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988B1 -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988B1
KR102403988B1 KR1020200128000A KR20200128000A KR102403988B1 KR 102403988 B1 KR102403988 B1 KR 102403988B1 KR 1020200128000 A KR1020200128000 A KR 1020200128000A KR 20200128000 A KR20200128000 A KR 20200128000A KR 102403988 B1 KR102403988 B1 KR 10240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upport
container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581A (ko
Inventor
이경창
우병진
장건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20012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88B1/ko
Priority to CN202080105857.3A priority patent/CN116323405A/zh
Priority to PCT/KR2020/018619 priority patent/WO2022075532A1/ko
Priority to US18/028,749 priority patent/US20230330691A1/en
Publication of KR2022004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05B11/3001
    • B05B11/304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충진공간과,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파티션에 의해서 충진공간에 비해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바디유출통로를 구비하고, 파티션의 하부를 통해서 충진공간에 주입된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파티션의 상부에는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바디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부바디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커버채널과 연통되고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와,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해서 펌프를 지지하는 펌프서포트와, 펌프서포트의 상부에 결합해서 펌프서포트 및 펌프를 바디 방향으로 하향 가압하는 숄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본 발명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 구조를 개선한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 등에 있어서 펌프는 향수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상부 입구에 결합되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해서 버튼에 해당하는 노즐을 하향 가압하면, 펌프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내용물이 가압되어 배출 통로를 따라서 상승하여 노즐을 통해서 분사된다. 그리고 노즐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배출 통로는 노즐의 상승에 의해서 기구적으로 폐쇄되고 펌프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은 펌프는 향수 및 화장품은 물론 방향제, 살충제 등과 같이 다양한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한 번의 노즐 가압에 의해서 내용물을 정량 토출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펌프와, 펌프가 결합된 용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펌프는 내용물이 보관된 바디(본체)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서 길이가 긴 호스와 연결되고, 호스의 하단부는 바디의 바닥면과 접하고 있다. 펌프의 흡입력이 호스에 전달되어서 바디에 보관된 내용물이 호스를 통해서 펌프에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호스는 바디에 보관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바디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바디가 화장품 용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심미감 저하의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 따라서 펌프를 사용하는 용기는 호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디를 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 구조를 개선해서 호스를 제거할 수 있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충진공간과,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파티션에 의해서 충진공간에 비해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바디유출통로를 구비하고, 파티션의 하부를 통해서 충진공간에 주입된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파티션의 상부에는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바디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부바디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커버채널과 연통되고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와,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해서 펌프를 지지하는 펌프서포트와, 펌프서포트의 상부에 결합해서 펌프서포트 및 펌프를 바디 방향으로 하향 가압하는 숄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유출통로의 내부에는 그 단면을 축소하는 웨이트가 삽입될 수 있다.
바디의 상부에는 상부바디홀이 형성된 결합면이 구비되어 있고, 결합면에는 펌프삽입공간이 삽입되는 센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센터홀의 일 측에는 상부바디홀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커버는, 바디돌기의 내부에 삽입되고 커버채널과 연통되는 통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펌프서포트는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는 밀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숄더는 펌프를 하향 가압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걸림돌기에는 숄더에어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펌프서포트에는 숄더에어홀과 연통되는 서포트에어홈이 형성되어 있고, 바디에는 서포트에어홈과 연통되는 에어노즐이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노즐은 충진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바디커버는 에어노즐이 삽입되는 에어유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의 하부에는 베이스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웨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을 위한 호스를 제거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액체 분사 장치의 중심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액체 분사 장치의 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용기의 바디에 대한 사시도 및 중심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바디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베이스 및 웨이트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바디커버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펌프서포트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숄더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도 14는 펌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화장품, 향수, 샴푸, 각종 세제, 소독제, 약품 등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대상이 되는 내용물의 종류, 성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1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용기(100)의 중심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용기(100)의 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3에 표시된 화살표는 내용물의 배출 흐름을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보관하는 바디(110)의 충진공간(112)에 호스를 제거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바디(110)의 일측에 파티션(114) 등을 통해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바디(110)의 재질을 투명하게 하더라도 그 내부에 호스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심미감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바디(110), 바디커버(150), 펌프서포트(170), 숄더(200), 노즐캡(220), 펌프(230) 및 상부캡(250)을 포함한다.
상부캡(250)은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을 갖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캡(250)은 숄더(200)의 둘레에 결합해서 노즐캡(220)을 커버한다.
노즐캡(220)은 숄더(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 구비된 노즐(222)은 펌프(230)의 밸브(234)에 삽입되어서 결합한다. 밸브(234)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캡(220)도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다. 펌프(230)의 밸브(234)를 통과한 내용물은 노즐(222)를 통해서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펌프(230)는 바디커버(150)에 형성된 펌프삽입공간(154)에 그 하부가 삽입되고 숄더(200)의 걸림돌기(214)에 의해서 하우징(232)이 하향 가압되어서 위치 고정된다. 펌프(230)는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내용물을 그 내부로 흡입해서 노즐(22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용기(100)의 바디(110)에 대한 사시도, 사시 단면도(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바디(110)가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바디(110)의 단면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바디가 원형, 타원형, 삼각이나 오각 등의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바디(110)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충진공간(112)을 구비하고, 충진공간(112)은 파티션(114)에 의해서 바디유출통로(113)와 구분된다. 파티션(114)은 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바디(110)의 내부 네 개의 면 중에서 적어도 일 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114)의 하단부와 베이스(134) 사이에는 간격(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될 수 있다.
파티션(114)의 하단부에는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충진공간(112)과 바디유출통로(113)를 연통할 수 있다.
파티션(114)의 폭은 바디(110)의 네 개의 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파티션(114)이 잘 관찰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파티션(114)과 바디(110)의 재질 및 색상을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바디유출통로(113)는 충진공간(112)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구비하는 것으로, 내용물이 상향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즉, 펌프(230)의 작동에 의해서 내용물은 파티션(114)의 하부를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되어 상승하고 상부바디홀(126) 및 커버채널(158)을 통해서 펌프삽입공간(154)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바디유출통로(113)는 바디(110)의 일 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바디유출통로(113)의 내부에는 웨이트(140)가 삽입될 수 있다. 웨이트(140)는 바디유출통로(113)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지만 다소 축소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디유출통로(113)의 내부에 웨이트(140)를 삽입함으로써, 내용물 이동을 위한 미세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바디유출통로(113)의 단면적이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웨이트(140)를 삽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디(110)의 상부에는 결합면(118)이 형성될 수 있고, 바디(110)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면(118)의 중앙에는 센터홀(120) 및 센터돌기(1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 측에는 에어노즐(132) 및 바디돌기(12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면(118)은 바디(110)의 상단부에서 약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바디(110)의 상부는 결합면(118)에 의해서 오목한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바디커버((150), 펌프서포트(170) 및 숄더(20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결합면(118)의 중앙에는 센터홀(120) 및 센터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센터홀(120)은 센터돌기(1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돌기(122)의 내부에는 바디커버(150)의 펌프삽입공간(154)이 삽입된다. 센터홀(120)을 통해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고, 센터홀(120)은 바디커버(150)를 위치 고정하고 바디(110)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바디돌기(125)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결합면(118)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바디돌기(125)의 내부 위치하는 결합면(118)에는 상부바디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돌기(125)의 내부에는 바디커버(150)의 하면에 형성된 통로돌기(162)가 삽입되어 연통된다. 이와 같이, 바디돌기(125)는 내용물이 유출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상부바디홀(126)과 커버채널(158)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정한 내부공간을 가져서 유출 통로의 부피를 일정하게 제한하고 폐쇄된 유출 통로를 형성한다.
바디(110)의 상부 내주면 중 모서리 부분에는 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0)에는 숄더(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0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숄더(200)가 바디(110) 상부에 결합된다.
에어노즐(132)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하단부는 충진공간(112)과 연통되어 있다. 에어노즐(13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충진공간(112)의 압력 저하가 방지되고 대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노즐(132)은 바디커버(150)에 형성된 에어유입홀(167)에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개방된다.
도 7은 베이스(134) 및 웨이트(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바디(110)의 개방된 하부에는 베이스(134)가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134)는 바디(110)와 동일한 단면을 갖고 얇게 형성된 플레이트에 해당할 수 있다. 베이스(134)는 바디(110)의 하부에 접착 또는 융착 등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34)의 상면에는 웨이트(140)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웨이트(140)는 바디유출통로(113)와 동일한 형상 및 다소 작은 사이즈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웨이트(140)는 바디유출통로(113)의 단면을 감소시켜서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113)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웨이트(140)는 베이스(134)와 일체로 제작되어 바디(1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바디커버(15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바디커버(150)는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하고, 그 상부에는 펌프서포트(170) 및 숄더(200)가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바디커버(150)는 바디(11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커버면(152)과, 커버면(152)의 일 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링 형상의 상부둘레면(16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둘레면(164)의 내부에는 펌프삽입공간(154), 커버채널(158), 에어유입홀(167)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면(152)의 하면에는 통로돌기(162)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펌프삽입공간(154)은 커버면(152)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에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이 삽입된다. 그리고 하우징(232)의 하면에는 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는데, 펌프삽입공간(154)으로 유입된 내용물은 하우징(232) 하면의 홀을 통해서 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된다.
펌프삽입공간(154)은 커버면(152)에서 하향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은 바디(110)의 센터돌기(122)의 내부에 삽입된다.
펌프삽입공간(154)의 상부 일 측은 커버채널(158)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채널(158)을 통해서 유입된 내용물이 펌프삽입공간(154)의 바닥면으로 하강해서 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된다.
커버면(152)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커버채널(158)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채널(158)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은 커버유입홀(160)과 연통되고 타단은 펌프삽입공간(154)과 연통된다. 그리고 커버채널(158)은 바닥면 및 두 개의 측면으로 규정되고, 그 개방된 상부는 펌프서포트(170)에 의해서 폐쇄된다.
커버채널(158)의 일단에 형성된 커버유입홀(160)은 커버면(152)을 관통해서 형성된 것으로, 통로돌기(16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통로돌기(162)는 커버면(152)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하단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통로돌기(162)의 상단부는 커버면(152)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고, 커버유입홀(160)을 통해서만 커버채널(158)과 연통된다. 통로돌기(162)는 바디(110)의 상부에 형성된 바디돌기(125)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부둘레면(164)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166)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커버(150)의 상부에 펌프서포트(170)가 결합하는 경우 그 외부둘레면(172)과 내부둘레면(174)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176)에 상부둘레면(164)이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돌기(166)가 외부둘레면(172)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둘레면(164)의 내부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에어유입홀(167)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유입홀(167)의 내부에는 바디(110)의 에어노즐(132)이 삽입된다. 에어노즐(132)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서 바디(110)의 충진공간(11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펌프서포트(17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펌프서포트(170)는 바디커버(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펌프(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펌프서포트(170)는 중앙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서포트바디(180)와, 그 둘레에 형성된 외부둘레면(172) 및 내부둘레면(174)을 구비한다.
외부둘레면(172) 및 내부둘레면(174)은 사각의 횡단면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간격에 해당하는 결합홈(176)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76)에는 바디커버(150)의 상부둘레면(164)이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된다. 그리고 외부둘레면(172)의 상부에는 안착단턱(178)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상면은 숄더(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돌기(208)에 의해서 하향 가압된다.
서포트바디(180)는 내부둘레면(174)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둘레면(174)에 비해서 더 큰 높이를 갖는다. 서포트바디(180)의 외주면에는 바디걸림홈(182)이 형성되어 있고, 바디결합홈(182)의 내부에는 숄더(2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결합돌기(212)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바디걸림홈(182) 및 내부결합돌기(212)에 의해서 펌프서포트(170)에 숄더(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서포트바디(180)의 내부 빈 공간에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이 삽입된다. 그리고 서포트바디(180)의 하부 내주면에는 링 형상을 갖는 밀착돌기(192)가 형성되어 있다. 밀착돌기(192)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서포트바디(180)의 내주면에는 상단에서 시작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서포트에어홈(190)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에어홈(190)과 펌프(230)의 하우징(232)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을 통해서 바디(110)의 에어노즐(132)의 상단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내부둘레면(174)과 서포트바디(180)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는 상면(187)을 갖는 하나의 서포트삽입홈(186)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삽입홈(186)은 그 상부가 상면(18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된 빈 공간에 해당한다.
서포트삽입홈(186)에는 바디(110)에 형성된 에어노즐(132)이 삽입된다. 그리고 에어노즐(132)의 상단부는 상면(187)과 접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펌프서포트(170)의 서포트바디(180)의 단부에는 링 형상의 패킹(260)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260)은 펌프(230)의 하우징(232)의 둘레에 삽입되어 플랜지(233)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 12 및 도 13은 숄더(20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숄더(200)는 펌프서포트(170)의 상부에 결합해서 펌프(230)를 하향 가압하고 그 상부에는 노즐캡(220)이 결합한다. 숄더(200)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펌프결합부(210)와, 그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만 개방된 바디결합부(202)로 이루어진다.
바디결합부(202)는 결합둘레면(204)을 구비하는데, 이는 바디(110)의 상부에서 결합면(118)에 의해서 형성된 홈 부분에 삽입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바디결합부(202)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바디커버(150) 및 펌프서포트(170)가 수용된다.
바디결합부(202)는 상면(도면부호 없음)을 구비하고 상면은 바디(11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면의 중앙에는 펌프결합부(2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는 가압돌기(208)가 바디결합부(202)의 내부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208)는 펌프서포트(170)의 안착단턱(178)을 하향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펌프서포트(170) 및 펌프(230)가 안정적으로 바디(110)에 결합된다.
펌프결합부(21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단 및 하단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펌프결합부(210)의 내부에는 펌프(230) 및 서포트바디(180)가 삽입된다. 그리고 펌프결합부(210)의 하단부는 바디결합부(20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펌프결합부(210)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돌기(214)가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214)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숄더에어홀(216)을 구비한다. 걸림돌기(214)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233)를 하향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펌프(230)가 펌프삽입공간(15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플랜지(233)는 펌프서포트(170)의 서포트바디(180)의 상단부와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간격에 의해서 용기(100) 외부의 공기가 숄더에어홀(216), 서포트에어홈(190) 및 에어노즐(132)을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숄더에어홀(216)은 걸림돌기(21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아크(arc) 형상의 홀에 해당한다. 그리고 숄더에어홀(216)의 하부에는 내부결합돌기(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내부결합돌기(212)는 펌프결합부(21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내부결합돌기(212)는 서포트바디(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82)에 삽입된다.
도 14는 펌프(230)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펌프(230)는 하우징(232), 밸브(234), 하우징캡(236), 피스톤(238), 가이드(240) 및 디스크(242)를 포함하는데,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에 기재된 펌프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펌프(230)의 흡입력에 의해서 충진공간(112)에 있는 내용물은, 파티션(114)의 하부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된 후 상승해서 상부바디홀(126)을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상부바디홀(126)에서 배출되어 통로돌기(16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커버유입홀(160) 및 커버채널(158)을 통해서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내용물은 펌프삽입공간(154)에서 펌프(230)의 흡입력에 의해서 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된 후 노즐캡(220)에 구비된 노즐(222)을 통해서 용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바디(110)의 내부에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호스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호스에 의해서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충진공간(112)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펌프(230)에 의해서 유출되면서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 저하는 펌프(230)의 흡입력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을 일정 압력(예를 들면, 대기압)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외부의 공기가 노즐캡(220)과 펌프결합부(2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도면 부호 없음)을 통해서 펌프결합부(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펌프결합부(210)에 유입된 공기는 숄더에어홀(216), 서포트에어홀(190) 및 에어노즐(132)을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되어 대기압을 유지함으로써 펌프(230)의 흡입력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액체 분사 용기
110: 바디
150: 바디커버
170: 펌프서포트
180: 서포트바디
200: 숄더
220: 노즐캡
230: 펌프
250: 상부캡

Claims (10)

  1. 충진공간과,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파티션에 의해서 상기 충진공간에 비해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바디유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파티션의 하부를 통해서 상기 충진공간에 주입된 내용물이 상기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파티션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바디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바디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상기 커버채널과 연통되고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
    상기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해서 상기 펌프를 지지하는 펌프서포트; 및
    상기 펌프서포트의 상부에 결합해서 상기 펌프서포트 및 상기 펌프를 상기 바디 방향으로 하향 가압하는 숄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바디홀이 형성된 결합면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펌프삽입공간이 삽입되는 센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홀의 일 측에는 상기 상부바디홀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출통로의 내부에는 그 단면을 축소하는 웨이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커버는, 상기 바디돌기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채널과 연통되는 통로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서포트는 상기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는 밀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7. 충진공간과,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파티션에 의해서 상기 충진공간에 비해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바디유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파티션의 하부를 통해서 상기 충진공간에 주입된 내용물이 상기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파티션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바디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바디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상기 커버채널과 연통되고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
    상기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해서 상기 펌프를 지지하는 펌프서포트; 및
    상기 펌프서포트의 상부에 결합해서 상기 펌프서포트 및 상기 펌프를 상기 바디 방향으로 하향 가압하는 숄더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는 상기 펌프를 하향 가압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숄더에어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서포트에는 상기 숄더에어홀과 연통되는 서포트에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서포트에어홈과 연통되는 에어노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커버는 상기 에어노즐이 삽입되는 에어유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베이스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출통로의 내부에는 그 단면을 축소하는 웨이트가 삽입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0200128000A 2020-10-05 2020-10-05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40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00A KR102403988B1 (ko) 2020-10-05 2020-10-05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CN202080105857.3A CN116323405A (zh) 2020-10-05 2020-12-18 用于喷射液体的容器
PCT/KR2020/018619 WO2022075532A1 (ko) 2020-10-05 2020-12-18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US18/028,749 US20230330691A1 (en) 2020-10-05 2020-12-18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00A KR102403988B1 (ko) 2020-10-05 2020-10-05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581A KR20220045581A (ko) 2022-04-13
KR102403988B1 true KR102403988B1 (ko) 2022-06-02

Family

ID=8112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00A KR102403988B1 (ko) 2020-10-05 2020-10-05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30691A1 (ko)
KR (1) KR102403988B1 (ko)
CN (1) CN116323405A (ko)
WO (1) WO20220755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99B1 (ko) * 2021-10-08 2022-12-20 주식회사 삼화 튜브리스 토출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10B1 (ko) * 2011-12-15 2013-11-06 이기선 절약형 펌프식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6711B2 (ja) * 1995-08-07 2005-08-24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ンプ付き吐出容器
US5638994A (en) * 1995-09-21 1997-06-17 Jeffrey M. Libit Molded bottle with trigger bulb pump
FR2808784B1 (fr) * 2000-05-10 2002-07-26 Oreal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e composition a gradient de concentration
KR101963619B1 (ko) * 2018-09-20 2019-03-29 (주)삼화피앤티 스프레이 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10B1 (ko) * 2011-12-15 2013-11-06 이기선 절약형 펌프식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99B1 (ko) * 2021-10-08 2022-12-20 주식회사 삼화 튜브리스 토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3405A (zh) 2023-06-23
WO2022075532A1 (ko) 2022-04-14
US20230330691A1 (en) 2023-10-19
KR20220045581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4539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fluid product in metered quantities
KR101851743B1 (ko) 밸브-조절식 분배용 클로저
EP3019281B1 (en) Dispenser with a reservoir comprising a divider or a porous material
US20130068797A1 (en)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JP2016529169A5 (ko)
JP2009261933A (ja) 液状物汲上機構およびディスペンサ用ポンプノズル
US11673159B2 (en) Dispensing assembly including an additive mixing device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356611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383616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57327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64313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579766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427032B1 (ko) 펌프
KR101923389B1 (ko) 유체 디스펜서
KR102478899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KR102573274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JP5554160B2 (ja) 塗布具付き注出器
KR200455745Y1 (ko)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KR20240000843U (ko) 풀림방지 스토퍼 구조를 갖는 스프레이 액상용기
KR20220112079A (ko) 화장품용 미스트 디스펜서
JP2024065852A (ja) 液体噴出器
KR20170004202U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