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417Y1 -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417Y1
KR200478417Y1 KR2020110003235U KR20110003235U KR200478417Y1 KR 200478417 Y1 KR200478417 Y1 KR 200478417Y1 KR 2020110003235 U KR2020110003235 U KR 2020110003235U KR 20110003235 U KR20110003235 U KR 20110003235U KR 200478417 Y1 KR200478417 Y1 KR 200478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splay
coupled
main body
insert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344U (ko
Inventor
전경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발트레이
가부시키가이샤 네프로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발트레이, 가부시키가이샤 네프로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발트레이
Priority to KR2020110003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41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1본체, 제2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2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림된 제1기어와 제2기어를 갖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1본체와 제2본체를 펼치거나 접는 작업에 대한 편리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본체와 제2본체를 펼치거나 접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본 고안은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기 분야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를 타블렛(Tablet) PC가 대체하고 있다. 여기서, 타블렛 PC란 기존 컴퓨터에서 키보드 대신에 스타일러스 펜이나 터치 디스플레이를 주 입력장치로 하는 휴대용 PC를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타블렛 PC는 이동성이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타블렛 PC는 이동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타블렛 PC를 이용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현재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나,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메뉴화면, 및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결과 화면 등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화면과 교번하여 출력할 수 밖에 없어 이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제1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1본체, 제2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2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된 제1기어, 및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된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림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은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1본체와 제2본체를 펼치거나 접는 작업에 대한 편리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본체와 제2본체를 펼치거나 접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제1디스플레이와 제2디스플레이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제1본체와 제2본체가 펼쳐지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넓은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접혀지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타블렛 PC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180°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영상 처리 모듈에 의한 해상도 확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180°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기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1디스플레이(10)가 설치된 제1본체(2),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20)가 설치된 제2본체(3), 및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기구(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펼쳐지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10)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모두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접혀지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2개의 디스플레이(10, 20)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사용자에게 더 넓은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것에 대한 편리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접혀지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본체(2), 상기 제2본체(3), 상기 연결기구(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본체(2)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1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10)는 소정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10)는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터치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10)가 설치될 수 있는 형태이면 타원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본체(3)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20)는 소정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기영동표시장치(EPD)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20)는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터치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20)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10)는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출력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본체(3)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설치될 수 있는 형태이면 타원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4)에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는 펼쳐지게 회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는 서로 180°를 이루며 펼쳐지게 회전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는 접혀지게 회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4)는 상기 제1본체(2)에 연결된 제1기어(41, 도 6에 도시됨), 및 상기 제2본체(3)에 연결된 제2기어(42,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어(41)와 상기 제2기어(42)는 서로 맞물림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는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사용자가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 중에서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를 펼치거나 접는 작업에 대한 편리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를 펼치거나 접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기어(41)는 복수개의 제1기어이(Gear Tooth)(41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2기어(42)는 복수개의 제2기어이(42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1본체(2, 도 6에 도시됨)와 상기 제2본체(3, 도 6에 도시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기어이(411)들과 상기 제2기어이(421)들이 서로 맞물림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어(41)와 상기 제2기어(4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이(411)들은 상기 제1기어(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이(421)들은 상기 제2기어(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이(411)들이 서로 이격된 각도 및 상기 제2기어이(421)들이 서로 이격된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기어이(411)들은 상기 제1기어(41)가 갖는 제1둘레면(41a) 중에서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이(411)들은 상기 둘레면(41a) 중에서 180°범위 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이(421)들은 상기 제2기어(42)가 갖는 제2둘레면(42a) 중에서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이(421)들은 상기 제2둘레면(42a) 중에서 180°범위 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4)는 상기 제1기어(41)가 결합되는 제1회전부재(43, 도 6에 도시됨), 상기 제2기어(42)가 결합되는 제2회전부재(44, 도 6에 도시됨), 및 상기 제1회전부재(43)와 상기 제2회전부재(4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45,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43)에는 상기 제1본체(2)가 결합된다. 상기 제1회전부재(43)는 상기 제1본체(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4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하면, 상기 제1기어(41)에 맞물림된 제2기어(42)가 상기 제1기어(4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본체(3)가 상기 제1본체(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43)는 상기 제1기어(41)가 결합된 제1샤프트(431, 도 6에 도시됨), 및 상기 제1본체(2)가 결합된 제1결합부재(432,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43)는 상기 제1샤프트(431)가 상기 하우징(45)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432)가 상기 하우징(45) 외부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432)가 상기 하우징(45)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1결합부재(432)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1결합부재(43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하우징(45)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펼쳐졌을 때 상기 하우징(45)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거리를 줄임으로써, 상기 제1디스플레이(1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출력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에는 상기 하우징(45)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2)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10)가 상기 제2디스플레이(20)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1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출력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일체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431)와 상기 제1결합부재(43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전부재(43)에는 상기 하우징(45)이 관통하기 위한 제1관통공(433,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431)와 상기 제1결합부재(432)는 상기 제1관통공(43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432)는 상기 제1본체(2)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43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43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2회전부재(44)에는 상기 제2본체(3)가 결합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44)는 상기 제2본체(3)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재(4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하면, 상기 제2기어(42)에 맞물림된 제1기어(41)가 상기 제2기어(4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2)가 상기 제2본체(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재(44)는 상기 제2기어(42)가 결합된 제2샤프트(441, 도 6에 도시됨), 및 상기 제2본체(3)가 결합된 제2결합부재(442,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부재(44)는 상기 제2샤프트(441)가 상기 하우징(45)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442)가 상기 하우징(45) 외부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442)가 상기 하우징(45)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2본체(3)와 상기 제2결합부재(442)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2결합부재(44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하우징(45)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펼쳐졌을 때 상기 하우징(45)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거리를 줄임으로써, 상기 제1디스플레이(1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출력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본체(3)에는 상기 하우징(45)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본체(3)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10)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1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20)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출력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일체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441)와 상기 제2결합부재(4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회전부재(44)에는 상기 하우징(45)이 관통하기 위한 제2관통공(443,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441)와 상기 제2결합부재(442)는 상기 제2관통공(44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42)는 상기 제2본체(3)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44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44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45) 내부에는 상기 제1기어(41)와 상기 제2기어(42)가 위치된다. 상기 제1회전부재(43)는 상기 제1기어(41)가 상기 하우징(45)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재(44)는 상기 제2기어(42)가 상기 하우징(45)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5)은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45)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4)는 제1고정부재(46, 도 7에 도시됨) 및 제1탄성부재(47,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46)는 제1돌기(412, 도 8에 도시됨)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461, 도 8에 도시됨)을 복수개 포함한다. 상기 제1돌기(412)는 상기 제1기어(41)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46)를 향하는 방향(A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으로 상기 제1기어(4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6)는 상기 제1회전부재(4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6)는 상기 제1돌기(412)와 상기 제1삽입홈(461)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기 위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가 상기 제1삽입홈(461)들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고정부재(46)는 상기 제1돌기(412)에 밀려서 상기 제1기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47)는 상기 제1고정부재(46)에 밀려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6)가 상기 제1기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는 상기 제1삽입홈(461)들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가 상기 제1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형성된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고정부재(46)는 상기 제1탄성부재(47)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기어(41)에 가까워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47)는 인장되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46)를 상기 제1기어(41)에 가까워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6)가 상기 제1기어(41)에 가까워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는 상기 제1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고정부재(46)에는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홈(461)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41)는 상기 제1샤프트(431, 도 9에 도시됨)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461)들은 상기 제1기어(4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삽입홈(461)들은 상기 제1기어(4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90°씩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는 상기 제1본체(2)가 90°씩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본체(2)는 90°씩 회전한 후, 해당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삽입홈(461)들은 상기 제1기어(4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90°보다 작은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46)에 4개의 제1삽입홈(46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삽입홈(461)들이 서로 이격된 각도에 따라 4개 이상의 제1삽입홈(46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삽입홈(461)들은 각각 상기 제1기어(41)를 향할수록(B 화살표 방향, 도 10에 도시됨)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461)들은 각각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기어(41)를 향할수록(B 화살표 방향)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412)는 상기 제1고정부재(46)를 향할수록(A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412)는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46)를 향할수록(A 화살표 방향)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를 상기 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제1본체(2) 및 상기 제2본체(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과다한 힘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41)에는 상기 제1돌기(412)가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41)에는 상기 제1돌기(412)가 180°를 이루며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412)들은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함에 따라 서로 다른 제1삽입홈(46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기어(41)에는 상기 제1돌기(412)가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47)는 상기 제1기어(4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가 상기 제1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4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47)는 상기 제1고정부재(46)에서 상기 제1기어(41)를 향하는 방향(B 화살표 방향, 도 10에 도시됨)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46)를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기(412)가 상기 제1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는 상기 제1탄성부재(47)가 상기 제1고정부재(46)를 미는 힘에 의해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7)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4)는 상기 제1탄성부재(47)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11,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11)는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47)는 상기 제1지지부재(1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돌기(412)에 밀려서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제1돌기(412)가 상기 제1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됨에 따라 인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47)는 상기 제1지지부재(11)를 기준점으로 하여 압축될 수 있고, 인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7)의 타측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46)가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6)는 상기 제1탄성부재(47)가 압축되거나 인장됨에 따라 상기 제1기어(41)에 가까워지는 방향(A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과 상기 제1기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 도 10에 도시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탄성부재(47)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타원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샤프트(431)는 상기 제1기어(41), 상기 제1돌기(411), 상기 제1고정부재(46), 상기 제1탄성부재(47) 및 상기 제1지지부재(11)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기어(41), 상기 제1돌기(411), 상기 제1고정부재(46), 상기 제1탄성부재(47) 및 상기 제1지지부재(11)에는 각각 상기 제1샤프트(431)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어(41)와 상기 제1돌기(411)는 상기 제1샤프트(43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6), 상기 제1탄성부재(47) 및 상기 제1지지부재(11)는 상기 제1샤프트(43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고정부재(46), 상기 제1탄성부재(47) 및 상기 제1지지부재(11)에 형성된 관통공들은 상기 제1샤프트(431) 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4)는 제2고정부재(48, 도 7에 도시됨) 및 제2탄성부재(49,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제2돌기(422, 도 8에 도시됨)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481, 도 8에 도시됨)을 복수개 포함한다. 상기 제2돌기(422)는 상기 제2기어(42)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48)를 향하는 방향(A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으로 상기 제2기어(4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제2회전부재(4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제2돌기(422)와 상기 제2삽입홈(481)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기 위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가 상기 제2삽입홈(481)들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제2돌기(422)에 밀려서 상기 제2기어(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부재(49)는 상기 제2고정부재(48)에 밀려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가 상기 제2기어(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는 상기 제2삽입홈(481)들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가 상기 제2삽입홈(481)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형성된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제2탄성부재(49)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기어(42)에 가까워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부재(49)는 인장되면서 상기 제2고정부재(48)를 상기 제2기어(42)에 가까워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8)가 상기 제2기어(42)에 가까워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는 상기 제2삽입홈(48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고정부재(48)에는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삽입홈(481)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42)는 상기 제2샤프트(441, 도 9에 도시됨)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481)들은 상기 제2기어(4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삽입홈(481)들은 상기 제2기어(4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90°씩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는 상기 제2본체(3)가 90°씩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삽입홈(48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본체(3)는 90°씩 회전한 후, 해당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삽입홈(481)들은 상기 제2기어(4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90°보다 작은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48)에 4개의 제2삽입홈(48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삽입홈(481)들이 서로 이격된 각도에 따라 4개 이상의 제2삽입홈(48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삽입홈(481)들은 각각 상기 제2기어(42)를 향할수록(B 화살표 방향, 도 10에 도시됨)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481)들은 각각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기어(42)를 향할수록(B 화살표 방향)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422)는 상기 제2고정부재(48)를 향할수록(A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422)는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48)를 향할수록(A 화살표 방향)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를 상기 삽입홈(461)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제1본체(2) 및 상기 제2본체(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과다한 힘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42)에는 상기 제2돌기(422)가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42)에는 상기 제2돌기(422)가 180°를 이루며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422)들은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서로 다른 제2삽입홈(48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가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기어(42)에는 상기 제2돌기(422)가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탄성부재(49)는 상기 제2기어(4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가 상기 제2삽입홈(48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48)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탄성부재(49)는 상기 제2고정부재(48)에서 상기 제2기어(42)를 향하는 방향(B 화살표 방향, 도 10에 도시됨)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48)를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돌기(422)가 상기 제2삽입홈(48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는 상기 제2탄성부재(49)가 상기 제2고정부재(48)를 미는 힘에 의해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49)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4)는 상기 제2탄성부재(49)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12,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12)는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부재(49)는 상기 제2지지부재(12)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돌기(422)에 밀려서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제2돌기(422)가 상기 제2삽입홈(481)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됨에 따라 인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탄성부재(49)는 상기 제2지지부재(12)를 기준점으로 하여 압축될 수 있고, 인장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49)의 타측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48)가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상기 제2탄성부재(49)가 압축되거나 인장됨에 따라 상기 제2기어(42)에 가까워지는 방향(A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과 상기 제2기어(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B 화살표 방향, 도 10에 도시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탄성부재(49)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타원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샤프트(441)는 상기 제2기어(42), 상기 제1돌기(411), 상기 제2고정부재(48), 상기 제2탄성부재(49) 및 상기 제2지지부재(12)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4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기어(42), 상기 제1돌기(411), 상기 제2고정부재(48), 상기 제2탄성부재(49) 및 상기 제2지지부재(12)에는 각각 상기 제2샤프트(441)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기어(42)와 상기 제1돌기(411)는 상기 제2샤프트(44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48), 상기 제2탄성부재(49) 및 상기 제2지지부재(12)는 상기 제2샤프트(44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고정부재(48), 상기 제2탄성부재(49) 및 상기 제2지지부재(12)에 형성된 관통공들은 상기 제2샤프트(441) 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46)와 상기 제2고정부재(48)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11)와 상기 제2지지부재(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터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버튼(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단축버튼(13)을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20) 상에서 메뉴 화면을 표시하거나, 이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으로 회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본체(2)와 상기 제2본체(3)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음성 출력을 위한 단자연결부, USB 포트, 메모리카드 삽입부, 전원버튼, 마우스 입력단자, 및 키보드 입력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영상 처리 모듈에 의한 해상도 확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중앙처리부(110) 및 영상처리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부(110)는 소정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출력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중앙처리부(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관련된 출력영상을 생성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메뉴화면,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110)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1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20)의 초기 구동시에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아이콘들이 배치된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모듈(120)은 출력영상의 해상도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해상도로 확장하고, 확장된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출력영상을 2개로 분할하여 제1서브출력영상 및 제2서브출력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영상처리모듈(1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0*960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출력영상(210)을 800*960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출력영상으로 확장하고, 확장된 출력영상(210)을 400*960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제1서브출력영상(220) 및 400*960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제2서브출력영상(230)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출력영상(220)의 가로측은 0번 픽셀부터 399번 픽셀로 구성될 수 있고, 제2서브출력영상(230)의 가로측은 400번 픽셀부터 799번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영상처리모듈(120)이 비디오 메모리를 확장하는 방식을 통해 출력영상의 해상도를 확장하여 두 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두 개의 영상을 독립적으로 인식하도록 운영 체재를 수정함으로써 단말기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한 두 개의 영상이 출력 되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디스플레이(10, 20)를 이용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의 운영 속도가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영상처리모듈(120)은 상기 중앙처리부(110)로부터 하나의 출력영상이 입력되면, 하나의 출력영상의 해상도를 확장한 후 제1서브출력영상 및 제2서브출력영상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10, 20)로 각각 제공하지만, 2개의 서로 다른 출력영상이 입력되면, 2개의 출력영상 중 제1출력영상은 제1디스플레이(10)로 제공하고, 제2출력영상은 제2디스플레이(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20)를 통해 서로 다른 출력영상을 각각 출력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20)가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중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모듈(120)은 상기 중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방향 변경 정보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또한 방향 변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그 방향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10)는 상기 제1서브출력영상 또는 상기 출력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20)는 상기 제2서브출력영상 또는 상기 출력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20)는 상기 터치전극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부(11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출력영상은 제1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관련된 영상이고, 상기 제2서브출력영상은 제2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2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고, 실행에 관련된 화면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20)를 통해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출력영상은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아이콘들이 배치되어 있는 영상이고, 상기 제1서브출력영상은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아이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아이콘의 선택에 따른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구동 관련 영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20)를 통해 단축 아이콘들이 배치되어 있는 메뉴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2디스플레이(20) 상에 출력되고 있는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단축 아이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1디스플레이(10) 상에서 구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서브출력영상은 제1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관련된 영상이고, 상기 제2서브출력영상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메뉴 화면,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출력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상에서 게임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관련된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디스플레이(20) 상에는 게임의 메뉴화면이나 게임의 조작을 위한 키 패드 등을 포함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상에서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디스플레이(20) 상에는 문서 작성을 위한 키보드를 포함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10) 상에는 홀수번째 페이지에 상응하는 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20) 상에는 짝수번째 페이지에 상응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30)은 3G 네트워크와 같은 이동 통신 망이나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의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고안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 제1본체 3 : 제2본체
4 : 연결기구 10 : 제1디스플레이 11 : 제2디스플레이

Claims (12)

  1. 제1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1본체;
    제2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2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된 제1기어,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된 제2기어, 상기 제1기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기, 상기 제1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된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삽입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기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가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기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홈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고정부재를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들은 각각 상기 제1기어를 향할수록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2기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2돌기;
    상기 제2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된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2삽입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에서 상기 제2기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가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제2기어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삽입홈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고정부재를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들은 각각 상기 제2기어를 향할수록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제1기어가 결합된 제1회전부재, 상기 제2기어가 결합된 제2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본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상기 제2본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출력영상의 해상도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해상도로 확장하고, 확장된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출력영상을 분할하여 제1서브출력영상 및 제2서브출력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서브출력영상 또는 상기 출력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서브출력영상 또는 상기 출력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20110003235U 2011-04-15 2011-04-15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78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35U KR200478417Y1 (ko) 2011-04-15 2011-04-15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35U KR200478417Y1 (ko) 2011-04-15 2011-04-15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44U KR20120007344U (ko) 2012-10-24
KR200478417Y1 true KR200478417Y1 (ko) 2015-10-06

Family

ID=4751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235U KR200478417Y1 (ko) 2011-04-15 2011-04-15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4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3017B2 (en) 2018-02-28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470B1 (ko)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3017B2 (en) 2018-02-28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44U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045B2 (en)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EP366117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207438B1 (en)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 flexible hinge structure
JP5517090B2 (ja) ポータブル電子装置
JP5694734B2 (ja) 拡張モジュール及び拡張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JP5551167B2 (ja) 変更可能なインターフェースをもつマルチパネルデバイス
JP2015005786A (ja) 画像表示装置
KR20180062277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4407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TWI519933B (zh) 具有收納功能的電子裝置
JP2011048536A (ja) 電子機器
JP2018508806A (ja) 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拡張構造、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及び端末
JP6323174B2 (ja) 情報機器
KR20170000309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70048232A (ko) 역폴딩 되는 확장화면형 이동단말기
JP2023548784A (ja) 電子機器
JP5979314B2 (ja) 多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該結合装置を備えた電子装置
CN113141427A (zh) 可折叠壳体组件及可折叠电子设备
WO2021008404A1 (zh) 电子设备
KR200478417Y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N202455400U (zh) 一种折叠大屏手机
KR20040025624A (ko)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WO2021008409A1 (zh) 电子设备
WO2022218260A1 (zh) 电子设备
KR2020012833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