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408B1 -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408B1
KR101671408B1 KR1020160035462A KR20160035462A KR101671408B1 KR 101671408 B1 KR101671408 B1 KR 101671408B1 KR 1020160035462 A KR1020160035462 A KR 1020160035462A KR 20160035462 A KR20160035462 A KR 20160035462A KR 101671408 B1 KR101671408 B1 KR 101671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lock
pinion
lower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양일
Original Assignee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03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408B1/ko
Priority to CN201610609700.XA priority patent/CN10722788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Weather or dir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의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지 않고, 전후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래치볼트를 인입시키는 피니언과, 핸들의 전후 회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승강렉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작이 쉽고, 핸들이 회동하는 방향 및 도어락이 설치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도어락을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피니언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부와, 승강렉의 제1, 제2 연결부에 상기 톱니부와 치합 가능한 대응톱니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DOOR LOCK EQUIPPED WITH PULL-PUSH HANDLE}
본 발명은 도어락의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지 않고, 전후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래치볼트를 인입시키는 피니언과, 핸들의 전후 회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승강렉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작이 쉽고, 핸들이 회동하는 방향 및 도어락이 설치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도어락을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피니언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부와, 승강렉의 제1, 제2 연결부에 상기 톱니부와 치합 가능한 대응톱니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Door Lock)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본체(1)와, 도어(D)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본체(2) 및 도어 내부에 장착되며 잠금 기능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 기능을 하는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내측 본체(2)에 열림 버튼(B, 또는 개폐노브)을 구비하고, 실외측 본체(1)에 비빌번호 입력부(N), 지문 인식부(F), 보안키(또는 카드) 접촉부(K) 등을 구비하여, 출입이 허용된 사람만이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실내측 및 실외측 본체에 마련된 핸들을 이용해 래치볼트를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대부분 좌우 회전 방식의 핸들을 도입하여, 핸들을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켜야만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회전 방식의 핸들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 조작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어를 개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회전식 핸들을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당기거나 밀어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의 경우와 같이 핸들의 회전 조작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용자는 도어의 개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115258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와 같이, 핸들을 전후(상하)로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형 디지털 도어락이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하 종래기술 설명을 위한 도 10 및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도 1 내지 도 9의 도면부호는 서로 무관함.), 실내측 및 실외측 본체(100, 200)에 결합되며, 상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푸시 또는 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핸들(110, 210)을 구비하여, 데드볼트의 잠금 해제 후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핸들의 회동 방향은 도어의 개방 방향에 따라 달라지게 되어, 핸들 동작에 의한 래치볼트의 작동 구조 역시 실외측과 실내측이 서로 달라져야 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핸들(110, 210)에 의해 승하강되는 동력전환부재가, 실내측과 실외측 각각에 Y형 및 H형의 서로 다른 구조를 갖게 형성되어, 동력전환부재의 호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 방향 및 도어락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그에 맞는 도어락을 구매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등록특허는, Y형 동력전환부재와 H형 동력전환부재의 각 상단이 상하로 단차를 두고 절곡되어 각 작동레버와 엇갈리게 결합되고, 상하로 단차를 두고 형성된 끼움공에 회동체와 엇갈리게 걸림고정된 동력발생로드가 끼워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우징에 내장된 개방수단의 내부 작동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고,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의 부품의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핸들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피니언과 승강렉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쉽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 방향 및 도어락이 설치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하나의 승강렉을 호환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부를 구비한 피니언과, 핸들에 의해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상기 톱니부와 치합 가능한 2개의 대응톱니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승강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렉의 승하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탄성 복귀수단의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볼트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홀이 승강렉의 몸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승강돌기의 스윙 운동을 이용해 승강렉의 승하강이 유도되어 유아나 노약자도 적은 힘으로 핸들을 전후 회동시킬 수 있고, 하우징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승강렉의 승하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승강렉의 몸체부에 핸들의 승강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연동부가 형성되고, 승강렉의 제1, 제2 연결부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되 연동부가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몸체부에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은,
핸들을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에 있어서,
도어락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를 인출입시키고,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부를 구비한 피니언;
핸들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서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과 연동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연결되되 각각 상기 톱니부와 치합 가능한 대응톱니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진 승강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에서,
상기 승강렉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강렉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에서,
상기 승강렉의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핸들의 승강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에서,
상기 승강렉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동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은, 핸들을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렉의 제1, 제2 연결부에, 피니언의 톱니부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개방 방향 및 도어락이 설치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승강렉을 호환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톱니 치합 구조로 인해 피니언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개방수단의 내부 작동 메커니즘을 간소화시켜 작동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실시예별 요부 분해 사시도들.
도 5a, 도 5b,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풀-푸시 방향에 따른 동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 및 정면도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도어락의 실내측 본체 및 실외측 본체의 외관 사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도어락의 실내측 본체 기능 설명을 위한 정면도.
도 10은 종래의 풀-푸시형 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도어(D)의 일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정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 5a 내지 도 6b의 정면도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설명에 따라 각 본체(1, 2)의 전후 방향과 실내측, 실외측 방향을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는 도 1과 같이 도어(D)가 실내측으로 개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실외측 본체(1)의 핸들(110)을 밀거나(푸시, push), 실내측 본체(2)의 핸들(110)을 당겨서(풀, pull), 도어(D)를 개방하는 것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도어(D)의 개방 방향에 따라 반대의 구성(즉 실외측 본체(1)의 핸들(110)을 당기거나, 실내측 본체(2)의 핸들(110)을 밀어서 도어(D)를 실외측으로 개방함.)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락의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가 각각 도어(D)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인 도 1,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별 요부 분해 사시도인 도 3,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별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와 정면도인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본 발명의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의 외관 사시도인 도 7, 도 8, 그리고 본 발명의 실내측 본체(2)의 음량 조절 기능 설명을 위한 정면도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은,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의 베이스로 사용되는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어, 핸들(110)을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미도시)가 인입되면서 도어(D)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수단(O)으로써, 크게 하우징(100)에서 좌우 양방향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피니언(10), 상기 피니언(10)과 치합되며 핸들(110)과 연동하여 하우징(100)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렉(20) 및 상기 승강렉(2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수단(R)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어락의 실외측 본체(1) 및 실내측 본체(2)의 베이스로 모두 활용 가능한 것으로 그 기본 구조는 유사하나,
다만 도 7과 같이 하우징(100)이 도어락의 실외측 본체(1)로 사용되는 경우, 하우징(100)의 정면 일부에 도어(D)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부(N), 지문 입력부(F), 보안키(또는 카드) 접촉부(K)가 구비되며,
이와 대비하여 도 8과 같이 하우징(100)이 도어락의 실내측 본체(2)로 사용되는 경우, 하우징(100)의 정면 일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장착부(104)가 커버(104c)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도어(D)의 잠금 해제를 위한 열림버튼(B)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실외측 본체(1)의 지문 입력부(F)는, 하우징(100)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방식도 가능하나, 불필요한 접촉에 의한 오작동 내지 사용상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문 입력부(F)가 하우징(100)에 내장된 상태에서 가압이나 버튼 조작 등을 통해 지문 입력부(F)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동 개폐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실외측 본체(1) 및 실내측 본체(2) 모두에 스피커홀(S)이 구비되어, 실내측 본체(2)의 등록버튼(B1)을 조작하여 메뉴 안내 등이 양측 본체(1, 2)의 스피커홀(S)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실외측 본체(1)의 비밀번호 입력부(N)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본체(2)의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음량 조절 버튼(105)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음량을 단계별로 조절하여 비밀번호, 카드키, 지문 등을 등록 내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도어락 사용을 위해 비밀번호, 지문, 카드 등의 등록 내지 변경할 때, 별도의 사용설명서를 읽고 숙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음량 조절을 상대적으로 많은 단계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른 맞춤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밀번호, 카드키, 지문 등의 등록 내지 변경은, 마스터로 등록된 지문으로 인증된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락의 보안성 및 방범성을 강화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도어락은, 집안에서 일하는 가정부나 운전기사, 또는 호텔, 기숙사, 회사와 같이 출입하는 사용자가 많은 경우, 실내측 본체의 설정버튼을 통해 제 3 자가 임의로 잠금 해제수단을 쉽게 등록 내지 변경할 수 있었기 때문에, 도어락의 보안성 및 방범성이 상실될 위험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마스터 지문 등록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터 지문의 등록은 가족(또는 회사의 방범 책임자 등) 구성원에 맞게 1~5명 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하우징(100)은,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잠금 해제 시 동작하는 전동모터(M) 및 전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모티스의 데드볼트(미도시)를 잠금 해제시키는 각종 축 및/또는 기어(G) 등으로 이루어진 데드볼트 개폐수단 및 핸들(110)의 풀-푸시 동작에 의해 모티스의 래치볼트(미도시)가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개방수단(O)이 내장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10)은, 배면에 돌출 연결된 축부(13)가, 상기 하우징(100)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일측 외주면에 톱니부(11)를 구비하고, 정면에 래치볼트와 연결된 사각 샤프트가 끼워지는 체결홈(15)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0)의 체결홈(15)은, 도어(D)에 매립 설치되는 모티스의 래치볼트 구동부와 연결된 사각 샤프트가 끼워져, 피니언(10)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가 모티스로 인입되거나, 모티스에서 인출된다.
이러한 피니언(10)은, 톱니부(11)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도록, 하우징(100)의 결합공(106)에 피니언(10)의 방향을 바꿔 결합되어, 핸들(110)을 당기거나 밀어서 승강렉(20)이 승하강할 때 톱니부(11)의 치합 구조에 의해 양방향 회전한다.
즉, 도 5a와 같이 핸들(110)을 당겨 승강렉(20)이 상승하거나, 도 6a와 같이 핸들(110)을 밀어서 승강렉(20)이 하강하면, 피니언(10)이 일방향(도 5b 및 도 6b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모티스로 인입되고, 승강렉(2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피니언(10)이 타방향(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모티스에서 인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렉(20)은, 핸들(11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핸들(110)을 당기거나 밀어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상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피니언(10)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렉(20)은, 상기 핸들(110)과 연동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연결되되, 각각 상기 톱니부(11)와 치합 가능한 대응톱니부(25a, 25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25A)와 제2 연결부(25B)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렉(20)은, 몸체부(21)에 마련된 연동부(22)에 의해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된 핸들(110)과 연결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데,
본 명세서와 같이, 핸들(110)을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승강돌기(112)가 상하로 스윙 동작하여 승강렉(2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승강돌기(112)가 걸림 결합되는 연동부(22)는 승강돌기(112)가 끼워지도록 몸체부(21)에 관통 형성되나,
이러한 연동부(22)는 승강렉(20)과 핸들(110)의 연동 구조에 따라 구체적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핸들(110)의 몸통부와 승강렉(20)이 기어 구조로 치합되어 핸들(110)을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승강렉(20)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식 등).
그리고 상기 승강렉(20)의 몸체부(21)에는,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108)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강렉(20)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23)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렉(20)의 제1, 제2 연결부(25A)(25B)는, 상기 몸체부(2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각 연결부의 내측면, 제1 연결부(25A)의 타측면과 제2 연결부(25B)의 일측면에는 제1, 제2 대응톱니부(25a)(25b) 각각 형성되고,
연결부 사이에 상기 피니언(10)이 배치되어 톱니부(11)가 제1 대응톱니부(25a) 또는 제2 대응톱니부(25b)에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도 1과 같이, 실외측에서 도어(D)를 실내측으로 밀어서 개방하는 형태인 경우,
실내측에 설치되는 도어락으로 이용되는 하우징(100)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핸들(110)을 당겨서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톱니부(11)가 일측(도면 상 우측)을 향하도록 피니언(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렉(20)을 결합하면, 톱니부(11)가 제1 연결부(25A)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 대응톱니부(25a)에 치합되어, 핸들(11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승강렉(20)이 상승하면서 피니언(1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인입되고,
반대로 실외측에 설치되는 도어락으로 이용되는 하우징(100)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핸들(110)을 밀어서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톱니부(11)가 타측(도면 상 좌측)을 향하도록 피니언(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렉(20)을 결합하면, 톱니부(11)가 제2 연결부(25B)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대응톱니부(25b)에 치합되어, 핸들(110)의 푸시 동작에 의해 승강렉(20)이 하강하면서 피니언(1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인입된다.
이 경우, 도면과 다르게 피니언(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인입되는 구조이면, 실외측에 설치되는 도어락에 내장된 피니언(10)의 톱니부(11)는 승강렉(20)의 제2 대응톱니부(25b)에 치합되고, 실내측에 설치되는 도어락에 내장된 피니언(10)의 톱니부는 승강렉(20)의 제1 대응톱니부(25a)에 치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락의 설치 방향, 즉 도어락이 도어(D)의 좌측단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어락이 도어(D)의 우측단에 설치되는 경우 모두에 승강렉(20)을 호환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어락이 도어(D)의 좌측단에 설치될 때와, 도어락이 도어(D)의 우측단에 설치될 때, 각각 피니언(10)이 회전하는 방향(즉, 래치볼트가 인입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므로, 이러한 피니언(10)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핸들(110)의 전후 회동 구조에 맞게 승강렉(20)을 범용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락의 경우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가 도어의 양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따라서 하나의 핸들(110)이 당김 구조이면 다른 반대편의 핸들(110)은 푸시 구조가 되므로,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를 이루는 하우징(100) 각각에, 피니언(10)과 승강렉(20)을 선택하여 설치, 결합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구성하면, 도어(D)의 개방 방향 및 도어락의 설치 방향에 상관없이, 모든 형태의 도어(D)에 본 발명의 도어락을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렉(20)의 상승 후 하강 복귀 또는 상기 승강렉(20)의 하강 후 상승 복귀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피니언(10)을 정위치로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모티스에서 인출되면서 도어(D)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 복귀수단(R)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락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래치볼트가 인입되도록 피니언(10)이 회전하는 방향이, 일방향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본 발명은,
핸들(11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승하면서 피니언(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인입시킨 승강렉(20)을, 탄성 복귀수단(R)을 통해 자동으로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하거나,
또는 핸들(110)의 푸시 동작에 의해 하강하면서 피니언(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인입시킨 승강렉(20)을, 탄성 복귀수단(R)을 통해 자동으로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피니언(10)이 정위치로 회전 복귀함에 따라, 인입된 래치볼트가 다시 인출되어 도어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 복귀수단(R)은, 압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공지된 스프링의 일단을 하우징(100)에 고정하고, 스프링의 타단을 승강렉(20)에 고정하여 구현 가능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락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피니언(10)과 치합되는 승강렉(20)의 연결부(25A)(25B)가 달라지므로, 탄성 복귀수단(R)의 탄성력이 승강렉(20)의 좌우 양측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승강렉(20)이 복귀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양측 걸림부(24a)(24b)를 갖는 승강렉(20)의 실시예를 달리하여, 일종의 토션 스프링인 탄성부재(30)의 양 끝단(31)이 양측 걸림부(24a)(24b)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탄성 복귀수단(R)은,
상기 가이드볼트(108)에 고정 결합되며, 양 끝단(3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원형 꼬임부(32)를 갖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되며,
핸들(11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승하면서 피니언(10)을 회전시키는 풀(pull)용 제1 승강렉(20A; 제1 실시예)은, 양측 걸림부(24a)가 상기 원형 꼬임부(3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탄성부재(30)의 양 끝단(31)이 상측을 향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되면서, 양 끝단(31)이 양측 걸림부(24a) 상부에 걸림 결합되고,
핸들(110)의 푸시 동작에 의해 하강하면서 피니언(10)을 회전시키는 푸시(push)용 제2 승강렉(20B; 제2 실시예)은, 양측 걸림부(24b)가 상기 원형 꼬임부(3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탄성부재(30)의 양 끝단(31)이 하측을 향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되면서, 양 끝단(31)이 양측 걸림부(24b) 하부에 걸림 결합된다.
즉, 제1 승강렉(20A)의 양측 걸림부(24a)는, 제1 몸체부(21A)에서 가이드홀(23)의 상단 높이에 짧게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2 승강렉(20B)의 양측 걸림부(24b)는, 제2 몸체부(21B)에서 하측으로 가이드홀(23)의 하단 높이까지 연장 연결되어 형성되며,
탄성부재(30)는, 양 끝단(31)이 상측을 향하도록 제1 승강렉(20A)의 양측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되어 승강렉(20A)이 하강하도록 탄성력이 발휘되거나,
또는 양 끝단(31)이 하측을 향하도록 제2 승강렉(20B)의 양측 걸림부(24b)에 걸림 결합되어 승강렉(20B)이 상승하도록 탄성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핸들(110)의 풀-푸시 동작에 의해 제1 승강렉(20A)이 상승하거나 제2 승강렉(20B)이 하강하게 되면, 탄성부재(30)와 각 승강렉(20A)(20B)의 양측 걸림부(24a)(24b)의 걸림 결합 구조에 의해, 탄성부재(30)의 양 끝단(31)이 오므려지면서 각 승강렉(20A)(20B)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고,
도어(D) 개방 후 핸들(110)에서 손을 놓으면,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양 끝단(31)이 다시 벌어지면서 승강렉(20A)(20B)을 복귀시켜, 래치볼트가 자동으로 인출되면서 핸들(110)의 파지부(113)도 원위치로 자동 복귀 회동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0)를 통해, 승강렉(20A)(20B)은 좌우 양측에 균일하게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톱니부(11)의 치합 방향에 상관없이, 승강렉(20A)(20B)의 안정된 자동 복귀를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승강렉(20)이, 승강돌기(112)의 스윙 운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조로 연동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승강렉(20)은, 상기 제1 연결부(25A)와 상기 제2 연결부(25B)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연동부(22)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절곡부(21a)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21a)는, 제1, 제2 연결부(25A)(25B)를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피니언(10)에 치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부(21)에 마련된 연동부(22)가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승강돌기(112)의 스윙 반경을 확장시켜 승강렉(20)의 승하강이 일정 높이 이상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개방수단(O)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하우징(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핸들(110)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승하는 제2 승강렉(20B)은, 상기 제1, 제2 연결부(25A, 25B) 사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2 승강렉(20B)의 상승 복귀 높이를 제한하는 멈춤돌기(20s)를 포함한다.
상기 멈춤돌기(20s)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승강렉(20B)이 강한 힘으로 과도하게 상승하여 피니언(10)에 충격이 가해져 톱니부(11)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도어 1 : 실외측 본체
2 : 실내측 본체
O : 개방수단 10 : 피니언
11 : 톱니부 13 : 회전축
15 : 사각 샤프트 20, 20A, 20B : 승강렉
21A, 21B : 몸체부 21a : 절곡부
22 : 연동부 23 : 가이드홀
24a, 24b : 걸림부 25A, 25B : 연결부
25a, 25b : 대응톱니부 20s : 멈춤돌기
R : 복귀수단 30 : 탄성부재
31 : 끝단 32 : 원형 꼬임부
100 : 하우징 N : 비밀번호 입력부
F : 지문 인식부 K : 키 접촉부
S : 스피커홀 B : 열림버튼
B1 : 등록버튼
110 : 핸들 112 : 승강돌기

Claims (4)

  1. 핸들(10)을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에 있어서,
    도어락의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를 인출입시키고,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부(11)를 구비한 피니언(10);
    핸들(1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에서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10)과 연동된 몸체부(21), 상기 몸체부(2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연결되되 각각 상기 톱니부(11)와 치합 가능한 대응톱니부(25a)(25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25A)와 제2 연결부(25B)로 이루어진 승강렉(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니언(10)은, 상기 제1 연결부(25A)와 제2 연결부(25B)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톱니부(11)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도록, 피니언(10)의 방향을 바꿔 결합되어, 상기 톱니부(11)가 제1 대응톱니부(25a) 또는 제2 대응톱니부(25b)에 선택적으로 치합됨으로써,
    상기 핸들(10)의 당김 동작 또는 상기 핸들(10)의 푸시 동작에 따라,
    상기 승강렉(20)이 상승하면서 피니언(10)을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인입되거나,
    또는 상기 승강렉(20)이 하강하면서 피니언(10)을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 방향에 따른 핸들(10)의 전후 회동 구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렉(20)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108)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강렉(20)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부(21)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2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렉(20)의 상승 후 승강렉(20)을 하강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수단(R);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 복귀수단(R)은,
    상기 가이드볼트(108)에 고정 결합되며, 양 끝단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원형 꼬임부(32)를 갖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렉(20)은, 상기 탄성부재(30)의 양 끝단이 걸림 결합되는 양측 걸림부(24a)가 상기 원형 꼬임부(3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의 양 끝단이 상측을 향한 상태로 결합되면서, 양 끝단이 양측 걸림부(24a)의 상부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렉(20)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108)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강렉(20)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부(21)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2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렉(20)의 하강 후 승강렉(20)을 상승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수단(R);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 복귀수단(R)은,
    상기 가이드볼트(108)에 고정 결합되며, 양 끝단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원형 꼬임부(32)를 갖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렉(20)은, 상기 탄성부재(30)의 양 끝단이 걸림 결합되는 양측 걸림부(24b)가 상기 원형 꼬임부(3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의 양 끝단이 하측을 향한 상태로 결합되면서, 양 끝단이 양측 걸림부(24b)의 하부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렉(20)의 몸체부(21)는, 상기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된 핸들(10)의 승강돌기(112)가 걸림 결합되는 연동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20160035462A 2016-03-24 2016-03-24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1671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62A KR101671408B1 (ko) 2016-03-24 2016-03-24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CN201610609700.XA CN107227888B (zh) 2016-03-24 2016-07-29 具备推拉兼用把手的门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62A KR101671408B1 (ko) 2016-03-24 2016-03-24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408B1 true KR101671408B1 (ko) 2016-11-01

Family

ID=5748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462A KR101671408B1 (ko) 2016-03-24 2016-03-24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1408B1 (ko)
CN (1) CN107227888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027B1 (ko) * 2017-10-25 2018-06-15 고성범 도어락
CN108518128A (zh) * 2018-05-30 2018-09-11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KR102129812B1 (ko) * 2020-01-21 2020-07-03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의 레버 작동 방향 전환장치
CN111472609A (zh) * 2020-05-15 2020-07-31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一种门锁把手机构、门体及解锁方法
KR102380470B1 (ko) * 2021-03-04 2022-03-29 주식회사 라오나크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20220126831A (ko) *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911A (zh) * 2019-01-20 2019-04-16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推拉式门锁结构
JP7215916B2 (ja) * 2019-01-31 2023-01-31 株式会社Lixil ハンドル装置
IT202000007909A1 (it) * 2020-04-15 2021-10-15 Lafer S R L Maniglia per an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21Y1 (ko) *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20160030613A (ko) * 2014-09-11 2016-03-21 (주)에버넷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72605Y (zh) * 2009-03-27 2009-12-30 尚新坤 拉把手
JP5007479B2 (ja) * 2010-04-22 2012-08-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1556909B1 (ko) * 2014-07-31 2015-10-02 주식회사 밀다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21Y1 (ko) *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KR20160030613A (ko) * 2014-09-11 2016-03-21 (주)에버넷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027B1 (ko) * 2017-10-25 2018-06-15 고성범 도어락
CN108518128A (zh) * 2018-05-30 2018-09-11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CN108518128B (zh) * 2018-05-30 2024-02-02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KR102129812B1 (ko) * 2020-01-21 2020-07-03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의 레버 작동 방향 전환장치
CN111472609A (zh) * 2020-05-15 2020-07-31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一种门锁把手机构、门体及解锁方法
CN111472609B (zh) * 2020-05-15 2023-08-18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一种门锁把手机构、门体及解锁方法
KR102380470B1 (ko) * 2021-03-04 2022-03-29 주식회사 라오나크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20220126831A (ko) * 2021-03-09 2022-09-19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102460697B1 (ko) * 2021-03-09 2022-11-01 주식회사 거봉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27888B (zh) 2019-08-02
CN107227888A (zh)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408B1 (ko)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1656027B1 (ko)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101645672B1 (ko)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115258B1 (ko)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747925B1 (ko)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1853040B1 (ko) 래치볼트의 인입을 제한하는 서브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US7287787B1 (en)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US9790710B2 (en) Pushbutton combination lock
KR101742771B1 (ko) 침입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US20080216531A1 (en) Locking apparatus
KR102031721B1 (ko)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KR101929708B1 (ko) 창호용 그립핸들
KR200489832Y1 (ko)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KR101853049B1 (ko) 패닉 기능 및 래치볼트의 인입 제한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KR102123861B1 (ko) 도어 락용 세이프티 핸들 어셈블리
KR102581905B1 (ko)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KR102449598B1 (ko)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KR102452230B1 (ko)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CN216476758U (zh) 一种能自动锁定的锁体
KR102607539B1 (ko) 푸시풀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