층 더 생기기 쉬워진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9017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6454호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다공질 필터로서 금속 소결체나 수지 소결체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경우, 소결체의 미립자가 약액 중에 섞여 용기로부터 토출될 우려도 있다.
도 1 은, 제 1 토출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 1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용기의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계속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토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1 토출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2 토출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는 토출부 본체 (31a) 와 밸브체 (33) 와의 일체 성형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b) 는 그 저면도이다.
도 12(a) 는 밸브 시트부 (34) 의 평면도, 도 12(b) 는 그 저면도이다.
도 13(a) 는 토출부 본체와 밸브체와의 일체 성형물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b) 는 밸브 시트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계속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4 에 나타내는 용기 (40) 의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은, 제 2 토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는, 제 3 토출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50) 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토출부 본체 (51a) 의 평면도이다.
도 22(a) 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밸브체 지지부재 (54) 의 평면도, 도 22(b) 는 그 저면도이다.
도 23 은, 도 19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50) 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 는, 도 19 의 토출부재 (50) 를 구비하는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용기 (60) 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5 의 계속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 은, 도 24 에 나타내는 용기 (60) 의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 은, 제 4 토출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a) 는 도 28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70) 의 저면도, 도 29(b) 는 A-A 단면도이다.
도 30(a) 는 제 4 토출부재 (70) 를 구비하는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0(b) 는 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 은, 도 30(b) 의 계속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 는, 본 발명에 관한 제 4 토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 은, 제 5 토출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4 는, 제 5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a) 는 도 34 에 나타내는 용기 (100) 에 캡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5(b) 는 당해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 은, 도 34 에 나타내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 은, 도 36 의 계속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 은, 도 36(b) 에 나타내는 용기 (100) 의 토출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9 는, 제 5 토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 은, 도 39 에 나타내는 용기 (100') 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토출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1(a) 는 종래의 점안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1(b) 는 그 토출부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2 는, 종래의 점안 용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10', 10a, 10b, 30, 30', 50, 70, 70', 90, 90': 토출부재
11, 31, 51, 71, 71', 91: 토출부
11d: 토출부 내표면
12, 32, 52, 72, 92: 토출구멍
13, 13a, 13b, 33, 33', 53, 73, 73', 93, 93': 밸브체
14: 연결고정부
15, 35, 55, 75, 95: 유로
16, 36, 56, 76, 96: 통기구멍
17, 37, 57, 77, 97: 통기 필터
18, 38, 58, 78: 통액 필터
20, 20', 40, 60, 80, 100: 용기 (점안기)
21, 41, 61, 81, 101: 용기 본체
23, 43, 63, 83, 103: 내부 마개 (cock)
24, 44, 64, 84, 104: 내용액
25, 45, 65, 85, 105: 액적
25', 45', 65', 85', 105': 잔류액
26, 46, 66, 106: 캡
34a, 34a', 74: 밸브 시트
52a: 유로 내벽
52b: 돌출부
53a: 밸브 본체부
53b: 돌기
93a: 박육부
93b: 밸브 본체부
94a: 밸브체 지지부
94b: 플랜지부
U: 상류측
D: 하류측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입부에 있으면서 내용액을 액적으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내용액의 역류를 방지하고, 또한 토출 조작 후에 용기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무균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토출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액의 부패 또는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약제의 배합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그 배합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내용액이 현탁액이더라도 토출구에서 막힘을 일으키는 일없이, 원활한 토출을 실현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토출부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출부재는,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 (椀狀: bowl-like) 의 토출부와,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토출부 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 및/또는 유로를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로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 및 유로의 폐쇄와 개방을 제어하는 밸브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구멍 및/또는 유로를 폐쇄하고,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변형을 일으켜 토출구멍 및/또는 유로를 개방한다. 토출구멍 및/또는 유로가 개방되면, 당해 토출구멍과, 토출부의 상류측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점안 용기 등의 용기 본체) 이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당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점안 용기 등의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 된다. 이러한 가압에 따라서, 토출부재의 밸브체에 상류측으로부터 내용액 (약액 등) 의 액압이 가해지게 되고, 이것에 의해 밸브체가 변형되어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유로가 개방된다. 한쪽, 상기 토출 조작을 끝낸 후에는, 변형된 용기 본체가 그 형상을 복원시키기 위해 통기구멍으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키려고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따르면, 내용액의 유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통기구멍에 통기 필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 용기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무균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토출 조작을 끝낸 후에, 토출부재에 연결된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외기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음압은, 변형된 밸브체의 복원 동작을 가속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토출 조작함으로써 밸브체와 토출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 (유로) 은 용기 본체에 대한 가압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즉시 폐쇄되게 되고,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서의 밸브체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토출부재의 실시양태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제 1∼제 5 실시형태를 들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 1 토출부재는,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토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토출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토출부 내표면과의 사이에서 유로를 구획하고 또한 상류측에서 상기 밸브체를 고정하는 연결고정부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압축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는, 토출구멍을 밸브 시트로 하여 유로의 폐쇄와 개방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밸브체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을 일으켜 토출구멍을 개방한다. 토출구멍이 개방되는 결과, 당해 토출구멍과, 토출부의 내표면과 연결고정부 사이에 구획되는 유로가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토출부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 된다. 토출 조작 종료 후의 밸브체의 복원시에 있어서, 통기 필터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나, 외기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음압에 의해 변형된 밸브체의 복원 동작이 가속되는 것 (그러므로 밸브체를 체크 밸브로서 작용시킬 수 있는 것) 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제 1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의 압축 변형은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낮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토출 조작시에 통기구멍에 있어서 액 누출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더구나, 토출구멍 및/또는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토출부 내의 유로의 개방은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복원시에 통기구멍이 아니라 토출구멍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거나, 이에 따라서 토출구멍으로부터 내용액이 새어 나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 1 토출부재에 의하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체의 역류 및 그에 따르는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상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고도로 방지하면서, 토출 처리와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의 용기를 원활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제 1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와 연결고정부는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체와 연결고정부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토출부재의 생산 공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 밸브체와 연결고정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다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을 들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 2 토출부재는,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당해 토출부 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밸브 시트와, 상기 토출부의 내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구멍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에 하류측에서 맞닿아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되어 당해 밸브 시트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대략 통형상의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압축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는, 마찬가지로 토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부와 쌍을 이뤄, 유로의 폐쇄와 개방을 제어한다. 이 밸브체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 시트에 맞닿아, 토출구멍과 토출부의 상류측을 연결하는 유로를 폐쇄한다. 한편,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을 일으켜, 밸브 시트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다 (밸브 시트와의 간극을 개방한다). 밸브 시트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결과, 밸브체의 상류측과 토출구멍의 유로가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 된다. 토출 조작 종료 후의 밸브체의 복원에 있어서, 통기 필터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나, 외기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음압에 의해 변형된 밸브체의 복원 동작이 가속되는 것 (그러므로 밸브체를 체크 밸브로서 작용시킬 수 있는 것) 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제 2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의 압축 변형은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낮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토출 조작시에 통기구멍에 있어서 액 누출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더구나, 토출구멍 및/또는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토출부 내의 유로의 개방은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복원시에 통기구멍이 아니라 토출구멍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거나, 이것에 따라 토출구멍으로부터 내용액이 새어 나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 2 토출부재에 의하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체의 역류 및 그에 따르는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상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고도로 방지하면서, 토출 처리와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의 용기를 원활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제 2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는 유로의 폐쇄와 개방을 엄밀하게 행한다는 관점에서 토출부의 내표면에 고정된다. 그래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밸브체와 토출부는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체와 연결고정부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양자를 확실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토출부재의 생산 공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 밸브체와 토출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다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을 들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 3 토출부재는,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당해 토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 또는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신장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 또는 유로를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신장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는, 토출구멍 또는 유로의 폐쇄와 개방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밸브체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구멍 또는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신장 변형을 일으켜 당해 토출구멍 또는 유로를 개방한다. 토출구멍 또는 유로가 개방되는 결과, 밸브체의 상류측과 토출구멍의 유로가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 3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 된다. 토출 조작 종료 후의 밸브체의 복원시에 있어서, 통기 필터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나, 외기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음압에 의해 변형된 밸브체의 복원 동작이 가속되는 것 (그러므로 밸브체를 체크 밸브로서 작용시킬 수 있는 것) 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제 3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의 신장 변형은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낮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토출 조작시에 통기구멍에 있어서 액 누출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더구나, 이러한 신장 변형은 밸브체의 구조상,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는 생기지 않기 (그러므로, 통기 필터의 통기압과 동등한 압력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더라도 신장 변형은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복원시에 통기구멍이 아니라 토출구멍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거나, 이에 수반하여 토출구멍으로부터 내용액이 새어 나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 3 토출부재에 의하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체의 역류 및 그에 따르는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상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고도로 방지하면서, 토출 처리와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의 용기를 원활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는, 상기 유로 내에 고정되는 밸브 본체부와, 그 토출구멍측 선단에서의 돌기를 갖는 것으로, 밸브 본체부 선단의 돌기는,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에 그 하류측에서 걸어 맞춰져 당해 유로를 폐쇄하는 것이고, 또한,
밸브 본체부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에 의해 하류측으로 신장 변형되어, 당해 밸브 본체부 선단의 돌기와 상기 유로 내벽에서의 돌출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밸브체의 밸브 본체부 선단에서의 돌기는,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유로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에 그 하류측에서부터 걸어맞춰져 있어, 당해 유로를 폐쇄하고 있다. 한편, 밸브체는, 액압을 받으면 당해 걸림 위치보다도 하류측으로 신장 변형하기 때문에, 밸브 본체부 선단의 돌기와, 유로 내벽의 돌출부 사이에서 유로가 개방된다. 토출 조작을 마치고 밸브체에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된 후에는, 밸브체의 복원에 의해 밸브 본체부 선단의 돌기가 상류측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유로 내벽의 돌출부와 다시 걸어맞춰져 유로가 폐쇄된다. 이 밸브체의 복원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 조작에 의해 변형된 용기 본체를 복원시킬 때에 발생하는,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음압에 의해 가속된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 4 토출부재는,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당해 토출부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맞닿고,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신장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토출구멍과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당해 밸브체의 신장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부의 외표면측으로부터 토출구멍에 맞닿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는, 토출구멍의 폐쇄와 개방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밸브체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토출부의 외측 (하류측) 으로 신장 변형을 일으켜 (그 결과, 밸브체가 토출부의 외측으로 휘어져)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한다. 토출구멍이 개방되는 결과, 밸브체의 상류측과 토출구멍의 유로가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 4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 된다. 토출 조작 종료 후의 밸브체의 복원시에 있어서, 통기 필터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나, 외기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음압에 의해 변형된 밸브체의 복원 동작이 가속되는 것 (그러므로 밸브체를 체크 밸브로서 작용시킬 수 있는 것) 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제 4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의 신장 변형은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낮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토출 조작시에 통기구멍에 있어서 액 누출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더구나, 이러한 신장 변형은 밸브체의 구조상,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는 생기지 않기 (그러므로, 통기 필터의 통기압과 동등한 압력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더라도 신장 변형은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복원시에 통기구멍이 아니라 토출구멍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거나, 이에 수반하여 토출구멍으로부터 내용액이 새어 나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 4 토출부재에 의하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체의 역류 및 그에 따르는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상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고도로 방지하면서, 토출 처리와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의 용기를 원활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4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은, 상기 토출부 내에 고정되는 대략 원반형상의 밸브 시트와, 당해 밸브 시트를 유지하는 토출부 내벽면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밸브체는, 대략 고리형상의 박육부를 갖는 것이면서 당해 박육부를 상기 토출부의 외표면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맞닿게 하여 토출구멍을 폐쇄하는 것이고, 밸브체의 박육부는,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 액압에 의해 하류측으로 신장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밸브체는,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로, 그 박육부를 대략 원반형상의 밸브 시트에 맞닿게 함으로써 토출구멍을 폐쇄시키고 있다. 밸브체는, 액압을 받으면 하류측으로 신장 변형되기 (토출부의 외측으로 휘기) 때문에 대략 원반형상의 밸브 시트와, 당해 밸브 시트를 유지하는 토출부 내벽면과의 사이에 구획되는 토출구멍이 개방된다. 토출 조작을 마치고 밸브체에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된 후에는, 다시 밸브체의 박육부가 대략 원반형상의 밸브 시트에 맞닿기 때문에 유로가 폐쇄된다. 이 밸브체의 복원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 조작에 의해 변형된 용기 본체를 복원시킬 때에 발생하는,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음압에 의해 가속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4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는, 토출부의 외측에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토출부재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밸브체와 토출부의 일체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 등의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 5 토출부재는, 바닥부에 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대략 고리형상의 밸브 본체부와 그 선단에 형성된 대략 고리형상의 박육부를 갖고 또한 당해 박육부를 상기 구멍으로부터 토출부 밖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당해 밸브 본체부를 토출부 내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당해 토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와 동시에 토출구멍을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원주형상의 밸브체 지지부와,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로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가,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그 박육부를 밸브체 지지부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당해 박육부를 신장 변형시켜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것이고, 상기 박육부의 신장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는, 그 박육부를, 토출부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토출부 밖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밸브체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토출구멍을 구획하고 있다. 이 박육부는, 밸브체 지지부재에서의 원주형상의 밸브체 지지부를 밸브 시트로 하여 토출구멍의 폐쇄와 개방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밸브체의 박육부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체 지지부의 외주면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토출구멍을 폐쇄한다. 한편,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그 박육부에서, 토출부의 외측 (하류측) 으로 신장 변형을 일으키고 (그 결과, 밸브체가 밸브체 지지부의 외주측으로 휘어), 이것에 의해 토출구멍을 개방한다. 토출구멍이 개방되는 결과, 밸브체의 상류측과 토출구멍의 유로가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 4 토출부재에 있어서,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에 압력을 가하면 된다. 토출 조작 종료 후의 밸브체의 복원시에 있어서, 통기 필터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나, 외기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음압에 의해 변형된 밸브체의 복원 동작이 가속되는 것 (그러므로 밸브체를 체크 밸브로서 작용시킬 수 있는 것) 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제 5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의 신장 변형은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낮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토출 조작시에 통기구멍에 있어서 액 누출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더구나, 이러한 신장 변형은 밸브체의 구조상,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는 생기지 않기 (그러므로, 통기 필터의 통기압과 동등한 압력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더라도 신장 변형은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복원시에 통기구멍이 아니라 토출구멍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거나, 이에 수반하여 토출구멍으로부터 내용액이 새어 나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 5 토출부재에 의하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체의 역류 및 그에 따르는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상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고도로 방지하면서, 토출 처리와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의 용기를 원활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5 토출부재에 있어서는, 밸브체 지지부가 그 원주부분의 상류측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밸브체의 밸브 본체부가,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에 맞닿아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이고, 또한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되어 밸브체 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밸브체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로, 그 박육부를 밸브체 지지부의 외주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토출구멍을 폐쇄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밸브 본체부를 밸브체 지지부의 플랜지부에 맞닿게 하여 유로를 폐쇄시키고 있다. 따라서, 토출구멍을 한층 더 확실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밸브체가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그 박육부에서 토출부의 외측 (하류측) 으로 신장 변형을 일으키게 할 뿐만 아니라, 또, 밸브 본체부를 압축 변형시켜 밸브체 지지부의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 (개방) 한다. 이렇게 해서 토출구멍 및 유로가 개방되는 결과, 밸브체의 상류측과 토출구멍의 유로가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토출구멍으로부터의 약액 등의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 5 토출부재 및 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토출 조작을 마치고 밸브체에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된 후의 그 복원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 조작에 의해 변형된 용기 본체를 복원시킬 때에 발생하는,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음압에 의해 가속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5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의 밸브 본체부는, 토출부의 내표면과 일체화되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토출부재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밸브체와 토출부의 일체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 등의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항균 처리]
본 발명에 관한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 및/또는 토출구멍은 항균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체 및/또는 토출구멍에 항균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는, 토출 조작의 종료 후에 토출구멍의 근방에서 체류하는 내용액 (잔류액) 에 대하여 세균의 번식 등을 방지하는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다.
항균 처리의 대상은, 토출부재의 구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면 되고, 토출부 전체, 밸브 시트, 용기 본체, 토출부를 덮는 캡의 표면 (특히, 토출부와 접촉하는 내표면), 당해 캡의 내부에 배치되는 급수재 (스폰지, 천, 종이, 히드로겔 등) 등의 각종 부위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균 처리는, 예를 들면 밸브체 등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 토출부, 토출구멍, 밸브 시트 등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 상기 흡수재의 형성 재료 등에 미리 방부제, 항균제 등의 약제를 배합하거나, 미리 성형된 밸브체나 토출부 등의 표면에 상기 약제를 도포 등의 수단에 의해 부착시키거나, 또는 밸브체, 토출부, 캡, 캡 내의 흡수재 등의 형성 재료에 실란 커플링이나 셀레늄 코팅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거나 함으로써 달성된다.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등의 고분자와 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히드로겔에 대해서는, 그 표면에 셀레늄을 코팅함으로써 항균 처리할 수 있다.
[통액 필터]
본 발명에 관한 토출부재는, 토출구멍보다도 상류측, 또는 밸브체에 의한 유로의 개폐 위치보다도 상류측에 통액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액 필터를 형성함으로써, 만일, 토출부의 토출구멍 근방에 잔류하는 액 중에 미생물, 먼지 등이 침입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해도, 당해 잔류액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까지 침입 (역류) 하는 사태에 대해서 이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통액 필터를 형성하는 것은, 토출부재에 접속된 용기 등으로 오염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통액 필터가, 예를 들어 구멍 직경이 0.2∼0.45㎛ 정도 (소구멍 직경의) 인 필터인 경우에는, 현탁액을 수용하는 용기에 본 발명의 토출부재를 적용하기가 어려워진다. 한편으로, 만일, 미생물, 먼지 등을 함유하는 잔류액이 토출구멍으로부터 역류한다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해도, 당해 잔류액이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까지 침입 (역류) 하는 사태를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통액 필터가, 예를 들어 구멍 직경이 10∼20㎛ 정도 (비교적 대구멍 직경) 인 필터인 경우에는, 현탁액을 수용하는 용기에도 본 발명의 토출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현탁액에 의한 통액 필터의 막힘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현탁액 성분이 토출구멍의 근방에서 침전하는 것을 억제한다는 새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멍 직경이 큰 통액 필터라도 미생물 등의 통과를 어느 정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일 미생물 등을 함유하는 잔류액이 토출구멍으로부터 역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해도, 당해 잔류액이 용기 본체까지 침입 (역류) 하는 사태를 억제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용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는, 본 발명에 관한 토출부재를 용기 본체의 입부에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예를 들어 점안액을 수용하는 점안 용기로서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용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토출부재 및 용기]
본 발명에 관한 제 1 토출부재 (10)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에 토출구멍 (12) 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 의 토출부 (11) 와, 토출부 (11) 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토출구멍 (12) 을 폐쇄하고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되어 토출구멍 (12) 을 개방하는 밸브체 (13) 와, 토출부 (11) 의 내부에 배치되고 토출부의 내표면 (11d) 과의 사이에서 유로 (15) 를 구획하고 또한 상류측 (U) 에서 밸브체 (13) 를 고정하는 연결고정부 (14) 와, 통기 필터 (17) 를 통하여 밸브체 (13) 보다도 상류측의 유로로 연결되는 통기구멍 (16) 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구멍 (12) 은, 통상은 밸브체 (13) 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만, 유로 (15) 를 통하여 상류측 (U) 으로부터 밸브체 (13) 에 액압이 가해지면, 당해 밸브체 (13) 에 압축 변형이 발생하여, 토출부 (11) 의 토출구멍 (12) 과 밸브체 (13) 사이에 공극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당해 공극을 통하여 내용액을 토출할 수 있다.
밸브체 (13) 는, 연결고정부 (14) 에 의해 토출부재 (10) 중에 고정되어 있고, 연결고정부 (14) 와 토출부의 내표면 (11d) 의 사이는 약액 등의 유로 (15) 로 되어 있다.
토출부 (11) 는, 통기구멍 (16) 에 통기 필터 (17) 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토출구멍 (12) 을 구비하는 토출부 본체 (11a) 와, 그 상류측 (U) 에 배치되어 약액 용기 등의 입부에 접속되는 연결부 (llb) 의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토출부 본체 (11a) 와 연결부 (11b) 는, 접속부분 (11c) 에 통기 필터 (17) 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초음파 접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일체화된다.
제 1 토출부재 (10) 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2l) 의 입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용기 (20) 에서는, 토출부재 (10) 는, 내부 마개 (23) 를 통하여 용기 (20) 의 네크부 (22) 에 장착되어 있다. 내부 마개 (23)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네크부 (22) 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도 2 는, 용기 (20) 의 사용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3 은, 용기 (20) 의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는, 토출부 (11) 에 캡 (26) 이 장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토출부재 (10) 와 용기 본체 (21) 사이에 스토퍼 (27) 가 씌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토출부재 (10) 는, 용기 본체 (21) 에 대하여 얕게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내부 마개 (23) 의 선단부 (23a) 는, 토출부재 (10) 의 내표면에 형성된 플랜지 (19) 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당해 플랜지 (19) 와 내부 마개 (23) 의 선단부 (23a) 에 의하여 토출부재 (10) 의 유로 (15) 가 분단되게 되어, 용기 본체 (21) 내에 수용되는 내용액의 무균 상태를 보다 고도로 유지하거나, 내용액의 열화 (공기 산화 등) 의 진행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에 의한 토출 조작의 일련의 공정을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다. 도 4(a) 는 용기 본체 (21) 에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13) 는 토출구멍 (12) 을 폐쇄하고 있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 (21)에 수용된 내용액 (24) 은 토출부 (11) 로부터 토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 (21) 및 토출부재 내에 머무른다. 도 4(b) 는 용기 본체 (21) 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토출부재의 밸브체 (13) 에 상류측 (U) 으로부터 내용액 (24) 에 의해 액압이 가해지고 있고, 이것에 의해 밸브체 (13) 가 압축 변형되므로, 토출구멍 (12) 이 개방되고, 내용액 (24) 이 액적 (25) 으로서 토출된다.
도 5(a) 는, 도 4(b)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서, 용기 본체 (2l)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13) 에는 내용액 (24) 에 의한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밸브체 (13)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시 토출구멍 (12) 이 폐쇄된다. 또, 도 5(b) 는, 도 5(a)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21)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함으로써, 용기 본체 (21)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13) 가 토출구멍 (12) 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21) 로의 외기의 유입은 오로지 통기구멍 (16) 을 통하여 실현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제 1 토출부재 (l0')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 (20') 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출구멍 (12) 으로 연결되는 유로 (15) 상에 통액 필터 (18) 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미생물, 먼지 등을 함유하는 잔류액이 토출구멍 (12) 으로부터 역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하여도, 당해 잔류액이 토출부재 (10') 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 (21) 까지 침입 (역류) 하는 사태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토출부재는, 예를 들어 그 밸브체 (13a, 13b) 가,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형상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도 7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10a) 와 같이, 토출구멍 (12) 에서 노출되어 있는 밸브체 (13a) 의 선단부분이 평탄해도 되고, 도 8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10b) 와 같이, 밸브체 (13b) 가 그 선단에 오목한 부분 (13c) 을 구비하여 있어도 된다. 특히, 도 8 에 나타내는 형상의 밸브체 (13b) 는, 상류 (U) 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은 경우에, 오목한 부분 (13c) 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밸브체 (도 1 이나 도 7 에 나타내는 밸브체 (13, 13a)) 에 비하여 압축 변형이 생기기 쉽고 (즉 토출구멍 (12) 을 개방시키고 쉽고), 또한 토출부 (11) 의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토출구멍 (12) 이 개방한다는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아, 토출 조작을 원활하게 하고, 또 역류를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 2 토출부재 및 용기]
본 발명에 관한 제 2 토출부재 (30) 는, 예를 들어 도 9 (단면도) 및 도 10 (분해 단면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에 토출구멍 (32) 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의 토출부 (31) 와, 토출부 (31) 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링형상의 밸브체 (33) 와, 토출부 (31) 의 개구단 (31d) 측에서부터 씌워 넣어지고, 토출구멍 (32) 을 하류측 (D) 로 했을 때에 밸브체 (33) 의 상류측 (U) 에 맞닿는 밸브 시트부 (34) 와, 통기 필터 (37) 를 통하여 밸브체 (33) 보다도 상류측 (U) 의 유로 (35) 에 연결되는 통기구멍 (36) 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부 (31) 는, 통기구멍 (36) 에 통기 필터 (37) 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토출구멍 (32) 을 구비하는 토출부 본체 (31a) 와, 그 상류측 (U) 에 배치되어 약액 용기 등의 입부에 접속되는 연결부 (3lb) 의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토출부 본체 (31a) 와 연결부 (31b) 는, 그 플랜지 (31f: 접속부분 (31c)) 에 통기 필터 (17) 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초음파 접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일체화된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중, 토출부 본체 (31a) 와 밸브체 (33) 와의 일체 성형물은, 도 11 에 그 평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의 밸브체 (33) 를 토출부 본체 (31a) 의 내표면 (31e) 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시킨 것이다. 또, 도 11(a) 중, 부호 36 을 붙인 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통기 필터 (37) 에 의해 덮인 통기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b) 는 토출부 본체 (31a) 와 밸브체 (33) 의 일체 성형물을 나타내는 저면도로서, 동 도에 나타내는 토출부 본체 (31a) 에서는, 그 바닥부에, 당해 바닥부를 관통하는 구멍 (사출구멍: 31g) 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부 본체 (31a) 는, 예를 들어 토출부 본체 (31a) 형성용 수지를 금형 내에 사출함으로써 성형할 수 있지만, 그 사출 후에, 토출부 (31) 의 개구단 (31d) 측 (도 10 참조) 의 금형 (가동금형) 을 교체하여 (또는 이동시켜), 다시 또 토출부 본체 (31a) 의 바닥부의 사출구멍 (31g) 으로부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출하면, 토출부 본체 (31a) 와 밸브체 (33) 를 일체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밸브체 (33) 를 토출부의 개구단 (31d) 측에서부터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출구멍 (31g) 이 필요하지 않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중, 토출부 본체 (31a) 내에 상류측 (U) 으로부터 씌워져 장착되는 밸브 시트부 (34) 는, 도 12 에 그 평면도 (a) 와 저면도 (b) 를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 (34d) 를 구비하는 통체 (34c) 와, 당해 통체 (34c) 의 플랜지 (34d) 측과는 반대측의 입부를 막도록 하여 배치되는 밸브 시트 (34a) 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34b 로 나타내는 부분은, 링형상의 밸브체 (33) 의 공동부와 동시에 약액 등의 유로 (35) 를 구획하는 부위이다. 부호 34e 로 나타내는 부분은, 통체 (34c) 와 밸브 시트 (34a) 의 연결부이다.
도 11(a) 에 나타내는 일체 성형물에 있어서, 밸브체 (33) 는 링형상이다. 그러나, 밸브체는 토출부 본체 (31a) 의 원주방향 (x) 으로 연속한 (링형상)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어도 된다. 또, 밸브체의 형상이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인 경우에는, 밸브체 (33') 의 압축 변형에 따라서 밸브 시트 (도시 생략) 와 토출부 본체 (31a') 사이에 생기는 유로 (도시 생략) 영역이, 밸브체 (33) 가 링형상인 경우 (도 11) 에 비하여 좁아진다. 따라서, 밸브체의 형상은, 토출부재에 요구되는 유로 영역의 넓고 좁음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도 13(a) 중, 부호 31e' 는 토출부 본체 (31a) 의 내표면을 나타내고, 부호 31f' 는 토출부 본체 (31a) 의 플랜지를 나타낸다.
도 13(b) 는, 도 l3(a) 에 나타내는 형상의 밸브체 (33') 를 구비하는 토출부재에 사용되는 밸브 시트부 (34') 를 나타낸다. 밸브 시트부 (34') 의 유로 (35) 는, 도 13(a)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의 밸브체 (33') 의 형상에 따라서 형성하면 된다. 또, 도 13(b) 중, 부호 34a' 는 밸브 시트를 나타낸다.
제 2 토출부재 (30) 는, 예를 들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41) 의 입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2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에 의한 토출 조작의 일련의 공정을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낸다. 도 15(a) 는 용기 본체 (41) 에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토출부 본체 (31a) 측 유로 (35) 와 연결부 (31b) 측 유로 (35) 의 사이를 밸브체 (33) 가 폐쇄하고 있어, 토출구멍 (32) 과 용기 본체 (41) 가 연결되어 통하는 것이 차단되어 있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 (41) 에 수용된 내용액 (44) 은 토출부 (31) 로부터 토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 (41) 및 토출부재 (30) 내에 머무른다. 도 15(b) 는 용기 본체 (4l) 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밸브체 (33) 는, 유로 (35) 를 통하여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고, 이 액압에 의해 압축 변형이 발생되어 있다. 그러므로, 밸브체 (33) 와 밸브 시트 (34a) 사이에 공극이 생겨 (밸브체 (33) 가 개방되어), 토출부 본체 (31a) 측 유로 (35) 와 연결부 (31b) 측 유로 (35) 사이가 연결되어 통하게 된다. 그 결과, 용기 본체 (41) 에 수용된 내용액 (44) 은 액적 (45)으로서 토출부 (31) 로부터 토출된다.
도 16(a) 는, 도 15(b)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서, 용기 본체 (41)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33) 에는 내용액 (43) 에 의한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밸브체 (33)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다시 밸브체 (33) 와 밸브 시트 (34a) 사이가 폐쇄된다. 도 16(b) 는, 도 16(a)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41)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함으로써, 용기 본체 (41)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33) 가 유로 (35) 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41) 로의 외기의 유입은 오로지 통기구멍 (36) 을 통하여 실현된다.
도 14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마개 (43) 는, 용기 (40) 의 네크부 (42) 에 끼워져 있다. 도 14 는, 용기 (40) 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데 대하여, 도 17 은, 용기 (40) 의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는, 토출부재 (30) 가 용기 본체 (41) 에 대하여 얕게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내부 마개 (43) 의 선단부 (43a) 는, 토출부 (3l) 내표면에 형성된 플랜지 (39) 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플랜지 (39) 와 내부 마개 (43) 의 선단부 (43a) 에 의하여 토출부재 (30) 의 유로 (34) 가 분단되게 되어, 용기 본체 (21) 내에 수용되는 내용액의 무균 상태를 보다 고도로 유지하거나, 내용액의 열화 (공기 산화 등) 의 진행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에는, 그 토출부 본체 (31a) 의 나사부 (31h) 에 캡 (46) 이 나사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 이 캡 (46) 의 내표면에는, 토출부재 (31) 의 토출구멍 (32) 과 접하는 부위에 스폰지 (47)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폰지 (47) 는, 토출 조작의 종료 후에 토출구멍 (32) 에 잔존하는 잔류액 (35') (도 16(b) 참조) 을 흡수하기 때문에, 재차 적하 조작시에 당해 잔류액을 토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부호 46a 는, 캡 (46) 의 내표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나타낸다.
도 17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에 있어서, 캡의 개구단 (46b) 은 토출부재 (30) 의 통기구멍 (36) 을 막고 있다. 이 결과, 용기 본체 (41) 내에 수용된 약액의 용매 (물) 등이 통기 필터 (37) 로부터 서서히 증발 산화하여 수용액의 pH 가 변동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재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8 에 나타내는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도 18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는, 도 9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의 경우와 같이, 바닥부에 토출구멍 (32) 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의 토출부 (31) 와, 토출부 (31) 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링형상의 밸브체 (33') 와, 토출부 (3l) 의 개구단측으로부터 씌워 넣어지고, 토출구멍 (32) 을 하류측 (D) 로 했을 때에 밸브체 (33') 의 상류측 (U) 에 맞닿는 밸브 시트부 (34) 와, 통기 필터 (37) 를 통하여 유로 (35) 와 연결되어 통하는 통기구멍 (36) 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밸브 시트부 (34) 보다도 상류측 (U) 에 배치되어 유로 (35) 를 덮는 통액 필터 (38) 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토출부재 (30) 은, 밸브체 (31) 의 형상 및 그것을 수용하는 토출부 (31) 의 토출구멍 (32) 부근에서의 형상이 다른 것과, 유로 (35) 중에 통액 필터 (38) 를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는, 도 9 등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10) 와 동일하다.
[제 3 토출부재 및 용기]
본 발명에 관한 제 3 토출부재 (50) 는, 예를 들어 도 19 (단면도) 및 도 20 (분해 단면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에 토출구멍 (52) 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의 토출부 (51) 와, 토출부 (51) 내 (토출구멍 (52) 으로 연결되는 유로 (55)) 에 배치되어,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선 토출구멍 (52) 을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신장 변형되어 토출구멍 (52) 을 개방하는 탄성체의 밸브체 (53) 와, 통기 필터 (57) 를 통하여 밸브체 (53) 보다도 상류측 (U) 의 유로 (55) 로 연결되는 통기구멍 (56) 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부 (51) 는, 통기구멍 (56) 에 통기 필터 (57) 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토출구멍 (52) 을 구비하는 토출부 본체 (51a) 와, 그 상류측 (U) 에 배치되어 약액 용기 등의 입부에 접속되는 연결부 (5lb) 의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토출부 본체 (51a) 와 연결부 (51b) 는, 그 플랜지 (51f: 접속부분 (51c)) 에 통기 필터 (57) 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초음파 접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일체화된다.
도 21 은, 토출부 본체 (51a) 의 평면도 (상류측 (U) 에서 본 도면) 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통형상인 토출부 본체 (51a) 의 바닥부에는, 밸브 본체부 (53a) 의 돌기와 나사식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 (밸브 시트: 5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부 본체 (51a) 와 쌍을 이루는 연결부 (51b) 를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 (51f: 접속부분 (51c)) 부분에는, 소정 간격으로 통기구멍 (56) 이 형성되고 있고, 당해 통기구멍 (56) 에는 무균적인 공기의 유입을 실현하기 위한 통기 필터 (57) 가 배치되어 있다.
도 22 는, 밸브체 (53) 와, 이것을 연결 고정하는 밸브체 지지부재 (54) 의 결합체를 나타내고 있고, 동 도(a) 는 그 평면도 (상류측 (U) 에서 본 도면) 이고, 동 도(b) 는 그 저면도 (하류측 (D) 에서 본 도면) 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53) 를 토출부 본체 (51a) 내에 배치하기 위한 밸브체 지지부재 (54) 는, 통체 (54a) 와, 그 바닥부에 있고 밸브체 (53) 와의 나사식 결합을 실현하는 연결고정부 (54b) 와, 이것과 반대측 개구단에 있고 토출부 본체 (51a) 와 끼워 맞추기 위한 플랜지부 (54c)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53) 는, 밸브체 지지부재 (54) 에 연결 고정된 후에, 토출부 본체 (51a) 의 내표면 (51e) 에 끼워진다.
밸브체 (53) 가 열가소성을 갖는 탄성체 재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인 경우에는, 밸브체 (53) 와 밸브체 지지부재 (54) 를 인서트 성형이나 다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 부재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밸브체 (53) 를 형성하는 탄성체 재료가 열가소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사출 성형 등의 성형 기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주형(注型)용 틀에 밸브체 지지부재 (54) 를 인서트한 후에 밸브체 (53) 를 주형 성형함으로써, 밸브체와 밸브체 지지부재 (54) 를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브체 (53) 는, 밸브축으로서의 밸브 본체부 (53a) 와, 밸브 본체부 (53a) 의 선단에 있고 밸브 헤드를 형성하는 돌기 (53b) 와, 밸브 본체부 (53a) 를 밸브체 지지부재와 나사식 결합시키기 위한 플랜지부 (53c) 로 이루어져 있다.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탄성부재는, 예를 들어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부 본체 (51a) 의 개구단 (도 20 의 부호 51d 참조) 측에서 밸브체 (53) 를 구비하는 밸브체 지지부재 (54) 을 삽입하고, 밸브 본체부 (53a) 의 돌기 (53b) 를 토출부 (52) 의 유로 내벽 (52a) 에 형성된 돌출부 (52b) 에 배치한 후, 상류측 (U) 에서부터 강한 액압이나 공기압을 부하하여 밸브 본체의 돌기 (53b) 를 토출구멍 (52) 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제 1 토출부재 (50) 는, 예를 들어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61) 의 입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24 에 나타내는 용기 (60) 에 있어서, 용기 본체 (61) 의 네크부 (62) 에는 내부 마개 (63) 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를 사용한 토출 조작의 일련의 공정을 도 25 및 도 26 에 나타낸다. 도 25(a) 는 용기 본체 (61) 에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토출구멍 (52) 에서의 유로 (55) 와 밸브체 (53) 보다도 상류측에 있는 유로 (55) 사이가 밸브체 (53) 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토출구멍 (52) 과 용기 본체 (61) 가 연결되어 통하는 것이 차단되어 있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 (61) 에 수용된 내용액 (64) 은 토출부 (51) 로부터 토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 (61) 및 토출부재 (50) 내에 머무른다. 도 25(b) 는 용기 본체 (61) 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밸브체 (53) 는, 유로 (55) 를 통하여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고, 이 액압에 의해 토출구멍 (52) 측으로 신장 변형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밸브 본체부 (53a) 의 돌기 (53b) 와 토출부 (52) 의 유로 내벽 (52a) 에 형성된 凸 조 (52b) 사이가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용기 본체 (61) 에 수용된 내용액 (64) 은 액적 (65) 으로서 토출부 (51) 로부터 토출된다.
도 26(a) 는, 도 25(b)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61)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53) 에는 내용액 (64) 에 의한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다시 밸브체 (53) 와 돌출부 (52b) 사이가 폐쇄된다. 도 26(b) 는, 도 26(a)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61)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 토출부재의 밸브체 (53) 는, 토출부의 돌출부 (52b) 부분에 있어서 유로 (55) 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61) 로의 외기의 유입은 오로지 통기구멍 (56) 을 통하여 실현된다.
도 24 및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마개 (63) 는 용기 (60) 의 네크부 (62) 에 끼워져 있다. 이 내부 마개 (63) 의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토출부재 (30) 를 구비하는 용기 (40) 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도 24 는 용기 (60) 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데에 대하여, 도 27 은 용기 (60) 의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 중, 부호 63a 는 내부 마개 (63) 의 선단부를 나타내고, 부호 59 는, 토출부 (51) 의 내표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나타낸다.
도 27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51) 에는, 또한 그 토출부 본체 (51a) 의 나사부분 (51h) 에 캡 (66) 이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캡 (66) 의 내표면에는, 토출부재 (51) 의 토출구멍 (52) 과 접하는 부위에 스폰지 (67)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캡의 개구단 (66b) 은 통기구멍 (56) 을 막고 있다. 이 스폰지 (67) 나 캡의 개구단 (66b) 의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토출부재 (30) 를 구비하는 용기 (40) 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도 27 중, 부호 66a 는, 캡 (66) 의 내표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나타낸다.
[제 4 토출부재 및 용기]
본 발명에 관한 제 4 토출부재 (70) 는, 예를 들어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에 토출구멍 (72) 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의 토출부 (71) 와, 토출부 (71) 의 외표면측에서 밸브 시트 (74) 에 맞닿아,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구멍 (72) 을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신장 변형되어 토출구멍 (72) 을 개방하는 탄성체의 밸브체 (73) 와, 통기 필터 (77) 를 통하여 밸브체 (73) 보다도 상류측의 유로로 연결되는 통기구멍 (76) 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부 (71) 는, 통기구멍 (76) 에 통기 필터 (77) 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상기 제 1 토출부재의 경우와 동일하게, 토출구멍 (72) 을 구비하는 토출부 본체 (71a) 와, 그 상류측 (U) 에 배치되어 약액 용기 등의 입부에 접속되는 연결부 (71b) 의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토출부 본체 (71a) 와 연결부 (17b) 는, 그 플랜지 (71f: 접속부분 (71c)) 에 통기 필터 (77) 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초음파 접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일체화된다.
도 29(a) 는, 토출부 본체 (71a) 의 저면도 (하류측 (D) 에서 본 도면) 이고, 동 도 (b) 는 도 28 의 A-A 단면도이다. 토출부 본체 (71a) 에는, 이것과 쌍을 이루는 연결부 (71b) 를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 (71f: 접속부분 (71c)) 부분에 있어서, 도 21 에 나타내는 경우와 같은, 복수의 통기구멍 (76) 및 이 통기구멍을 막는 통기 필터 (77) 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구멍 (76) 및 통기 필터 (77) 의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3 토출부재 (50) 를 구비하는 용기 (60) 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28∼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73) 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의 부재인 토출부 본체 (71a) 의 바닥부 외표면과, 당해 토출부 본체 (71a) 의 바닥부에 있고 유로 (75) 를 구획하면서 또 토출부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 시트 (74) 에서의 저면 (외표면), 양쪽에 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 밸브체 (73) 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을 갖는 탄성체 재료를 사용하여, 수지제의 토출부 본체 (71a) 에서의 외표면측에, 당해 토출부 본체 (71a) 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 성형에 의해, 토출부재 (70) 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 4 토출부재 (70) 는, 예를 들어 도 3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81) 의 입부에 장착시킴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30(a) 에 나타내는 용기 (80) 에 있어서, 용기 본체 (81) 의 네크부 (82) 에는 내부 마개 (8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마개 (83) 의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토출부재 (30) 를 구비하는 용기 (40) 나 상기 제 3 토출부재 (50) 를 구비하는 용기 (60) 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를 사용한 토출 조작의 일련의 공정을 도 30 및 도 31 에 나타낸다. 도 30(a) 는 용기 본체 (81) 에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토출구멍 (72) 에서의 유로 (75) 가 밸브체 (73) 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토출구멍 (72) 의 외부와 용기 본체 (81) 가 연결되어 통하는 것이 차단되어 있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 (81) 에 수용된 내용액 (84) 은 토출부 (71) 로부터 토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 (81) 및 토출부재 (70) 내에 머무른다. 도 30(b) 는 용기 본체 (81) 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 밸브체 (73) 는, 유로 (75) 를 통하여 상류측 (U) 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고, 이 액압에 의해 토출구멍 (72) 측으로 신장 변형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밸브체 (73) 와 밸브 시트부 (74)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게 되어, 용기 본체 (81) 에 수용된 내용액 (84) 은 액적 (85) 으로서 토출부 (71) 로부터 토출된다.
도 31(a) 는, 도 30(b)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81)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73) 에는 내용액 (84) 에 의한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다시 밸브체 (73) 와 밸브 시트 (74) 사이가 폐쇄된다. 도 31(b) 는, 도 31(a)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81)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 토출부재의 밸브체 (73) 는, 토출부 (71a) 의 밸브 시트 (74) 와의 사이에서 유로 (75) 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81) 로의 외기의 유입은 오로지 통기구멍 (76) 을 통하여 실현된다.
도 32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70') 는, 제 4 토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이다. 밸브체의 재질에 열가소성을 갖는 탄성체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28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70) 와 같이, 밸브체 (73) 와 토출부 본체 (71a) 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밸브체 (73) 는 충분히 유연하고, 액압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림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외의 탄성체, 즉 열가소성을 갖지 않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밸브체를 형성하는 탄성체 재료가 열가소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할 수 없는 것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32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밸브체 (73') 를 토출부 본체 (71a') 와 밸브 시트 (74) (및 통체 (74a)) 사이에 협지시킴으로써 토출부 (71) 내에 배치하면 된다.
도 32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70') 는, 토출부 본체 (71a') 와 밸브체 (73') 가 상이한 것 외에는, 도 28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70) 와 동일하다.
[제 5 토출부재 및 용기]
본 발명에 관한 제 5 토출부재 (90) 는, 예를 들어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에 구멍 (91d) 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의 토출부 (91) 와, 대략 고리형상의 밸브 본체부 (93b) 와 여기에 연이어 형성하는 대략 고리형상의 박육부 (93a) 를 갖고, 박육부 (93a) 를 구멍 (91d) 에서부터 토출부 (91)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밸브 본체부 (93b) 를 토출부 (91) 의 내부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체 (93) 와, 토출부 (91) 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체 (93) 와 동시에 토출구멍 (92) 을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원주형상의 밸브체 지지부 (94a) 와, 통기 필터 (97) 를 통하여 밸브체 (93) 보다도 상류측 (U) 의 유로 (95) 에 연결되는 통기구멍 (96) 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구멍 (92) 은, 통상, 밸브체 (93) 의 박육부 (93a) 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만, 유로 (95) 를 통하여 상류측으로부터 밸브체 (93) 에 액압이 가해지면 박육부 (93a) 에 신장 변형이 발생하여 박육부 (93a) 와 밸브체 지지부 (94a) 사이에 공극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당해 공극을 통하여 내용액을 토출할 수 있다.
도 3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브체 (93) 는, 그 박육부 (93a) 를 토출부 (91) (토출부 본체 (91a)) 의 구멍 (91d) 에 노출시킨 상태로, 토출부 본체 (91a) 의 내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33 중, 부호 94c 는, 밸브체 지지부 (94a) 와 플랜지부 (94b) 를 유지하고, 밸브체 지지부재 (94) 를 토출부 (91) (토출부 본체 (91a)) 내에 고정하는 통부를 나타낸다. 밸브 본체부 (93b) 는, 토출부 본체 (91a) 의 내표면과 일체화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고 있으면 된다.
토출부 (91) 는, 통기구멍 (96) 에 통기 필터 (97) 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토출구멍 (92) 을 구비하는 토출부 본체 (91a) 와, 그 상류측 (U) 에 배치되어 약액 용기 등의 입부에 접속되는 연결부 (91b) 의 2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토출부 본체 (91a) 와 연결부 (91b) 는, 접속부분 (91c)) 에 통기 필터 (97) 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초음파 접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일체화된다.
제 5 토출부재 (90) 는, 예를 들어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101) 의 입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5 토출부재 (90)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 (100) 에 의한 토출 조작의 일련의 공정을 도 36 및 도 37 에 나타낸다. 도 36(a) 는 용기 본체 (101) 에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93) 는 토출구멍 (92) 을 폐쇄하고 있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 (101) 에 수용된 내용액 (104) 은 토출부 (91) 로부터 토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 (101) 및 토출부재 내에 머무른다. 도 36(b) 는 용기 본체 (101) 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토출부재의 밸브체 (93) 에 상류측 (U) 으로부터 내용액 (104) 에 의한 액압이 가해져 있고, 이것에 의해 밸브체 (95) 가 신장 변형하기 때문에 토출구멍 (92) 이 개방되어, 내용액 (104) 이 액적 (105) 으로서 토출된다. 또, 도 38 은, 도 36(b) 에 나타내는 토출부 (91) 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도 37(a) 는, 도 36(b)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101)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93) 에는 내용액 (104) 에 의한 액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밸브체 (93)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다시 토출구멍 (92) 이 폐쇄된다. 또한, 도 37(b) 는, 도 37(a) 에 나타내는 상태의 계속으로, 용기 본체 (101) 에 대한 가압을 정지함으로써, 용기 본체 (101) 가 가압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토출부재의 밸브체 (93) 가 토출구멍 (92)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101) 로의 외기의 유입은 오로지 통기구멍 (96) 을 통하여 실현된다.
도 34 에 나타내는 용기 (100) 에 있어서, 토출부재 (90) 는, 내부 마개 (103) 를 통하여 용기 (100) 의 네크부 (102) 에 장착되어 있다. 내부 마개 (103) 는, 용기 (100) 의 네크부 (102) 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것으로, 도 34 는, 용기 (100) 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내부 마개 (103) 의 선단부 (103a) 와 플랜지 (99) 가 걸어 맞춰진 상태 (즉, 마개를 열지 않은 상태) 의 양태와 양자의 걸어 맞춤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도 3, 도 17, 도 27 등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35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90) 에는, 그 토출부 본체 (91a) 의 외표면에 캡 (106) 이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캡 (106) 은, 토출부 본체 (91a) 와 나사 결합한 상태로 그 토출구멍 (92) 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凹 함몰부 (108) 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凹 함몰부 (108) 에 있어서 캡 (106) 의 내표면과 토출구멍 (92) 이 맞닿아 있다. 凹 함몰부 (108) 주위에는 스폰지 (107) 가 형성되고 있고, 토출구멍 (92) 에 잔존한 잔류액 (105') (도 37(b) 참조) 은, 凹 함몰부 (108) 에서의 캡 내표면에 의해 밀려나고, 스폰지 (107) 에서 흡수된다.
도 35(a)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90) 에 있어서, 캡의 개구단 (106a) 은 토출부재 (90) 의 통기구멍 (96) 을 막고 있다. 이 결과, 용기 본체 (101) 내에 수용된 약액의 용매 (물) 등이 통기 필터 (97) 로부터 서서히 증발 산화되어, 수용액의 pH 가 변동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9 에 나타내는, 제 5 토출부재 (90') 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박막부 (93a) 와 밸브체 지지부 (94a) 의 맞닿음뿐만 아니라, 밸브체 (93') 의 밸브 본체부 (93b') 가 밸브체 지지부재 (94) 의 플랜지부 (94b) 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도 유로 (95) 의 폐쇄가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밸브체 (93') 에 의해 유로 (95) 를 폐쇄하는 작용을 안정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어, 미생물, 먼지 등을 함유하는 잔류액이 토출구멍 (92) 으로부터 역류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고도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40 은, 도 38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90') 에 있어서의 토출부 (91) 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 5 토출부재 (90, 90') 에서는, 유로 (95) 의 개폐 위치 (박막부 (93a) 와 밸브체 지지부 (94a) 의 맞닿음 위치, 밸브 본체부 (93b') 와 플랜지부 (94b) 의 맞닿음 위치) 보다도 상류측에 통액 필터 (도시 생략) 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통액 필터를 구비하는 것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도 6, 도 18 등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5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100) 에 있어서, 당해 용기가 점안 용기인 경우처럼 1 회의 토출 조작에 있어서 20∼40μL 정도의 액적의 토출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밸브체 지지부 (94a) 의 외경이 0.6∼2.0㎜, 바람직하게는 1.0∼1.2㎜ 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밸브체 (93) 의 박막부 (93a) 에서의 두께는 0.8∼2.5㎜, 바람직하게는 0.8∼1.5㎜ 의 범위로 설정된다.
토출구멍 (92) 에서의 액 누출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밸브체의 박막부 (93a) 는, 밸브체 지지부 (94a) 에 의해 다소 눌려 확대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밸브체 지지부 (94a) 를 삽입 통과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박막부 (93a) 의 내경은, 밸브체 지지부 (94a) 의 외경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박막부 (93a) 의 내경은, 밸브체 지지부 (94a) 의 외경에 대하여 50∼99%, 바람직하게는 5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0% 가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93) 의 박막부 (93a) 와 밸브체 지지부재 (94) 의 밸브체 지지부 (94a) 와의 맞닿음뿐만 아니라, 밸브체 (93') 의 밸브 본체부 (93b') 와 밸브체 지지부재 (94) 의 플랜지부 (94b) 의 맞닿음에 의해서도 유로 (95) 의 폐쇄를 실현하고 있는 토출부재 (90') 에서는, 토출구멍 (92) 에서의 액 누출의 방지 효과가 높기 때문에, 박막부 (93a) 의 내경을 전술한 경우보다도 여유있게 설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토출부재와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체)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서의 밸브체는, 용기 본체측으로부터의 액압에 의해 그리고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낮은 액압에 의해 용이하게 압축 또는 신장 변형되고, 또한 통기 필터의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압축 또는 신장 변형되지 않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체로 사용 가능한 재질로는, 저경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겔형상 물질;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등의 고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재질의 보다 구체적인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밸브체의 경도는, 그 신장 또는 압축 변형에 대한 상기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JIS A 경도 [JIS K 6301-5.2 「스프링식 경도 시험」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 스프링 경도 Hs (A 형)] 로 0∼40 의 범위에 있을 것이 요구된다. 밸브체의 경도 (JIS A) 는, 상기 범위 중에서도 특히 JIS A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한편, 밸브체의 경도 (JIS A) 의 하한은 상기 범위보다도 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재료의 입수 가능성, 밸브체의 강도 등의 관점에서 JIS A 로 2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밸브체 형성 재료의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S), 말레산 변성 등의 변성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SEB),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SEP) 등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에서는, 예를 들어 쿠라레플라스틱스 (주) 제조의 「세프톤 (R) 콤파운드」 등이 바람직하다.
겔형상 물질로는, 예를 들어 직쇄의 탄화수소계 고분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로 이루어지는 겔 [코스모계기 (주) 제조의 「코스모겔」등] ; 실리콘-우레탄계 겔 [케미텍사 제조의 상품명 「케미텍겔」등] 을 들 수 있다.
밸브체를 형성하는 탄성체는, 발포체 (단, 구멍이 불연속적이고, 액을 통과시키지 않은 것) 이어도 되고, 첨가물에 의해 그 경도를 상기 범위로 설정한 것이어도 된다.
밸브체의 액압에 의한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상기한 경도 외에, 예를 들어 탄성체의 인장 응력이나 압축 탄성률 등을 들 수 있다. 밸브체에 사용되는 탄성체는, 액압을 부하하고 또 액압을 제거하는 것을 반복하여 실시해도 파손되지 않도록, 그 압축 영구 변형률 (CS) (JIS K 7301, 측정 조건: 70℃×22 시간) 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부재가 점안 용기의 토출부인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인 점안 동작에서의 점안액의 적하 속도가 0.05mL/초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밸브체를 압축 또는 신장 변형시키는 데 필요한 압력이 0.01∼0.2MPa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8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30, 30') 와 같이 밸브체 (33, 33') 를 토출부 (31) 의 내표면 (31e) 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예시된 탄성체 재료 중에서 열가소성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고, 밸브체 (33, 33') 와 토출부 본체 (31a) 를 일체로 성형하면 된다.
도 28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70) 와 같이, 토출부 본체 (71a) 의 토출구멍 (72) 부분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시한 탄성체 재료 중에서 열가소성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여, 밸브체 (73) 와 토출부 본체 (71a) 를 일체로 성형하면 된다.
한편, 밸브체를, 도 32 에 나타내는 토출부재 (70') 와 같이, 토출부 본체 (71a') 와 밸브 시트 (74) 에 연이어 형성되는 통체 (74a) 사이에 협지시키거나 하여 토출부 (70') 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밸브체 형성용의 탄성체 재료는 열가소성을 갖는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필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통기 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통액압이, 토출부재의 밸브체 변형의 양태가 압축과 신장의 2 방식을 발생시키는 압력을 초과하는 것이고, 또한 그 외부에서의 통기압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압보다 밑돌아야 한다.
토출부재의 밸브체 변형의 양태가 압축과 신장의 2 방식을 발생시켜 내용액 등을 토출시키는 데에 필요한 액압은 토출 동작의 속도 (토출되는 액적의 적하(滴下)속도) 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기 필터에 요구되는 통액압이나 통기압도, 토출부재의 용도나 일반적으로 상정되는 토출 동작의 속도 등에 따라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부재가 점안 용기의 토출부인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인 점안 동작에서의 점안액의 적하 속도는 0.05mL/초 정도이고, 그 경우에 밸브체 변형의 양태가 압축 또는/및 신장을 발생시켜 점안액을 적하시키는 데에 필요한 압력은 0.01∼0.2MPa 정도이기 때문에, 통기 필터의 통액압이 적어도 0.01MPa, 바람직하게는 0.2MPa 를 초과하는 것이면, 점안 동작시에 통기구멍으로부터 점안액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점안 동작으로 점안액을 적하한 후에, 점안 용기 안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속도 (흡기 속도) 는 1∼10mL/초 정도가 된다. 여기서, 통기 필터의 통기압이 적어도 0.005MPa 를 밑도는 것, 바람직하게는 0.001MPa 를 밑도는 것이면, 통기구멍으로부터 원활하게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통기 필터의 구멍 직경은,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의해 토출되는 액체 (본 발명의 용기에 수용되는 약액 등의 내용액) 나, 세균 등의 미생물이나 공기 중의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통상 0.1∼0.45㎛, 바람직하게는 0.1㎛ 정도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통기 필터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쟈판고아텍스사의 소수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막, 닛뽄미리포아사의 Sure Vent 듀라포아 (R)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제] 등을 들 수 있다.
(통액 필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통액 필터는, 일정 이상의 액압을 부가함으로써 액체의 투과가 허용되는 필터이다. 이러한 통액 필터를 토출구멍의 상류측에 형성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토출구멍의 잔류액이 역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하여도 당해 잔류액이 토출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본체까지 침입하는 것을 당해 필터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통액 필터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쟈판고아텍스사의 친수성 PTFE 막, 닛뽄미리포아사의 친수성 듀라포아 (R) (PVDF 제), 동 사의 친수성 폴리에테르술폰 (PES) 막 등을 들 수 있다.
[캡]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있어서는, 토출구멍에 대한 항균 처리와 더불어, 또는 이것을 대신하여 토출부의 외표면에 씌우는 캡에 항균 처리해도 좋다. 항균 처리의 대상이 되는 캡의 부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내표면 중 토출구멍과 접하는 부위, 또는 캡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폰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부재는 토출구멍측에서 상류측으로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토출 조작을 끝낸 후의 잔류액이 토출부 내로 유입되지 않고 토출구멍의 주위에 잔존하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내부에 흡수재를 구비하는 캡을 사용하여, 토출 조작을 끝낸 후에 토출구멍 근방에 체류하는 내용액 (잔류액) 을 흡수재에 의해 흡수시킴으로써, 재차 적하 조작시에 당해 잔류액이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27 참조).
스폰지에 항균 처리하고, 이것을 토출구멍에 직접 접촉시킨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폰지로부터 항균제가 배어나와 토출구멍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스폰지와 토출구멍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캡의 내표면에 의해 밀려난 토출구멍의 잔류액이 캡 내표면의 주위에 형성된 흡수재에 흡수되도록 설계해도 된다 (도 35 참조).
흡수재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폰지; 부직포, 탈지면, 가아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물; 종이, 히드로겔 등을 들 수 있다. 스폰지의 형성에는, 예를 들어 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에틸렌 등의, 종래 공지된 각종 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스폰지에 항균 처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스폰지 제작 후에 당해 약제를 도포 등의 수단에 의해 스폰지 표면에 부착시키거나, 우레탄이나 폴리에틸렌에 항균제 등의 약제를 미리 반죽해 넣어 두거나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재의 소재 자체에 미리 항균성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천, 종이, 히드로겔 등에 대한 항균 처리로는, 예를 들어 이들에 실란 커플링이나 셀레늄 코팅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히드로겔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등의 고분자와 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536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3762호) 을 들 수 있다.
(토출부재, 캡 및 용기 본체의 형성 재료)
토출부재, 캡 및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PE 나 PP 는 의약적으로 안전한 소재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용기가 점안 용기와 같은 약액을 수용하는 것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토출부재, 캡 및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수지에는,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 토출구멍의 근방 등에 잔존하는 액이나,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내용액에 대한 부패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한층 더 높인다는 관점에서, 미리 방부제 등을 반죽하여 넣어 두어도 된다. 방부제의 구체예로는, 제 4 급 암모늄염 [예를 들어, 이누이 (주) 제조의 상품명 「다이머 38(R)」, 동 사 제조의 「다이머 136(R)」]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토출부재, 캡 및 용기 본체의 형성 후에 그 내표면 등에 방부제를 도포 등의 수단에 의해 부착시키거나, 토출부재, 캡 및 용기 본체의 형성시에 실란 커플링 등에 의한 표면 처리를 실시해 두거나 해도 된다. 토출부 등을 형성하는 수지의 소재 자체에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의하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체의 역류 및 그에 따르는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상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고도로 방지하면서, 토출 처리와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의 용기를 원활하게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있어서, 밸브체의 변형은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낮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토출 조작시에 통기구멍에 있어서 액 누출을 일으키는 일 없이, 확실하게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토출구멍 및/또는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의 개방은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복원시에 통기구멍이 아니라 토출구멍으로부터 외기가 유입한다는 문제나, 이것에 따라서 토출구멍으로부터 내용액이 새어 나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출부재에 의하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체의 역류 및 그에 따르는 미생물이나 먼지 등이 상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고도로 방지하면서, 토출 처리와 토출 조작 후에 있어서의 용기를 원활하게 복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토출부재는, 전술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9017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6454호에 기재된 항균성 용기와 같이, 토출부에 다공성 필터를 배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내용액이 현탁액인 경우라도 토출구멍에 막힘이 생길 우려가 매우 낮다. 밸브체나 토출구멍의 크기, 재질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현탁 입자의 입경이 50㎛ 정도까지이면 토출구멍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용기는, 그 입부에 본 발명의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단 토출된 내용액이 용기 본체로 역류하거나, 거기에 따라서 세균 등의 미생물이나 먼지, 이물질 등이 용기 본체 내에 침입하는 것도 고도로 방지할 수 있어, 그러므로, 내용액의 부패 또는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약제 (예를 들어 방부제) 의 배합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그 배합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토출부에 다공성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토출구멍에서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토출구멍의 상류측에 통액 필터를 구비하는 경우 외에는 가령 내용액이 현탁액이더라도 원활하게 토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또, 토출부재의 유로 내 또는 용기 본체 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내부 마개를 구비하고, 당해 내부 마개가, 용기의 미사용시에 토출부재의 유로 내벽과 맞닿아 유로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기의 사용을 시작할 때까지는 내용액의 무균 상태를 기밀하게 보증할 수 있고, 더구나 미사용 상태에서 내용액이 밸브체나 통기 필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예를 들어 점안액을 수용하는 점안 용기로서 바람직하다.

Claims (19)

  1.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토출부 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 및/또는 유로를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로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인 토출부재.
  2.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해당 토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토출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토출부 내표면과의 사이에서 유로를 구획하고 또한 상류측에서 상기 밸브체를 고정하는 연결고정부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압축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인 토출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연결고정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토출부재.
  4.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해당 토출부 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밸브 시트와,
    상기 토출부의 내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구멍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에 하류측에서 맞닿아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되어 당해 밸브 시트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대략 통형상의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통기구멍
    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압축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및/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인 토출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토출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토출부재.
  6.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해당 토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 또는 당해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신장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 또는 유로를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통기구멍
    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신장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 또는 상기 유로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인 토출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상기 유로 내에 고정되는 밸브 본체부와, 그 토출구멍측 선단에서의 돌기를 갖는 것이고,
    상기 밸브 본체부 선단의 돌기는, 토출구멍으로 연결되는 유로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에 그 하류측에서 걸어 맞춰져 당해 유로를 폐쇄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밸브 본체부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하류측으로 신장 변형되어, 당해 밸브 본체부 선단의 돌기와 상기 유로 내벽에서의 돌출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인 토출부재.
  8. 바닥부에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당해 토출부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맞닿아,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신장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로 연결되는 통기구멍
    을 구비하고,
    당해 밸브체의 신장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인 토출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은, 상기 토출부 내에 고정되는 대략 원반형상의 밸브 시트와, 당해 밸브 시트를 유지하는 토출부 내벽면에 의해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밸브체는, 대략 고리형상의 박육부를 갖는 것이면서 당해 박육부를 상기 토출부의 외표면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맞닿게 하여 토출구멍을 폐쇄하는 것이고,
    상기 밸브체의 박육부는,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하류측으로 신장 변형되어,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것인 토출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토출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토출부재.
  11. 바닥부에 구멍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 또는 대략 주발형상의 토출부와,
    대략 고리형상의 밸브 본체부와 그 선단에 형성된 대략 고리형상의 박육부를 갖고 또한 당해 박육부를 상기 구멍으로부터 토출부 밖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당해 밸브 본체부를 토출부 내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당해 토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와 동시에 토출구멍을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원주형상의 밸브체 지지부와,
    상기 토출구멍측을 하류측으로 했을 때에, 통기 필터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보다도 상류측의 유로로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가,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그 박육부를 밸브체 지지부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토출구멍을 폐쇄하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당해 박육부를 신장 변형시켜 당해 토출구멍을 개방하는 것이고,
    상기 박육부의 신장 변형이 상기 통기 필터의 통액압보다도 작은 액압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상기 토출구멍의 개방이, 상기 통기 필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통기압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 것인 토출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지지부가 그 원주부분의 상류측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밸브체의 밸브 본체부가,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에 맞닿아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이고,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액압을 받으면 압축 변형되어 상기 밸브체 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개방하는 것인 토출부재.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토출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토출부재.
  14.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항균 처리된 것인 토출부재.
  15.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이 항균 처리된 것인 토출부재.
  16.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보다도 상류측, 또는 상기 밸브체에 의한 상기 유로의 개폐 위치보다도 상류측에 통액 필터를 구비하는 토출부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출부재를 용기 본체의 입부에 구비하는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의 유로의 내부 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내부 마개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내부 마개가, 용기의 미사용시에 상기 토출부재의 유로의 내벽에 맞닿아 당해 유로를 폐쇄하는 것인 용기.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점안 용기인 용기.
KR1020057001783A 2002-07-31 2003-07-29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 KR20050029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3447 2002-07-31
JP2002223447 2002-07-31
JPJP-P-2002-00299312 2002-10-11
JP2002299312 2002-10-11
JPJP-P-2002-00325852 2002-11-08
JP2002325852 2002-11-08
JPJP-P-2003-00168345 2003-06-12
JP2003168345 2003-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245A true KR20050029245A (ko) 2005-03-24

Family

ID=3119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783A KR20050029245A (ko) 2002-07-31 2003-07-29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60043116A1 (ko)
EP (1) EP1541487A1 (ko)
JP (1) JPWO2004011345A1 (ko)
KR (1) KR20050029245A (ko)
CN (1) CN100390027C (ko)
AR (1) AR045969A1 (ko)
AU (1) AU2003248136A1 (ko)
BR (1) BR0313111A (ko)
CA (1) CA2493365A1 (ko)
HK (1) HK1083210B (ko)
MX (1) MXPA05001236A (ko)
MY (1) MY140596A (ko)
TW (1) TWI294396B (ko)
WO (1) WO20040113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072A (ko) * 2009-05-22 2012-03-27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안 용기
KR20160061258A (ko) * 2014-11-21 2016-05-31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밸브 일체형 용기, 이를 구비한 액체 취출장치, 및 밸브 일체형 용기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5265776A1 (en) * 2004-07-30 2006-02-0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Squeeze bottle and eye drop container using the same
KR100981647B1 (ko) * 2008-02-22 2010-09-10 주식회사 예찬 공기 펌프식 주름관을 포함하는 용기
DE102008027146B4 (de) * 2008-06-02 2012-01-19 Ing. Erich Pfeiffer Gmbh Austragvorrichtung
FR2937019B1 (fr) * 2008-10-15 2012-06-08 Rexam Pharm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muni d'un organe d'etancheite ayant une partie elastomere
FR2937018B1 (fr) 2008-10-15 2012-06-01 Rexam Pharm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muni d'un organe d'etancheite deplacable sous l'effet de la pression d'un utilisateur
FR2950037B1 (fr) * 2009-09-11 2011-12-16 Rexam Pharm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WO2011099309A1 (ja) * 2010-02-15 2011-08-18 Abe Shuntaro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
FR2963326B1 (fr) * 2010-07-30 2012-09-07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Embout et recipient de distribution de liquide
CN102070115B (zh) * 2010-11-12 2012-07-04 余姚市特力喷雾器有限公司 液体分配器及设有该液体分配器的容器
AU2012333706B2 (en) 2011-10-31 2016-06-09 Yoshino Kogyosho Co., Ltd. Discharge container
DE102011086755A1 (de) 2011-11-21 2013-05-23 Aptar Radolfzell Gmbh Spender zum Austrag von pharmazeutischen Flüssigkeiten
FR2988015B1 (fr) * 2012-03-19 2015-12-11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muni d'un capuchon amovible
WO2015002110A1 (ja) * 2013-07-05 2015-01-0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点眼薬容器
CN106237443B (zh) * 2015-12-22 2022-11-11 陈陆陆 过滤装置及包括其的过滤输液容器
JP6752512B2 (ja) * 2016-07-28 2020-09-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N106864964A (zh) * 2017-04-18 2017-06-20 广东海洋大学 一种流体包装
US20190276298A1 (en) * 2018-03-09 2019-09-12 Dispenser Packaging, LLC Liquid Dispense System
FR3080843B1 (fr) * 2018-05-07 2020-05-29 Horus Pharm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istribution d'un produit ayant un embout doseur a extremite exterieurement propre
CN114671110B (zh) * 2022-04-24 2023-07-14 安徽钦同瓶业有限公司 一种具有双瓶腔结构的混合酒瓶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889A (en) * 1883-02-06 Yarn-hanking machine
JPS50153325A (ko) * 1974-06-01 1975-12-10
US4093124A (en) * 1976-07-26 1978-06-06 L'oreal Atomizer with air inlet valve
US4533068A (en) * 1981-08-17 1985-08-06 Health Care Concepts, Inc. Sterile solution delivery and venting devices
JPH0246900Y2 (ko) * 1987-11-30 1990-12-11
US4917271A (en) * 1988-10-07 1990-04-17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nozzle assembly with filter
US5431310A (en) * 1988-10-07 1995-07-11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Liquid dispenser nozzle assembly
JP2870986B2 (ja) * 1990-05-23 1999-03-17 品川白煉瓦株式会社 浸漬ノズル交換装置
US5238153A (en) * 1991-02-19 1993-08-24 Pilkington Visioncare Inc. Dispenser for dispersing sterile solutions
US5447258A (en) * 1992-06-17 1995-09-05 Yoshino Kogyosho Co., Ltd. Spout for liquid pump
FR2693991B1 (fr) * 1992-07-21 1994-11-25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au moins un produit liquide ou pâteux, comportant un système de fermeture sans reprise d'air et procédé de conservation utilisant ledit ensemble.
US5524795A (en) * 1994-04-14 1996-06-11 Lee; Gary K. Dispensing unit for a threaded neck bottle
FR2769595B1 (fr) * 1997-10-10 1999-11-19 Oreal Tete de distribution a reprise d'air ameliore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equipe d'une telle tete
JP2001206454A (ja) * 2000-01-24 2001-07-31 Material Eng Tech Lab Inc 抗菌性容器
JP3492600B2 (ja) * 2000-06-22 2004-02-03 キタノ製作株式会社 逆流防止容器
JP4580524B2 (ja) * 2000-09-12 2010-11-17 株式会社日本点眼薬研究所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CA2485295C (en) * 2002-05-10 2010-07-2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Antipollution ca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072A (ko) * 2009-05-22 2012-03-27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안 용기
KR20160061258A (ko) * 2014-11-21 2016-05-31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밸브 일체형 용기, 이를 구비한 액체 취출장치, 및 밸브 일체형 용기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01236A (es) 2005-06-08
HK1083210A1 (en) 2006-06-30
TWI294396B (en) 2008-03-11
CA2493365A1 (en) 2004-02-05
AR045969A1 (es) 2005-11-23
HK1083210B (zh) 2009-02-06
CN100390027C (zh) 2008-05-28
US20060043116A1 (en) 2006-03-02
TW200404716A (en) 2004-04-01
EP1541487A1 (en) 2005-06-15
AU2003248136A1 (en) 2004-02-16
CN1671601A (zh) 2005-09-21
WO2004011345A1 (ja) 2004-02-05
MY140596A (en) 2009-12-31
BR0313111A (pt) 2005-07-12
JPWO2004011345A1 (ja)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9245A (ko) 토출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용기
JP4615445B2 (ja) 吐出容器および点眼容器
JP5431152B2 (ja) 注射器内に装備される摺動弁及び該摺動弁を装備した注射器
KR101387773B1 (ko) 약액 용기
EP2081635A2 (en) Luer activated device
MX2008012583A (es) Contenedor de descarga y contenedor de colirio.
CA2145868A1 (en) Accordion container for chemical
KR20120127399A (ko) 액체를 방울 형태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WO2013076682A1 (en) Multidose dispenser nozzle
JP2002331032A (ja) 逆流防止具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具
WO2001047583A1 (fr) Clapet anti-retour et seringue équipée de ce clapet
WO2003000170A1 (fr) Bouche de recipient destinee a au traitement de melangeage et de remplissage et recipient d'infusion utilisant ladite bouche
EP1243298B1 (en) Filling out-flow preventing filter and absorber attached with it
JPH063808Y2 (ja) 点眼用二次汚染防止キャップ
KR101985746B1 (ko)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JP4433141B2 (ja) 医療用混注管
JP2003190255A (ja) 点眼剤容器
JPH03133460A (ja) バルーンインフューザー
WO2004039305A1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H1170963A (ja) 吐出容器
JPH0584178B2 (ko)
JPH08243149A (ja) フィルタ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