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81Y1 - Cup with filter for coffee - Google Patents

Cup with filter for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81Y1
KR200475781Y1 KR2020130007496U KR20130007496U KR200475781Y1 KR 200475781 Y1 KR200475781 Y1 KR 200475781Y1 KR 2020130007496 U KR2020130007496 U KR 2020130007496U KR 20130007496 U KR20130007496 U KR 20130007496U KR 200475781 Y1 KR200475781 Y1 KR 200475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ffee
cap
container body
coffee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4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욱
김준영
이경훤
여명재
Original Assignee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8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8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물을 붓고 몇분 후에 바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한 필터를 컵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내장하여, 커피 추출 후에 필터를 버리는 번거로움없이 곧바로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두커피 추출 및 음용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커피 추출 후 필터를 제거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 간편하고 편리하게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 built-in filter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beans, which can be poured in water and be easily ingested in a few minut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of coffee bean extracting and drinking method that can incorporate a filter for extracting coffee beans in an integrated form inside the cup, Provided is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which can easily and conveniently drink coffee beans, such as eliminating the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of removing the filter after extraction.

Description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Cup with filter for coffee}Cup with filter for coffee {Cup with filter for coffee}

본 고안은 커피 추출 필터 내장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물을 붓고 몇분 후에 바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 coffee extracting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having a built-in filter for extracting coffee beans so that water can be easily poured into the coffee extracts in a few minutes.

일반적으로 커피는 마시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서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되며, 원두커피의 경우 맛과 향의 우수함으로 인해서 선호도는 높지만, 원두를 매번 추출해야 마실 수 있는 불편함으로 인해서 국내에서는 원두커피보다 인스턴트커피(커피믹스)가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coffee is produc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drinker, and coffee beans have a high preference due to their excellent taste and flavor. However, due to the inconvenience that the beans must be extracted every time, Coffee mix) is a favorite.

인스턴트커피의 경우 음용하기는 간편하지만 농축, 건조 과정을 거쳐 맛과 향이 원두커피 보다 적으며 원두 고유의 다양한 맛과 향을 즐기는 사람들 위주로 원두커피의 음용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In the case of instant coffee, it is easy to drink, but after concentrating and drying process, there are fewer flavors and fragrances than coffee beans, and the drinking of coffee beans is expanding mainly to people who enjoy various flavors and aromas of beans.

원두커피의 추출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보편적인 방법 중 하나인 페이퍼 드립 추출법은 드리퍼에 여과지를 얹고 커피분말을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리퍼를 통해 여과하여 추출되어지는 방식이다.There are various methods of extracting coffee beans, but paper drip extraction method, which is one of the common methods, is a method in which a filter paper is placed on a droplet, coffee powder is poured, and hot water is poured to be filtered through a drier.

그러나, 위와 같은 드리퍼를 이용하여 페이퍼 드립으로 추출한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드리퍼의 휴대가 어려우므로 장소에 따른 제약이 있고, 드리퍼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작업 또한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However, although coffee beans extracted with paper drip using the above-described drippers have an advantage of good taste and flavor, there are limitations in place due to difficulty of carrying the drippers, and there are many complications and inconveniences to extract using the drippers.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8032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1998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59398호 등에서는 종이컵 등에 간단히 설치되는 필터를 이용하여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간단히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Considering this fact, i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80326,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19982,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59398, a simple filter such as a paper cup is used to easily extract coffee beans from the ground coffee powder Extraction method.

그러나, 기존의 원두커피 추출방법은 커피를 추출한 다음, 필터를 제거한 후에 커피를 음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ffee bean extraction method has drawbacks in that it is necessary to extract the coffee and then drink the coffee after removing the filter.

예를 들면, 티백형 필터가 들어 있는 컵의 경우(도 7a), 캡을 개봉한 후에 컵 안의 파우치를 찢고 티백을 넣어 물을 부어서 추출한 다음, 티백을 꺼내어 버리고 음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up containing a teabag filter (Fig. 7A),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fter opening the cap, the pouch inside the cup is torn, the teabag is poured, the water is poured out and extracted, and then the teabag is taken out and consumed.

또, 카트리지형 필터가 들어 있는 컵의 경우(도 7b), 캡을 오픈하고 필터 위에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한 다음, 컵 상단의 필터를 제거한 후에 음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up containing a cartridge type filter (Fig. 7B), it is inconvenient to open the cap, pour water on the filter to extract coffee, and then drink after removing the filter at the top of the cup.

또, 일반 드립형 필터의 경우(도 7c), 컵 위에 드립 필터를 장착하고 그 속에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한 다음, 드립 필터 제거 후에 음용을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drip type filter (Fig. 7C),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drip filter is mounted on a cup and water is poured into the cup to extract coffee and then to drink after removing the drip filter.

이와 같이, 종래에는 커피 추출시마다 매번 번거롭게 필터를 걸고 물을 붇고 필터를 제거하고 커피를 마셔야 하는 등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there are many troubles and inconveniences such as putting the filter every time, washing the water, removing the filter and drinking the coffee every time the coffee is extracted.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원두커피의 추출을 위한 필터를 컵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내장하여, 커피 추출 후에 필터를 버리는 번거로움없이 곧바로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두커피 추출 및 음용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필터를 장착하고 커피 추출 후 필터를 제거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 간편하고 편리하게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se points, and a new type that can incorporate a filter for extracting coffee beans as an integral body inside the cup, and can immediately drink coffee without the trouble of throwing out the filter after extracting coffee Coffee bean extraction and drinking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drink coffee beans, which can be equipped with a filter and eliminates the troubles and inconvenience of removing the filter after coffee extraction It has its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ffee filter built-in contain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의 일 예는 용기 본체와 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분쇄 원두커피가 들어 있는 필터가 일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필터는 분쇄 원두커피를 수용하는 망 형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캡에 있는 온수 주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상단부분이 고정되는 캡 일체형 필터로 이루어진다. One example of the coffee filter-containing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body and a cap. A filter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und coffee beans is integrally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The filter includes a mesh- And a cap integral filter in which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is fixed along the edge of the hot water inlet in the cap.

따라서, 상기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는 원두커피 추출 후에 별도로 필터를 제거하는 수고없이도 추출한 원두커피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coffee filter-containing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ed coffee beverage can be conveniently consumed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remove the filter after the coffee bean extraction.

여기서, 상기 캡의 온수 주입구는 착탈가능한 마개로 덮혀줌으로써, 그 아래쪽의 필터 내부가 마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t water inlet of the cap is covered with a detachable cap so that the interior of the lower filter can be closed.

그리고, 상기 캡에 있는 온수 주입구의 경우 캡 상부 면적의 1/2 정도 면적에 걸쳐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이때의 필터의 상단 직경도 캡 상부 면적의 1/2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여, 캡 1/2 정도 면적은 온수를 넣어 드립식으로 커피를 추출하고 나머지 캡 1/2 정도 면적은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ot water inlet in the cap is formed over a half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diameter of the filter occupies an area of about 1/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 2 It is desirable to use hot water to extract coffee in a drip type and to use the remaining half of the cap area as an application for drinking coffee.

한편, 상기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의 다른 예는 용기 본체와 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는 일정량의 분쇄 원두커피가 채워짐과 더불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는 분쇄 원두커피의 윗쪽으로 캡슐형태의 필터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이 역시도 필터를 버리는 번거로움 없이 원두커피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nother example of the coffee filter built-in type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body and a cap. An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und coffee beans. In addition, inside the container body, a capsule- And the filter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so that the coffee beans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troublesome disposal of the filter.

그리고, 상기 캡슐형태의 필터는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의 내벽 둘레를 따라 밀착되면서 부착식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apsule-type filter is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by using a flange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apsule-type filter while being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offee filter built-in contain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용기의 내부, 예를 들면 캡 저면 또는 용기 바닥에 커피 추출을 위한 필터가 일체형으로 내장되므로서,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한 후에 필터를 제거하지 않고도 커피를 곧바로 음용할 수 있는 등 커피 추출 및 음용의 간편함과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filter for coffee extraction is integra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the bottom of the cap or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extract coffee directly after drinking water by pouring water without removing the filter. It is possible to achieve simplicity and convenien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내지 7c는 종래의 원두커피 추출 및 음용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coffee machine with a coffee filter buil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offee filter-contain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coffee machine with a coffee filter buil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offee filter-contain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ffee bean extraction and drinking metho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는 원두커피 추출을 위한 필터를 일체형으로 내장하고 있어서, 물을 붓고 몇분 후에 바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offee filter-containing container has a built-in filter for extracting coffee beans, so that water can be easily poured into the coffee filter in a few minutes.

이를 위하여, 종이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되어 있는 용기 본체(10)와 이 용기 본체(10)를 덮을 수 있는 캡(11)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분쇄 원두커피(12)가 들어 있는 필터(13a)가 일체 내장된다. To this end, a container body 10 made of a paper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and a cap 11 capable of covering the container body 10 ar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und coffee A filter 13a containing a filter 12 is integrally incorporated.

여기서, 상기 캡은 커피 전문점 테이크 아웃 메뉴 포장에 쓰이는 캡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cap can use a cap used for wrapping a coffee shop take-out menu.

그리고 상기 캡(11)의 경우에 상면 일측, 예를 들면 필터(13a)가 설치되는 캡 상부 면적 이외의 나머지 캡 상부 면적의 일측에는 스트로 등을 꽂을 수 있는 음료 토출구(17)가 형성된다. In the case of the cap 11, a beverage dispensing opening 17 through which a straw or the like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o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on which the upper surface, for example, the filter 13a is installed.

특히, 상기 필터(13a)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망 형태의 필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의 필터(13a)의 내부 바닥쪽에는 일정량의 분쇄 원두커피(12), 예를 들면 1회 추출해서 음용할 수 있는 정도의 적당량의 분쇄 원두커피(12)가 채워지게 된다.  Particularly, the filter 13a is composed of a net-like filter having an open upper part. At the inner bottom of the filter 13a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und coffee beans 12, for example, The pulverized coffee beans 12 are fill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coffee beans 12.

이러한 망 형태의 필터(13a)는 캡(11)의 저면측에 일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필터(13a)의 상단부분이 캡(11)에 형성되어 있는 온수 주입구(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 등의 방식으로 일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net-like filter 13a is integral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11. For example, the top portion of the filter 13a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inlet 14 of the cap 11 It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it is integrally fixed along the edge by an adhesive or the like.

이에 따라, 캡(11)의 온수 주입구(14)로부터 그 아래쪽의 필터(13a) 내부는 그대로 통하는 구조가 될 수 있게 되고, 이곳을 통해 온수를 주입하게 되므로서 그 바닥쪽의 분쇄 원두커피(12)에 의해 원두커피가 추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filter 13a below the hot water inlet 14 of the cap 11 can be passed through as it is, and hot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filter 13a. Therefore, the ground coffee beans 12 The coffee beans can be extracted.

여기서, 상기 캡(11)에 있는 온수 주입구(14)에는 사용시 떼어내서 제거할 수 있는 마개(14)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원두커피 음용 전에는 캡(11)에 부착되어 있는 마개(14)로 인해 그 아래쪽의 필터(13a)의 내부가 마감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마개(14)를 떼어내게 되면 필터(13a) 내부가 그대로 노출되면서 온수를 붓고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The hot water inlet 14 in the cap 11 is provided with a cap 14 which can be detached and removed at the time of use so that the cap 14 attached to the cap 11 So that the inside of the filter 13a underneath can be closed. When the plug 14 is removed, the inside of the filter 13a is exposed as it is, and hot water can be poured and the coffee bean can be extract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캡(11)의 상부 면적 1/2 정도는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나머지 1/2 정도의 면적은 추출한 원두커피를 음용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캡 일체형 필터의 구조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bout 1/2 of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cap 11 can be used for extracting the coffee beans, and the remaining 1/2 of the area can be used as a cap-integrated type filter Lt; / RTI >

이를 위하여, 상기 캡(11)에 형성되어 있는 온수 주입구(14)의 경우, 캡 상부 면적의 1/2 정도 면적에 걸쳐 형성되고, 예를 들면 원형으로 되어 있는 캡(11)의 상부 면적의 1/2 정도 면적을 차지하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원두커피 추출을 위한 필터(13a)는 그 상단 직경은 물론 전체적인 부피가 반원 모양의 단면을 갖는 망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필터(13a)는 그 상단부를 통해 온수 주입구(14)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합되면서 부착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For this purpose, in the case of the hot water inlet 14 formed in the cap 11, it is formed over a half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For example, / 2, and the filter 13a for extracting the coffee beans has a mesh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s well as an upper diameter of the filter 13a. The filters 13a Is installed and fixed along the edge of the hot water inlet 14 through an upper end thereof while being shaped.

이에 따라, 상기 캡(11)의 1/2 정도 면적, 즉 필터(12a)가 차지하고 있는 1/2 정도의 면적은 온수를 넣어 드립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되고, 나머지 캡(11)의 1/2 정도 면적은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area of about 1/2 of the cap 11, that is, about 1/2 of the area occupied by the filter 12a can be used to extract coffee by dripping hot water, Of the total area can be used for drinking coffee.

즉, 캡의 상부 면적의 1/2 정도에 분쇄 원두커피 함유 반원형 필터가 부착되어, 캡의 1/2 면적은 뜨거운 물을 넣어 드립식으로 추출하고, 나머지 1.2은 음용할 수 있는 음료 토출부가 있어, 종전과 같이 필트를 꽂고 물을 붓고 필터를 버리는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 semicircular filter containing ground coffee beads is attached to about 1/2 of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cap, and 1/2 of the cap is extracted by dripping with hot water, and the remaining 1.2 is a beverage dispensing part capable of drinking , It is possible to drink conveniently without the hassle of putting a filter, pouring water and throwing out the filter as before.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coffee filter-contain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캡(11)의 온수 주입구(14)를 덮고 있는 마개(15)를 떼어낸 후, 온수 주입구(14)를 통해 분쇄 원두커피(12)가 들어 있는 필터(13a)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는다. 3, the cap 15 covering the hot water inlet 14 of the cap 11 is first removed and then the filter 13a containing the ground coffee bean 12 through the hot water inlet 14 Pour hot water into the inside.

이렇게 필터(13a) 내의 분쇄 원두커피(12)에 뜨거운 물은 부으면, 이때의 추출되는 원두커피 액은 필터(13a)를 빠져나와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When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pulverized coffee beans 12 in the filter 13a, the extracted coffee bean liquid flows out of the filter 13a and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사용자가 원하는 적당량의 물을 붓고, 다시 말해 적당한 양의 원두커피를 추출한 다음, 캡(11)에 있는 음료 토출구(17)를 통해 스트로 등을 꼿으면 곧바로 용기 본체(10) 속의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다. The coffee beans in the container body 10 are immediately taken out of the container body 10 by pouring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desired amount of water, that is, extrac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coffee beans, and then putting the straw or the like through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17 in the cap 11 .

즉, 원두커피 추출에 사용되었던 필터(13a)를 그대로 둔 채로 필터가 없는 캡 한쪽의 음료 토출구를 통해 원두커피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coffee beans can be easily consumed through the beverage ejection port on one side of the cap without the filter 13a, which has been used for extracting coffee beans.

따라서, 종전과 같이 별도의 필터를 장착하고 커피 추출 후에 필터를 제거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바로 음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convenienc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extract the coffee beans and drink them immediately without installing the separate filter and removing the filter after the coffee extrac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with a coffe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원두커피 추출을 위한 필터를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일체로 내장시킨 형태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lter for extracting the coffee beans is integrated into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이를 위하여, 종이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되어 있는 용기 본체(10)와 이 용기 본체(10)를 덮을 수 있는 캡(11)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분쇄 원두커피(12)와 원두커피 추출을 위한 필터(13b)가 일체 각각 내장된다. To this end, a container body 10 made of a paper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and a cap 11 capable of covering the container body 10 ar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und coffee (12) and a filter (13b) for extracting coffee beans are all incorporated.

여기서, 상기 캡은 커피 전문점 테이크 아웃 메뉴 포장에 쓰이는 캡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cap can use a cap used for wrapping a coffee shop take-out menu.

그리고 상기 캡(11)의 경우에 상면 일측에는 추출한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트로 등을 꽂을 수 있는 음료 토출구(17)가 형성된다. In the case of the cap 11, a beverage ejection port 17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a straw or the like used for drinking the extracted coffee beans can be inserted.

특히, 상기 필터(13b)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지는 캡슐 형태의 필터, 예를 들면 개방되어 있는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좁은 원추형의 컵 모양을 가지는 형태의 필터로 이루어지게 된다. Particularly, the filter 13b is composed of a capsule-type filter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for example, a filter having an open upper end and a lower conical cup shape.

일 예로서, 상기 필터(13b)는 컵 모양의 지지틀(18)의 둘레를 필터망(19)이 감싸면서 전체적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통형의 컵 모양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For example, the filter 13b has a cup-shaped support frame 18 surrounding the filter net 19 so that the filter 13b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arge upper part and a narrower bottom part.

이러한 필터(13b)는 지지틀(18)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6)를 가지고 있으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이때의 플랜지(16)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벽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The filter 13b has a flange 16 formed along the upper end edge of the support frame 18 and is arranged concentrically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and at the same time using the flange 16 at this time And is fixedly installed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10.

여기서, 상기 필터(13b)는 플랜지(16)를 통해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식이나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용기 본체(10)의 특성을 이용한 억지끼움식 등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filter 13b can be fixed by an attachment type using an adhesive through the flange 16 or a force fitting typ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body 10 whos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이러한 필터(13b)는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 일정량 채워져 있는 분쇄 원두커피(12)의 바로 윗쪽, 예를 들면 필터 하단이 분쇄 원두커피(12)의 상면에 접하는 정도의 높이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filter 13b is installed just above the pulverized coffee beans 12 filled in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for example, at a height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ulverized coffee beans 12 .

즉,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바닥쪽에서 부터 적당량의 분쇄 원두커피(12)가 채워질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채워지는 분쇄 원두커피(12)의 바로 위에 필터(13b)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a proper amount of the ground coffee beans 12 can be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10 from the bottom side, and the filter 13b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ground coffee beans 12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10 .

물론, 위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쪽에 일체 설치되는 필터(13b)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10)를 덮고 있는 캡(11)을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Of course, since the filter 13b integrally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is used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exclude the cap 11 covering the container body 10.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offee filter-contain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용기 본체(10)를 덮고 있는 캡(11)을 오픈한 다음(캡이 없는 경우에는 그대로), 분쇄 원두커피(12)와 필터(13b)가 내장되어 있는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는다. 6, the cap 11 covering the container body 10 is first opened (as is the case without the cap), and then the container 12 containing the ground coffee 12 and the filter 13b Pour hot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

이렇게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들어 있는 필터(13b) 및 그 아래의 분쇄 원두커피(12)에 뜨거운 물은 부으면, 이때의 추출되는 원두커피 액은 필터(13a)를 빠져나와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When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filter 13b and the pulverized coffee beans 12 below the filter 13b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the extracted coffee bean liquid at this time flows out of the filter 13a, As shown in FIG.

사용자가 원하는 적당량의 물을 붓고, 다시 말해 적당한 양의 원두커피를 추출한 다음, 캡(11)을 닫고 캡(11)에 있는 음료 토출구(17)를 통해 스트로 등을 꽂으면 곧바로 용기 본체(10) 속의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고, 또 캡(11)이 없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10)를 잡고 기울여서 그 속의 추출 원두커피를 그대로 음용할 수 있다. And then the cap 11 is closed and the straw or the like is inserted through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17 in the cap 11 and immediately the container body 10 is poured. And if there is no cap 11, the coffee beans can be used as it is while holding the container body 10 by tilting it.

즉, 원두커피 추출에 사용되었던 필터(13b)를 그대로 둔 채로 음료 토출구를 통해, 또는 직접 원두커피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filter 13b used for extracting the coffee beans can be left as it is, and the coffee beans can be easily ingested through the beverage outlet or directly.

따라서, 종전과 같이 별도의 필터를 장착하고 커피 추출 후에 필터를 제거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바로 음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convenienc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extract the coffee beans and drink them immediately without installing the separate filter and removing the filter after the coffee extraction.

10 : 용기 본체 11 : 캡
12 : 분쇄 원두커피 13a,13b : 필터
14 : 온수 주입구 15 : 마개
16 : 플랜지 17 : 음료 토출구
18 : 지지틀 19 : 필터망
10: container body 11: cap
12: ground coffee beans 13a, 13b: filter
14: hot water inlet 15: plug
16: flange 17: beverage outlet
18: support frame 19: filter mesh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용기 본체(10)와 캡(11)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는 일정량의 분쇄 원두커피(12)가 채워짐과 더불어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분쇄 원두커피(12)의 윗쪽으로 캡슐형태의 필터(13b)가 설치되되,
상기 필터(13b)는 컵 모양의 지지틀(18)의 둘레를 필터망(19)이 감싸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통형의 컵 모양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형태의 필터(13b)는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6)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벽 둘레를 따라 밀착되면서 부착식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고정 설치되되, 필터 하단이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쪽에 채워져 있는 분쇄 원두커피(12)의 상면에 접하는 높이로 설치됨으로써, 뜨거운 물을 부음에 따라 추출되는 원두커피 액은 필터(13b)를 빠져나와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A container body (10) and a cap (11)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ground coffee beans 12 and the capsule type filter 13b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10 above the ground coffee beans 12 ,
The filter 13b has a cup-shaped support frame 18 which surrounds the filter net 19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er lower part.
The capsule-shaped filter 13b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10 using a flange 16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coffee beverage liquid that is extracted as hot water is poured out of the filter 13b comes ou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coffee filter.
삭제delete
KR2020130007496U 2013-09-06 2013-09-06 Cup with filter for coffee KR20047578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96U KR200475781Y1 (en) 2013-09-06 2013-09-06 Cup with filter for cof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96U KR200475781Y1 (en) 2013-09-06 2013-09-06 Cup with filter for coff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81Y1 true KR200475781Y1 (en) 2015-01-06

Family

ID=5258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496U KR200475781Y1 (en) 2013-09-06 2013-09-06 Cup with filter for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8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89A1 (en)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62Y1 (en) 2004-04-29 2004-08-12 김화식 Mug cup with cap assembly
KR200364716Y1 (en) 2004-07-01 2004-10-12 김화식 Mug cup with filter
KR20060046092A (en) * 2004-07-23 2006-05-17 쯔-유안 쉔 Container for making tea and the same
JP2007217058A (en) * 2006-02-16 2007-08-30 Osamu Nishida Cup-integrated drip coffee which does not cause any failure, cooling down and does not need dumping rubbish and is environment-friend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62Y1 (en) 2004-04-29 2004-08-12 김화식 Mug cup with cap assembly
KR200364716Y1 (en) 2004-07-01 2004-10-12 김화식 Mug cup with filter
KR20060046092A (en) * 2004-07-23 2006-05-17 쯔-유안 쉔 Container for making tea and the same
JP2007217058A (en) * 2006-02-16 2007-08-30 Osamu Nishida Cup-integrated drip coffee which does not cause any failure, cooling down and does not need dumping rubbish and is environment-friend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89A1 (en)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54B2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EP2651781B1 (en)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EP2781174B1 (en)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US11191286B2 (en) Capsule,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JP20175000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ching beverages
US20130045307A1 (en) Brew Cartridge
KR200459398Y1 (en) Disposable Tool Having Dripper for Original Coffee Beans
KR101636661B1 (en) Cup set for drip coffee
EP06157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preparation
US20150257582A1 (en)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KR200455438Y1 (en) Disposable Bean Coffee Extraction Container
KR200475781Y1 (en) Cup with filter for coffee
US20170354288A1 (en) Machine, method and system for brewing a beverage
KR101610588B1 (en) Coffee extruder
KR101415626B1 (en)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KR101409497B1 (en) disposable cup with filer
KR200458422Y1 (en) A portable infuser of water bottle for drinking tea
JP3152879U (en) Potable solution extractor
JP2001008809A (en) Dripper-equipped cup
KR101826151B1 (en) Cup set for drip coffee
JP2010017286A (en) Extracting container
KR200297236Y1 (en) receptacl possessed of tea abstraction net
KR200454639Y1 (en) Disposable Coffee Bean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