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15Y1 - One-touch folding table - Google Patents

One-touch folding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15Y1
KR200479615Y1 KR2020140003152U KR20140003152U KR200479615Y1 KR 200479615 Y1 KR200479615 Y1 KR 200479615Y1 KR 2020140003152 U KR2020140003152 U KR 2020140003152U KR 20140003152 U KR20140003152 U KR 20140003152U KR 200479615 Y1 KR200479615 Y1 KR 200479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state
le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1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3951U (en
Inventor
김태곤
Original Assignee
김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곤 filed Critical 김태곤
Priority to KR2020140003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615Y1/en
Publication of KR20150003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5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1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또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한 번의 동작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시 부피를 졸일 수 있어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고,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가 걸림수단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사용 중 자연 접힘이나 보관 및 이송시 자연 펼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folding table used indoors or indoors,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a single operation so that it can be bulged when used indoors or outdoors,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stored, Touch folding table capable of preventing natural folding during use or natural folding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by fixing the folded state by the engaging means.

Description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One-touch folding table}One-touch folding table

본 고안은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한 번의 동작으로 테이블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시 부피를 졸일 수 있어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고,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가 걸림수단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사용 중 자연 접힘이나 보관 및 이송시 자연 펼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folding table used indoors or outdoors. Specifically, the folding table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a user in a single operation, Touch folding table capable of preventing natural folding during use or natural folding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by fixing the unfol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by the engaging means.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4841호(공개일자: 2013년 11월 15일) 휴대용 접철식 식탁은,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24841 (Open Date: November 15, 2013) The portable folding-

휴대용 접철식 식탁에 있어서,In a portable folding table,

일측 모서리에는 다리(40)가 끼워지도록 대응되게 끼움홈(26)을 형성하며, 일측 테두리에는 'ㄱ'형상으로 절곡된 스토퍼면(27)을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면(27)의 단부에는 한 개 이상의 경첩(28)을 형성한 조각편(21,22,23,24)과;A stopper surface 27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topper surface 27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g 40. The end surface of the stopper surface 27 is formed with a U- (21, 22, 23, 24) formed with at least one hinge (28);

얇은 판 형상의 금속을 사등분한 조각편(21,22,23,24)을 끼움 결합한 상판(20)과;An upper plate (20) fitted with sliced pieces (21, 22, 23, 24) of thin plate - shaped metal;

상기 제1·제3 조각편(21,23)의 전방에는 제2·제4 조각편(22,24)의 결합부(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지게 형성한 결합보조편(31) 및 양측에 형성된 결합편(30)과;A coupling assisting piece 3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nd third pieces 21 and 23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33 of the second and fourth pieces 22 and 24 can be inserted. A coupling piece 30 formed;

상기 조각편(21,22,23,24)의 경첩(28)을 서로 연접시킨 후 접철식으로 작동되게 경첩(28)에 내입하는 축핀(50)과;A shaft pin (50) connecting the hinge (28) of the pieces (21, 22, 23, 24) to the hinge (28) so as to be operated in a folding manner;

환봉을 절곡하여 구성하며, 상부에는 끼움홈(26)에 끼워지도록 양측으로 회전축(41)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V'형상으로 받침부(43)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부(43)와 회전축(41) 사이에는 상판(20)을 받쳐주고 다리(40)의 회동을 제어하는 스토퍼부(42)를 형성한 다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tary shaft 41 is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6.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a V-shaped receiving portion 43, And a leg 40 having a stopper portion 42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20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leg 40 between the rotary shafts 41.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67083호(등록일: 2013년 05월 21일) 접이식 테이블은,Also,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67083 (registered on May 21, 2013)

제1판과 제2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판과 상기 한 쌍의 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한 번의 동작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A folding table folded or unfolded in a single operation by a pair of plates comprising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and a leg supporting the pair of plates,

서로 인접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며 제1 판(110a)과 제2 판(110b)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판과;A pair of plates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mprising a first plate (110a) and a second plate (110b);

상기 한 쌍의 판이 접히도록 상기 제1 판(110a)과 제2 판(110b)을 서로 연결하는 판 회동 힌지 결합구(110c)와;A plate rotating hinge coupling 110c connecting the first plate 110a and the second plate 110b to each other such that the pair of plates are folded;

상기 한 쌍의 판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판(110a)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다리(121)와 상기 제2 판(110b)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다리(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다리(121)와 제2 다리(124)는 서로 교차하도록 굴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리(121)와 제2 다리(124)의 교차 회동점에는 제1 회동축(A1)이 연결되어 있는 제1 지지부(120)와;A first leg 121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a and a second leg 121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10b, And the first leg 121 and the second leg 124 are bent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first leg 121 and the second leg 124 are bent at intersecting points of the first leg 121 and the second leg 124, A first support portion 120 to which the pivotal axis A1 is connected;

상기 한 쌍의 판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판(110a)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다리(141)와 상기 제2 판(110b)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4 다리(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다리(141)와 제4 다리(144)는 서로 교차하도록 굴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다리(141)와 제4 다리(144)의 교차 회동점에는 제2 회동축(A2)이 연결되는 있는 제2 지지부(140)와;A third leg 141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a and a fourth leg 141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10b, And the third leg 141 and the fourth leg 144 are bent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ng points of the third leg 141 and the fourth leg 144 form a second A second support portion 140 to which the rotation axis A2 is connected;

일단은 상기 제1 판(110a)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지지부(120)에 조립되어 상기 제1 지지부(120)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테이블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고정대(131); 및 일단은 상기 제2 판(110b)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지지부(140)에 조립되어 상기 제2 지지부(140)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테이블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고정대(151);를 포함하되,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a and the other end is assemb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so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is rotated inward to prevent the table from collapsing. A fixing table 131; And one end thereof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10b and the other end is assembl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140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140 is rotated inward to prevent the table from collapsing 2 fixing table 151,

상기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40)가 접힐 때 상기 접힘 동작 중인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40)가 겹치지 않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기 제1 지지부(120)와 제2 지지부(140)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4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40 do not overlap when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40 are folded.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0 are disposed at positions displaced from each oth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철기능이 있는 테이블들은 테이블의 상판 및 다리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으나, 테이블을 접거나 펼치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접거나 펼처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없이 사용 중 흔들림 또는 눌림에 의한 자연접힘되어 테이블에 안착된 물건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접혀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펼쳐져 손가락 부위가 힌지 부분에 끼여 다치는 등의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folding table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volume by folding the top plate and legs of the table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and moved indoors or outdoors. However,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table is very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bjects that are seated on the table are broken by natural folding due to shaking or pressing during use and it is naturally spread in the process of folding, And the hinge portion is caught in the hinge portion.

따라서 사용자가 한 번의 동작으로 테이블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며 테이블을 접히거나 펼친 상태를 자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판이 자연회전하여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원액션 테이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fold or unfold the table in a single operation, so that it can be used by anyone, male and female, and can fix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of the table. You need to provide a one-action tabl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판과 제2판이 여러 개의 힌지에 의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판의 하면에 한 쌍의 다리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한번의 동작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판이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힌지 중 하나에 고정기능을 부가하여 상판이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nge structure in which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are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an upper plate rotatab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hinges, A folding table that is folded or unfolded in one operation is provided, and a fixing function is add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hinges so that the top plate can be kept folded or folded so that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Touch folding table that can be used safely and safel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으로 구성된 한 쌍의 상판(10);A pair of upper plates (10) composed of a first upper plate (11) and a second upper plate (12);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조립되는 여러 개의 힌지(20);A plurality of hinges (20) assembled to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조립되는 제1연결판(31)과 제2연결판(32)이 회전축(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제1연결판(31)에 형성된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311)에 재2연결판(32)과 같이 회전하는 걸림봉(35)이 스프링(36)에 의하여 상태유지홈(311)에 끼움되어 상판(10)의 상태를 고정시키는 걸림수단(30);The first connecting plate 31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32 assemb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are rotatably connected by the rotary shaft 33, A retaining bar 35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late 32 is inserted into the state retaining grooves 311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31 by the spring 36, 1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바닥면에 연결부(41)에 의하여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ㄹ"형태의 한 쌍의 다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air of legs (40) in the form of "d",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by a connecting portion (41) .

상기 걸림수단(30)은 제1상판(11)의 일측에 조립되며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3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31);The engaging means 3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late 31, which is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has a plurality of state holding grooves 311 formed therein,

제2상판(12)의 일측에 조립되며 양측에 장홈(3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32);A second connecting plate 32 formed in one side of the second upper plate 12 and having a groove 32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제1연결판(31)과 제2연결판(32)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3);A rotation shaft 33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late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32;

상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가이드홈(341)이 회전축(33)에 끼움되고 내부에 상기 상태유지홈(311)에 일부 삽입되는 걸림봉(35)이 회전축(33)에 스프링(36)으로 연결되는 손잡이(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 retaining bar 35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late 32 and having a pair of guide grooves 341 inserted in the rotation axis 33 and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tate retaining groove 311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axis And a handle (34) connected by a spring (36) to the handle (33).

상기 상판(10)과 다리(40)의 연결부분에는 다리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회전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eg 40 may further include a pad for preventing scratching of the leg and preventing friction during rotation.

상기 상판(10)은 금속판 또는 목재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plate 10 is formed of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metal plate or a wood plat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은 테이블 상판과 다리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고 제1상판과 제2상판이 힌지에 의하여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판의 회전에 의하여 다리가 자동적으로 동시 회전하여 테이블이 펼쳐지고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한 번의 동작으로 테이블을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otates the legs simultaneously by rotating the upper plate,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able top plate and the leg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upper plate and the second upper plate are rotated by the hinges The table can be folded and folded so that the table can be easily folded or unfolded in a single operation, making it easy for anyone, both young and old, to use it easily.

또한, 테이블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접거나 펼쳐진 상태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사용 중 눌림이나 흔들림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중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 중 자연 펼쳐짐이 방지되어 손가락의 끼임과 같은 사고 없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folded or unfolded,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hereby preventing natural folding or unfolding due to pressing or shaking during use, so that it can be safely used during use, So that it can be safely moved without accident such as pinch of a fing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의 저면을 보인 사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의 부분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의 걸림수단의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이 접힌 상태의 걸림수단의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이 접히는 과정을 보인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ottom of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bottom view of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engag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engaging means in the folded state of the one-touch foldabl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show photographs show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one-touch foldabl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의 저면을 보인 사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의 부분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foldabl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bottom of a one-touch foldabl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bottom view of a one-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ing means in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100)은 크게 한 쌍의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을 연결하는 힌지(20)와, 상기 상판(10)의 접거나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수단(30) 및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다리(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one-touch folding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nge 20 for connecting a pair of upper plates 10 and the upper plate 10, and a hinge 20 for fixing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of the upper plate 10 And a pair of legs 40 rotatably assemb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The legs 4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상기 상판(10)은 목재 또는 금속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판(11)과 제2판(12)의 일측이 힌지(20)로 연결되어 서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The upper plate 10 may be formed of wood or a metal plate and one side of the first plate 11 and the second plate 12 is connected to the hinge 20 so as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힌지(20)는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길이방향으로 하나이상 설치되며 연결부분의 일측에는 상판(10)이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수단(30)을 설치하여 상판(10)의 자연회전을 방지한다.One or more hinges 20 are provid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plate 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Means (30) are provided to prevent natural rotation of the top plate (10).

상기 걸림수단(30)은 제1상판(11)에 고정되며 일측에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3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31)과, 제2상판(12)에 고정되며 양측에 장홈(3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32)이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33)에 의하여 힌지와 같은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상판(10)에 연결되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한 쌍의 가이드홈(341)이 형성된 손잡이(34) 내측에 회전축(33)과 스프링(36)으로 연결되는 걸림봉(35)으로 구성된다.The engaging means 3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late 31 fixed to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state holding grooves 3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31 fixed to the second upper plate 12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32 having a groove 32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10 in the form of a hinge by a rotation shaft 33 connected to the center, And a latching bar 35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andle 34 having a pair of guide grooves 341 formed inside the plate 32 by a rotation shaft 33 and a spring 36.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걸림수단(30)의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서 상판의 자연회전에 따른 접힘 또는 펼쳐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the folding or unfold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maintained by the structure of the engaging means 3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folding or unfolding of the upper plate due to natural rotation can be prevented, .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걸림수단(30)의 동작과정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ngaging means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의 걸림수단의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이 접힌 상태의 걸림수단의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FIG. 5 is a side view of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one-touch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ded state.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판(31)과 제2연결판(32)이 직선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걸림봉(35)이 일측의 상태유지홈(311)에 일부분이 끼움되어 상판(1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The engaging rod 35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tate retaining groove 311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ng plate 31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32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unfolded state is maintained.

또한, 상기 걸림봉(35)은 회전축(33)과 연결된 스프링(36)에 의하여 상태유지홈(311)에 끼움된 상태가 유지되어 자연회전이 방지된다.Further, the latching rod 35 is held in the state holding groove 311 by the spring 36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33, thereby preventing natural rotation.

상기와 같이 상판(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이블을 접기 위하여 손잡이(34)를 당기면 걸림봉(35)이 스프링(36)의 탄성을 이기며 후진하여 상태유지홈(311)으로부터 빠짐되고 자연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변형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34 to fold the table in the state that the upper plate 10 is unfolded as described above, the latching rod 35 catche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6 and retracts to be removed from the state holding groove 311, Is transformed into a possible form.

또한, 상기 손잡이(36)는 걸림봉(35)의 양끝부분이 제2연결판(32)의 장홈(321)에 삽입됨으로써 진행방향의 변동 없이 전 후진만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handle 36 is form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latching bar 35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321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32 so that the handle 36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any change in the traveling direction.

상기와 같이 걸림봉(35)이 상태유지홈(311)에서 분리되어 상판(10)이 자연회전하는 과정에서 걸림봉(35)은 스프링(36)에 의하여 제1연결판(3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계속 접힘되어 걸림봉(35)이 다른 위치의 상태유지홈(311)에 근접하면 스프링(36)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봉(35)이 형성된 손잡이(34)가 전진하여 걸림봉(35)의 일측이 다른 위치의 상태유지홈(311)에 끼움되어 접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The hooking rod 35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31 by the spring 36 in the course of the natural rotation of the upper plate 10 by separating the latching rod 35 from the state holding groove 311, The handle 34 having the latching bar 35 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6 is moved forward when the latching bar 35 comes close to the state holding groove 311 at another position So that one side of the latching bar 35 is fitted into the state retaining groove 311 at another position, and the folded state is firmly maintained.

상기와 같이 걸림봉(35)이 끼움되는 상태유지홈(311)의 위치에 따라서 상판이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The upper plate is folded or unfol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lding groove 311 in which the latching bar 35 is inserted.

상기 다리(40)는 대략 "ㄹ"형태를 갖으며 일측이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에 연결부(4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판(10)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상판(10)과 동시에 회전하여 상판(1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상판이 접힌 상태가 슬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The legs 40 have an approximately "d" shape and are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by the connecting portions 41 so that the upper plate 10 is folded The upper plate 10 is rotated simultaneously with the upper plate 10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so that the folded state of the upper plate 10 is slimly formed.

또한, 상기 다리(40)와 연결부(41)가 밀착되는 부분에는 다리(40) 연결부분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서로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패드(미도시)를 더 형성할 수 있다.A pad (not shown)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may be further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leg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41 to prevent scratch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eg 40 and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leg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41.

상기와 같은 다리의 구체적인 접철과정은 도 7 내지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판(10)이 접히는 과정에서 한 쌍의 다리(40)는 연결부(41)과의 연결부분이 미끄러지면서 다리(40)가 상판(10)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상판(10)의 내면에 밀착되고 펼쳐지는 과정에서는 다리(40)가 회전하여 상판(10) 하부로 펼쳐짐으로서 테이블의 형태를 갖춘다.7 to 9,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upper plate 10, the pair of legs 40 are sli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41, The leg 40 rotates and spreads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to form a table.

상기와 같은 다리의 형태에 의하여 테이블의 보관 및 사용을 위하여 별도의 상판과 다리를 조립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사용자가 테이블을 접거나 펼치는 한번의 동작으로 테이블을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사용 또는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By the above-mentioned shape of the legs, there is no need to assemble a separate top plate and a leg for storing and using the table, and by transforming the table into a form in which the table can be stored and used by a single operation of folding or unfolding the table It is easy to use or store.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상판 11 : 제1상판
12 : 제2상판 20 : 힌지
30 : 걸림수단 31 : 제1연결판
311 : 상태유지홈 32 : 제2연결판
321 : 장홈 33 : 회전축
34 : 손잡이 35 : 걸림봉
36 : 스프링 40 : 다리
41 : 연결부
10: upper plate 11: first upper plate
12: second upper plate 20: hinge
30: engaging means 31: first connecting plate
311: state retaining groove 32: second connecting plate
321: groove 33: rotating shaft
34: handle 35: latching rod
36: spring 40: leg
41:

Claims (4)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으로 구성된 한 쌍의 상판(1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조립되는 여러 개의 힌지(2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조립되는 제1연결판(31)과 제2연결판(32)이 회전축(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제1연결판(31)에 형성된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311)에 재2연결판(32)과 같이 회전하는 걸림봉(35)이 스프링(36)에 의하여 상태유지홈(311)에 끼움되어 상판(10)의 상태를 고정시키는 걸림수단(3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바닥면에 연결부(41)에 의하여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ㄹ"형태의 한 쌍의 다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A pair of upper plates (10) composed of a first upper plate (11) and a second upper plate (12);
A plurality of hinges (20) assembled to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The first connecting plate 31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32 assemb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are rotatably connected by the rotary shaft 33, A retaining bar 35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late 32 is inserted into the state retaining grooves 311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31 by the spring 36, 10);
And a pair of legs (40) in the form of "d",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2) by a connecting portion (41) One-touch folding t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30)은 제1상판(11)의 일측에 조립되며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3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31);
제2상판(12)의 일측에 조립되며 양측에 장홈(3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32);
상기 제1연결판(31)과 제2연결판(32)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3);
상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가이드홈(341)이 회전축(33)에 끼움되고 내부에 상기 상태유지홈(311)에 일부 삽입되는 걸림봉(35)이 회전축(33)에 스프링(36)으로 연결되는 손잡이(34);를 포함하며,
여기서, 손잡이(34)를 당김하면 걸림봉(35)이 스프링(36)의 탄성을 이기면서 상태유지홈(311)으로부터 이탈하여 상판(10)의 자연회전을 가능하게하고 손잡이(34)를 놓으면 걸림봉(35)이 제1연결판(3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태유지홈(311)에 삽입되어 상판의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means 3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late 31, which is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first upper plate 11 and has a plurality of state holding grooves 311 formed therein,
A second connecting plate 32 formed in one side of the second upper plate 12 and having a groove 32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rotation shaft 33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late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32;
A retaining bar 35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late 32 and having a pair of guide grooves 341 inserted in the rotation axis 33 and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tate retaining groove 311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axis And a handle (34) connected to a spring (36)
Here, when the knob 34 is pulled, the latching bar 35 is released from the state holding groove 311 while allow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6 to allow the natural rotation of the upper plate 10 and releasing the knob 34 Wherein the engaging rod (35) is rotat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31) and inserted into the state retaining groove (311) to maintain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of the upper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과 다리(40)의 연결부분에는 다리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회전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eg (40) further comprises a pad for preventing scratching of the leg and preventing friction during rot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금속판 또는 목재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late (10) is formed of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metal plate or a wood plate.
KR2020140003152U 2014-04-21 2014-04-21 One-touch folding table KR2004796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152U KR200479615Y1 (en) 2014-04-21 2014-04-21 One-touch folding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152U KR200479615Y1 (en) 2014-04-21 2014-04-21 One-touch folding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51U KR20150003951U (en) 2015-10-29
KR200479615Y1 true KR200479615Y1 (en) 2016-02-26

Family

ID=5443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152U KR200479615Y1 (en) 2014-04-21 2014-04-21 One-touch folding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15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474Y1 (en) 2001-03-15 2001-10-08 김상훈 Fixed latch equipment of portable folding t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474Y1 (en) 2001-03-15 2001-10-08 김상훈 Fixed latch equipment of portable folding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51U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934Y1 (en) Portable foot rest
USD515941S1 (en) Muffin tray
USD515943S1 (en) Muffin tray
US1133109A (en) Folding foot-rest.
US20070079441A1 (en) Foldable articulation for playpen
US20190090626A1 (en) Folding table
KR200471815Y1 (en) Reading board
USD513596S1 (en) Muffin tray
US7748667B1 (en) Folding portable laptop stand
US7717045B2 (en) Folding table
US10292504B2 (en) Footres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79615Y1 (en) One-touch folding table
US9277807B2 (en) Tree stand table device
US20070012228A1 (en) Foldable support for foldable furniture
KR200480902Y1 (en) portable table
KR200479697Y1 (en) One-touch table is easy to carry and install
KR100803673B1 (en) Pack for both drawing paper and picture frame
KR20150061223A (en) Collapsible table
KR101862572B1 (en) Fixed apparatus for folder type table leg using button
KR101890032B1 (en) The supporter for frame
TWI721920B (en) Folding table
JP6983141B2 (en) Use of a cleaning tool handle, a cleaning tool equipped with the cleaning tool handle, and a cleaning sheet for the cleaning tool.
JP6159006B1 (en) Circular fan with handle
KR101809422B1 (en) Table for lecture
GB2457804A (en) Portable and collapsible baby changing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