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78Y1 - 펌프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78Y1
KR200495178Y1 KR2020200003983U KR20200003983U KR200495178Y1 KR 200495178 Y1 KR200495178 Y1 KR 200495178Y1 KR 2020200003983 U KR2020200003983 U KR 2020200003983U KR 20200003983 U KR20200003983 U KR 20200003983U KR 200495178 Y1 KR200495178 Y1 KR 200495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lit
pumping
pumping hea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준
이지환
정지민
이구용
최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200003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78Y1/ko
Priority to CN202122198939.1U priority patent/CN215902011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53
    • B05B11/3001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펌프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 부재; 가압에 의해 상기 펌핑 부재를 작동시키며, 토출구를 구비하는 펌핑 헤드;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된 슬릿이 형성된 캡; 및 상기 펌핑 헤드와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펌핑 헤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안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시 상기 슬릿 내에서 가이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평행하며,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릿 내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 헤드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방지하고,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펌핑 헤드의 상기 원위치로의 복귀를 허용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 용기{PUMP TYPE CURAGE}
본 고안은 펌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또는 린스 등의 욕실용품이나, 스킨 또는 로션과 같은 화장품, 손 세정제 등의 소독제 등은, 용기 내에 액상으로 저장되었다가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적정량이 토출될 수 있다. 용기에는 뚜껑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뚜껑을 분리한 뒤 용기를 뒤집어서 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펌핑 부재가 적용된 펌프 용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펌프 용기는 용기의 개구에 펌핑 부재가 부착되며, 사용자가 펌핑 부재를 작동시키면 일정량의 내용물이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펌핑 부재는 용기 내의 내용물이 줄어듦에 따라 내용물이 저장된 부분의 부피를 가변시키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지 않는 에어리스 타입이거나, 또는 내용물 배출에 대응하여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 내압을 유지하는 딥튜브 타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펌핑 부재는 간단한 가압으로 내용물 토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아 등이 손쉽게 내용물을 취할 수 있게 되므로 소독제 등의 경우 영유아 또는 어린이가 내용물로 인해 신체적 피해를 입는 사례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사용자, 특히 영유아 또는 어린이 등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펌프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펌프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 부재; 가압에 의해 상기 펌핑 부재를 작동시키며, 토출구를 구비하는 펌핑 헤드;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된 슬릿이 형성된 캡; 및 상기 펌핑 헤드와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펌핑 헤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안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시 상기 슬릿 내에서 가이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평행하며,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릿 내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 헤드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방지하고,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펌핑 헤드의 상기 원위치로의 복귀를 허용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 몸체; 및 상기 캡 몸체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슬릿 형성부를 구비하는 캡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릿은 상기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릿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핑 헤드가 반대 방향으로 복귀하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캡 연장부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슬릿 형성부는 상기 캡 연장부 외주면의 일부가 평탄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핑 헤드는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펌핑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관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보다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관 연결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펌프 용기는 안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부의 액체가 의도치 않게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펌프 용기는 영유아 또는 어린이 등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펌프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펌프 용기의 상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펌핑 헤드가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펌프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펌프 용기의 상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펌핑 헤드 및 안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펌프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펌프 용기의 상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펌핑 헤드가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펌프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펌프 용기의 상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6은 펌핑 헤드 및 안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펌프 용기는 내부의 액체(L)를 펌핑 동작에 의해 토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동일량의 액체(L)를 반복하여 토출할 수 있다.
펌프 용기는 액체(L)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용기 본체(100)와, 용기 본체(100)의 입구에 결합되는 펌핑 부재(200)와, 펌핑 부재(200)에 연결되어 용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300)와, 용기 본체(100) 상단의 개구를 커버하는 캡(400)과, 펌핑 부재(200)에 연결되고, 튜브(300)에서 흡입한 액체(L)를 토출하는 토출구(510)를 구비하는 펌핑 헤드(500)와, 펌핑 헤드(5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안전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내부 공간에 샴푸, 로션, 린스, 손 세정제 등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일측 단부, 예를 들면, 지면과 접하는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기 본체(100)는 세라믹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용기 본체(10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부의 직경 또는 폭이 하부의 직경 또는 폭보다 작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의 직경 또는 폭이 하부의 직경 또는 폭보다 작은 형상은 용기 본체(100)의 길이 구간(또는 높이 구간)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부의 직경 또는 폭이 하부의 직경 또는 폭보다 작은 형상은 용기 본체(100)의 길이 구간(또는 높이 구간)의 일부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0)는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의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펌핑 부재(200)는 용기 본체(100) 내의 샴푸, 로션, 린스, 및 손 세정제와 같은 액체(L)를 펌핑 헤드(500)의 토출구(51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펌핑 부재(200)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펌핑 부재(200)는 용기 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및 피스톤 유닛은 통상의 펌프 용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튜브(300)는 펌핑 부재(200)의 하부에 연결되고, 용기 본체(100)의 하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튜브(300)는 펌핑 부재(200)의 실린더와 실질적으로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튜브(300)는 펌핑 부재(200)의 작동에 의해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액체(L)를 흡입하고, 펌핑 헤드(500)로 흡입한 액체(L)를 공급할 수 있다.
캡(400)은 용기 본체(100)의 입구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 상단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캡(400)은 용기 본체(100)가 쓰러지더라도,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액체(L)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400)은 용기 본체(100)의 입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 상단의 개구를 커버하는 캡 몸체(410)와, 캡 몸체(410)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캡 연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몸체(41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 몸체(410)가 원통 형상을 가짐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100)의 형상에 따라 캡 몸체(410)의 형상은 변형 가능하다.
캡 몸체(410)는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캡 몸체(410)는 용기 본체(100)의 입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캡 몸체(410)는 중심이 용기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원통형 중공부를 구비하고,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에는 펌핑 부재(2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캡 연장부(420)는 캡 몸체(410)에서 상부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캡 몸체(410)의 상부는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캡 연장부(420)의 상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지면, 캡 연장부(420)의 상부면에는 연결관(520)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캡 연장부(420)의 일부에는 슬릿 형성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슬릿 형성부(430)에는 펌핑 헤드(50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마련된 슬릿(44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440)은 용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에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슬릿 형성부(430)는 캡 연장부(420) 외주면의 일부가 평탄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캡 연장부(420)의 중심과 캡 연장부(420)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캡 연장부(420)의 중심과 슬릿 형성부(430) 표면과의 거리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슬릿 형성부(430)의 상하와 캡 연장부(420)가 연결되는 부분은 안전 부재(6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펌핑 헤드(500)는 액체(L)를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510), 및 펌핑 부재(2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520)은 토출구(510) 및 펌핑 부재(200)의 실린더와 실질적으로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펌핑 헤드(500)의 토출구(510)는 연결관(520)을 통하여 펌핑 부재(200)의 실린더와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부재(600)는 연결관(5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펌핑 부재(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안전 부재(600)는 연결관(52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연결관 연결부(610), 일단이 연결관 연결부(610)에 연결되고 슬릿(440)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620), 및 일단이 연결관 연결부(610)에 연결되고 제1 돌출부(620)와 평행하게 돌출되는 제2 돌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 연결부(6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돌출부(620)의 일단 및 제2 돌출부(6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관 연결부(610)의 일측은 제1 돌출부(620) 및 제2 돌출부(630)에 연결되고, 연결관 연결부(610)의 타측은 연결관(520)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돌출부(620)는 슬릿(440) 내에서 가이드되어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돌출부(620)는 슬릿(440)의 외부로 항상 돌출될 정도의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620)의 돌출 길이는 제2 돌출부(630)의 돌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2 돌출부(630)의 일단은 제1 돌출부(620)보다 상단에서 연결관 연결부(610)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부재(600)가 연결관(520)과 함께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돌출부(630)는 슬릿(44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안전 부재(600)가 연결관(520)과 함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돌출부(630)는 캡 연장부(42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에서, 제1 돌출부(620)의 하단과 제2 돌출부(630)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슬릿(44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 헤드(5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돌출부(620)는 슬릿(440)의 상단에 위치하며, 제2 돌출부(630)가 슬릿(440) 상부의 캡 연장부(4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펌핑 헤드(500)에 하부으로 압력이 작용하면, 펌핑 헤드(500)가 하부로 이동하고, 펌핑 부재(200)에 의해 튜브(300)가 액체(L)를 흡입하고, 흡입된 액체(L)는 펌핑 헤드(500)의 토출구(510)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또한, 펌핑 헤드(50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안전 부재(600)의 제1 돌출부(620)도 슬릿(44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돌출부(620)가 슬릿(44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 돌출부(620)가 슬릿(440)의 하부에 맞닿으면, 펌핑 헤드(500), 연결관(520) 및 안전 부재(600)의 하강이 정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부(62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2 돌출부(630)도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출부(63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2 돌출부(630)의 타단은 연결관 연결부(610)의 탄성에 의해 캡 연장부(420)의 내부면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630)의 타단이 캡 연장부(420)의 내부 면에 맞닿은 상태로 제2 돌출부(63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연결관 연결부(610)는 연결관(52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 돌출부(62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 돌출부(620)가 슬릿(440)의 하부에 맞닿으면, 제2 돌출부(630)가 슬릿(440) 내로 돌출되고, 슬릿(44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출부(630)가 돌출되어 슬릿(440) 상단에 위치하면, 탄성 변형되었던 연결관 연결부(6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제2 돌출부(630)의 타단은 슬릿(440) 상단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30)가 슬릿(440) 상단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면, 제2 돌출부(630)가 슬릿(440)의 상단에 고정되고, 펌핑 부재(200)의 복원력에 의해 펌핑 헤드(500), 연결관(520) 및 안전 부재(60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제2 돌출부(630)가 슬릿(440) 상단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면, 펌핑 부재(200)에 의해 펌핑 헤드(500), 연결관(520) 및 안전 부재(600)가 상부로 이동, 즉,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에서, 제1 돌출부(620)의 하단과 제2 돌출부(630)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슬릿(440)의 길이와 동일하므로, 펌핑 헤드(50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펌핑 헤드(500), 연결관(520) 및 안전 부재(600)가 하부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펌프 용기는 더 이상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액체(L)를 외부로 토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펌프 용기의 펌핑 헤드(500)가 고정되어, 안전 사고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30)가 슬릿(44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펌프 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돌출부(620) 또는 제2 돌출부(630)에 연결관(52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돌출부(620) 또는 제2 돌출부(630)에 연결관(520)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제2 돌출부(630)는 캡 연장부(42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돌출부(630)가 캡 연장부(420)의 내부로 이동하면, 펌핑 부재(200)의 복원력에 의해 펌핑 헤드(500), 연결관(520) 및 안전 부재(600)는 상승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620) 또는 제2 돌출부(63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제2 돌출부(630)는 캡 연장부(420)의 내부로 이동하여 펌핑 헤드(500), 연결관(520) 및 안전 부재(600)가 상부로 이동, 즉,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펌핑 부재(200)의 복원력에 의해 펌핑 헤드(500), 연결관(520) 및 안전 부재(600)가 상승한 이후에는, 사용자가 펌핑 헤드(500)를 눌러 펌프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용기는 펌핑 부재(200)를 통하여 일정량의 액체(L)가 반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용기는 안전 부재(600)에 의해 펌핑 헤드(500)가 눌린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펌핑 헤드(500)의 의도치 않은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용기 본체
200: 펌핑 부재
300: 튜브
400: 캡
410: 캡 몸체
420: 캡 연장부
430: 슬릿 형성부
440: 슬릿
500: 펌핑 헤드
510: 토출구
520: 연결관
600: 안전 부재
610: 연결관 연결부
620: 제1 돌출부
630: 제2 돌출부

Claims (10)

  1.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 부재;
    가압에 의해 상기 펌핑 부재를 작동시키며, 토출구를 구비하는 펌핑 헤드;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된 슬릿이 형성된 캡; 및
    상기 펌핑 헤드와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펌핑 헤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안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펌핑 헤드의 이동시 상기 슬릿 내에서 가이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평행하며, 상기 펌핑 헤드의 일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슬릿 내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 헤드의 반대 방향 복귀를 방지하고,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펌핑 헤드의 반대 방향 복귀를 허용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펌프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 몸체; 및
    상기 캡 몸체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슬릿 형성부를 구비하는 캡 연장부를 포함하는 펌프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에 평행한 펌프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단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릿의 길이와 동일한 펌프 용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헤드가 반대 방향으로 복귀하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캡 연장부 내부에 수납되는 펌프 용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형성부는 상기 캡 연장부 외주면의 일부가 평탄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펌프 용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헤드는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펌핑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펌프 용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보다 하부에 연결되는 펌프 용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큰 펌프 용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연결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펌프 용기.
KR2020200003983U 2020-11-04 2020-11-04 펌프 용기 KR200495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83U KR200495178Y1 (ko) 2020-11-04 2020-11-04 펌프 용기
CN202122198939.1U CN215902011U (zh) 2020-11-04 2021-09-10 泵式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83U KR200495178Y1 (ko) 2020-11-04 2020-11-04 펌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78Y1 true KR200495178Y1 (ko) 2022-03-24

Family

ID=8029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983U KR200495178Y1 (ko) 2020-11-04 2020-11-04 펌프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5178Y1 (ko)
CN (1) CN215902011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5469A (ja) * 2005-05-30 2006-12-14 Hiroshi Doi ストッパー付き手押し出しポンプ容器
KR20090048727A (ko) *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100030744A (ko) * 2008-09-11 2010-03-19 김용규 용액용기의 디스펜서 락킹장치
KR20100004550U (ko) * 2008-10-24 2010-05-04 펌텍코리아 (주)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버튼 누름조절장치
KR200451863Y1 (ko) * 2008-10-15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배출펌프의 록킹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5469A (ja) * 2005-05-30 2006-12-14 Hiroshi Doi ストッパー付き手押し出しポンプ容器
KR20090048727A (ko) *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100030744A (ko) * 2008-09-11 2010-03-19 김용규 용액용기의 디스펜서 락킹장치
KR200451863Y1 (ko) * 2008-10-15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배출펌프의 록킹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00004550U (ko) * 2008-10-24 2010-05-04 펌텍코리아 (주)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버튼 누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902011U (zh)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EP1740315B1 (en) Dispensing device
JP4679142B2 (ja) ロック可能な分配ヘッド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20100006606A1 (en) Pumping device with collapsible nozzle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JP6343620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ー
IT9021979A1 (it) Dispositivo a pompa per dosare o dispensare fluidi azionabile a mano
JP2003104468A (ja) 流体の分与装置
WO2014177554A1 (en) Dispensing head for dispensing a product in the form of a spray or in a dropwise manner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200495178Y1 (ko) 펌프 용기
JPH1072052A (ja) 液体注出器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JP2005517601A (ja) スクイーズスプレー装置
KR200446883Y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0238764Y1 (ko) 액체 디스펜서
KR100284813B1 (ko) 도립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수동식 분사 펌프
KR102427032B1 (ko) 펌프
KR101923389B1 (ko) 유체 디스펜서
KR200311496Y1 (ko) 노즐고정형 디스펜서 용기
KR200491875Y1 (ko) 울트라 미스트용 인서트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JP3245398U (ja) 可動ノズルを備えた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200496339Y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