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72Y1 -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72Y1
KR200483972Y1 KR2020160005380U KR20160005380U KR200483972Y1 KR 200483972 Y1 KR200483972 Y1 KR 200483972Y1 KR 2020160005380 U KR2020160005380 U KR 2020160005380U KR 20160005380 U KR20160005380 U KR 20160005380U KR 200483972 Y1 KR200483972 Y1 KR 200483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rear side
front side
side post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662U (ko
Inventor
조행묵
안기천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기천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60005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7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는, 상방향으로 도크 개구부가 형성되는 도크의 도크저면베드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방측 포스트; 상기 도크의 도크저면베드 타측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송되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후방측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크 개구부에 배치되는 검사대상 차량의 차종에 대응되게 전방측 포스트에 대하여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송되고, 전방측 포스트와 후방측 포스트의 전체 높이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APPARATUS FOR CAR LIFT HAVING ADJUSTABLE WHEELBASE DEVICE}
본 고안은 2주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이 고정감지수단에 의하여 특정 해당 위치가 감지됨에 따라, 전후 구동스탭모터의 작동이 멈취지도록 구성하여, 차종별 차축간거리에 대응되게, 후방측 포스트가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를 전후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높이로 전방측 포스트 및 후방측 포스트를 승강시킴으로써, 쉽고도 안전하게 대형차량 및 특장차를 들어올릴 수 있는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정비시 차량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트는 다수개의 유압실린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리프트중에서 링크기구를 이용하는 링크식 리프트는, 기대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승강되는 한쌍의 X자 링크기구를 장착하고, 이 링크기구의 상단에 리프트판을 각각 장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유압실린더는 오일을 공급하는 유압펌프에 상호 병렬연결된다.
이때, 상기 링크기구는 리프트판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리프트판은 좌우측으로 분할되어, 각 리프트판이 차량의 좌우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로 링크기구를 회동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판에 차량을 올려놓은 후, 유압실린더로 링크기구를 회동상승시키므로써, 링크기구 상단의 리프트판과, 리프트판에 올려놓여진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리프트는 각 승강장치의 리프트판(8)을 상호 동일한 높이로 들어올려야 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가 유압펌프에 상호 병렬연결되므로, 차량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져 있을 경우, 유압실린더가 동일하게 신장되지 못하며, 이에따라 리프트판이 상승되는 높이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링크기구의 회동중심축을 동조바(10)로 상호 연결하여, 링크기구(6)가 상호 동일한 각도로 회동상승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리프트판(8)이 상호 동일한 높이로 상승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링크기구가 상호 동일한 각도로 회동상승하도록 하는 동조바는 충분한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비교적 지름이 큰 파이프로 구성되어, 지면에 도출된다. 따라서, 정비시 필요한 장비를 이동시키거나, 차량에서 분해된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을 이동시킬 때, 이 동조바에 걸리게 되므로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정비사가 동조바에 걸려 넘어져 부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3088호에서는, 차량용 리프트와 관련하여, "차량이 올려지는 리프트판(26,28)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한 쌍의 승강수단(22,24)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에 있어서, 각각의 승강수단(22,24)에는 복동실린더(30,34)와 단동실린더(32,36)가 공통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승강수단(22,24)마다 구비된 복동실린더(30,34)는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신축되고, 각각의 승강수단(22,24)마다 구비된 단동실린더(32,36)는 다른 승강수단(22,24)에 구비된 복동실린더(30,34)에 직렬 연결되어 신축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이 올려지는 리프트판(26,28)의 높이편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쉽고도 안전하게 대형차량 및 특장차를 들어올릴 수 있는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및 그 운용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68382호 (1998년10월01일 등록)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3088호 (2003년10월13일 등록)
본 고안은, 쉽고도 안전하게 대형차량 및 특장차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이 고정감지수단에 의하여 특정 해당 위치가 감지됨에 따라, 전후 구동스탭모터의 작동이 멈취지도록 구성하여, 차종별 차축간거리에 대응되게, 후방측 포스트가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를 전후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높이로 전방측 포스트 및 후방측 포스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는, 상방향으로 도크 개구부가 형성되는 도크의 도크저면베드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방측 포스트; 상기 도크의 도크저면베드 타측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송되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후방측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크 개구부에 배치되는 검사대상 차량의 차종에 대응되게 전방측 포스트에 대하여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송되고, 전방측 포스트와 후방측 포스트의 전체 높이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상측면에는 전후 구동스탭모터이 장착되고,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에는 피니언이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은 도크의 도크저면베드에 설치되는 랙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가 작동되어 피니언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캐리지가 상기 도크의 도크저면베드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크의 도크저면베드에 전후 슬라이딩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는 전후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지 일측에는 고정감지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도크 일측에는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정감지수단에 의해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142)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측 포스트는 전방측 유압구동모터; 상기 전방측 유압구동모터에 의하여 높이가 변경되는 전방측 포스트빔; 그리고 상기 전방측 포스트빔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방측 헤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는 후방측 유압구동모터; 상기 후방측 유압구동모터에 의하여 높이가 변경되는 후방측 포스트빔; 그리고 상기 후방측 포스트빔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후방측 헤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크의 도크 개구부는, 전방측 헤드패널과 후방측 헤드패널로부터 이격되게 다수개의 보호패널에 의하여 덮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따르면, 차종별 차축간거리에 대응되게, 후방측 포스트가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를 전후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높이로 전방측 포스트 및 후방측 포스트를 승강시킴으로써, 쉽고도 안전하게 대형차량 및 특장차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가 설치되는 도크의 기초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후방측 포스트를 중심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후방측 포스트가 수평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후방측 포스트가 수평이동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대형차량이 설정된 높이만큼 리프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가 설치되는 도크의 기초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100)는, 도크(D)의 도크 개구부(do) 상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측 포스트(110)의 전방측 헤드패널(112)과 후방측 포스트(120)의 후방측 헤드패널(122)의 상측면에 검사대상 차량(T)의 저면의 지지측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100)는,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 일측에는 전방측 포스트(11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도크저면베드(dg) 타측에는 후방측 포스트(12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데, 특히 상기 후방측 포스트(120)는 상기 도크저면베드(dg)에 배치되는 캐리지(CR)의 상측방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측 포스트(110)를 향하여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100)는, 상방향으로 도크 개구부(do)가 형성되는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방측 포스트(110); 상기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 타측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송되는 캐리지(CR); 및 상기 캐리지(CR)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후방측 포스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120)는 콘트롤박스(C) 또는 리모콘(R)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크 개구부(do)에 배치되는 검사대상 차량(T)의 차종에 대응되게 전방측 포스트(110)에 대하여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송되고, 전방측 포스트(110)와 후방측 포스트(120)의 전체 높이는 콘트롤박스(C) 또는 리모콘(R)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CR) 상측면에는 전후 구동스탭모터(130)이 장착되고,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130)에는 피니언(131)이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131)은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에 설치되는 랙(132)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130)가 작동되어 피니언(131)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캐리지(CR)가 상기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에 전후 슬라이딩레일(S)이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CR)는 전후 슬라이딩레일(S)을 따라 이송된다.
특히, 상기 캐리지(CR)는, 콘트롤박스(C) 또는 리모콘(R)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130)의 작동이 제어되는바, 상기 캐리지(CR) 일측에는 고정감지수단(141)이 장착되어 있고, 도크(D) 일측에는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14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정감지수단(141)에 의해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142)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측 포스트(110)는 전방측 유압구동모터(114), 상기 전방측 유압구동모터(114)에 의하여 높이가 변경되는 전방측 포스트빔(111), 및 상기 전방측 포스트빔(111)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방측 헤드패널(112)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120)는 후방측 유압구동모터(124), 상기 후방측 유압구동모터(124)에 의하여 높이가 변경되는 후방측 포스트빔(121), 및 상기 후방측 포스트빔(121)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후방측 헤드패널(122)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크(D)의 도크 개구부(do)는, 전방측 헤드패널(112)과 후방측 헤드패널(122)로부터 이격되게 다수개의 보호패널(P)에 의하여 덮이도록 배치ㆍ구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후방측 포스트를 중심으로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후방측 포스트가 수평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8은 후방측 포스트가 수평이동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대형차량이 설정된 높이만큼 리프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100)에 따르면, 차종별 차축간거리에 대응되게, 후방측 포스트(120)가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CR)를 전후 슬라이딩레일(S)을 따라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높이로 전방측 포스트(110) 및 후방측 포스트(120)를 승강시킴으로써, 쉽고도 안전하게 대형차량 및 특장차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CR) 상측면에는 전후 구동스탭모터(130)이 장착되고,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130)에는 피니언(131)이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131)은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에 설치되는 랙(132)에 접촉되어 회동되고,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130)가 작동되어 피니언(131)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캐리지(CR)가 상기 도크(D)의 도크저면베드(dg)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송된다.
특히, 상기 캐리지(CR) 일측에는 고정감지수단(141)이 장착되어 있고, 도크(D) 일측에는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14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정감지수단(141)에 의해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142)이 감지되어 해당위치에서 멈춰지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100)의 운용방법은, 검사대상 차량(T)이 입고되어, 도크(D) 상측에 정차되는 단계(S110); 상기 검사대상 차량(T)의 기종이 콘트롤박스(C) 또는 리모콘(R)에 의하여 입력되는 단계(S120); 콘트롤박스(C) 또는 리모콘(R)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축간거리가 계산되는 단계(S130); 입력된 상기 검사대상 차량(T)에 대응되게, 전후 구동스탭모터(130)가 작동되는 단계(S140); 피니언(131)이 회동됨에 따라, 후방측 포스트(120)가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CR)가 전후 슬라이딩레일(S)을 따라 이송되는 단계(S150); 캐리지(CR)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감지수단(141)에 의해 도크(D)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142)이 감지되는 단계(S160); 콘트롤박스(C) 또는 리모콘(R)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고정감지수단(141)이 해당 특정의 가동감지수단(142)을 감지하는 단계(S170); 작동되던 전후 구동스탭모터(130)의 작동이 멈추는 단계(S180); 피니언(131)의 회동이 멈추는 단계(S190); 및 전방측 유압구동모터(114) 및 후방측 유압구동모터(124)가 작동됨에 따라, 검사대상 차량(T)의 저면 지지부가 전방측 헤드패널(112) 및 후방측 헤드패널(122) 상에 얹혀진 상태에서, 전방측 포스트빔(111) 및 후방측 포스트빔(121)이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된 다음 멈춰지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에 따르면, 차종별 차축간거리에 대응되게, 후방측 포스트(120)가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CR)를 전후 슬라이딩레일(S)을 따라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높이로 전방측 포스트(110) 및 후방측 포스트(120)를 승강시킴으로써, 쉽고도 안전하게 대형차량 및 특장차를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110 : 전방측 포스트 111 : 전방측 포스트빔
112 : 전방측 헤드패널 113 : 전방측 유압탱크
114 : 전방측 유압구동모터 120 : 후방측 포스트
121 : 후방측 포스트빔 122 : 후방측 헤드패널
123 : 후방측 유압탱크 124 : 후방측 유압구동모터
130 : 전후 구동스탭모터 131 : 피니언
132 : 랙 140 : 리프트 위치제어수단
141 : 고정감지수단 142 : 가동감지수단
C : 콘트롤박스 cb : 콘트롤버튼
CR : 캐리지 D : 도크
do : 도크 개구부 dg : 도크저면베드
dp : 보호패널 수납공간 G : 작업장 지면
S : 전후 슬라이딩레일 T : 검사대상 차량
P : 보호패널 R : 리모콘
rb : 리모콘 버튼 rc : 리모콘 케이블
W : 작업장 벽면

Claims (1)

  1. 상방향으로 도크 개구부가 형성되는 도크의 도크저면베드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방측 포스트의 전방측 헤드패널(112);
    상기 도크의 도크저면베드 타측에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송되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 상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후방측 포스트의 후방측 헤드패널(122);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크 개구부에 배치되는 검사대상 차량의 차종에 대응되게 전방측 포스트에 대하여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송되고,
    전방측 포스트와 후방측 포스트의 전체 높이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설정되며,
    상기 캐리지 상측면에는 전후 구동스탭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에는 피니언이 도크저면베드에 대해 90도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은 도크의 도크저면베드에 설치되는 랙에 맞물려 회동되며,
    상기 캐리지는 콘트롤박스 또는 리모콘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의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캐리지 일측에는 고정감지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도크 일측에는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정감지수단에 의해 다수개의 가동감지수단이 감지되며,
    상기 도크의 도크저면베드의 상기 랙 양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전후 슬라이딩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전후 슬라이딩레일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송되며,
    상기 전후 구동스탭모터가 작동되어 피니언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캐리지가 상기 도크의 도크저면베드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송되며,
    상기 전방측 포스트는 전방측 유압구동모터; 상기 전방측 유압구동모터에 의하여 높이가 변경되는 전방측 포스트빔; 그리고 상기 전방측 포스트빔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방측 헤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는 후방측 유압구동모터; 상기 후방측 유압구동모터에 의하여 높이가 변경되는 후방측 포스트빔; 그리고 상기 후방측 포스트빔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후방측 헤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도크의 도크 개구부는, 전방측 헤드패널과 후방측 헤드패널로부터 이격되게 다수개의 보호패널에 의하여 덮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KR2020160005380U 2016-09-13 2016-09-13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KR200483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80U KR200483972Y1 (ko) 2016-09-13 2016-09-13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80U KR200483972Y1 (ko) 2016-09-13 2016-09-13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490A Division KR20150137510A (ko) 2014-05-29 2014-05-29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62U KR20160003662U (ko) 2016-10-24
KR200483972Y1 true KR200483972Y1 (ko) 2017-07-19

Family

ID=5723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380U KR200483972Y1 (ko) 2016-09-13 2016-09-13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8647A (zh) * 2020-06-30 2020-09-22 惠安县崇武镇兴钗茶具商行 一种汽车维修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822A (ja) * 1992-06-15 1993-12-27 Sugiyasu Kogyo Kk 走行体の位置検出機構
JP4844824B2 (ja) * 2006-06-08 2011-12-2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KR20090113608A (ko) * 2008-04-28 2009-11-02 안기천 대형차용 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62U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0858B2 (en) Personnel lift vehicle
EP2960183B1 (en) Stacker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08174369A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JP5299882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100956177B1 (ko) 고소작업대
KR200483972Y1 (ko)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US20130167471A1 (en) Adjustable lift table
CN204454481U (zh) 桥式作业平台的平台安装结构
CN204588640U (zh) 桥式作业平台
KR20150137510A (ko)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219357930U (zh) 底铸式浇注机
KR20140003820U (ko) 파이프 설치용 장치
KR101293930B1 (ko) 부품박스 적재대
CN104528607B (zh) 一种桥式作业平台的平台总成
JP2009107746A (ja) 高所作業用昇降装置
KR20120015541A (ko) 자동차 리프팅 장치
KR102233802B1 (ko) 이동 리프트
KR20090052414A (ko) 웨이트 밸런싱 장치 및 방법
CN114475867A (zh) 一种汽车天窗机械组的校平设备
KR101950607B1 (ko) 코크스 오븐용 승강장치
CN204454479U (zh) 桥式作业平台的平台总成
KR101478726B1 (ko) 화물차용 승강받침대
JPH0784320B2 (ja) 昇降作業台
KR20090064057A (ko)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CN220131838U (zh) 一种双向调节堆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