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51Y1 -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51Y1
KR200490251Y1 KR2020170004885U KR20170004885U KR200490251Y1 KR 200490251 Y1 KR200490251 Y1 KR 200490251Y1 KR 2020170004885 U KR2020170004885 U KR 2020170004885U KR 20170004885 U KR20170004885 U KR 20170004885U KR 200490251 Y1 KR200490251 Y1 KR 200490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terrace
space
upper housing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759U (ko
Inventor
조병훈
Original Assignee
조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훈 filed Critical 조병훈
Priority to KR2020170004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5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및 재조립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파풀장이 구비된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1430); 상기 지지부(14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하우징부(1400);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출입 계단부(1423);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면 하우징부(12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부(1100); 일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심 기둥부(1510);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가능한 테라스 기둥부(1140)에 연결되면서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20); 를 포함하여,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가 상기 중심 기둥부(15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에 테라스 공간부(1150)가 형성되되, 상기 테라스 공간부(1150)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도록 마련된 스파풀장(1160); 를 포함하는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스파풀장이 모듈식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가옥 조립체를 이동하여 조립시에도 어디에서든지 스파나 풀장 시설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Assembly for a movable house}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및 재조립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파풀장이 구비된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이다.
캠핑은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크게 사랑을 받고 있고, 캠핑인구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캠핑은 일상적인 주거공간을 벗어나 마음에 드는 야외의 임시 거주 공간에서 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텐트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텐트는 이동설치는 편리하지만 일상적인 생활에 필요한 샤워시설이라든지 주방시설 등을 구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샤워시설, 화장실, 주방 등이 일체로 마련된 캠핑 트레일러가 등장하였다.
캠핑 트레일러는 견인용 차량에 견인되어 원하는 캠핑장소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캠핑 트레일러는 워낙 고가의 물건이기도 하지만 별도의 견인용 개인 차량이 필요한 점에서 누구나 즐길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야외에 고정식으로 마련된 캠핑 트레일러는 대체적으로 사각형 박스 구조를 취하는데 거주 공간이 협소한 단점이 있다.
종래의 캠핑 트레일러는 견인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로 폭에 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공간 크기의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캠핑하기에 적합한 장소에 화장실, 주방 및 샤워실을 구비한 글램핑 시설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글램핑 시설의 경우 한번 설치하면 분해 및 재조립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장소의 이동설치가 거의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종래 글램핑 시설의 경우 사람들이 많이 찾는 시즌에는 그 수요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요가 거의 없어 공실을 형성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글램핑은 풀장과 같은 시설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야외 풀장시설을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와 같이 야외풀장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풀장시설을 만들어야 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번 시공이 되면 이동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식 글램핑장과 더불어 즐길 수는 없는 치명적 단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조립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조립식 가옥들이 다수 공지되고 있다.
예로써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3489호인 조립식 돔 하우스가 개시된다.
이는 결합 플랜지를 갖는 단위 패널들이 복수 개 구비되어 있고, 단위패널들 간에는 볼트와 너트로 조립되는 방식으로서 단위 패널들이 결합되어 돔의 둘레벽을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립식 돔 하우스는 바닥면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이 실내 공간 확보를 위한 하우징 구조일 뿐이어서 내부 공간에 별도의 편의 시설이 일체로 조립되어 마련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조립되는 만큼 단위패널들간의 분리 후 재조립 시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634557호의 조립식 돔 하우스는 단부에 끼움공간이 형성되는 끼움맞춤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끼움맞춤의 경우 조립의 편의성은 증대되지만 결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갖고 있으며, 이 역시 바닥면이 지면에 전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습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 밖에도 분할하여 조립하는 방식인 한국등록특허 제1120540호는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돔하우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앞서 언급된 다른 조립식 돔하우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부전체가 바닥면과 직접 맞닿아 있어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돔하우스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에 별도의 습기차단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그에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돔하우스의 경우 바닥에서 연장되는 측면이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여름철 태풍과 같은 강풍이 불었을 경우 일반 주택과는 달리 안전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취약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돔하우스는 테라스와 같은 별도의 시설을 마련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외에서 잠시 담배를 피우거나 바깥 바람을 쐬기 위하여는 출입문을 통해 하우스 외부로 나가야만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들은 별도의 풀장이나 스파시설을 구비하고 있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계절에 따라서 이동 설치가 편리하여 수요층 확보가 용이하고, 스파나 풀장을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주방, 욕실 등 일상 생활에 필요한 편의시설이 갖추어지면서도 거주 공간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임시주거시설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3489호 한국 등록특허 제1634557호 한국등록특허 제1120540호 한국등록특허 제951406호 한국등록특허 제921322호 한국등록특허 제674776호 일본등록특허 제4828388호 일본등록특허 제4513032호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풀장이나 스파를 즐길 수도 있는 동시에 주거의 편리성을 극대화 하면서도 이동 재설치의 편의를 위한 조립의 용이성과 분리 재조립이 편리한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1430); 상기 지지부(14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하우징부(1400);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출입 계단부(1423);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면 하우징부(12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부(1100); 일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심 기둥부(1510);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가능한 테라스 기둥부(1140)에 연결되면서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20); 를 포함하여,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가 상기 중심 기둥부(15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에 테라스 공간부(1150)가 형성되되, 상기 테라스 공간부(1150)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도록 마련된 스파풀장(1160); 를 포함하는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에는 상기 스파풀장(1160)의 물을 배수하는 상부 배수구(1161)와 상기 스파풀장(1160)으로 깨끗한 물을 제공하는 취수구(1162)가 마련되고, 상기 중심 기둥부(1510)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상부 배수구(1161)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스파풀장(116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1414); 이 마련된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120)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는 스마트 유리가 마련되는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파풀장이 모듈식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가옥 조립체를 이동하여 조립시에도 어디에서든지 스파나 풀장 시설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둘째, 테라스 기둥부에는 스파풀장의 물을 배수하는 상부 배수구와 스파풀장으로 깨끗한 물을 제공하는 취수구가 마련되고, 중심 기둥부 내부에는 일측이 상부 배수구과 연결되고 타측은 하부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스파풀장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기 때문에 스파풀장의 물을 손쉽게 공급하고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덮개부 또는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는 스마트 유리가 마련되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밤하늘의 별을 관찰할 수 있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넷째, 조립이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 이동 설치가 매우 용이한 강점이 있다.
다섯째, 상하부 모두 곡률을 갖음으로써 전체적으로 유선형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강풍 속에서도 구조물이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여섯째,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의 유선형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태양열을 받는 면적이 일반 캠핑카나 글램핑 혹은 텐트 구조에 비하여 적어 여름에는 주거공간으로의 열유입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겨울에는 내부의 열 에너지가 거주공간인 중앙부로 모이기 때문에 열효율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여덟째, 테라스에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태양전지 패널이 마련될 수도 있어 별도의 전원 없이도 거주 공간 내부의 전기시설 이용이 가능해지는 강점이 있다.
아홉째, 하부에 지지부가 마련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의 습기로부터 거주공간이 영향을 받을 일이 거의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열번 째, 하부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종 야생동물들의 침입으로부터 거주공간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이점도 있다.
열 한번째, 상부에 테라스가 마련되기 때문에 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조망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열 두번째, 내부에 각종 편의시설들이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며, 필요한 부분만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열 세번째, 내부의 각종 편의시설들이 모듈식으로 조립되므로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서 주방, 욕실, 거실의 각각의 구조를 각기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 네번째, 측면부가 유리창으로 형성될 수도 있어 외부 조망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열 다섯번째, 내부 모듈 구조 각각은 파티션을 포함하기 때문에 프라이빗한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 여섯번째, 각각의 모듈은 사이즈를 달리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 후 설치 위치로의 운반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이송 후의 조립 시에 거주 공간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열 일곱번째, 하부부재는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하며 방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상에 적용함으로써 수상용으로 물 위에 띄워 수상가옥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열 아홉번째, 하부부재가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함으로써 하부부재 내부에는 생활에 필요한 식수나 생활용수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거주공간과는 별도의 창고 공간으로의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스무번째, 하부부재가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함으로써 하부부재 내부에는 생활에 필요한 식수나 생활용수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거주공간과는 별도의 창고 공간으로의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풀장(1160)과 상부 하우징부(1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와 덮개부(112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부(1400)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 하우징부(150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풀장(116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측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수관(1414)의 작동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의 물탱크이며, 도 1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의 물탱크이며, 도 1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의 물탱크이며, 도 11(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의 물탱크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는 상부를 이루는 상부 하우징부(1100), 측면을 이루는 측면 하우징부(1200), 하부를 이루는 하부 하우징부(1400)로 형성된다.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곡면을 갖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는 실내공간에 마련되는 싱크대, 세면대, 욕실용기 등 기타 편의 장치들을 일일이 도시하진 않았지만 조립 후 설치가 가능함을 일러둔다.
상부 하우징부(1100)는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및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상단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덮개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에는 햇빛을 수용하는 채광창(1170)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부(1400)는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의 하부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아래로 오목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부(1400)는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및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에 마련된 지지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하우징부(1300)는 하부 하우징부(1400)에 설치되어 실내 바닥을 형성한다.
측면 하우징부(1200)는 상부 하우징부(1100)와 하부 하우징부(1400) 사이에 마련되어 실내의 측면을 형성한다.
측면 하우징부(1200)는 투명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부(1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부 하우징부(1100)는 동일한 형상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는 곡면을 갖고 상부 하우징부(1100)의 외벽을 이루는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의 상단에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는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는 등받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의 단부에서 편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는 소파 의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는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의 단부에서 편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는 일체로서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에 힌지 결합될 수 있어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동일 형상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가 8등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 정도의 증감은 얼마든지 가능함을 일러둔다.
또한,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중에는 채광창(1170)가 마련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는 서로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의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와 덮개부(1120)의 분리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가 조립되면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부에는 원형의 소파가 형성될 수 있는데, 원형의 소파가 형성된 공간은 테라스를 이룬다.
덮개부(1120)는 상기 원형의 소파의 상단에 마련되어 지붕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원형의 소파가 실내공간과 단절된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실제로는 앞서 설명한 대로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1),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2),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1113),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1114)가 일체로서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에 힌지 결합될 수 있어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1116)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상단부의 원형의 소파로 이동이 가능한 통로가 형성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덮개부(1120)에는 중앙에 덮개 중앙부(1121)가 마련된다.
덮개 조립파츠(1122)는 상부 하우징부(1100) 상단에 형성된 원형의 소파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곡률을 갖는 원형의 덮개 조립파츠(1122)로 마련될 수 있다.
덮개 조립파츠(1122)는 동형으로서 복수 개가 분할형으로 마련되어 서로 조립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덮개림 지지부(1123)는 덮개 조립파츠(1122)의 단부에서 지면 방향을 향해 뻗은 봉 형상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림 지지부(1123)는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1115)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덮개부(1120)는 전기 모터 등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수동으로도 조작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덮개 조립파츠(1122)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어 거주 공간 내의 전기시설에 전기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태양전지판(미도시)은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태양전지판(미도시)은 상부 하우징부(1100)의 외주면에는 태양전지판(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태양전지판(미도시)이 마련된 상부 하우징부(1100)는 전체적으로 곡률을 갖는 일부 원형의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태양의 고도변화 및 지구자전에 따른 태양에너지 흡수율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태양에너지 수급이 원활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부(1400)의 분리사시도이다.
하부 하우징부(1400)는 동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는 지상과 편행하게 뻗은 하부 하우징 바닥부(1412)를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 바닥부(1412)로부터 상방향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부 하우징 측벽부(14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바닥부(1412)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에서는 계단식 도어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출입구 조립파츠(1420)가 포함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출입구 조립파츠(1420)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1422)와,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1422)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부 하우징 출입구 측벽부(1421)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계단부(1423)는 일단부가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1422)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 실내 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계단부(1423)는 회동하여 타단부가 지면에 맞닿을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동일 형상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가 8등분되고 그 중 하나에는 출입 계단부(1423)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분할 정도의 증감과 출입 계단부(1423)의 개수 증감은 얼마든지 가능함을 일러둔다.
또한, 복수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는 서로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의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 하우징부(1500)의 상면도이다.
중간 하우징부(1500)는 전체적으로 외곽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중심에는 중심 기둥부(15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520)는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간 하우징부(1500)는 중심 기둥부(1510)를 중심으로 제1 격벽부(1561), 제2 격벽부(1562), 제3 격벽부(1563), 제4 격벽부(1564), 제5 격벽부(1565), 제6 격벽부(15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공간부(155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1 격벽부(1561), 제5 격벽부(1565), 제4 격벽부(1564)로 둘러싸인 주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공간부(155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식탁 테이블과 의자, 주방용기, 전자레인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52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6 격벽부(1566), 제2 격벽부(1562)로 둘러싸인 거실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5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소파와 벽걸이 TV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공간부(153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2 격벽부(1562), 제3 격벽부(1563), 제4 격벽부(1564)로 둘러싸인 침실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부(153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침대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공간부(1540)는 측면 하우징부(1200), 제4 격벽부(1564), 제3 격벽부(1563)로 둘러싸인 욕실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공간부(154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변기, 샤워기, 세면대 등 욕실 용품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격벽부(1563)과 제4 격벽부(15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3 공간부(1540)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도어(미도시)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일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중심 기둥부(1510)에는 앞서 언급된 테라스에 출입하기 위한 내부계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에서 출입 계단부(142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들어온 다음 내부계단(미도시)을 이용해서 테라스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제1 격벽부(1561), 제2 격벽부(1562), 제3 격벽부(1563), 제4 격벽부(1564), 제5 격벽부(1565), 제6 격벽부(1566)는 제1 공간부(1520), 제1 공간부(1520), 제2 공간부(1530), 제3 공간부(1540)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불투명창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공간이 독립성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재질이면 상관 없다.
측면 하우징부(1200)는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공간부(1520), 제1 공간부(1520), 제2 공간부(1530), 제3 공간부(1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커튼이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측면 하우징부(1200)의 어느 한 부분은 전기를 인가함에 따라서 불투명에서 투명으로 혹은 투명에서 불투명으로 변화될 수 있는 재질의 기능성유리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횡단면도이다.
지지부(1430)는 일측이 하부 하우징부(1400)의 하단에 고정되며, 타측은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하부 하우징부(1400)의 외부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의 영향이 없게 되며, 야생 동물들의 침입으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출입 계단부(1423)는 타단부가 지면에 닿도록 하부 하우징부(1400)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바닥 하우징부(1300)는 하부 하우징부(1400) 내부에 고정되면서 실내 공간의 바닥을 이룬다.
한편, 바닥 하우징부(1300)와 하부 하우징부(1400)의 사이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있는데, 수납공간에는 생활에 필요한 식수를 제공하는 식수저장소(미도시)나, 사용된 오수저장소(미도시), 태양전지판(미도시)에 연결되어 실내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 에어컨 실외기(미도시), 기타 생활용품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컨 실외기(미도시)는 하부 하우징부(1400)의 바닥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기구(미도시)와 연통되어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바닥 하우징부(1300)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통하도록 개폐문(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출입 계단부(1423)에 형성된 계단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부(1120)는 테라스 기둥부(1140)에 연결될 수 있다.
테라스 기둥부(1140)는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테라스 기둥부(1140)가 하강하면 덮개부(1120)가 하강하여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상단을 닫게 된다.
덮개림 지지부(1123)는 덮개부(1120)의 슬라이딩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덮개부(11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테라스 테이블(1130)은 테라스 기둥부(1140)에 형성되어 칵테일 잔이나 과일 등을 올려둘 수 있는 간이테이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덮개부(1120)는 전기 모터 등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지만 수동으로도 조작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공간부(1520)에는 테라스 기둥부(1140)과 랙피니언 방식의 회전레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테라스 기둥부(1140) 내부에는 랙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레버(미도시)에는 상기 랙기어(미도시)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레버(미도시)를 돌리면 덮개부(1120)가 승하강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덮개부(1120)가 상승하면 테라스 공간부(1150)가 형성되는데, 테라스 공간부(1150)는 앞서 설명된 테라스 공간이다.
테라스 공간부(1150)에 마련된 내부계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테라스 공간부(1150)으로 출입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스파풀장(1160)이 테라스 공간부(1150)에 올려져 제공될 수 있다.
스파풀장(1160)의 형상은 테라스 공간부(11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되어지면 족하며 도시된 것은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일러둔다.
스파풀장(1160)은 물이 공급되어 풀장 또는 스파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테라스 공간부(1150)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도록 마련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파풀장(1160)에는 열선(미도시)이 마련되어 스파풀장(1160)에 채워지는 물의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2000)는 스파풀장(1160)에 연통되며 스파풀장(1160)으로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2000)는 바닥 하우징부(1300)의 하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부(140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풀장(1160)의 사시도이다.
스파풀장(1160)은 테라스 공간부(1150)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파풀장(1160)의 다른 형상도 변형 실시 가능함을 일러둔다.
한편, 테라스 테이블(1130)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되거나 하강될 수도 있고, 테라스 기둥부(114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테라스 테이블(1130)은 테라스 기둥부(114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스파풀장(1160)에서 스파를 즐길 때에도 테라스 테이블(1130)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테라스 테이블 (1130)은 높이 조절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에 편안한 높이로 조절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테라스 테이블(1130)이 이용되지 않을 때에는 반대편으로 돌려서 스파풀장(1160)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테라스 공간부(1150) 이용자에게 테이블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파풀장(1160)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측 일부 단면도이다.
상부 배수구(1161) 및 취수구(1162)는 테라스 기둥부(1140)의 하단에 마련되고 있다.
상부 배수구(1161)는 스파풀장(1160)의 사용되고 난 후의 오염된 물을 배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취수구(1162)는 스파풀장(1160)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배수구(1161)는 취수구(1162)보다 아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취수구(1162)는 물탱크(2000)와 파이프(미도시)로 연통될 수 있으며, 물탱크(2000)에 저장된 깨끗한 물은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취수구(1162)를 통해 스파풀장(1160)으로 보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취수구(1162)와 물탱크(2000)를 연통시키는 파이프(미도시)는 테라스 기둥부(114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의 급수파이프(미도시)는 취수구(1162)와 캠핑장 지면(G)에 기설치된 급수라인(미도시)을 연결시켜 캠핑장의 급수라인으로부터 물을 직접 제공 받을 수 있다.
급수파이프(미도시)는 기둥부(1510) 내부에 마련되면서 실내의 제3 공간부(1540)에 마련된 욕실의 수전에 연결될 수 있어 깨끗한 물을 욕실로 공급할 수 있다.
물탱크(2000)의 형상은 도 11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의 물탱크(2100)이며, 도 1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의 물탱크(2200)이며, 도 1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의 물탱크(2300)이며, 도 11(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의 물탱크(2400)이다.
제1 실시 예의 물탱크(2100)는 단면이 180도 중심각을 갖는 반원 형상이며, 제2 실시 예의 물탱크(2200)는 단면이 360도 중심각을 갖는 원형 형상이다.
제3 실시 예의 물탱크(2300)는 단면이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이며, 제4 실시 예의 물탱크(2400)는 단면이 180도 이상 360도 미만의 중심각을 갖는 형상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수관(1414)의 작동 사시도이다.
테라스 기둥부(1400)의 하면 중앙부에는 개폐도어(1415)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도어(1415)는 테라스 기둥부(1400)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된 것과 같이 일축을 중심으로 힌지회동도 가능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 예로써 테라스 기둥부(1400)와 면접촉하면서 회전하여서 개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개폐도어(1415)가 테라스 기둥부(1400)를 개방하면 테라스 기둥부(1400) 내부에 연결된 중심 기둥부(1510)의 단부로부터 배수관(1414)이 노출된다.
배수관(1414)은 상부 배수구(1161)와 연통되어 스파풀장(1160)의 오염수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배수관(1415)은 실내의 제3 공간부(1540)에 마련된 욕실에 연결될 수 있어 욕실에서 사용되어진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둥부(1510) 내부에는 제3 공간부(1540)에 마련된 욕실의 변기에서 사용되어진 오염물을 배출하는 정화조 호스(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정화조 호스(미도시)는 캠핑장 지면(G)에 기설치된 정화조 라인(미도시)에 연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카트리지식 정화조통(미도시)가 바닥 하우징부(1300)의 하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식 정화조통(미도시)은 상기 정화조 호스(미도시)에 연결되어 제3 공간부(1540)에 마련된 욕실의 변기에서 사용되어진 오염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카트리지식 정화조통(미도시)는 하부 하우징부(14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도 있다.
배수관(1414)에는 캡(미도시)이 마련되거나 잠금밸브(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덮개부(1120) 및 상부 하우징부(11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부(1120) 또는 상부 하우징부(1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덮개부(1120) 또는 상부 하우징부(1100)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부(1120) 또는 상부 하우징부(110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스마트 글라스가 적용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스마트 글라스란 전기를 흘려주었을 때 투명하게 변하며, 전기 공급이 끊어지면 다시 불투명으로 변하는 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면 족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고안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100 : 상부 하우징부
1110 :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
1111 : 제1 상부 하우징 바닥부
1112 : 제1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
1113 : 제2 상부 하우징 바닥부
1114 : 제2 상부 하우징 내측면부
1115 : 상부 하우징 상측면부
1116 : 상부 하우징 외측면부
1120 : 덮개부
1121 : 덮개 중앙부
1122 : 덮개 조립파츠
1123 : 덮개림 지지부
1130 : 테라스 테이블
1140 : 테라스 기둥부
1150 : 테라스 공간부
1160 : 스파풀장
1161 : 상부 배수구
1162 : 취수구
1170 : 채광창
1200 : 측면 하우징부
1300 : 바닥 하우징부
1400 : 하부 하우징부
1410 :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
1411 : 하부 하우징 측벽부
1412 : 하부 하우징 바닥부
1414 : 배수관
1415 : 개폐도어
1420 : 하부 하우징 출입구 조립파츠
1421 : 하부 하우징 출입구 측벽부
1422 : 하부 하우징 출입구 바닥부
1423 : 출입 계단부
1430 : 지지부
1500 : 중간 하우징부
1510 : 중심 기둥부
1520 : 제1 공간부
1530 : 제2 공간부
1540 : 제3 공간부
1550 : 제4 공간부
1561 : 제1 격벽부
1562 : 제2 격벽부
1563 : 제3 격벽부
1564 : 제4 격벽부
1565 : 제5 격벽부
1566 : 제6 격벽부
2000 : 물탱크
2100 : 제1 실시 예의 물탱크
2200 : 제2 실시 예의 물탱크
2300 : 제3 실시 예의 물탱크
2400 : 제4 실시 예의 물탱크
G : 지면

Claims (3)

  1.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1430);
    상기 지지부(14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하우징부(1400);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 조립파츠(1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출입 계단부(1423);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면 하우징부(1200);
    상기 측면 하우징부(12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부(1100);
    일측이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심 기둥부(1510);
    취수구(1162)가 마련된 채로 상기 중심 기둥부(1510)에 슬라이딩 수납가능한 테라스 기둥부(1140);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20);
    상기 테라스 기둥부(1140)가 상기 중심 기둥부(15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상부 하우징부(1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테라스 공간부(1150);
    상기 테라스 공간부(1150)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취수구(1162)로부터 물을 제공받는 스파풀장(1160);을 포함하는,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기둥부(1510) 내부에는 일측이 상부 배수구(116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하우징부(140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스파풀장(116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1414)이 마련된,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120)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 조립파츠(1110)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는 스마트 유리가 마련되는,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20170004885U 2017-09-15 2017-09-15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KR200490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85U KR200490251Y1 (ko) 2017-09-15 2017-09-15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85U KR200490251Y1 (ko) 2017-09-15 2017-09-15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59U KR20190000759U (ko) 2019-03-25
KR200490251Y1 true KR200490251Y1 (ko) 2019-11-08

Family

ID=6589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885U KR200490251Y1 (ko) 2017-09-15 2017-09-15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318A (ja) * 2000-10-06 2002-04-19 Sekisui House Ltd 住宅のバルコニー構造
JP2012233324A (ja) * 2011-04-28 2012-11-29 Yoshiko Kitano 可動式防災シェルター
KR101329367B1 (ko) * 2012-10-19 2013-11-14 주식회사 광명건설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168B2 (ko) 1971-08-19 1979-11-07
JP4476806B2 (ja) 2002-07-08 2010-06-09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樹脂製組立式家屋
JP4513032B2 (ja) 2005-03-10 2010-07-28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組立式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921322B1 (ko) 2008-09-03 2009-10-13 (주) 한국스치로폴 조립블록을 이용한 돔하우스
KR101120540B1 (ko) 2011-04-26 2012-03-09 방민규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돔하우스
KR20160123489A (ko) 2015-04-16 2016-10-26 최희환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634557B1 (ko) 2015-06-11 2016-06-29 김용빈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746389B1 (ko) * 2015-09-24 2017-06-14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결합핀으로 덮개부재를 고정하는 단열 커튼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318A (ja) * 2000-10-06 2002-04-19 Sekisui House Ltd 住宅のバルコニー構造
JP2012233324A (ja) * 2011-04-28 2012-11-29 Yoshiko Kitano 可動式防災シェルター
KR101329367B1 (ko) * 2012-10-19 2013-11-14 주식회사 광명건설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59U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9675B2 (en) Portable living structure and assembly
US11241992B2 (en) Portable living structure and assembly
AU2015101968A4 (en) Mobile house utilising renewable energy
US6820375B2 (en) Precut utility core for small building structures
KR102056286B1 (ko) 버스정류장 쉘터
JPH11350759A (ja) バス・トイレ用のコンテナ
KR101922134B1 (ko) 컨테이너형 하우스의 지붕구조
KR200490251Y1 (ko)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CN108457380B (zh) 移动式房屋
KR101870172B1 (ko) 이동식 가옥 조립체
US11873651B2 (en) Sustainable net zero modular building and assembly method
KR100993949B1 (ko) 역마차형 케빈
CN208267107U (zh) 移动式房屋
CN206859416U (zh) 可移动组合胶囊公寓
CN111197336A (zh) 坐便器
JP2002167986A (ja) 住宅建物
JP2008184801A (ja) 組立式簡易住宅
CN112096122A (zh) 一种可自动调平的中空玻璃度假屋
CN205713228U (zh) 一种户外休息屋
US20030046880A1 (en) Egg shaped house
CN103821391A (zh) 一种联排别墅端套的地下游泳池
US20230029279A1 (en) Mobile modular dwelling system
RU2630317C2 (ru) Модульное здание с повышенными потребитель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IES20130318A2 (en) Water storage shed
US20220282472A1 (en) A building assembly and a method of enabling cam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