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13Y1 - 유아용 조립식 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조립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13Y1
KR200477413Y1 KR2020130004652U KR20130004652U KR200477413Y1 KR 200477413 Y1 KR200477413 Y1 KR 200477413Y1 KR 2020130004652 U KR2020130004652 U KR 2020130004652U KR 20130004652 U KR20130004652 U KR 20130004652U KR 200477413 Y1 KR200477413 Y1 KR 200477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leg
cushion
fixing p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314U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현 filed Critical 신동현
Priority to KR2020130004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1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면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와 저면에는 다리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다리부재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부재;와 착석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의자의 구성부품을 간소화시켜 의자의 조립 및 분해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유아가 착석을 위한 용도는 물론 조립과 분해를 통한 교보재의 용도 및 놀이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의자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조립식 의자{Prefab chair for infant}
본 고안은 유아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유아들이 교보재 및 유희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착석하여 쉬거나 테이블을 이용하기 위해 착석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목재인 경우 많은 부품을 못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품으로 고정하거나 별도의 연결편을 사용하여 각 부품의 이음부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의자를 구성하는 많은 부품이 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된 후 그러한 각 부품들이 목재와 같이 체결부품을 통해 고정되어 제작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6291호는 "유아용 의자의 조립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의자의 조립구조"는 다리부와 좌판받침부 그리고 등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대칭으로 한 쌍을 이루는 측판과,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측판의 전면부에 걸치도록 마련한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의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측판의 일측면과 대응 밀착되게 결합하는 결합편을 마련하고, 상기 좌판받침부는 상기 측판의 상부에 걸치도록 마련한 좌판과, 상기 좌판의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측판의 일측면과 대응·밀착되어지게 결합하는 결합편을 마련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아용 의자의 조립구조" 는 하중으로 인한 뒤틀림 등을 예방하는 구조를 갖는 유아용 의자의 결합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으며, 그러한 구조에 의해 유아 등이 앉을 경우 걸림이나 걸림에 따른 상해 등을 입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의자는 의자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고 구조 또한 복잡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체결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복잡하고 어려우며, 의자가 단순히 착석의 용도로만 사용될 뿐 유아의 정서와는 무관하게 만들어지고 사용되고 있어 성장기 유아의 정서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구성부품을 최소화시키고 의자의 조립 및 분해를 안전하면서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의자를 착석의 용도는 물론 교육자료 및 유희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는 상면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와 저면에는 상기 다리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부재;와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의 사방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십자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방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하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다리부 및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상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다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고정홈으로 상기 제2연결부의 고정홈이 수직으로 교차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핀홈이 형성된 제1착석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착석부의 고정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제2착석부로 구성되어 제1착석부재의 상부로 제2착석부재가 고정핀홈과 고정핀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는 쿠션부재가 하단 일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 테두리에는 고정핀홈을 형성하고, 상기 착석부재의 테두리 형상과 상응하면서 저면에는 상기 고정핀에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핀홈이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를 구속시켜 주는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착석부재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부재는 상기 착석부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구성되어 착석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에는 가이드부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정한 상하 높이를 가지는 밴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하 높이는 착석부재에 놓여지는 쿠션부재의 높이 보다 낮거나 같거나 높은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유아가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을 단순화시켜 의자의 조립 및 분해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유아가 착석을 위한 용도는 물론 조립과 분해를 통한 교보재의 역할 및 놀이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의자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고안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고안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구성을 보면, 다리부재와, 착석부재와, 쿠션부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리부재(100)는,
조립식 의자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사용자를 일정한 높이로 부양시키면서 사용자의 체중을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다리부재(100)는 상측의 십자형 연결부(110)와 그러한 연결부(110)의 각 끝단에서 하측을 향해 형성되는 다리부(120)로 구성되며, 연결부(110)의 상면에는 자세하게 후술되는 착석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끼움돌기(113)가 형성된다.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13)는 연결부(110)의 사방에 분산 형성되어 연결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착석부재(2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는 십자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세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다리부(120) 상단을 연결하면서 착석부재(200)의 저면을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120)는 연직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다리부의 기울어지는 방향은 바깥쪽을 향해 기울어짐이 바람직하다.
다리부재(1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다리부재(100)는 조립성을 위해 2개로 나뉘어져 구성된 후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다리부재(100)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리부재(100)는 서로 대향되어 이격된 제1다리부(121)와 그러한 제1다리부(12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111)가 대략 "┌┐" 형을 이루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된 제2다리부(122)와 그러한 제2다리부(12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112) 또한 대략 "┌┐" 형을 이루면서 이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다리부재(100)의 제1,2연결부(111)(112)는 서로 수직교차되어 십자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111)의 상단 중앙과 제2연결부(112)의 하단 중앙에 서로 상응하여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111a)(112a)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1,2연결부(111)(112)의 양측 상면에는 착석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돌기(113)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리부재(100)가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십자형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예시되었지만 이러한 연결형태는 2개의 부품이 십자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2개 이상의 부품이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착석부재(200)는,
전술한 다리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착석부재(200)의 외형은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없이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기호나 특정 사물형태 또는 캐릭터형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그 일 예로서 원형의 착석부재(200)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석부재(200)는 다리부재(100)의 결합을 위해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에 형성된 끼움돌기(113)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끼움홈(230)이 저면에 형성된다.
착석부재(20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다수개의 몸체로 구성된 후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착석부재(200)는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로 나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제1착석부(210)는 저면에 다리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230)이 구비되며, 상부는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제1수용부(211)가 형성되고, 상면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핀홈(211a)이 형성된다.
제1착석부(210)의 상부에 적층 결합되어 하나의 착석부재(200)를 이루게 되는 제2착석부(220)는 하부가 개방되면서 상측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제2수용부(221)가 형성되고, 저면 테두리에는 제1착석부(210)의 고정핀홈(211a)과 상응하여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2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착석부(210)의 상부로 제2착석부(220)를 적층시켜 제1착석부(210)의 고정핀홈(211a)에 제2착석부(220)의 고정핀(221a)을 끼워 결합시키면 하나의 착석부재(200)를 이루면서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의 내부에는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마주하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책이나 장남감 또는 인형 등을 수납하면서 수납용도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은 착석부재(2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착석부재(200)를 크게 구성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을 확장시켜 전술한 2개로 분리되는 다리부재(100)를 수납하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착석부재(2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2개로 분리되는 다리부재(100)의 크기를 줄여 수납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의 결합수단은 전술한 고정핀홈(211a)과 고정핀(221a)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1착석부(210)의 상단과 제2착석부(220)의 하단에 나사체결홈을 형성하여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 중 어느 하나의 외경을 다른 하나의 외경보다 크거나 작게 구성하여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가 내부 또는 외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쿠션부재(300)는,
전술한 착석부재(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착석부재(200)에 착석하는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부드러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쿠션부재(3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완충기능을 가지는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재(200)가 원형으로 예시됨에 따라 쿠션부재(300) 또한 원형으로 예시된 것이며, 이러한 쿠션부재(300)의 크기 및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쿠션부재(300)는 착석부재(200)에 고정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쿠션부재(300)의 마모 및 파손에 따른 교체 및 오염제거를 위한 세탁 등의 편의성을 위해 착석부재(200)로부터 쿠션부재(300)가 탈착될 수 있는 탈착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쿠션부재(300)에 착석부재(200)가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착석부재(200)의 상부 외주면에 고정핀홈(240)을 형성하고, 착석부재(200)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이루며, 일정한 상하 높이를 가지는 밴드형상의 호형 가이드부재(250)를 구성하되 가이드부재(250)의 저면에는 착석부재(20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핀홈(240)과 일치하여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252)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부재(250)의 상하 높이는 쿠션부재(300)의 높이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재(250)의 상하 높이는 쿠션부재(300)의 높이보다 낮거나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부재(250)의 양단에는 가이드부재(250)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연장부(251)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석부재(200)에 가이드부재(2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착석부재(200)의 상부로 쿠션부재(300)가 끼워지게 되면 착석부재(200)의 상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300)의 외주면 일부가 가이드부재(250)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지면서 고정되고, 가이드부재(250)의 양단에 구비되 연장부(251)를 통해 쿠션부재(300)가 착석부재(200)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쿠션부재(300)를 가이드부재(25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상측으로 들어올려 분리시키거나 측방향으로 최소의 외력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쿠션부재(300)의 자체 변형에 의해 가이드부재(250)로부터 쿠션부재(300)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가이드부재(250)의 도움을 받아 착석부재(200)에 고정되는 쿠션부재(300)가 측방향은 물론 상측으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일 예로서 가이드부재(250)의 상단 일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방지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가이드부재(250)에 쿠션부재(300)를 설치할 때 최소의 외력을 사용하여 쿠션부재(300)의 자체 변형을 통해 가이드부재(250)의 내부에 쿠션부재(300)를 끼워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250)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쿠션부재(300)는 가이드부재(250)의 연장부(251) 및 방지턱에 걸리는 상태가 되면서 쿠션부재(300)가 가이드부재(250)의 측방향은 물론 상측으로의 자연적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착석부재(200)에 쿠션부재(300)가 탈착되는 다른 실시 예로서,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재(25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착석부재(200)에 쿠션부재(300)를 구속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착석부재(200)의 상면에 함몰되는 형태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그러한 안착홈에 쿠션부재(300)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착석부재(200)로부터 쿠션부재(300)의 상하분리는 자유롭지만 착석부재(200)의 안착된 쿠션부재(30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석부재(200)에 쿠션부재(300)가 탈착되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쿠션부재의 상부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쿠션층으로 구성하고, 쿠션부재의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되는 끼움부를 형성함으로써, 쿠션부재의 끼움부가 착석부재(200)의 상부에 끼워지면서 착석부재(200)로부터 쿠션부재가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리부재(100)와 착석부재(200)와 쿠션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특징은 조립이나 분해가 간단하며, 통상의 의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해를 통한 교보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착석부재(200)를 이용한 내부공간의 활용을 통해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도 있고, 유희의 용도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는 원목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유아를 대상으로 제작되므로 각 부품의 모서리는 라운드처리될 필요가 있고, 유아의 피부가 접촉하므로 향균 처리 및 오염이 쉽게 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다리부재 110 : 연결부
111 : 제1연결부 111a,112a : 고정홈
112 : 제2연결부 113 : 끼움돌기
120 : 다리부 121 : 제1다리부
122 : 제2다리부 200 : 착석부재
210 : 제1착석부 211 : 제1수용부
211a,240 : 고정핀홈 220 : 제2착석부
221 : 제2수용부 221a,252 : 고정핀
230 : 끼움홈 250 : 가이드부재
251 : 연장부

Claims (10)

  1. 상면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
    저면에는 상기 다리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부재; 및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재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핀홈이 형성된 제1착석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착석부의 고정핀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제2착석부로 구성되어 제1착석부의 상부로 제2착석부가 상기 고정핀홈과 고정핀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하나의 수납 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착석부재의 원형 상면 테두리에는 고정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착석부재의 테두리 형상과 상응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구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고정핀홈에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놓여진 쿠션부재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면서 착석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에는 연장부를 구성하여 상기 연장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가 상기 쿠션부재의 외주면을 반 이상을 감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착석부재에 놓여지는 쿠션부재의 높이 보다 높으면서 전체적으로 상하의 높이가 동일한 수평의 밴드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 일부는 안쪽으로 구부려 상기 쿠션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의 사방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십자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방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하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다리부 및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상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다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고정홈으로 상기 제2연결부의 고정홈이 수직으로 교차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는 쿠션부재의 하단 일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30004652U 2013-06-10 2013-06-10 유아용 조립식 의자 KR200477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52U KR200477413Y1 (ko) 2013-06-10 2013-06-10 유아용 조립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52U KR200477413Y1 (ko) 2013-06-10 2013-06-10 유아용 조립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14U KR20140006314U (ko) 2014-12-18
KR200477413Y1 true KR200477413Y1 (ko) 2015-06-05

Family

ID=5351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652U KR200477413Y1 (ko) 2013-06-10 2013-06-10 유아용 조립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19A (ko) 2020-03-23 2021-10-01 박성훈 휴대용 조립식 의자
KR20230073746A (ko) 2021-11-19 2023-05-26 백서현 유아 눈높이 맞춤이 가능한 가변식 의자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469B1 (ko) * 2023-11-08 2024-06-07 박범진 조립식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752U (ko) * 1989-10-30 1991-06-28
JP3066752B1 (ja) * 1999-08-24 2000-07-17 株式会社松栄堂 薫香用香立
JP2002315785A (ja) * 2001-04-23 2002-10-29 Aron Kasei Co Ltd 椅子の座部
JP2003019053A (ja) * 2001-07-09 2003-01-21 France Bed Co Ltd 座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752U (ko) * 1989-10-30 1991-06-28
JP3066752B1 (ja) * 1999-08-24 2000-07-17 株式会社松栄堂 薫香用香立
JP2002315785A (ja) * 2001-04-23 2002-10-29 Aron Kasei Co Ltd 椅子の座部
JP2003019053A (ja) * 2001-07-09 2003-01-21 France Bed Co Ltd 座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19A (ko) 2020-03-23 2021-10-01 박성훈 휴대용 조립식 의자
KR20230073746A (ko) 2021-11-19 2023-05-26 백서현 유아 눈높이 맞춤이 가능한 가변식 의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14U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13Y1 (ko) 유아용 조립식 의자
CN203723719U (zh) 一种椅座及带有该椅座的椅子
CN202354962U (zh) 多功能游戏餐桌椅
CN203328299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椅子
KR20180023712A (ko) 야외용 일체형 원목 테이블
JP5656600B2 (ja) 椅子
KR20190002184U (ko) 유아용 테이블
JP5975649B2 (ja) 鞍型椅子
TWM488256U (zh) 椅子扶手結構
KR102119364B1 (ko) 조립식 가구
KR200459552Y1 (ko) 유아용 완구의 제어장치
CN204245717U (zh) 一种多用婴儿椅
CN216091243U (zh) 一种护理台
KR101574551B1 (ko) 다용도 가구
KR200337301Y1 (ko) 쿳션부재를 구비한 아동용 의자
KR200492440Y1 (ko)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KR200478459Y1 (ko) 항아리 형태로 적층되는 의자 테이블 조립체
KR200480832Y1 (ko) 다목적 유아용 테이블
JP6433057B2 (ja) 椅子及び椅子システム
KR200491397Y1 (ko) 어린이 놀이집
TWM549010U (zh) 複合式家具
KR101837704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KR200427491Y1 (ko) 분리 가능한 야외용 의자
KR101631196B1 (ko) 일반 의자 또는 좌식 의자로 용도 변경이 가능한 의자
KR200474419Y1 (ko) 유아용 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