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94Y1 -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94Y1
KR200477494Y1 KR2020110003173U KR20110003173U KR200477494Y1 KR 200477494 Y1 KR200477494 Y1 KR 200477494Y1 KR 2020110003173 U KR2020110003173 U KR 2020110003173U KR 20110003173 U KR20110003173 U KR 20110003173U KR 200477494 Y1 KR200477494 Y1 KR 200477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act portion
housing
support
shield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303U (ko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9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4)에 설치되는 터미널(24)에는 와이어(26)의 선단이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26)는 외부를 절연성의 인슐레이션(28)이 형성하고, 내부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심선(30)이 구비된다. 상기 심선(30)을 둘러서는 내측 인슐레이션(32)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인슐레이션(32)을 둘러서는 차폐망(34)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망(34)은 서포트접촉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서포트접촉구(40)는 통형상의 접지접촉부(42)와 상기 접지접촉부(42)에 다수개가 열을 지어 일체로 형성되는 서포트링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링부(44)의 외면에는 상기 차폐망(34)이 둘러싸인 상태로 클램프링(46)이 압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접촉구(40)의 접지접촉부(42)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를 둘러싸는 금속커버(20)의 접촉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의 구성부품이 최소화되고 하우징(10)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Wire earthing apparatus for connector}
본 고안은 와이어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와이어를 하나의 서포트링을 사용하여 접지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되는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거나, 특정 모듈과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최근에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가 사용되면서, 상대적으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와이어의 접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종래에는 와이어의 인슐레이션부 내측에 있는 차폐망을 커넥터 내부의 접지부재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인슐레이션부를 둘러싸는 서포트링에 클램프링을 상기 차폐망을 게재한 상태로 압착하였다. 특히, 상기 서포트링과 클램프링은 각각의 와이어마다 별개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와이어마다 서포트링과 클램프링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다수개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 와이어에 연결된 터미널이 구비되는 하우징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즉, 다수개의 터미널이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의 접지를 위한 서포트링과 클램프링이 위치되는 부분에서 하우징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접압 커넥터에서 다수개의 와이어가 나란히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될 때, 이들 와이어의 접지를 위한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와이어의 심선을 둘러 내측인슐레이션, 차폐망 그리고 인슐레이션이 차례로 구비되는 와이어와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의 접지를 수행하는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폐망이 외면을 둘러싸도록 되는 서포트링부가 다수개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부나 외부에 구비된 접지부재와 접촉되는 접지접촉부가 통형상으로 상기 서포트링부와 일체로 되는 서포트접촉구와, 상기 서포트링부의 외면을 상기 차폐망이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링부에 압착되는 클램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된 금속커버로서 상기 서포트접촉구의 접지접촉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진 접촉부가 중간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의 후단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금속커버의 접촉부와 스페이서리브가 형성된 부분에는 별개로 된 덮게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덮게부에도 상기 접촉부 및 스페이서리브가 구비되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접지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와이어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접지접촉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둘러싸는 접지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서포트링부는 상기 접지접촉부에 열을 지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상기 서포트링부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형상으로 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의 접지를 위해 차폐망을 지지하여 클램프링에 의해 차폐망을 게재한 상태로 둘러싸지는 서포트링을 일체로 형성하여 와이어의 접지를 위한 부분이 하우징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와이어의 접지를 위한 접지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사용되는 커넥터에서 와이어의 접지를 위한 서포트링이 일체로 만들어지므로 다수개의 와이어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에 연결되는 터미널의 설치 위치가 정확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서포트링이 일체로 만들어지므로 와이어 접지장치 전체의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커넥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4)이 내부에 위치되는 터미널설치부(1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설치부(12)가 사각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터미널(24)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2)의 후단부에는 와이어인입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입부(16)는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이 타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와이어인입부(16)의 내측에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26)의 후단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3)와 와이어인입부(16)의 사이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외면을 둘러서는 스톱플랜지(18)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플랜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금속커버(20)와의 상대 위치를 결정해 준다.
상기 하우징(10)을 둘러싸도록 금속커버(20)가 구비된다. 상기 금속커버(2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되는데,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을 둘러쌀 수 있는 형상인데,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즉 상기 터미널설치부(12)의 선단 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금속커버(20)는 상기 터미널설치부(12)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이 부분의 형상은 횡단면 타원형으로 된 통형상이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2)의 후단에 대응되는 부분, 즉 와이어인입부(16)와 대응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를 가지고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된 통형상이다.
상기 금속커버(20)의 중간부분을 둘러서는 접촉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21')의 내면은 접촉면(21")이 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서포트접촉구(40)의 접지접촉부(42)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21')의 치수는 서포트접촉구(40)의 접지접촉부(42) 외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와이어인입부(16)와 대응되는 금속커버의 내부에는 와이어(26)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리브(21)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1)가 형성된 부분의 금속커버(20)는 개방되어 있어, 이에 덮게부(22)가 덮어진다. 상기 덮게부(22)의 형상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덮게부(22)는 상기 와이어인입부(16)와 대응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덮게부(22)에도 스페이서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게부(22)의 일부도 상기 접촉부(21')의 일부를 형성한다.
터미널(24)은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4) 내부에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24)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4)의 자세한 구성은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터미널(24)의 후단에 있는 바렐부(도면부호 부여 않음)에는 와이어(26)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26)는 외부를 절연성 재질로 된 인슐레이션(28)이 형성하고, 상기 인슐레이션(28)의 내부에는 심선(30)이 구비된다. 상기 심선(3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24)과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심선(30)과 인슐레이션(28)의 사이에는 내측인슐레이션(32)과 차폐망(34)이 차례로 구비된다.상기 내측인슐레이션(32)도 상기 인슐레이션(28)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차폐망(34)은 접지를 위한 것으로 전자파 차폐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상기 차폐망(34)은 상기 인슐레이션(28)과 내측인슐레이션(32)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와이어(26)와 터미널(24)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와이어시일(36)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시일(36)은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에서 수분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시일(36)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와이어시일(36)의 외면에는 요철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26)의 차폐망(34)과 상기 금속커버(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서포트접촉구(40)가 사용된다. 상기 서포트접촉구(4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타원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된 접지접촉부(42)와 상기 접지접촉부(42)와 일체로 되고 각각의 와이어(26)가 관통하는 서포트링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접촉부(42)는 상기 금속커버(20)의 내면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상기 금속커버(20)의 접촉부(21')에 형성된 접촉면(21")에 외면이 밀착되어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지접촉부(42)가 상기 하우징(10)의 와이어인입부(16) 후방에 노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금속커버(20)의 접촉부(21')와 접촉된다.
상기 서포트링부(44)는 상기 접지접촉부(42)에서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각각 별도로 상기 접지접촉부(42)의 내부와 그 내부가 연통된다. 상기 서포트링부(44)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서포트링부(44)는 상기 와이어(26)의 인슐레이션(28) 외면의 치수와 같거나 약간 작은 내경을 가진다.
상기 서포트링부(44)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26)의 차폐망(34) 끝부분이 둘러싸진 상태로 클램프링(46)이 압착된다. 상기 클램프링(46)은 상기 서포트링부(44)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내경을 가지는데, 차폐망(34)을 게재한 상태로 압착되어 상기 차폐망(34)이 서포트링부(44)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26)가 상기 터미널(24)과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24)이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4)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작업 과정을 거친다.
먼저, 상기 와이어(26) 선단의 인슐레이션(28)을 소정 구간 제거하여 상기 차폐망(34)이 드러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망(34)과 내측 인슐레이션(32)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심선(30)이 드러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포트접촉구(40)의 접지접촉부(42)와 서포트링부(44)를 각각 관통하여 와이어(26)가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26)에서 상기 차폐망(34)이 드러난 부분은 상기 서포트링부(44)를 관통하여 외부로 나오도록 하고, 상기 차폐망(34)을 뒤집어 상기 서포트링부(44)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링(46)을 상기 서포트링부(44)의 외면에 상기 차폐망(34)을 게재한 상태로 위치하게 하고 압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각각의 와이어(26)는 상기 서포트접촉구(40)에 고정된다. 각각의 와이어(26)의 선단에 드러난 심선(30)과 내측인슐레이션(32) 부분은 와이어시일(36)을 게재한 상태로 터미널(24)과 연결된다.
이는, 상기 심선(30)과 상기 심선(30)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내측 인슐레이션(32)을 상기 터미널(24)의 바렐부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바렐부를 압착하여 와이어(26)와 터미널(24)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24)들이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4)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4)들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커버(20)를 상기 하우징(10)을 둘러싸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금속커버(20)를 상기 와이어(26)측, 즉 하우징(10)의 후단쪽에서 선단쪽으로 이동시켜 금속커버(20)의 내부에 하우징(10)이 위치되게 한다. 물론, 상기 덮게부(22)도 상기 금속커버(20)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금속커버(20)의 접촉부(21')에 상기 서포트접촉구(40)의 접지접촉부(42)가 밀착되면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차폐망(34)의 접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차폐망(34)은 상기 서포트접촉구(40)와 금속커버(20)의 접촉부(21')를 통해 금속커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서포트접촉구(40)에서 상기 서포트링부(44)가 각각 상기 접지접촉부(4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와이어(26)가 하나의 서포트접촉구(4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와이어(26) 사이의 간격(피치)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리브(21)의 두께 정도로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와이어(26)가 구비되는 와이어인입부(26)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와이어(26)마다 서포트링과 클램프링을 별도로 두는 것과 또한 이들을 고정 또는 어느 정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서포트접촉구(40)에 각각의 와이어(26)를 위한 서포트링부(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26)의 안내를 위한 구성을 하우징(10)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접지부재인 금속커버(20)가 구비되나,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금속커버(20)에 해당되는 접지부재가 있도록 만들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서포트접촉구(4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가서 금속커버(20)에 해당되는 구성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접촉구의 접지접촉부에 서포트링부(44)가 두 개만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일렬로 2개 이상 그리고, 각각 2개 이상의 서포트링부(44)가 다수개의 열을 짓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링부(44)는 반드시 원통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통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지접촉부(42)도 마찬가지이다.
10: 하우징 12: 터미널설치부
14: 터미널안착공간 16: 와이어인입부
18: 스톱플랜지 20: 금속커버
21': 접촉부 21": 접촉면
21: 스페이서리브 22: 덮게부
23: 스페이서리브 24: 터미널
26: 와이어 28: 인슐레이션
30: 심선 32: 내측인슐레이션
34: 차폐망 36: 와이어시일
38: 요철 40: 서포트접촉구
42: 접지접촉부 44: 서포트링부
46: 클램프링

Claims (5)

  1. 와이어의 심선을 둘러 내측인슐레이션, 차폐망 그리고 인슐레이션이 차례로 구비되는 와이어와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의 접지를 수행하는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폐망이 외면을 둘러싸도록 되는 서포트링부가 다수개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부나 외부에 구비된 접지부재와 접촉되는 접지접촉부가 통형상으로 상기 서포트링부와 일체로 되는 서포트접촉구와,
    상기 서포트링부의 외면을 상기 차폐망이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링부에 압착되는 클램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된 금속커버로서 상기 서포트접촉구의 접지접촉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진 접촉부가 중간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의 후단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커버의 접촉부와 스페이서리브가 형성된 부분에는 별개로 된 덮게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덮게부에도 상기 접촉부 및 스페이서리브가 구비되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접지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와이어의 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접촉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둘러싸는 접지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링부는 상기 접지접촉부에 열을 지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상기 서포트링부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KR2020110003173U 2011-04-14 2011-04-14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KR200477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73U KR200477494Y1 (ko) 2011-04-14 2011-04-14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73U KR200477494Y1 (ko) 2011-04-14 2011-04-14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03U KR20120007303U (ko) 2012-10-24
KR200477494Y1 true KR200477494Y1 (ko) 2015-06-16

Family

ID=4751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173U KR200477494Y1 (ko) 2011-04-14 2011-04-14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9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9088A1 (en) * 2006-11-08 2008-05-22 Yong-Joon Noh Shield connector and shield connector set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9088A1 (en) * 2006-11-08 2008-05-22 Yong-Joon Noh Shield connector and shield connector set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03U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506B2 (en) Terminal-movable connector
RU2633388C2 (ru) Модуль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TWI528661B (zh) 纜線插頭連接器
US20090137153A1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connector
KR970004152B1 (ko) 전기 접속기용 케이블 차폐 종단 장치
JP2019062732A (ja) 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電気接続ユニット、および電気ケーブルを組み立てる方法
KR20160029836A (ko) 플러그 커넥터
JPH03208274A (ja) モジュラコネクタ
JP2018113176A (ja) シールド導電路
US9997864B2 (en) Electrical connector
RU2089985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экранированного кабел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абе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JP2016031931A (ja) 電気コネクタ
US20220216651A1 (en) Connector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WO2014109165A1 (ja) 電気コネクタ
CN112913090A (zh) 同轴连接器装置
JPH10189120A (ja) 多極の遮蔽されたケーブルプラグ
US9887479B2 (en) Connector
CN111435777B (zh) 电连接器
CN109546429B (zh) 滤波连接器
CN115516715A (zh) 电连接器
US6612870B1 (en) Connector of the input/output type with grounded shielded cables and method of producing and of mounting such a connector
KR101283620B1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200477494Y1 (ko) 커넥터의 와이어 접지장치
KR100803437B1 (ko) 실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