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32Y1 -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 Google Patents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832Y1
KR200489832Y1 KR2020180004357U KR20180004357U KR200489832Y1 KR 200489832 Y1 KR200489832 Y1 KR 200489832Y1 KR 2020180004357 U KR2020180004357 U KR 2020180004357U KR 20180004357 U KR20180004357 U KR 20180004357U KR 200489832 Y1 KR200489832 Y1 KR 200489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ed
handle
outer case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호
권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Priority to KR2020180004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33Spindles for handles, e.g. square spi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방의 일측에는 키패드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도어의 일면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와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에 있어서,
제 1 제한홀과 제 2 제한홀이 병렬로 이격 형성되며, 일측말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말단에는 모티스에 마련된 래치볼트의 인입을 위한 피니언과 치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제한홀과 상기 제 2 제한홀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제 1 제한홀 또는 제 2 제한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되어 상기 핸들부 구동시 상기 가이드홀에 걸림 접촉하여 상기 승강로드의 구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PUSH and PULL DOORLOOK for CHANGE THE DIRECTION}
개시된 내용은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의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본체와,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본체 및 도어 내부에 매설되는 모티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위해, 실외측 본체에 비밀번호 입력부 및/또는 지문 인식부 및/또는 보안키(또는 카드) 접촉부 등을 구비하고, 실내측 본체에 열림/잠금 버튼 또는 썸턴 노브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출입이 허용된 사람만이 모티스의 데드볼트를 인입시켜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할 수 있으며,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실외측 또는 실내측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를 이용해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인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대부분 좌우 회전 방식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손잡이를 일정 각도이상으로 회전시켜야만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였다.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115064호, 등록특허 제10-1115258호 등과 같이, 손잡이를 전후로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실외측 또는 실내측 본체의 손잡이를 당기거나 밀어주는 것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회전식 손잡이에 비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후 회동식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실외측 본체와 실내측 본체에 각각 마련된 손잡이가 서로 대응하게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는 구조이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을 미리 고려하여 그에 맞는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를 구매 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예를 들어 도어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형태일 경우, 실외측 본체의 손잡이는 당겨서 회동해야 하고, 반대로 실내측 본체의 손잡이는 밀어서 회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도어의 개방 방향과 손잡이의 회동 방향이 일치되어 전후 회동 손잡이의 사용이 편리해지는데, 종래의 전후 회동식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의 부품들이 손잡이의 회동 구조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 및 조립되어야 하므로 도어락의 생산 라인이 이원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어락의 제작 단계에서부터 각 본체의 손잡이 연동 구조가 일방향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도어락의 설치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적인 열쇠 개방식 잠금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의 제품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이사 시에, 기존에 사용하던 도어락을 분리하여 이사한 곳의 도어에 재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이사하기 전과 이사한 후의 도어 개방 방향이 서로 다를 경우, 기존의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을 재사용할 수 없어, 도어락의 추가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의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5064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5258호
종래에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에 마련된 전후 회동 손잡이의 회동 방향이 일방향으로 정해져, 도어의 개방 방향과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각 본체의 손잡이를 전후 양방향으로 모두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도어락 설치 시에 간단한 부품의 고정만으로 도어의 개방 방향에 맞게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전방의 일측에는 키패드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도어의 일면에 결합 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에 있어서,
제 1 제한홀과 제 2 제한홀이 병렬로 이격 형성되며, 일측말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말단에는 모티스에 마련된 래치볼트의 인출입을 위한 피니언과 치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승강로드,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제한홀과 상기 제 2 제한홀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제 1 제한홀 또는 제 2 제한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되어 상기 핸들부 구동시 상기 가이드홀에 걸림 접촉하여 상기 승강로드의 구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포함하는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의 일측말단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 구동시 상기 승강로드가 승강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덮개부 결합시, 상기 제 1 제한홀과 제 2 제한홀이 상기 가이드홀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은 제 1 제한홀과 제 2 제한홀 중 어느하나에 제한부재를 결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핸들의 구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실외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당기는 경우에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미는 경우에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당기는 경우에 구동의 제한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미는 경우에 구동의 제한을 나타내는 정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은, 도어(D)의 실내측(2)과 실외측(1)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D) 개방에 사용되는 전후 회동 핸들부(20)를 포함한다.
실외측 본체(1)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 핸들부(20), 승강로드(30), 제한부재(40), 피니언(50), 덮개부(60)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스(10)의 전방(11)에는 핸들부(20)의 끼움돌기(23)가 삽입되는 회동홀(13)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의 후방(12)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도 3에 승강로드(30), 제한부재(40), 피니언(50) 및 도어락의 전자 제어를 위한 피씨비(PCB) 기판을 비롯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0)는 외부케이스(10)의 회동홀(13)에서 전후 회동하도록 결합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가 포함된다.
이러한 핸들부(20)는 손잡이(21)가 하측을 향하도록 직립하여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1)가 상측을 향하도록 역립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20)의 끼움돌기(23)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외부케이스(10)의 회동홀(13)에 삽입되어 힌지부와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돌기는 승강로드(30)의 끼움홈(33)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핸들부(20)는 전후 회동 후 자동 복귀를 위해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외부케이스(10)의 회동홀(13)에 결합된다.
승강로드(30)는 핸들부(20)의 손잡이(21)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강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는 병렬로 이격되는 제 1 제한홀(35)과 제 2 제한홀(37)이 형성되고, 일측말단에는 끼움홈(31)이, 타측말단에는 톱니부(33)가 형성된다.
승강로드(30)의 끼움홈(31)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끼움홈(31)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힌지돌기(23)와 끼움결합을 하기 위해서 힌지돌기(23)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돌기(23)가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끼움홈(31)은 이에 상응하는 형상인 직사각형의 홈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승강로드(30)의 끼움홈(31)과 힌지부(20)의 힌지돌기(23)가 결합 되어 손잡이(21)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 승강로드(3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30)의 타측말단에는 모티스에 마련된 래치볼트의 인출입을 위한 피니언(50)과 치합하는 톱니부(33)가 형성된다.
작동원리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부(20)의 손잡이(21)를 미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0)의 끼움돌기(23)는 아래로 움직이게 되고, 끼움돌기(23)에 결합 된 힌지부의 힌지돌기는 힌지돌기(23)와 반대방향 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로드(30)는 상승한다.
반대로 핸들부(20)를 당기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돌기(23)와 끼움홈(31)은 아래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승강로드(30)는 하강한다.
승강로드(30)의 승강에 따라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연동되어 도어(D)가 개폐된다.
도 3 내지 도 5 에 되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60)는 외부케이스(10)의 후방(12)에 결합 된다.
덮개부(6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외부케이스(10)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의 형상이 직사각형일 경우에는 덮개부(60) 또한 이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 또한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내부에 내장되는 부품을 보호해야 함으로 경도가 강하고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60) 일면의 하단의 중앙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홀(39)이 형성된다.
가이드홀(39)의 길이(L)와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한홀(35)과 제 2 제한홀(37)에 제한부재(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승강로드(30)의 구동을 제한해야 함으로, 제 1 제한홀(35)과 제 2 제한홀(37)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의 후방(13)에 나사, 피스 등의 결합부재로 고정된다.
또한 덮개부(60)를 외부케이스(10)에 결합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39)의 내측에 제 1 제한홀(35) 및 제 2 제한홀(37)이 놓이게 결합된다.
제 1 제한홀(35)과 제 2 제한홀(37)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한부재(40)가 제 1 제한홀(35) 및 제 2 제한홀(37)에 삽입결합되어 고정되기위해, 제한부재(40)는 돌기가 형성되어야 하고, 제 1 제한홀(35) 및 제 2 제한홀(37)은 제한부재(40)의 돌기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한부재(40)가 나사못인 경우 제 1 제한홀(35) 및 제 2 제한홀(37)은 나사못 돌기의 둘레에 형성되는 나선형태에 대응되는 나선을 갖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 제한부재(40)가 원통형의 막대로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제 1 제한홀(35) 및 제 2 제한홀(37)은 원통형의 막대의 지름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원형형태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한부재(40)는 후술할 덮개부(60)의 가이드홀(39)에 접촉걸림되어 승강로드(30)의 구동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핸들부(20)의 일방향을 구속하는 것인바, 경도가 강한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경도가 약한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핸들부(20)의 회동이 제한됨에도 사용자가 제한되는 방향으로 계속적인 외력을 주면 제한부재(4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는 제한부재(40)를 제 1 제한홀(35) 또는 제 2 제한홀(37)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핸들부(20)의 구동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다양성을 제공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한부재(40)를 제 1 제한홀(35)에 결합하여 핸들부(20)를 회동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0)의 손잡이(21)를 밀게 되면 핸들부(20)와 연동된 승강로드(30)는 상승방향으로 힘을 받게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한홀(35)에 결합 된 제한부재(40)가 가이드홀(39)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걸리게 된다. 이러한 걸림에 의해 승강로드(30)의 상승 구동이 제한되고 승강로드(30)의 톱니부(33)와 치합된 피니언(50)은 회동을 하지 못한다.
반대로 핸들부(20)의 손잡이(21)를 당기는 경우에는 핸들부(20)와 결합된 승강로드(30)가 하강한다.
즉, 제1 제한홀(35)에 제한부재(40)를 결합시키는 경우 핸들부(20)를 미는 방향으로의 도어의 구동은 제한되고, 당기는 방향으로의 구동만 이루어지게 된다.
제한부재(40)를 제 2 제한홀(37)에 결합하여 핸들부(20)를 회동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0)의 손잡이(21)를 당기게 되면 핸들부(20)와 연동된 승강로드(30)는 하강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한홀(37)이 가이드홀(39)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걸림 된다.
이러한 걸림에 의해 승강로드(30)의 하강 구동이 제한되고 이에 의해 치합된 피니언은 회동을 하지 못한다.
반대로 핸들부(20)의 손잡이(21)를 밀게 되면 핸들부(20)와 결합된 승강로드(30)가 상승한다.
즉, 제 2 제한홀(37)에 제한부재(40)를 결합시키는 경우 핸들부(20)를 당기는 방향으로의 도어의 구동은 제한되고, 미는 방향으로의 구동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로드(30)의 구동방향을 제한하는 방법은 제한부재(40)가 덮개부(60)의 일면에 접촉걸림되어 제한되는 것인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부재(40)의 일측은 덮개부(60)의 수평면과 같거나 이보다 돌출되게 결합 되어야 한다.
만약 결합시 제한부재(40)의 돌출된 길이가 덮개부(60)의 수평면보다 낮게 형성된다면 핸들부(20) 회동시 제한부재(40)가 가이드홀(39)의 일면에 접촉걸림되지 않게 되어 승강로드(30)의 구동방향을 제한할 수 없다.
가이드홀(39)의 길이(L)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길이에 따라 승강로드(30)의 구동범위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승강로드(30)와 연동된 핸들부(20)의 회동범위도 달라진다.
다만 가이드홀(39)의 길이(L)가 전술한 이격거리보다 상당한 정도로 큰값을 갖는다면 핸들부(20)의 구동각도가 커져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핸들부(20)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힌지부의 탄성력에도 강한 저항을 주어 내구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39)의 길이(L)는 제 1 제한홀(35)과 제 2 제한홀(37)의 이격거리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제한부재(40)를 제 1 제한홀(35) 또는 제 2 제한홀(37)에 선택적으로 삽입결합하기만 하면 핸들부(20)의 회동방향을 구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쉽고 빠르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 있다.
또한, 도어락의 필수구성요소에 새로운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도어(D)의 구동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락에 있어서 공지의 기술구성인 승강로드(30)와 덮개부(60)에 제 1 제한홀(35), 제 2 제한홀(37) 및 가이드홀(39)이 형성되게 제작하여 핸들부의 일방향을 제한하는 것이므로, 제조단가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며 작동원리가 단순하여 사용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어 : D
실외측 본체 : 1
실내측 본체 : 2
외부케이스 : 10
외부케이스 전방 : 11
외부케이스 후방 : 12
회동홀 : 13
전자기판 : PCB
핸들부 : 20
손잡이 : 21
끼움돌기 : 23
힌지부 : 25
힌지돌기 : 27
승강로드 : 30
끼움홈 : 31
톱니부 : 33
제 1 제한홀 : 35
제 2 제한홀 : 37
가이드홀 : 39
제한부재 : 40
피니언 : 50
덮개부 : 60
가이드홀의 길이 : L
힘의 방향 : F

Claims (3)

  1. 전방의 일측에는 키패드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도어의 일면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와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에 있어서,
    제 1 제한홀과 제 2 제한홀이 병렬로 이격 형성되며, 일측말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말단에는 모티스에 마련된 래치볼트의 인입을 위한 피니언과 치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승강로드;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제한홀과 상기 제 2 제한홀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제 1 제한홀 또는 제 2 제한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되어 상기 핸들부 구동시 상기 가이드홀에 걸림 접촉하여 상기 승강로드의 구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일측말단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 구동시 상기 끼움홈에 결합된 상기 힌지부의 힌지돌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덮개부 결합시, 상기 제 1 제한홀과 제 2 제한홀이 상기 가이드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KR2020180004357U 2018-09-19 2018-09-19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KR200489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57U KR200489832Y1 (ko) 2018-09-19 2018-09-19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57U KR200489832Y1 (ko) 2018-09-19 2018-09-19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832Y1 true KR200489832Y1 (ko) 2019-08-19

Family

ID=6776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357U KR200489832Y1 (ko) 2018-09-19 2018-09-19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23B1 (ko) * 2019-08-22 2021-02-16 (주)솔리티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US20220010586A1 (en) * 2020-07-10 2022-01-13 Spectrum Brands, Inc. Sliding deadbol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1115064B1 (ko) 2010-02-23 2012-02-28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KR101656027B1 (ko) * 2016-03-24 2016-09-08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20180007076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868469B1 (ko) * 2017-08-02 2018-06-18 전병화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1115064B1 (ko) 2010-02-23 2012-02-28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KR101656027B1 (ko) * 2016-03-24 2016-09-08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20180007076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868469B1 (ko) * 2017-08-02 2018-06-18 전병화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23B1 (ko) * 2019-08-22 2021-02-16 (주)솔리티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US20220010586A1 (en) * 2020-07-10 2022-01-13 Spectrum Brands, Inc. Sliding deadbo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2865C (en) Passive door lock mechanisms
EP2392754B1 (en) Security system for entrance barriers
US9428937B2 (en) Multi-point lock having sequentially-actuated locking elements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656027B1 (ko)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101671408B1 (ko)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US11643845B2 (en) Locking assembly with spring mechanism
WO2016049051A1 (en) Entry door latch actuator system
KR200489832Y1 (ko)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AU719207B3 (en) A lock for a sliding window
US20160194903A1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US11549290B2 (en) Locking assembly with trigger handle
KR200439800Y1 (ko) 창문 손잡이
US20190071894A1 (en) Door latch locking mechanism
KR102031721B1 (ko)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KR102064296B1 (ko)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KR20220104430A (ko) 푸쉬풀 타입 핸들을 갖는 도어락 장치
US8196973B2 (en) Device for childproofing a door lock
CN112593781A (zh) 一种智能门锁控制装置及采用其的智能门锁
KR100544798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52305Y1 (ko) 강제 잠금버튼 기능이 일체화된 손잡이를 갖는 문 잠금장치
CN113825882B (zh) 带有触发手柄的锁定组件
KR102284741B1 (ko)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핸들 구조체
EP2824259B1 (de) Griff für fenster oder türen
KR102449598B1 (ko)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