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61Y1 -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 Google Patents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61Y1
KR200479861Y1 KR2020150006996U KR20150006996U KR200479861Y1 KR 200479861 Y1 KR200479861 Y1 KR 200479861Y1 KR 2020150006996 U KR2020150006996 U KR 2020150006996U KR 20150006996 U KR20150006996 U KR 20150006996U KR 200479861 Y1 KR200479861 Y1 KR 200479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plate
garbage bag
coupling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석
Original Assignee
권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석 filed Critical 권대석
Priority to KR2020150006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13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fixing and mounting of the receptacle to walls,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2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담아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봉투를 걸어서 사용하기 위한 쓰레기봉투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이구의 부피를 최소화 하여 걸이구 설치에 따른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게 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쓰레기 봉투의 개구부가 긴밀하게 밀착 폐쇄되는 구조를 이루어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완전 차단이 가능하며, 항시 개구부의 안정된 개폐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쓰레기봉투가 완전이 노출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쓰레기봉투의 용량에 해당하게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Hanger of garbage bag}
본 고안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담아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봉투를 걸어서 사용하기 위한 쓰레기봉투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쓰레기봉투를 사용함에 있어, 설치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아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며, 특히, 개구부에 대한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여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을 차단하는 등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가정에서는 재활용 쓰레기와 분리 수거할수 없는 쓰레기의 경우 별도의 봉투를 이용하여 담아 수거하고 있으며, 이렇게 수거된 쓰레기가 일정량 채워지게 되면 봉투를 묶어 버려지게 된다.
한편, 이렇게 사용되는 쓰레기봉투는 통상 별도의 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쓰레기가 봉투를 통해 비추어 미관상으로도 매우 좋지 못하여 특히, 청결 및 위생상의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관상을 고려하여 별도의 사각형 또는 원통형 통체를 이루는 쓰레기통을 구비하되, 쓰레기통의 내부에 쓰레기봉투를 수용 및 그 개구부는 쓰레기통 덮개를 이용하여 마감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통을 이용한 쓰레기봉투의 사용은, 그 쓰레기통의 부피 또한 상당한 것인바, 쓰레기통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그 개구부에 대하여 단순히 덮개의 자중에 의한 폐쇄로 그 폐쇄력이 저하되는 등 쓰레기의 악취가 그대로 외부로 유출되고, 사용중 그 개구부가 쓰레기통 내부로 유입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쓰레기통을 사용함에 있어, 쓰레기봉투와의 용량이 맞지 않을 경우 예를들어 쓰레기봉투의 용량이 클 경우 쓰레기통에 축소 수용되게 되는 것인바, 쓰레기봉투의 용량에 맞게 쓰레기가 채워지지 못하는 등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271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걸이구의 부피를 최소화 하여 걸이구 설치에 따른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게 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쓰레기 봉투의 개구부가 긴밀하게 밀착 폐쇄되는 구조를 이루어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완전 차단이 가능하며, 항시 개구부의 안정된 개폐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쓰레기봉투가 완전이 노출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쓰레기봉투의 용량에 해당하게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좌,우 길이를 가지되 전면이 오목하고 후면이 볼록한 만곡한 곡률 형태를 이루는 한편 탄력을 가지는 판체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며 수직형 가동판 결합홈이 형성된 가동판 지지부가 형성되고, 후면 양단에서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지지부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봉투걸이구와 설치수단이 형성된 고정판; 및
양측에는 상,하부 탄턱 형태의 걸림턱을 통해 축소된 상,하 높이를 이루는 가동판 결합편이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분리손잡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봉투걸이구가 형성된 적어도 고정판의 양측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판체 형태의 탄력 가동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는, 길이구를 구성함에 있어 곡률형 고정판과 탄력에 의해 고정판에 밀착 및 해제되는 탄력 가동판으로 된 이중 판체 구조를 이루게 구성되어 있어, 그 걸이구의 부피가 최소화 되어 쓰레기봉투를 사용함에 있어 공간 활용도가 매우 우수하며,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흡착구를 이용하여 싱크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 사용이 가능하여 이 또한 공간 활용도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판과 탄력 가동판을 통해 개구부의 안정된 개폐가 가능하며, 특히, 고정판과 탄력 가동판이 긴밀한 밀착력을 가짐으로 쓰레기봉투 개구부의 완전한 폐쇄가 가능하게 되는 등 쓰레기봉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완전한 차단이 가능하게 되는 등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쓰레기봉투의 수용부가 완전히 노출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쓰레기봉투의 용량에 해당하게 충분히 쓰레기를 채울 수 있는 등 쓰레기봉투의 충분한 활용으로 쓰레기봉투의 절약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전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전면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설치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쓰레기봉투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쓰레기봉투 폐쇄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전면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1)는, 고정판(100)과, 탄력 가동판(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00)은, 주방의 싱크대나 타일(도면중 미도시함) 등 매끈한면에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좌,우 길이를 가지며 평면상 전면이 오목하고 후면이 볼록한 만곡한 곡률 형태를 이루며, 외력에 의한 탄력을 가지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판(100)의 양단에는 하기하는 탄력 가동판(200)의 결합 및 그 지지가 가능하도록 가동판 지지부(110)가 형성된 것으로, 가동판 지지부(110)는 고정판(100)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그 가동판 지지부(110)에는 수직형 가동판 결합홈(111)이 관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고정판(100)의 후면에서 양단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지지부(120)가 형성된 것으로, 후방 지지부(120)는 고정판(100)에 하중이 작용시 그 후방 지지부(120)를 통해 싱크대 또는 벽체에 안정된 지지력이 부여되게 된다.
또한, 고정판(10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봉투걸이구(130)가 형성된 것으로, 제1 봉투걸이구(130)는, 측면상 "ㄱ" 형으로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가져 쓰레기봉투의 걸이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상부 중앙 및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100)의 전면에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제1 가압돌기(150)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고정판(100)의 전면에는 함몰형 요함부(160)가 더 형성된 것으로, 이때, 상기 가동판 결합홈(111)은 그 요함부(16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1 가압돌기(150)는 요함부(160)에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고정판(10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수단(140)이 형성된 것으로, 설치수단(140)은, 흡착구 결합부(141)와 상기 흡착구 결합부(141)에 결합되는 흡착구(1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착구 결합부(141)는, 고정판(100)의 후면 중앙 및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하부 개방형 결합홈(141a)가 형성된다.
또한, 흡착구(144)는, 상기 각각의 흡착구 결합부(141)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탄력을 가지는 신축성 실린콘 재질을 이루어 매끄러운면에 대한 흡착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상기 흡착구 결합부(141)의 대항면에는 결합홈(141a)에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돌기(144a)가 돌출 형성된다.
즉, 흡착구(144)는, 고정판(100)의 후방에서 결합돌기(144a)를 통해 흡착구 결합부(141)의 결합홈(141a)에 개방된 하부로부터 삽입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판(100)이 흡착구(144)를 통해 싱크대나 타일 등의 매끈한 면에 흡착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설치수단(140)은, 상기 흡착구 결합부(14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그 흡착구 결합부(141)를 후방으로 연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14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때, 어댑터(147)는, 먼저, 전방에 상기 흡착구 결합부(141)의 결합홈(141a)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 결합돌기(147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흡착구(144)의 결합돌기(144a)가 결합되도록 하부 개방형 흡착구 결합홈(147b)가 형성된다.
즉, 어댑터(147)는, 어댑터 결합돌기(147a)를 통해 상기 흡착구 결합부(141)의 결합홈(141a)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며, 그 후방의 흡착구 결합홈(147b)에는 상기 흡착구(144)가 결합돌기(144a)를 통해 하부로부터 삽입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어댑터(147)를 통해 흡착구 결합부(141)의 후방 돌출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로인해 고정판(100)을 설치함에 있어 후방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흡착구 결합부(141)의 돌출 정도에 따른 후방의 각도 조절은, 통상 싱크대나 주방의 벽면 구조는 평면 또는 절곡도를 가지는 것인바, 고정판(100)의 후방 각도 조절에 의해 그 절곡도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력 가동판(200)은, 상기 고정판(100)에 결합되어 탄력에 의해 고정판(100)의 전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게 구성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판체 형태로 구성하되, 적어도 고정판(100)의 양측 길이보다 긴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탄력 가동판(200)에는, 그 양측에 상기 가동판 결합홈(111)에 결합하기 위한 가동판 결합편(210)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때 가동판 결합편(210)은 상,하부가 단턱 형태로 따내어져 걸림턱(211)을 이루며, 이에 상,하 높이가 축소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탄력 가동판(200)은, 양측의 가동판 결합편(210)을 통해 고정판(100)의 가동판 결합홈(111)의 내측으로부터 삽입 및 걸림턱(211)에 가동판 지지부(110)의 상부 및 하부에 걸림 지지되게 구성된 것으로, 고정판(100) 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인바, 고정판(100)에 결합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한 곡률 형태를 이루어 탄력에 의해 고정판(100)의 전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탄력 가동판(2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시 평면상 타원 형태를 이루어 고정판(100)과 탄력 가동판(200)의 사이에 개구부(10)가 형성되고, 도 5의 도시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시 상기 고정판(100)의 전면에 밀착되어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밀착시 상기 고정판(100)의 요함부(160)에 내재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탄력 가동판(200)에는, 그 전면에 분리손잡이(220)와, 제2 봉투걸이구(230)가 형성된 것으로, 먼저, 분리손잡이(220)는 탄력 가동판(20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며 측면상 "ㄱ"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봉투걸이구(230)는, 탄력 가동판(20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측면상 "ㄱ" 형으로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가져 쓰레기봉투의 걸이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탄력 가동판(200)에는, 그 후면 즉, 고정판(100)의 대항면에 좌,우 길이를 이루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제2 가압돌기(250)가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제2 가압돌기(250)는 상기 고정판(100)의 제1 가압돌기(150)와 간섭되지 않게 구성되는 한편, 동일한 돌출정도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1)는, 통상의 주방에 설치되어 쓰레기봉투를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주방의 싱크대 또는 벽체 등에 부착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 쓰레기봉투 걸이구(1)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고정판(100)의 후방에 형성된 설치수단(140)을 이용하여 설치하되, 흡착구 결합부(141)에 결합된 흡착구(144)를 통해 싱크대나 타일 등에 흡착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흡착 설치함에 있어, 다양한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6의 도시와 같이 비교적 평평한 면에 설치시에는 고정판(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흡착구(144) 또는 중앙에 형성된 흡착구(144)를 통해 흡착 설치하면 되고, 또한, 도 7의 각도를 이루는 코너부에 설치시에는 고정판(100)의 후방 양측의 흡착구(144)와 중앙에 형성되는 흡착구(144)를 통해 흡착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고정판(100)과 흡착구(144)는 탄력과 신축력을 가지는 것인바, 소정의 형상 변화에 의해 고정판(100)을 설치함에 있어 용이한 설치가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도를 이루는 코너부에 설치시에는 그 각도에 따라 어댑터(147)를 사용함으로 그 각도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각도가 큰 경우에는 그 어댑터(147)를 사용하지 않아도 가능할 것이며, 그 각도가 좁은 경우에는 고정판(100)의 중앙에 형성된 흡착구(144)와 코너부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는 것인바, 이에 어댑터(147)를 사용함으로 코너부와의 간격을 좁힐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쓰레기봉투 걸이구(1)에는 쓰레기봉투(20)를 걸어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탄력 가동판(2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분리손잡이(220)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당겨 탄력을 이겨내면 고정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즉, 탄력 가동판(200)이 고정판(100)으로부터 분리되면 고정판(100)과 탄력 가동판(200)의 사이는 타원형으로 개방된 개구부(10)를 이루는 것인바, 도 8의 도시와 같이 쓰레기봉투(20)의 개방되는 입구를 하부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상부로 인출 및 상단을 접어 고정판(100)의 제1 봉투걸이구(130)와, 탄력 가동판(200)의 제2 봉투걸이구(230)에 끼워 간단하게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제1 봉투걸이구(130)와 제2 봉투걸이구(230)는 다수로 구성된 특성상 쓰레기봉투(20)의 대,소 규격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설치된 쓰레기봉투(20)는 개구부(10)에 의해 자연히 상단이 벌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에 쓰레기봉투(20) 내부로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쓰레기를 투입한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 개구부(10)를 폐쇄함으로 쓰레기봉투(20)의 입구를 폐쇄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탄력 가동판(200)을 통해 가능하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탄력 가동판(200)의 전면을 외력을 가해 밀어주게 되면, 그 탄력 가동판(200)은 탄력을 이겨내며 후방으로 돌출되게 되는 것인바, 이와 동시에 고정판(100)의 전면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며, 이에 개구부(10) 및 쓰레기봉투(20)의 입구가 폐쇄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탄력 가동판(200)이 고정판(10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그 탄력 가동판(200)은 요함부(160)에 수용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쓰레기봉투(20)의 다수 절곡력이 부여되어 그 입구에 대한 폐쇄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고정판(100)의 전면과 탄력 가동판(200)의 후면에는 각각 제1,2 가압돌기(150)(250)가 형성된 것인바, 이때 그 제1,2 가압돌기(150)(250)는 서로 교차되면서 반대편 즉, 제1 가압돌기(150)는 탄력 가동판(200)을 제2 가압돌기(250)는 고정판(100)에 가압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쓰레기봉투(20)의 보다 긴밀한 밀착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긴밀한 밀착력은 쓰레기봉투(20)에 수거된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탄력 가동판(200)의 조절에 따른 탄력이 부여시 그 탄력 가동판(200)의 양단에 형성된 가동판 결합편(210)은 가동판 결합홈(111) 내에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걸림턱(211)은 가동판 지지부(110)에 긴밀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쓰레기봉투(20)를 사용함에 있어,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그 쓰레기봉투 걸이구(1)의 하부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고정판(10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후방 지지부(120)가 설치부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쓰레기봉투 걸이구(1)의 처짐을 방지하는 한편, 하중에 대한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구부(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재차 쓰레기봉투(20)를 사용시에는 탄력 가동판(200)의 전면에 형성된 분리손잡이(220)를 당겨 탄력을 이겨내면 그 탄력 가동판(200)이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개구부(1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는 그 걸이구를 설치함에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그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여 쓰레기봉투 사용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우수하며, 특히, 쓰레기봉투 입구에 대한 긴밀한 밀착력이 부여되어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100 : 고정판 110 : 가동판 지지부
111 : 가동판 결합홈 120 : 후방 지지부
130 : 제1 봉투걸이구 140 : 설치수단
141 : 흡착구 결합부 141a : 결합홈
144 : 흡착구 144a : 결합돌기
147 : 어댑터 147a : 어댑터 결합돌기
147b : 흡착구 결합홈
150 : 제1 가압돌기 160 : 요함부
200 : 탄력 가동판 210 : 가동판 결합편
211 : 걸림턱 220 : 분리손잡이
230 : 제2 봉투 걸이구 250 : 제2 가압돌기

Claims (5)

  1. 좌,우 길이를 가지되 전면이 오목하고 후면이 볼록한 만곡한 곡률 형태를 이루는 한편 탄력을 가지는 판체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며 수직형 가동판 결합홈(111)이 형성된 가동판 지지부(110)가 형성되고, 후면 양단에서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봉투걸이구(130)와 설치수단(140)이 형성된 고정판(100); 및
    양측에는 상,하부 탄턱 형태의 걸림턱(211)을 통해 축소된 상,하 높이를 이루는 가동판 결합편(210)이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분리손잡이(2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봉투걸이구(230)가 형성된 적어도 고정판(100)의 양측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판체 형태의 탄력 가동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설치수단(140)은,
    고정판(100)의 후면 중앙 및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하부 개방형 결합홈(141a)이 형성된 흡착구 결합부(141); 및
    상기 결합홈(141a)에 결합 가능한 결합돌기(144a)가 형성되어 흡착구 결합부(141)에 결합되는 매끄러운면에 대한 흡착력을 가지는 흡착구(144);
    상기 흡착구 결합부(14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흡착구 결합부(141)를 후방으로 연장하기 위해 전방에 흡착구 결합부(141)의 결합홈(141a)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 결합돌기(147a)가 형성되고, 후방에 흡착구(144)를 결합하기 위한 하부 개방형 흡착구 결합홈(147b)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14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판(100)의 전면에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제1 가압돌기(150)를 형성하고,
    탄력 가동판(200)의 후면에는 상기 제1 가압돌기(15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적어도 1열 이상의 제2 가압돌기(250)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판(100)의 전면에는 탄력 가동판(200)이 내재되도록 요함부(160)를 더 형성하되,
    탄력 가동판(200)이 고정판(100)에 밀착시 요함부(160)에 내재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KR2020150006996U 2015-10-28 2015-10-28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KR200479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96U KR200479861Y1 (ko) 2015-10-28 2015-10-28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96U KR200479861Y1 (ko) 2015-10-28 2015-10-28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861Y1 true KR200479861Y1 (ko) 2016-03-14

Family

ID=5553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96U KR200479861Y1 (ko) 2015-10-28 2015-10-28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600A (ko) * 2016-08-22 2018-03-05 이경목 봉투 거치대
KR101884241B1 (ko) * 2016-08-24 2018-08-02 주식회사 우공사 음식물 쓰레기봉투 걸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681U (ja) 1995-02-10 1995-08-15 朝太郎 岩佐 水切り袋ホルダー
KR200252468Y1 (ko) * 2001-07-31 2001-11-23 박경호 쓰레기 봉투 밀폐기
KR101530258B1 (ko) * 2014-03-04 2015-06-22 엠에스인텍(주) 흡착제품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681U (ja) 1995-02-10 1995-08-15 朝太郎 岩佐 水切り袋ホルダー
KR200252468Y1 (ko) * 2001-07-31 2001-11-23 박경호 쓰레기 봉투 밀폐기
KR101530258B1 (ko) * 2014-03-04 2015-06-22 엠에스인텍(주) 흡착제품용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600A (ko) * 2016-08-22 2018-03-05 이경목 봉투 거치대
KR101880359B1 (ko) * 2016-08-22 2018-07-19 이경목 봉투 거치대
KR101884241B1 (ko) * 2016-08-24 2018-08-02 주식회사 우공사 음식물 쓰레기봉투 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0482B1 (en)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US8141481B2 (en) Compacting bin
US20100219192A1 (en) Dividable step garbage can
KR200479861Y1 (ko)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US4664455A (en) Lidless garbage bag holder
US20080178375A1 (en) Container
CA2585996A1 (en) A container
KR200473610Y1 (ko)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KR20070025078A (ko) 기능성 쓰레받기
EP1090562A3 (en) Method of operating plastic clip, and plastic clip using same method
KR101828795B1 (ko) 서랍의 레일조립장치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200388738Y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JP2005035752A (ja) ゴミ容器の袋保持具
KR20210030722A (ko) 밀폐구조를 갖는 쓰레기통
CN214778274U (zh) 一种便于套垃圾袋的垃圾桶
CN210028501U (zh) 一种可自动解锁盒盖的保鲜盒
KR200482668Y1 (ko) 물티슈용 덮개 케이스
KR101927704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CN218113598U (zh) 容器盖及容器
KR101927703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CN211961307U (zh) 衣物处理设备
JP3602651B2 (ja) ティシュペーパ類収納容器
JP3165262U (ja) 収納袋保持具
KR20130002515U (ko) 가구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