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397Y1 - 휴대형 폐활량계 - Google Patents

휴대형 폐활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397Y1
KR200496397Y1 KR2020210001891U KR20210001891U KR200496397Y1 KR 200496397 Y1 KR200496397 Y1 KR 200496397Y1 KR 2020210001891 U KR2020210001891 U KR 2020210001891U KR 20210001891 U KR20210001891 U KR 20210001891U KR 200496397 Y1 KR200496397 Y1 KR 200496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ometry
spirometer
breathing tube
sig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001U (ko
Inventor
정운모
옥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Priority to KR2020210001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9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3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9Measuring breath flow using an element rotated by th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3Counting the number of times an instrument is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보 통신 단말과 연동 가능한 휴대형 폐활량계에 관한 것으로, 호흡관 결합구가 형성되되 상기 호흡관 결합구 내에 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날개가 위치하는 폐활량계 본체와, 상기 호흡관 결합구에 결합 및 착탈 가능한 호흡관을 포함하는 휴대형 폐활량계에 있어서,
상기 폐활량계 본체 내에는 상기 호흡관으로부터 입력되는 기류로부터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되,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 입력시에만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폐활량계 본체 내에는 상기 측정모듈에서 생성된 폐활량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정보 통신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폐활량계{PORTABLE SPIROMETER}
본 고안은 폐활량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통신 단말과 연동 가능한 휴대형 폐활량계에 관한 것이다.
폐활량 측정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피검사자가 호흡하는 동안에 폐용적(lungvolume)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피검사자가 호흡하는 동안에 폐 내외로 유동하는 공기의 기류를 감지 및 측정하는 호흡기류 측정 방법이다.
과거에는 폐용적의 변화능력을 직접 측정하는 전자의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점차적으로 호흡기류를 측정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초기의 폐활량계는 임상용으로 제작된 것이므로 고가이며 크기가 커서 만성호흡기 질환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없었으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휴대형 폐활량계가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휴대형 폐활량계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2595호에 게시된 "휴대형 폐활량계"가 있다. 이러한 휴대형 폐활량계는 유무선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장치로 호흡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 폐활량계의 진일보한 또 다른 형태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634호에 게시된 'IoT 기반 만성폐쇄성 폐질환 자기진단 방법'이 있다. 이러한 특허공보 발명에는 폐활량 분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폐활량을 감지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IoT 기반의 듀얼 모드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이 역시 휴대형 폐활량계라 할 때)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예시한 휴대형 폐활량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호흡량 측정시 단순히 터빈 날개의 회전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유효 신호로 간주하여 신호 처리한다는 것이다. 터빈 날개의 회전은 호흡기류에 의해 회전하기도 하지만 기기 조작 상의 움직임, 주변 공기의 흐름 등에 의해 회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호흡기류가 아닌 주변 요인에 의해 터빈 날개가 회전해서 발생하는 신호를 배제하지 않고 호흡기류를 측정하게 되면, 그만큼 노이즈 혹은 오차가 포함된 신호를 분석한 것이므로 폐활량 측정 혹은 분석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에 이를 개선할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인 폐활량계에서는 호흡관 이용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복 사용으로 인한 오염을 피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25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643호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필요성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고안으로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피검자의 실제 호흡을 인지해 호흡기류 측정을 개시함으로써, 호흡기류 측정 개시시점의 오류로 인한 측정오차를 제거할 수 있는 휴대형 폐활량계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감염 예방을 위해 호흡관 사용횟수를 제한할 수 있는 휴대형 폐활량계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는 호흡관 결합구가 형성되되 상기 호흡관 결합구 내에 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날개가 위치하는 폐활량계 본체와, 상기 호흡관 결합구에 결합 및 착탈 가능한 호흡관을 포함하는 휴대형 폐활량계로서,
상기 폐활량계 본체 내에는 상기 호흡관으로부터 입력되는 기류로부터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되,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 입력시에만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폐활량계 본체 내에는 상기 측정모듈에서 생성된 폐활량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정보 통신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폐활량계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은,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 입력시에 폐활량 신호 생성을 개시하는 폐활량 신호 생성부와;
상기 호흡관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거나 상기 호흡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는 것을 인식하는 호흡관 결합 인식부와;
상기 생성된 폐활량 신호 혹은 상기 호흡관 결합 인식부에서 인식된 호흡관 결합 정보를 상기 폐활량 신호와 함께 정보 통신 단말기측으로 무선 전송 제어하는 폐활량 신호 전송부;를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측정모듈은 블루투스 연결된 정보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폐활량 측정 매니저와의 통신에 따라 상기 폐활량계 본체를 활성화시키거나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폐활량계 활성화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가 입력될 때를 시작점으로 하여 폐활량 측정을 시작함으로써 단순 공기 혹은 사용 부주의로 인해 야기되는 수광 펄스에 의한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폐활량 측정 종료에 맞춰 폐활량계를 자동 슬립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폐활량계의 배터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호흡관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을 부착해 폐활량 측정 전에 그 수단을 인식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 횟수를 제한함으로써, 호흡관 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 주변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 중 휴대형 폐활량계(100)의 외관 예시도.
도 3a와 도 3b는 휴대형 폐활량계(100)의 분해 예시도.
도 4는 도 1중 휴대형 폐활량계(100)의 구성 예시도.
도 5는 도 1중 스마트 폰과 같은 정보 통신 단말에 설치되는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의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100)와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의 동작 설명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 예시도.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고안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100) 주변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 중 휴대형 폐활량계(100)의 외관도를, 도 3a와 도 3b는 휴대형 폐활량계(100)의 분해도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면 블루투스를 통해 정보 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와 연결되어 사용 가능하다.
휴대 가능한 폐활량계(100)는 도 2,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활량계 본체(A)와 그 폐활량계 본체(A)에 결합 및 착탈 가능한 호흡관(B)으로 구성된다. 호흡관(B)은 피검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입에 물고 호흡하는 것이므로 교차 사용자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소모성 부품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활량계 본체(A)의 일측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관 결합구(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흡관 결합구(C) 내에는 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날개(D)가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호흡관 결합구(C)의 측벽에는 결합되는 호흡관(B)을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돌기(E)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들(E)은 호흡관(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03)에 삽입된다.
한편, 호흡관(B)이 설정 횟수 이상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RF ID 태그(F)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관(B)에 부착된다. 이러한 RF ID 태그(F)는 후술할 호흡관 결합 인식부(127)에 의해 인식 가능하다. 물론 RF ID 태그를 대신하여 QR 코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QR 코드는 후술할 정보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에서 호흡관(B)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한 이후에 폐활량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호흡관(B)의 사용횟수를 카운트해 설정 횟수 이상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만약 QR 코드를 이용한다면 후술할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에 QR 코드 인식부를 추가하고, 이러한 QR 코드 인식부가 호흡관(B)의 사용횟수를 누적 카운트해 사용자에게 해당 호흡관(B)의 사용횟수를 제한 권고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RF ID 태그(F) 혹은 QR 코드 대신에 호흡관(B)이 호흡관 결합구(C)에 결합되었을 때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기적 스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호흡관(B)이 호흡관 결합구(C)에 결합되었을 때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도록 스위치의 접점을 폐활량계 본체(A)에 형성한다면, 호흡관(B)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고 이를 호흡관 결합 인식부(127)가 인식해 그 결과를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로 전달하면 호흡관 사용횟수의 카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휴대형 폐활량계(100)는 본체(A)에 결합 및 착탈 가능한 호흡관(B)으로부터 입력되는 기류로부터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되,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 입력시에만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는 측정모듈(도 4의 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정모듈(12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된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는 정보 통신 단말기(스마트폰과 같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앱으로서, 상기 휴대형 폐활량계(100)로부터 전송되는 폐활량 신호로부터 폐활량 진단변수(FVC(강제 폐활량), FEV1(1초간 강제 폐활량), FEV6(6초간 강제 폐활량), PEF(최대호식기류), FEV1/FVC)를 산출해 폐활량 측정결과를 정보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아울러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는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를 블록체인 암호화 기법을 이용해 암호화하여 지정된 서버 노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폐활량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를 블록체인 암호화 기법을 이용해 암호화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공개된 블록체인 암호화 기법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폐활량 관리서버(300)는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블록체인망의 서버 노드로서, 각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를 블록체인망에 분산 저장하고,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를 접근 권한 부여받은 의료인의 검증(개인키, 전자서명 검증) 결과에 따라 복호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는 블록체인 복호화 기법으로 복호화된다.
이러한 폐활량 관리서버(300)는 사전 학습된 인공 신경망 모델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폐활량 측정정보에 대한 자동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폐활량 관리서버(300)는 저장된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결과 패턴을 분석하여 위험 경고하는 폐활량 패턴 분석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휴대형 폐활량계(100)와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100)는 기류 방식의 폐활량 진단 디바이스로서, 호흡관(B)을 통해 입력되는 호흡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날개(D)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광원(105)과 포토 센서(110)를 구비한다. 포토 센서(110)에서는 터빈 날개의 회전에 따라 단속되는 광의 수광여부에 따라 펄스 신호가 발생한다. 이러한 펄스 신호는 호흡기류에 의한 신호이므로 호흡신호 혹은 호흡관련신호라 할 수 있다.
터빈 날개(D)의 회전에 기인하여 발생된 호흡신호는 폐활량 신호 생성부(121)로 전달되어 호흡기류를 나타내는 폐활량 신호로 생성되어 폐활량 신호 전송부(125)로 전달된다. 폐활량 신호는 상기 펄스 신호의 펄스간 간격, 측정구간 동안의 총 펄스의 갯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폐활량 신호 생성부(121)는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 입력시에 폐활량 신호의 생성을 개시한다. 이는 단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터빈 날개가 회전할 경우 이를 기류측정의 시작으로 인지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호흡기류를 나타내는 일정 속도(펄스 신호의 펄스간 간격을 이용) 이상의 기류가 입력되는 것을 인식해 폐활량 측정을 개시한다.
폐활량 신호 전송부(125)는 전달받은 폐활량 신호를 저전력 블루투스(BT) 모듈(130)을 통해 정보 통신 단말기측으로 무선 전송 제어한다. 호흡관 결합 인식부(127)가 포함된 구성이라면, 폐활량 신호 전송부(125)는 인식된 호흡관 결합 정보를 상기 폐활량 신호와 함께 무선 전송 제어한다.
한편 휴대형 폐활량계(100)의 측정모듈(120)에는 폐활량계 활성화부(123)를 더 포함하는데, 폐활량계 활성화부(123)는 블루투스 연결된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로부터 활성화 명령이 수신되면 슬립모드에 놓여 있던 폐활량계(100)를 활성화시킨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100)는 구비되는 배터리의 소모를 절약하기 위해 정보 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시 활성화되고 블루투스 연결 해제시 슬립모드로 전환된다.
상술한 폐활량계 활성화부(123)와 폐활량 신호 전송부(125)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고, 폐활량 신호 생성부(121)의 일부는 카운터와 같은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100)는 정보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버튼을 구비하지 않는다. 물론 별도의 전원 버튼을 구비해 운영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는,
폐활량을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205)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하기 위한 휴대형 폐활량계(100)를 등록하는 폐활량계 등록부(210)와,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명령에 응답해 폐활량계(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하여 상기 폐활량계(100)를 활성화시키고, 정보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폐활량 측정방법을 안내하는 폐활량 측정 안내 제어부(215)와,
폐활량계(100)로부터 전송되는 폐활량 신호로부터 폐활량 진단변수를 산출하는 폐활량 산출부(220)와,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결과를 타임순으로 저장하는 사용자별 정보 저장부(225)와,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결과를 표시부에 표시 제어하는 폐활량 표시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는 타임순으로 저장된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결과 패턴을 분석하여 위험 경고하는 폐활량 패턴 분석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를 블록체인 암호화 기법을 이용해 암호화하여 지정된 서버 노드, 즉 폐활량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 암호화 전송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사용자 등록부(205)는 신장, 나이, 인종 외에 사용자의 폐활량 정보를 열람 제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지문과 같은 생체정보 혹은 비밀번호 등)를 사용자 정보로서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폐활량 표시 제어부(230)는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결과를 표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활량 측정 안내 제어부(215)는 설정 횟수의 폐활량 측정 완료시에 상기 폐활량계(100)로 슬립모드 전환명령을 전송하고 근거리 무선 연결을 자동 해지시킴으로써, 폐활량계(100)의 배터리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휴대형 폐활량계(100)와 그와 연동하는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폐활량계(100)와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의 동작 설명 예시도를,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폐활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우선 정보 통신 단말에 설치된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를 실행시킨다. 최초 실행시 사용자는 초기 화면에 구비된 사용자 버튼을 눌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다. 즉, 사용자 등록부(205)는 도 7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개인정보와 사용자의 키, 나이, 성별, 인종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내부 메모리에 사용자 정보로서 등록(S100단계)한다. 물론 등록 사용자가 아닌 게스트의 폐활량 측정을 위해 게스트 모드가 표시되도록 하여 게스트 역시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다.
블루투스 연결하기 위한 기기, 즉 폐활량계(100)가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활량 측정 요구가 있으면, 폐활량계 등록부(210)는 폐활량계 등록을 위한 창에 검색된 폐활량계(100)를 표시해 주고 해당 기기가 선택되면 검색된 폐활량계(100)를 등록(S110단계)한다.
이어 사용자로부터 폐활량 측정명령(측정시작)이 입력되면, 폐활량 측정 안내 제어부(215)는 등록된 폐활량계(100)와 블루투스 연결(S130단계)하고 폐활량계 활성화 명령을 전달해 해당 폐활량계(100)를 활성화(S140단계)시킨다.
아울러 폐활량 측정 안내 제어부(215)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폐활량 측정방법을 안내(S150단계)함으로써, 사용자는 안내에 따라 폐활량계(100)의 호흡관(B)으로 바람을 불어 넣는다. 이때 폐활량 측정 안내 제어부(215)는 폐의 공기가 다 빠져나갈 수 있도록 6초의 시간을 표시 안내한다. 참고적으로 폐활량 측정 안내 제어부(215)는 3번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이 폐활량계(100)의 호흡관(B)으로 바람을 불어 넣으면 입력되는 기류에 의해 터빈 날개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포토 센서(110)에서는 수광 펄스가 출력된다. 이에 페활량 신호 생성부(121)는 입력되는 펄스 간 간격으로부터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가 입력되는 것을 인지해 폐활량 측정을 개시하고, 폐활량 측정 구간 동안의 총 펄스의 갯수, 펄스간 간격값을 포함하는 폐활량 신호를 생성(S160단계)한다. 생성된 폐활량 신호는 폐활량 신호 전송부(125)에 의해 블루투스 연결된 정보 통신 단말기를 통해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측으로 전송(S170단계)된다.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측에서는 폐활량 산출부(220)가 폐활량계(100)로부터 전송되는 폐활량 신호를 분석하여 폐활량(강제폐활량) 진단변수(FEV1/FVC, FVC, FEV1, FEV6, PEF)를 산출(S180단계)한다. 폐활량 진단변수 산출에 이용되는 산출식은 여러 공지된 수식(Morris/Polgar set 방법, Kory/Polgar set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폐활량 표시 제어부(230)는 산출된 폐활량 진단변수와 계산된 호흡유량과 유속을 폐활량 측정결과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별 정보 저장부(225)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S190단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폐활량 측정 및 표시과정이 완료되면, 폐활량 측정 안내 제어부(215)는 폐활량계(100)로 슬립모드 전환명령을 전송하고 블루투스 연결을 자동 해제(S200단계)시킴으로서, 폐활량계 활성화부(123)는 폐활량계(100)를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S210단계)시킨다. 물론 사용자로부터 폐활량 측정 종료 확인과정을 거쳐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폐활량 측정 종료에 맞춰 폐활량계(100)를 자동 슬립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본 고안은 폐활량계(100)의 배터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가 입력될 때를 시작점으로 하여 폐활량 측정을 시작함으로써 단순 공기 혹은 사용 부주의로 인해 야기되는 수광 펄스에 의한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호흡관(B)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을 부착해 폐활량 측정 전에 그 수단을 인식함으로써, 설정된 사용횟수 이상이 되면 사용할 수 없도록 권고함으로써, 호흡관의 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는 패활량 패턴 분석부(235)를 더 포함함으로써, 폐활량 측정결과가 평상시의 트랜드 보다 크게 떨어지는 경우 급성 폐질환(COPD와 같은)으로 판단해 경고함으로써, 조기에 전문의 진단을 받아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폐활량 측정결과를 타임순으로 누적하여 그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는데, 폐활량 측정결과의 패턴이 다를 경우 타 사용자의 것으로 판별해 그 측정결과의 누적을 배제시킴으로써 측정결과의 분석오류를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로서, 폐활량 측정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의 폐활량 산출부(220)는 터빈 날개가 기류가 없는 상태에서 관성에 의해 회전하는 것인지, 바람이 약하게 불어서 속도가 줄어드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폐활량 측정시 관성에 대한 영향을 구분하게 되면 관성으로 인해 터빈 날개가 회전하여 생기는 전체 호기량(폐활량, 예를 들면 6초간 호기량(FEV6))의 오차 값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성에 의한 오차의 경우 6초까지 호기를 하지 못하는 사람의 검출 오류를 크게 발생시킨다. 폐기능의 판단에서 주요한 하나는 FEV1과 FEV6의 비율(FEV1/FEV6)이므로, FEV6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FEV1/FEV6를 얻을 수 있다.
이에 폐활량 산출부(220)는 터빈 날개의 속도가 최고치인 구간에서부터 인접한 두 펄스의 속도차(가속도)의 변화를 계산해, 감속되는 속도변화(가속도 변화)가 최고 속도 변화의 일정 % 보다 작아지게 되면 이를 관성으로 판단해 6초간 호기량(FEV6)을 산출한다. 다만, 최고 속도의 값(사용자별, 측정회차별로 다 다름)에 따라 관성을 판단하기 위한 상기 '일정 %'의 값은 가변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흡기류 측정시 폐활량 산출부(220)가 터빈 날개의 회전이 최고치 이후의 구간에서, 날개의 회전 속도변화를 통해 날개의 회전이 관성에 의한 것인지 혹은 호기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해 6초간 호기량의 산출 오차를 정정함으로써, 관성에 의한 폐활량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폐활량 측정 매니저(200)의 정보 암호화 전송부(240)는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암호화 기법을 이용해 암호화하여 지정된 서버 노드, 즉 폐활량 관리 서버(300)로 전송(S230단계)한다.
상기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는 폐활량 관리 서버(300) 혹은 블록체인망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들에 분산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폐활량 관리 서버(300)에 저장된 혹은 분산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는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 부여받은 의료인에게 복호화되어 제공된다.
이로써, 해당 의료인은 복호화된 사용자 정보와 폐활량 측정결과를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를 폐활량 관리 서버(300)에 누적 저장하거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폐활량 관리 서버(300)는 폐활량계(100)를 통해 측정한 폐활량 측정결과와 사용자 정보를 각 사용자의 정보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달받되, 블록체인 암호화 기법을 이용해 암호화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고, 정당하게 접근 권한 부여받은 의료인에게만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제품(폐활량 측정 디바이스)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물론 폐활량 측정 결과인 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호흡관 결합구가 형성되되 상기 호흡관 결합구 내에 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날개가 위치하는 폐활량계 본체와, 상기 호흡관 결합구에 결합 및 착탈 가능한 호흡관을 포함하는 휴대형 폐활량계에 있어서,
    상기 폐활량계 본체 내에는 상기 호흡관으로부터 입력되는 기류로부터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되,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 입력시에만 폐활량 신호를 생성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폐활량계 본체 내에는 상기 측정모듈에서 생성된 폐활량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정보 통신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폐활량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은,
    일정 속도 이상의 기류 입력시에 폐활량 신호 생성을 개시하는 폐활량 신호 생성부와;
    상기 호흡관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거나 상기 호흡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는 것을 인식하는 호흡관 결합 인식부와;
    상기 생성된 폐활량 신호 혹은 상기 호흡관 결합 인식부에서 인식된 호흡관 결합 정보를 상기 폐활량 신호와 함께 정보 통신 단말기측으로 무선 전송 제어하는 폐활량 신호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폐활량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은,
    블루투스 연결된 정보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폐활량 측정 매니저와의 통신에 따라 상기 폐활량계 본체를 활성화시키거나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폐활량계 활성화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폐활량계.
KR2020210001891U 2021-06-17 2021-06-17 휴대형 폐활량계 KR200496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91U KR200496397Y1 (ko) 2021-06-17 2021-06-17 휴대형 폐활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91U KR200496397Y1 (ko) 2021-06-17 2021-06-17 휴대형 폐활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01U KR20220003001U (ko) 2022-12-26
KR200496397Y1 true KR200496397Y1 (ko) 2023-01-18

Family

ID=8453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91U KR200496397Y1 (ko) 2021-06-17 2021-06-17 휴대형 폐활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9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595B1 (ko) 2009-12-24 2012-04-06 주식회사 코스모바이오메디케어 휴대형 폐활량계
KR102115643B1 (ko) 2017-08-28 2020-05-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기반 만성폐쇄성 폐질환 자기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595B1 (ko) 2009-12-24 2012-04-06 주식회사 코스모바이오메디케어 휴대형 폐활량계
KR102115643B1 (ko) 2017-08-28 2020-05-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기반 만성폐쇄성 폐질환 자기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01U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60694A (ja) スパイロメトリデータを収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12390B1 (ko)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CN105451641B (zh) 基于互联网的疾病监测***(idms)
EP1978460B1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119183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ed biomeasurements
US20190076064A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state determination method, blood pressure measurement state determin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3442637B (zh) 控制装置及认证方法
US20180242874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ronary and/or pulmonary abnormality detection utilizing electrocardiography
US202400499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monitoring of incentive spirometry
US20210244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on-device spirometry test
EP3250117A1 (en) Orally inserted probe and method for measuring vital signs
US20150048956A1 (en) Medical device for the measurement and processing of a health parameter of a patient
WO2018123228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496397Y1 (ko) 휴대형 폐활량계
JP2019517835A5 (ko)
KR10255664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폐활량 진단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
JP2007193447A (ja) 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健康状態管理方法、保険料算定システム及び消耗部材供給システム
KR102490056B1 (ko) 개인용 휴대형 폐활량 진단 시스템
US118900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on-device spirometry test
US20210212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f incentive spirometry
US106877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on of pulmonary function characteristics
US20220280068A1 (en) Spirometry system for mitigating physical user errors
JP6356524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WO20222044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f incentive spirometry
TWI558377B (zh) 一種測量呼氣流速之測量系統、測量方法及電腦程式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