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013Y1 - 조립용 완구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용 완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013Y1
KR200498013Y1 KR2020220002606U KR20220002606U KR200498013Y1 KR 200498013 Y1 KR200498013 Y1 KR 200498013Y1 KR 2020220002606 U KR2020220002606 U KR 2020220002606U KR 20220002606 U KR20220002606 U KR 20220002606U KR 200498013 Y1 KR200498013 Y1 KR 200498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upling
receiving
disposed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818U (ko
Inventor
최용수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최용수
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최지원 filed Critical 최용수
Priority to KR2020220002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013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조립용 완구 유닛이 제공된다. 조립용 완구 유닛은, 기둥과, 기둥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 리브 및 연결 리브에 배치되고,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을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용 완구 유닛{Assembly toy unit}
본 고안은 조립용 완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simulation)할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는 연극, 무용, 음악회 등을 공연하기 위해 객석과 구별하여 만들어 놓은 장소로서 주로 객석보다 높게 되어 있다.
특히, 야외용 무대는 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무대용 패널 부재를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고 그 위에 바닥판이나 카펫 등을 깔아 놓음으로써 일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관객이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설치된 야외용 무대가 연출자의 의도대로 세팅되지 않은 경우, 야외용 무대의 변경이나 수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용 무대를 소형화시키고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해볼 수 있음은 물론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94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756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용 완구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은,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 리브 및 상기 연결 리브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을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에 배치되는 기둥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 결합부는. 상기 기둥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 배치되는 기둥 결합돌기 또는 기둥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는, 상기 기둥의 상단 부분 또는 중간 부분 또는 하단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 리브의 측면에 기둥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이웃하는 기둥에 돌출되는 제1 결합부재로 구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에 체결된 제1 결합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1 결합홈 내면에 요입된 이탈 방지홈 및 상기 이탈 방지홈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부재의 외면에 돌출된 이탈 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 리브의 내부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이웃하는 기둥에 돌출되는 제2 결합부재로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 리브의 측면에 기둥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3 결합홈 및 상기 제3 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이웃 기둥에 돌출되는 제3 결합부재로 구성된 제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의 단부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기둥을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이거나,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기둥 또는 이웃하는 기둥에 각각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여 이웃하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수용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연결수단은, 상기 기둥 또는 이웃하는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기둥에 배치되는 제1 수용연결부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와 대응되도록 이웃하는 기둥 또는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기둥에 배치되는 제2 수용연결부 및 상기 제1 수용연결부와 상기 제2 수용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연결부와 상기 제2 수용연결부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이거나,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기둥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1 수용결합홈 및 상기 제1 수용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1 수용결합부재로 구성된 제1 수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의 내부에 제1 수용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수용결합홈 및 상기 제2 수용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2 수용결합부재로 구성된 제2 수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의 측면에 요입되는 제3 수용결합홈 및 상기 제3 수용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3 수용결합부재로 구성된 제3 수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 또는/및 상기 이웃하는 기둥을 받쳐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 결합부 및 상기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에 의하면, 무대를 축소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대장치의 디자인을 구현해볼 수 있다.
또한, 연출자가 원하는대로 무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두뇌 발달과 창의성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기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제1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제2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제3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1 수용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2 수용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3 수용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2 수용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3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스테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기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제1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제2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제3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 내지 도 2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수단의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1 수용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5 내지 도 2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2 수용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 내지 도 3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3 수용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3 내지 도 3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제2 수용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연결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7 내지 도 3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의 스테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완구 유닛은, 기둥(100), 연결 리브(200), 제1 연결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과 연결 리브(200), 제1 연결수단(300)의 체결방식은 끼움방식, 자석방식, 직교 커플러, 자제 커플러, 행거 방식, 벨크로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은 바(bar)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100)은 바(bar) 또는 봉의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기둥(10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과 하기에서 설명하는 이웃하는 기둥(100')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용도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길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은 기둥 결합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110)는 기둥(1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 결합부(110)는 기둥(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110)는 기둥(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110)는 기둥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둥의 상면은 기둥을 중심으로 상측의 면을 의미하고, 기둥의 하면은 상면의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110)는 기둥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는 기둥(100)의 상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는 기둥(100)의 하면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는 기둥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는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의 형상의 기둥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기둥 결합돌기의 형상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의 형상은 기둥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둥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 기둥 결합돌기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와 기둥은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과 기둥의 상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이 기둥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이 면적이 기둥의 하면의 면적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은 기둥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적의 차이에 의하여 기둥과 기둥 결합돌기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를 통하여 조립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 및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기둥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 및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과 기둥의 상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 및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이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의 면적과 기둥 결합돌기의 하면의 면적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 결합돌기가 기둥의 일단에 배치되어 기둥의 일단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기둥 결합돌기가 상부에 위치하는 기둥의 기둥결합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기둥 결합돌기가 기둥의 하면에 배치된 경우, 하기에서 설명하는 스테이지(500)의 연결 결합부(530)에 삽입되어 체결되거나 기둥 결합돌기에는 다양한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의 체결은 끼움방식, 자석방식, 직교 커플러, 자제 커플러, 행거 방식,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체결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둥과 기둥 결합돌기의 연결 부위에서 형성되는 단차에 의하여 연결 결합부(530)의 연결 결합홈 또는 연결 결합홀에 삽입되는 길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체결의 편리성 및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체결 및 분리시 발생되는 제품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둥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기둥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기둥 결합돌기가 연결 결합부(530)의 연결 결합홈 또는 연결 결합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의 의한 충격으로 기둥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둥 결합돌기의 외면은 기둥 결합돌기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부(110)는 기둥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홈은 기둥의 상면에 하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홈은 기둥의 하면에 상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홈은 기둥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홈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 결합홈이 기둥의 일단에 배치되어 기둥의 일단은 요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되며, 기둥 결합홈이 연결 결합부(530)의 연결 결합돌기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기둥 결합홈이 기둥의 하면에 배치된 경우, 하기에서 설명하는 베이스의 연결 결합부(530)에 삽입되어 체결되거나 기둥 결합홈에 다양한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 결합홈과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의 체결은 끼움방식, 자석방식, 직교 커플러, 자제 커플러, 행거 방식, 벨크로, 스냅단추 등 다양한 체결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의 상면에 기둥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기둥의 하면에 기둥 결합홈이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기둥의 상면에 기둥 결합홈이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기둥의 하면에 기둥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상부 또는/및 하부에 형성된 기둥 결합부(110)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조립용 완구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기둥(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기둥(100)의 일측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기둥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기둥(100)의 일측에 요입된 홈에 체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기둥(100)의 상단 부분 또는 중간 부분 또는 하단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기둥(100)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기둥(100)의 상단 부분과 중간 부분 또는 기둥(100)의 중간 부분과 하단 부분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는 원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00)의 측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리브(200)의 측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리브(200)의 측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기둥(100)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리브(200)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리브(200)의 측면은 기둥에 연결되는 면을 중심으로 직교되는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수단(300)은 연결 리브(200)에 배치되고,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수단(300)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은 기둥(100)의 연결 리브(200)와 이웃하는 기둥(100')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석의 인력으로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웃하는 기둥(100')에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수단(300)은 제1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320)는 제1 결합홈(321), 제1 결합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홈(321)은 연결 리브(200)의 측면에 기둥 방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홈(321)은 연결 리브(200)의 측면에 기둥(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홈(321)은 연결 리브(200)의 측면에 기둥(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리브(200)의 측면은 기둥(100)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재(322)는 제1 결합홈(321)에 결합되도록 이웃하는 기둥(10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재가 이웃하는 기둥(100')에 돌출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기둥(100')에 연결 리브(200)가 체결되는 제1 결합홈(3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재(322)가 제1 결합홈(321)에 결합됨으로써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320)는 이탈 방지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부(323)는 제1 결합홈(321)에 체결된 제1 결합부재(32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부(323)는 'T'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부는 'ㄱ'자 형상, 'ㄷ'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부는 절곡되지 않더라도 곡률을 가질 수 있는 구성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부(323)는 이탈 방지홈(323b), 이탈 방지돌기(323a)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홈(323b)은 제1 결합홈(321) 내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홈(323b)은 제1 결합홈(321)의 내면에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홈(323b)은 제1 결합홈(321)의 내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돌기(323a)는 이탈 방지홈(323b)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부재(322)의 외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돌기(323a)가 제1 결합홈(321)의 내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이탈 방지홈(323b)이 제1 결합부재(322)의 외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결합홈(321)에 제1 결합부재(322)가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돌기(323a)가 이탈 방지홈(323b)에 체결됨으로써 제1 결합홈(321)으로부터 제1 결합부재(32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수단(300)은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330)는 제2 결합홈(331), 제2 결합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홈(331)은 연결 리브(200)의 내부에 기둥(100)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홈(331)은 'T'자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홈(331)은 'ㄱ' 형상, 'ㄷ'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홈이 절곡되지 않더라도 곡률을 가질 수 있는 구성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홈(331)의 하단부는 폐쇄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홈(331)의 하단부는 폐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결합홈(331)의 상단부가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제2 결합홈의 하단부 및 상단부가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재(332)는 제2 결합홈(331)에 결합되도록 이웃하는 기둥(10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재(332)는 이웃하는 기둥(100')의 외면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재(332)는 'ㄱ' 형상, 'ㄷ'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재는 절곡되지 않더라도 곡률을 가질 수 있는 구성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결합부재(332)가 제2 결합홈(331)에 결합됨으로써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수단(300)은 제3 결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340)는 제3 결합홈(341), 제3 결합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홈(341)은 연결 리브(200)의 측면에 기둥(100) 방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홈(341)은 연결 리브(200)의 측면에 기둥(100)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결합홈(341)이 형성되는 연결 리브(2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리브(200)의 측면은 기둥(100)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홈(341)은 기둥(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홈(341)은 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홈(341)은 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재(342)는 제3 결합홈(341)에 결합되도록 이웃하는 기둥(10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재(342)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결합부재(342)가 제3 결합홈(341)에 결합됨으로써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수단(300)은 수용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는 연결 리브(200)의 단부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기둥(100')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리브(200)의 단부는 기둥(100)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재(350)는 'C'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의 내면에는 이웃하는 기둥(100')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발생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는 연결 리브(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에는 연결 리브(200)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연결 리브(200)가 수용부재(350)의 홈에 끼움 결합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재(350)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수용부재(35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수용부재(350)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350)와 연결부재(200) 또는 수용부재(350)와 연결부재(200) 및 기둥(10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2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은 수용 연결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 연결수단(400)은 기둥(100) 또는 이웃하는 기둥(100')에 각각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여 이웃하는 기둥(100')과 기둥(100)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 연결수단(400)은 제1 수용연결부(410), 제2 수용연결부(420), 제2 연결수단(4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연결부(410)는 기둥(100) 또는 이웃하는 기둥(100')에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연결부(41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연결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연결부(410)는 'C'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연결부(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연결부(410)의 내면에는 이웃하는 기둥(100')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발생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마찰발생부재에 의해 제1 수용연결부(410)가 기둥(100) 또는 이웃하는 기둥(100')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1 수용연결부(410)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는 이웃하는 기둥(100') 또는 기둥(100)에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연결부(420)는 'C'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의 내면에는 이웃하는 기둥(100')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발생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마찰발생부재에 의해 제2 수용연결부(420)가 이웃하는 기둥(100') 또는 기둥(100)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수용연결부(420)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2 수용연결부(420)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2 수용연결부(420)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수단(430)은 제1 수용연결부(410)와 제2 수용연결부(420)를 체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수단(430)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은 제1 수용연결부(4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석과 인력을 이루는 자석 또는 금속은 제2 수용연결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연결부(410)에 배치된 자석과 제2 수용연결부(420)재 배치된 자석 또는 금속이 부착됨으로써 제1 수용연결부(410)와 제2 수용연결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연결부(410)에 자석이 배치되고, 제2 수용연결부(420)에 자석 또는 금속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수용연결부(410)에 자석 또는 금속이 배치되고, 제2 수용연결부(420)에 자석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수단(430)은 제1 수용결합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부(43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홈(431a), 제1 수용결합부재(431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홈(431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에 기둥 방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홈(431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에 제1 수용연결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홈(431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에 제1 수용연결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홈(431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외면에 한 쌍의 수용결합부재가 돌출되고, 한 쌍의 수용결합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부재(431b)는 제1 수용결합홈(431a)에 결합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42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부재(431b)가 제2 수용연결부(420)에 돌출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연결부(420)에 제1 수용결합홈(431a)이 배치되고, 제1 수용연결부(410)에 제1 수용결합부재(431b)가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수용결합부재(431b)가 제1 수용결합홈(431a)에 결합됨으로써 제1 수용연결부(410)와 제2 수용연결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결합부(431)는 제1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이탈방지부는 제1 수용결합홈(431a)에 체결된 제1 수용결합부재(431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 방지홈, 제1 이탈 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이탈 방지홈은 제1 수용결합홈(431a) 내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이탈 방지홈은 제1 수용결합홈(431a)의 내면에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이탈 방지홈은 제1 수용결합홈(431a)의 내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이탈 방지돌기(323a)는 제1 이탈 방지홈에 결합되도록 제1 수용결합부재(431b)의 외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이탈 방지돌기(323a)가 제1 수용결합홈(431a)의 내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1 이탈 방지홈이 제1 수용결합부재(431b)의 외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 수용결합홈(431a)에 제1 수용결합부재(431b)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1 이탈 방지돌기(323a)가 제1 이탈 방지홈에 체결됨으로써 제1 수용결합홈(431a)으로부터 제1 수용결합부재(431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수단(430)은 제2 수용결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부(43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부(432)는 제2 수용결합홈(432a), 제2 수용결합부재(432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홈(432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내부에 제1 수용연결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홈(432a)은 'ㅇ' 자 또는 'T'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홈(432a)은 'ㄱ' 형상, 'ㄷ'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홈은 절곡되지 않더라도 곡률을 가질 수 있는 구성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홈(432a)의 하단부는 폐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수용결합홈(432a)의 상단부가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제2 수용결합홈의 하단부 및 상단부가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부재(432b)는 제2 수용결합홈(432a)에 결합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42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부재(432b)는 제2 수용연결부(420)의 외면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부재(432b)는 'ㄱ' 형상, 'ㄷ'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결합부재는 절곡되지 않더라도 곡률을 가질 수 있는 구성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수용결합부재(432b)가 제2 수용결합홈(432a)에 체결됨으로써 제1 수용연결부(410)와 제2 수용연결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수단(430)은 제3 수용결합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부(43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부(433)는 제3 수용결합홈(433a), 제3 수용결합부재(433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홈(433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측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홈(433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측면에 제1 수용연결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수용결합홈(433a)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수용연결부(4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홈(433a)은 제1 수용연결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홈(433a)은 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홈(433a)은 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부재(433b)는 제3 수용결합홈(433a)에 결합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42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부재(433b)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수용결합부재(433b)가 제3 수용결합홈(433a)에 결합됨으로써 제1 수용연결부(410)와 제2 수용연결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부재(433b)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수용결합부재(433b)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3 수용결합부재(433b)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2 수용결합부재(433b)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제3 수용결합부재(433b)가 제3 수용결합홈(43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3 수용결합부재(433b)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용 완구 유닛은 스테이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테이지(500)는 제1 스테이지(500a)와 제2 스테이지(5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테이지(500)와 제1 스테이지(500a) 및 제2 스테이지(500b)는 기둥(100)을 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조립용 완구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500) 또는 제1 스테이지(500a) 및 제2 스테이지(500b)의 하부에 기둥(100)과 이웃하는 기둥(100')이 결합되어 스테이지를 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조립용 완구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기둥(100)과 스테이지(500)의 연결은 단추 방식, 핀 방식, 측면 핀방식, 볼트 방식, 자석 방식, 벨크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난 연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테이지(500, 500a, 500b)는 판체(510), 측부 결합부(520), 연결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510)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스테이지(500, 500a, 500b)의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510)는 수평판과 수직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판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스테이지(500)의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판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판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수평판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판은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판의 하단부는 수평판의 하면보다 더 돌출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판과 수직판은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판과 수직판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510)는 수평판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510)는 수직판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체(510)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520)는 판체(5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520)는 판체(510) 측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510) 측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520)는 판체(510)의 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이웃하는 판체(510)와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520)는 측부 결합돌기(52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돌기(521)는 판체(510)의 측면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돌기(521)는 평면에서 봤을 때, 판체(510)의 측면 즉, 수직판의 상단부에 'T'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돌기(521)는 판체(5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일부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돌기(521)는 판체(510)의 4개 측면 중, 1개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4개의 측면에 전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돌기(521)는 측부 결합안내홈(5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안내홈(521')은 측부 결합돌기(521)의 하단부 내측에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안내홈(521')의 폭은 판체(510)의 수직판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부 결합돌기(521)가 하기에서 설명하는 측부 결합홈(522)에 용이하게 체결됨은 물론 측부 결합돌기(521)의 하단부가 판체(510)의 수직판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측부 결합돌기(521)가 측부 결합홈(5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부(520)는 측부 결합홈(52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홈(522)은 판체(510)의 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홈(522)은 판체(510)의 수평판의 측단부와 수직판의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홈(522)은 평면에 봤을 때, 판체(510)의 변부에 'T자 형상으로 요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ㄱ'자, 'O'자, 일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결합홈(522)은 판체(5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일부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부 결합홈(522)은 판체(510)의 4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4개의 측면에 전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T'자 형상의 측부 결합홈(522)에 'T'자 형상의 측부 결합돌기(521)가 용이하게 체결됨은 물론 측부 결합돌기(521)가 측부 결합홈(5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테이지(500a)는 제1 판체와, 제1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1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지(500b)는 제2 판체와 제2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제2 측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측부 결합부와 제2 측부 결합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530)는 판체(5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530)는 판체(510) 내부에 배치되어 다른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의 체결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530)는 연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판체(510)의 각 모서리 상면에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51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요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홈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530)는 연결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홀은 판체(510)의 각 모서리 상면에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51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홀은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530)는 연결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판체(510)의 각 모서리 상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체(51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는 원기둥 형상, 반원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결합돌기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결합돌기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결합돌기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 연결 결합부 및 제2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연결 결합부는, 제1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제1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제1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이며, 제2 연결 결합부는 제2 판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연결 결합돌기 또는 제2 판체의 상면에 요입되는 연결 결합홈 또는 제2 판체의 상면에 관통되는 연결 결합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부(530)는 연결 결합리브(5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는 연결 결합돌기, 연결 결합홈 또는 연결 결합홀과 동일 선상으로 판체(510)의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결합리브(531)에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의 돌출되는 길이는 수직판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는 판체(510)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는 판체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리브(531)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연결 결합리브(531)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 결합리브(531)가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연결 결합(53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는 연결 결합리브(531)와 수직판을 연결하여 판체를 보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는 연결 결합리브(531)와 이웃하는 연결 리브를 연결하여 보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는 일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결합리브(531)는 연결 결합리브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결합리브(531)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연결 결합리브 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 결합리브 홀에는 조립용 완구의 구성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용 완구 유닛과 그 체결 구조를 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설명된 조립용 완구 유닛의 구성 중 일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조립용 완구 유닛의 구성은 사용 용도, 크기, 재질에 따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기둥
100': 이웃하는 기둥
110: 기둥 결합부
200: 연결 리브
300: 제1 연결수단
320: 제1 결합부
321: 제1 결합홈
322: 제1 결합부재
323: 이탈 방지부
323a: 이탈 방지돌기
323b: 이탈 방지홈
330: 제2 결합부
331: 제2 결합홈
332: 제2 결합부재
340: 제3 결합부
341: 제3 결합홈
342: 제3 결합부재
350: 수용부재
400: 수용 연결수단
410: 제1 수용연결부
420: 제2 수용연결부
430: 제2 연결수단
431: 제1 수용결합부
431a: 제1 수용결합홈
431b: 제1 수용결합부재
432: 제2 수용결합부
432a: 제2 수용결합홈
432b: 제2 수용결합부재
433: 제3 수용결합부
433a: 제3 수용결합홈
433b: 제3 수용결합부재
500: 스테이지
500a: 제1 스테이지
500b: 제2 스테이지
510: 판체
520: 측부 결합부
521: 측부 결합돌기
521': 측부 결합안내홈
522: 측부 결합홈
530: 연결 결합부
531: 연결 결합리브

Claims (18)

  1.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 배치되는 기둥 결합돌기 또는 기둥 결합홈을 포함하는 기둥 결합부;
    상기 기둥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 리브;
    상기 연결 리브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을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 및
    상기 기둥 또는/및 이웃하는 기둥을 받쳐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 리브의 측면에 기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이웃하는 기둥에 돌출되는 제1 결합부재로 구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상기 기둥의 상단 부분 또는 중간 부분 또는 하단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조립용 완구 유닛.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에 체결된 제1 결합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1 결합홈 내면에 요입된 이탈 방지홈; 및
    상기 이탈 방지홈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부재의 외면에 돌출된 이탈 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7.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 배치되는 기둥 결합돌기 또는 기둥 결합홈을 포함하는 기둥 결합부;
    상기 기둥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 리브; 및
    상기 연결 리브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을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 및
    상기 기둥 또는/및 이웃하는 기둥을 받쳐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 리브의 내부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이웃하는 기둥에 돌출되는 제2 결합부재로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8.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 배치되는 기둥 결합돌기 또는 기둥 결합홈을 포함하는 기둥 결합부;
    상기 기둥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 리브; 및
    상기 연결 리브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을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 및
    상기 기둥 또는/및 이웃하는 기둥을 받쳐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 리브의 측면에 기둥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결합홈; 및
    상기 제3 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이웃 기둥에 돌출되는 제3 결합부재로 구성된 제3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9.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 배치되는 기둥 결합돌기 또는 기둥 결합홈을 포함하는 기둥 결합부;
    상기 기둥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 리브; 및
    상기 연결 리브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을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 및
    상기 기둥 또는/및 이웃하는 기둥을 받쳐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 리브의 단부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기둥을 수용하는 수용부재인 조립용 완구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이거나,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인 조립용 완구 유닛.
  11.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 배치되는 기둥 결합돌기 또는 기둥 결합홈을 포함하는 기둥 결합부; 및
    상기 기둥 또는/및 이웃하는 기둥을 받쳐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또는 이웃하는 기둥에 각각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여 이웃하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수용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연결수단은,
    상기 기둥 또는 이웃하는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기둥에 배치되는 제1 수용연결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와 대응되도록 이웃하는 기둥 또는 기둥 중 어느 하나의 기둥에 배치되는 제2 수용연결부; 및
    상기 제1 수용연결부와 상기 제2 수용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연결부와 상기 제2 수용연결부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이거나,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일측이 개구된 형상인 조립용 완구 유닛.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기둥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1 수용결합홈; 및
    상기 제1 수용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1 수용결합부재로 구성된 제1 수용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의 내부에 제1 수용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수용결합홈; 및
    상기 제2 수용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2 수용결합부재로 구성된 제2 수용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수용연결부의 측면에 요입되는 제3 수용결합홈; 및
    상기 제3 수용결합홈에 체결되도록 제2 수용연결부의 외면에 돌출되는 제3 수용결합부재로 구성된 제3 수용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17. 삭제
  18. 제1 항 또는 제7 항 내지 제9 항 또는 제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판체;
    상기 판체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 결합부; 및
    상기 판체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완구 유닛.
KR2020220002606U 2022-11-08 2022-11-08 조립용 완구 유닛 KR200498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606U KR200498013Y1 (ko) 2022-11-08 2022-11-08 조립용 완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606U KR200498013Y1 (ko) 2022-11-08 2022-11-08 조립용 완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18U KR20240000818U (ko) 2024-05-16
KR200498013Y1 true KR200498013Y1 (ko) 2024-05-22

Family

ID=9127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606U KR200498013Y1 (ko) 2022-11-08 2022-11-08 조립용 완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01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229Y1 (ko) * 2005-10-21 2006-01-20 김계현 조립블럭
JP2016179147A (ja) * 2015-03-25 2016-10-13 株式会社ベンカン 組立玩具
CN205654134U (zh) * 2016-04-29 2016-10-19 无锡生源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活动式舞台支架
CN210096933U (zh) * 2019-05-05 2020-02-21 丽水市莲都区贝亿乐信息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可组装成收纳箱的益智玩具
CN216125175U (zh) * 2021-08-25 2022-03-25 金正秀 一种新型益智玩具
CN216222933U (zh) * 2021-09-27 2022-04-08 黄素倩 一种正反两用益智拼接底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8684A (en) * 1986-08-12 1987-11-24 Chen Chen Tsung Toy building block set
KR20110069424A (ko)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자석조립식완구
KR101525756B1 (ko) 2015-02-13 2015-06-09 이백근 돌기가 구비된 커넥터를 이용한 조립 완구 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229Y1 (ko) * 2005-10-21 2006-01-20 김계현 조립블럭
JP2016179147A (ja) * 2015-03-25 2016-10-13 株式会社ベンカン 組立玩具
CN205654134U (zh) * 2016-04-29 2016-10-19 无锡生源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活动式舞台支架
CN210096933U (zh) * 2019-05-05 2020-02-21 丽水市莲都区贝亿乐信息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可组装成收纳箱的益智玩具
CN216125175U (zh) * 2021-08-25 2022-03-25 金正秀 一种新型益智玩具
CN216222933U (zh) * 2021-09-27 2022-04-08 黄素倩 一种正反两用益智拼接底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18U (ko)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5653621A (en) Toy building block puzzle
EP0621063B1 (en) Block assembly
KR100573347B1 (ko) 테넌에 의하여 스냅으로 상호 연결되는 완구 조립 세트
TWI599516B (zh) Adjustable size of the modular pallet
US5683283A (en) Construction blocks for extended support structures
KR200482829Y1 (ko) 자석이 내장되는 블록완구의 블록 간 접합을 위한 표면구조
JPS6047419B2 (ja) 構築用セツト
JPH02292405A (ja) 建設部材
US5947787A (en) Modular lattice substructure for a toy building set
CA2408261A1 (en) Abrasive resistant open cell articulated seabed mat
KR102246871B1 (ko) 픽셀아트형 블록조립체
KR200498013Y1 (ko) 조립용 완구 유닛
US20060048475A1 (en) Building block
KR20230171853A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200497289Y1 (ko) 조립용 완구의 연결유닛
KR200497470Y1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100898811B1 (ko) 완구용 블록 및 블록 결합체
KR20230002129U (ko) 조립용 완구 유닛
KR101522282B1 (ko) 조립식 완구용 비대칭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완구 세트
CN211215432U (zh) 建筑拼装积木益智玩具
JP6644235B2 (ja) ユニット部材
KR200384727Y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CN217163204U (zh) 积木玩具
KR20240105795A (ko) 무대장치 완구용 조립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