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06Y1 -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06Y1
KR200486206Y1 KR2020130005310U KR20130005310U KR200486206Y1 KR 200486206 Y1 KR200486206 Y1 KR 200486206Y1 KR 2020130005310 U KR2020130005310 U KR 2020130005310U KR 20130005310 U KR20130005310 U KR 20130005310U KR 200486206 Y1 KR200486206 Y1 KR 200486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leaning
container
slid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087U (ko
Inventor
김소희
이수경
최설지
이경호
임종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to KR2020130005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06Y1/ko
Priority to PCT/KR2014/005569 priority patent/WO2014208975A1/ko
Publication of KR20150000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08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용기 내에 수납된 클리닝 부재가 모두 사용된 경우, 클리닝 부재가 수용된 보조 용기의 교체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기로부터의 클리닝 부재의 취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메인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 부재; 및 캡 부재에 체결되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 부재는 개방된 상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본 고안은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출 부재의 주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클리닝 부재의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또한 이 수납 용기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된 화장품 용기 조립체 또는 약품 용기 조립체는 내용물이 담긴 용기 및 용기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조립체의 용기 내에는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내용물인 화장품 또는 약품이 담겨져 있으며, 사용자가 이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소정 량의 내용물이 용기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배출된 내용물을 손으로 덜어내거나 신체의 부위에 바르게 되며, 이후 사용자가 캡을 용기의 체결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와 완전하게 격리시킨다.
한편, 용기에 장착된 배출 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의 대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나, 그 일부는 용기의 배출 부재 주변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캡을 용기의 체결부에 체결하기 때문에 용기의 배출 부재 주변 및 캡이 잔류물에 의하여 오염되며, 특히 점도를 갖는 내용물에 의하여 용기의 주변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착되어 위생 상의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점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캡을 용기의 체결부에 결합하기 전에 잔류 내용물을 휴지나 거즈 등을 이용하여 배출 부재 주변을 닦게 된다. 그러나, 야외 등과 같이 휴지, 거즈 등과 같은 별도의 클리닝 부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용물이 잔류된 상태에서 캡을 용기에 체결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4972호(2012년 6월 12일 출원)호에 개시된, 클리닝 부재를 용기 내부에 포함한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위 출원에 개시된 용기 조립체는 내용물의 잔류를 닦는 것은 유용하지만 클리닝 부재가 소량 포함되어 있거나 여러 개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클리닝 부재를 다 쓰고 난 후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함께, 위의 선출원에 개시된 용기 조립체는, 용기 내부의 클리닝 부재를 사용하기 위하여, 클리닝 부재를 작은 직경의 구멍을 통해 뽑아 쓰거나 덮개를 착탈하여 빼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 부재를 구멍을 통해 뽑아 쓸 때 휴지나 거즈가 구멍 내로 말려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클리닝 부재를 하나씩 사용할 때 작은 직경의 구멍을 통하여 클리닝 부재가 용이하게 추출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화장품 또는 약품과 같은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메인 용기의 배출부 주변에 잔류하는 내용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용기와 결합된 보조 용기 내에 클리닝 부재를 수납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메인 용기의 배출 부재 주변의 내용물 잔류물을 닦아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보조 용기 내에 수납된 클리닝 부재가 모두 사용된 경우, 클리닝 부재가 수용된 새로운 보조 용기의 교체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기로부터의 클리닝 부재의 취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메인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 부재; 및 캡 부재에 체결되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 부재는 개방된 상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및 메인 용기의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인 용기의 배출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 부재는 개방된 상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양 실시예에서, 수납 부재에 장착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제 1 커버 및 제 1 커버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커버를 포함하며, 제 1 커버와 제 2 커버에 의하여 수납 부재의 개방된 상단은 일부 개방 또는 완전 밀폐될 수 있다.
특히,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있어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을 1/2씩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 수단의 제 2 커버의 에지부에는 돌기부가, 그리고 수납 부재의 상단에는 요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 2 커버가 회전하여 제 1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납 부재의 에지부에 대응하면, 제 2 커버의 돌기부가 수납 부재의 요부 내에 삽입되어 커버 수단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 부재에 장착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판형 부재로서, 그 면적은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 면적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납 부재의 상단은 일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구성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은,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수납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가이드 부재 및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고, 수납 부재의 내부로 위치하여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는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단위 부재를 포함하되, 상단 및 하단은 2개의 고정구를 통하여 수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수직 부재 및 수직 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수납 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는 그 양 측면에는 치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의 내측면에는 치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는 치차부로 맞물려 진다.
슬라이딩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는 선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다. 또다른 구조의 지지 부재는 평면 형상이 수납 부재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 부재에도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메인 용기의 배출부 주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수납된 클리닝 부재를 이용하여 닦아낼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 조립체를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수납 부재 내에 수용된 클리닝 부재를 슬라이딩 부재를 이용하여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클리닝 부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클리닝 부재를 모두 사용하고 난 후, 클리닝 부재가 채워진 새로운 수납 부재로 교체하여 클리닝 부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커버 수단의 다른 구조를 도시함.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4의 대응 도면으로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대응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로서, 편의상 수납 부재(200)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메인 용기(10), 메인 용기(10)의 상부에 체결된 캡 부재(100) 및 캡 부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수납 부재(200)를 포함한다.
메인 용기(10)
도 1에서는 편의상 상부 일부만이 도시된 메인 용기(10)는 그 내부 공간에 액상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내용물이 담겨져 있으며, 이 내용물은 메인 용기(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캡 부재(100)
메인 용기(1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 부재(100)는 하부 일부에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메인 용기(10)의 배출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배출부를 밀폐/개방시키는 캡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캡 부재(10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나선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 부재(200)
수납 부재(20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부재로서, 그 내부 공간에는 솜, 거즈 등과 같은 클리닝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될 수 있다.
수납 부재(20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나선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나선부(210)와 캡 부재(100)의 상단부 외주면의 나선부(110)의 결합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는 캡 부재(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수평 상태의 격벽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은 캡 부재(100)와 격리, 즉 외부와 격리되며, 따라서 수납 부재(200)를 캡 부재(1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도 클리닝 부재가 오염되지 않는다.
한편, 수납 부재(200)의 상단에는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300 또는 30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측면 부재에는 수납 부재(200) 내에서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 또는 400')이 장착되어 있다.
커버 수단(300 또는 3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부재(200)의 사시도로서, 편의상 위에서 설명한 클리닝 부재(C)가 수납 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수납 부재(200)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된 커버 수단(300)은 수납 부재(200)의 상단 내면에 고정된 제 1 커버(310) 및 제 1 커버(31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커버(3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커버(310 및 320)는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며, 수납 부재(200)의 개방된 상단을 1/2씩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부재(200)의 개방된 상단은 제 1 및 제 2 커버(310 및 320)에 의하여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 2 커버(320)는 제 1 커버(310)와 제 2 커버(320)의 경계부(30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버(320)가 경계부(301)를 중심으로 위로 회전할 때, 수납 부재(200)의 상단이 1/2 정도 개방(도면 부호 "201"로 지시됨)되며, 반대로 제 2 커버(320)가 경계부(301)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할 때, 제 2 커버(320)는 수납 부재(200)의 개방 상단은 완전히 밀폐시킨다.
여기서, 제 2 커버(320)의 에지부에는 소정의 높이의 돌기부(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 부재(200)의 상단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커버(320)가 제 1 커버(310)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납 부재(200)의 에지부에 대응하면, 제 2 커버(320)의 돌기부(321)가 수납 부재(200)의 요부(201)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 2 커버(320)는 수납 부재(200)의 상단 개방부를 완전하게 밀폐한다.
도 3은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수납 부재(200)에 장착된 커버 수단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에 도시된 커버 수단(300')은 수납 부재(200)의 개방 상단에 고정된 판형 부재로서, 그 규격(면적)은 수납 부재(200)의 개방 상단의 규격(면적)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의 커버 수단(300')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의 상단 일부(200-1)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개방부(200-1)를 통하여 사용자는 수납 부재(200) 내의 클리닝 부재(C)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 또는 400')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분리 사시도로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은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410), 가이드 부재(410)에 장착되어 가이드 부재(41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420) 및 슬라이딩 부재(420)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 부재(200)의 내부로 위치하여 클리닝 부재(C)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3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410)는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에 수납 부재(20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를 포함한다.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는 소정의 간격(S)을 두고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은 2개의 고정구(403 및 404)를 통하여 수납 부재(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의 서로 대응하는 내측면에는 전 높이에 걸쳐 치차부(411-1 및 41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410)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공간(S; 간격)에 대응하는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는 절개되어 있다. 즉 수납 부재(200)의 측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간격(S)과 동일한 폭의 슬릿(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420)는 가이드 부재(410)의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421) 및 수직 부재(421)의 하단에서 연장된 수평 부재(422)를 포함한다.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에는 치차부(42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직 부재(421)는 가이드 부재(410)의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 즉 간격(S) 내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 치차부(421-1)와 가이드 부재(410)의 양 단위 부재(411 및 4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11-1 및 412-1)는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의 배치 상태에 따라 수평 부재(422)는 가이드 부재(410)의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간격(S) 및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 부재(4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일자형) 부재로서,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지지 부재(430) 상에는 다수의 클리닝 부재(C)가 놓여진다.
여기서, 지지 부재(430)에는 구멍(431)이 형성되며, 이 구멍(431)에는 수평 부재(422)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422-1)가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430)는 가이드 부재(410)를 따르는 슬라이딩 부재(420)의 상향 이동시 슬라이딩 부재(420)와 함께 상향 이동된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21-1)와 가이드 부재(410)의 양 단위 부재(411 및 4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11-1 및 412-1)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20)의 자연적이 이동은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슬라이딩 부재(420), 즉 수직 부재(421)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슬라이딩 부재(420) 그리고 지지 부재(430)가 이동한다. .
도 5는 4의 대응 도면으로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은 그 구성 요소, 전체적인 구조 그리고 그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과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4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과 비교하여,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가장 큰 특징은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결합된 지지 부재(430')가 원판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다.
원판 형상의 지지 부재(430')의 직경 및 형상은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단면 직경 및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수납 부재(200) 내의 클리닝 부재(C)는 이러한 지지 부재(430')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물론, 원판 형상의 지지 부재(430')에도 구멍(431')이 형성되며, 이 구멍(431')에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형성된 돌기(422-1)가 삽입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지지 부재(430')의 평면 형상은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단면 형상에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기능을 도 1, 도 2 그리고 도 4를 통하여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솜, 거즈와 같은) 클리닝 부재(C)는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에 적층된 상태로 위치하며, 이때 클리닝 부재(C)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지지 부재(430) 상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 부재(200)의 상단에 설치된 커버 수단(300)을 통하여 노출된 클리닝 부재(C)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C)의 사용에 따라 클리닝 부재(C)의 전체 높이가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클리닝 부재(C)를 수납 부재(200)에서 인출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슬라이딩 부재(420), 즉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를 가이드 부재(410)를 따라 밀어 올리면,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고정된 지지 부재(430) 역시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위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지지 부재(430) 상에 위치하는 클리닝 부재(C)도 상향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어려움 없이 클리닝 부재(C)를 수납 부재(200) 내에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410)의 양 단위 부재(411 및 4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11-1 및 412-1)와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치차부(421-1)가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20), 즉 지지 부재(430)의 과도한 상향 이동은 억제되며, 또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420), 즉 지지 부재(430)의 자연적인 하향 이동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430) 상에 위치하는 클리닝 부재(C)의 과도한 상향 이동 및 자연적인 하향 이동이 억제되며, 클리닝 부재(C)는 수납 부재(200) 내에서 사용자가 인출되기 쉬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수납 부재(200) 내의 모든 클리닝 부재(C)가 사용되면, 사용자는 수납 부재(200)를 캡 부재(100)에서 분리한 후, 클리닝 부재가 채워져 있는 새로운 캡 부재를 수납 부재(200)에 체결함으로써 클리닝 부재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대응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가장 큰 특징은, 메인 용기(10)에 캡 부재(100)가 결합되고 캡 부재(100)에 수납 부재(200)가 결합되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캡 부재 없이 수납 부재(200)가 메인 용기(1000)에 바로 결합된다는 것이다.
즉, 수납 부재(200)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210)는 메인 용기(1000)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1100)와 나사 결합되며, 따라서 수납 부재(200)는 메인 용기(1000)의 상단부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메인 용기(100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는 수납 부재(20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캡 부재(100)와 동일한 기능, 즉 메인 용기(1000)의 내용물 배출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납 부재(2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수평 상태의 격벽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는 내부 공간에 클리닝 부재가 담겨진 상태에서 메인 용기(1000)의 배출부를 개폐시키는 캡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수납 부재(200)의 측면 및 상부면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 및 커버 수단과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 또는 400') 및 커버 수단(300 또는 30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납 부재(20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수납 부재의 기능, 즉 클리닝 부재의 보관, 인출 및 교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삭제
  2. 내부에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화장품 또는 약품인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한 단부가 메인 용기의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인 용기의 배출부를 밀폐시키는 캡 부재; 및
    캡 부재의 다른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 공간에는 솜 또는 거즈인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하되,
    수납 부재는 개방된 종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클리닝 부재는 판형으로서 복수로 구비되어 수납 부재에 적층되며,
    캡 부재의 다른 단부 외주면과 수납 부재 중 캡 부재의 다른 단부에 체결되기 위한 단부 내주면에는 나선부가 각각 형성되어, 그 나선부의 결합에 의하여 수납 부재가 캡 부재에 대해 분리 및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고,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은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수납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가이드 부재 및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어 수납 부재의 내부로 위치하여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는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단위 부재를 포함하되, 상단 및 하단은 2개의 고정구를 통하여 수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 및 수직 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수납 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는 그 양 측면에는 치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의 내측면에는 치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는 치차부로 맞물려 있음으로써, 클리닝 부재, 슬라이딩 부재 및 지지 부재의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되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하는 것은 허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제 1 커버 및 제 1 커버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커버를 포함하여 수납 부재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있으며,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을 1/2씩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커버의 에지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 부재의 상단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제 2 커버가 회전하여 제 1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납 부재의 에지부에 대응하면, 제 2 커버의 돌기부가 수납 부재의 요부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판형 부재로서, 그 면적은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선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11.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평면 형상이 수납 부재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부재로서,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KR2020130005310U 2013-06-28 2013-06-28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KR200486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10U KR200486206Y1 (ko) 2013-06-28 2013-06-28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PCT/KR2014/005569 WO2014208975A1 (ko) 2013-06-28 2014-06-24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10U KR200486206Y1 (ko) 2013-06-28 2013-06-28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87U KR20150000087U (ko) 2015-01-07
KR200486206Y1 true KR200486206Y1 (ko) 2018-04-16

Family

ID=5214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310U KR200486206Y1 (ko) 2013-06-28 2013-06-28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6206Y1 (ko)
WO (1) WO2014208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6670A1 (ja) * 2014-03-13 2015-09-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3Y1 (ko) * 2005-08-12 2005-11-08 코스코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압축 티슈가 보관된 생수 뚜껑 및 압축 티슈가 보관된 생수뚜껑을 구비한 생수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81U (ko) * 1986-05-15 1987-11-25
KR940003345B1 (ko) * 1991-12-28 1994-04-20 삼성전기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KR940004005Y1 (ko) * 1992-07-24 1994-06-17 장해룡 액체용기
KR200395866Y1 (ko) * 2005-06-21 2005-09-14 김석화 압축티슈가 보관된 음료용기
KR20110137945A (ko) * 2010-06-18 2011-12-26 (주) 사운드웨이브 위생 음료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3Y1 (ko) * 2005-08-12 2005-11-08 코스코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압축 티슈가 보관된 생수 뚜껑 및 압축 티슈가 보관된 생수뚜껑을 구비한 생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975A1 (ko) 2014-12-31
KR20150000087U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2082B2 (ja) 汚物を収容及び蓄えるための汚物貯蔵装置
KR200478937Y1 (ko) 화장품 용기
KR102237146B1 (ko) 위생 용기 또는 그에 관련된 개량
ITPD20060173A1 (it) Nuovo dispenser per bustine e/o confezioni di zucchero e/o di dolcificante, con dispositivi di taglio, per l'apertura delle bustine, e contenitore/i di raccolta dei rifiuti
JP2016520497A5 (ko)
KR200486206Y1 (ko)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CN112135783A (zh) 洁牙剂分配器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ES2748855T3 (es) Recipiente para líquidos
KR200478920Y1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US20130299521A1 (en) Viscous material container assembly
CN210479629U (zh) 便携旋转式一周用药分药瓶
KR101190041B1 (ko) 화장품 케이스
JP2010275003A (ja) 液体パック容器及び液体注出器
US20070289986A1 (en) Portable changing pad, system and dispenser
CN106307970B (zh) 玻璃擦粉盒
KR20120029242A (ko)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KR20120002277U (ko) 화장브러쉬를 포함한 튜브용기의 배출장치
KR200466321Y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롤온 타입 화장품 용기
KR20130007276U (ko)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KR200479403Y1 (ko) 화장품 용기
KR20150087036A (ko) 화장품 용기
CN204015464U (zh) 彩妆容器的双层筛盖
KR200421382Y1 (ko) 튜브타입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