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626B1 -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626B1
KR101415626B1 KR1020120041945A KR20120041945A KR101415626B1 KR 101415626 B1 KR101415626 B1 KR 101415626B1 KR 1020120041945 A KR1020120041945 A KR 1020120041945A KR 20120041945 A KR20120041945 A KR 20120041945A KR 101415626 B1 KR101415626 B1 KR 10141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pper container
net
drip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0232A (en
Inventor
홍민재
양철수
황형진
Original Assignee
황형진
홍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형진, 홍민재 filed Critical 황형진
Priority to KR102012004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626B1/en
Publication of KR2013013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6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식 음료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된 구조의 용기 사용으로 인해 추출액의 향 소실 문제, 그리고 드립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넘치지 않도록 물을 부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두커피나 차 종류의 충전물이 충전되는 여과망과; 상기 충전물이 충전된 여과망이 넣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여과망 내 충전물을 통과한 추출액이 배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된 컵 형상의 상부용기와; 상면을 통해 상부용기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상부용기에 의해 상면이 밀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여과망 내 충전물을 통과한 추출액이 상부용기의 출구홀을 통해 드립되어 모아지는 컵 형상의 하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type beverage ex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p-type beverage extractor having a novel shape capable of improving inconvenience of an extractive liquid due to use of an opened structure and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of pouring water And to provide a drip-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machine comprising: a filter net to be charged with coffee bean or tea type filler; A cup-shaped upper container having an outlet hole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liquid passing through the filter net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is sealed by the upper container wh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tainer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comprising:

Description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본 발명은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커피나 녹차 등의 차 음료를 드립식으로 간편하게 추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한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capable of easily extracting and drinking a tea beverage such as coffee bean or green tea.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즉석 음용 커피나 봉지에 밀봉된 인스턴트 커피(커피 믹스)는 냉동 건조된 커피 분말을 주원료로 하고, 프림, 설탕 등을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음용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instant coffee for drinking or instant coffee (coffee mix) sealed in a bag is made by using lyophilized coffee powder as a main ingredient, and mixing pre-mix, sugar, etc. selectively according to preference.

이러한 인스턴트 커피는 간단히 봉지를 개봉한 뒤 종이컵 등의 용기에 담아 물을 부어주게 되면 음용이 가능하므로 뜨거운 물과 용기만 있으면 즉석에서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Such instant coffee can be drunk if it is simply poured into a container such as a paper cup after opening the bag, so that it can be drunk instantly with hot water and containers.

그러나, 냉동 건조된 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갈아서 우려내는 이른바 원두커피에 비해 맛과 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ffee made using the freeze-dried coffee powder has a disadvantage that the flavor and aroma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o-called coffee bean, which is disturbed by grinding the coffee bean.

따라서, 맛과 향이 살아있는 원두커피를 즐기기 위해 가정에서 직접 고가의 커피 메이커를 구입하여 커피를 만들어 마시거나, 원두커피 전문점을 직접 찾아가 사서 마시는 것이 대부분이다. Therefore, in order to enjoy the taste and flavor of coffee beans, you can purchase expensive coffee makers directly from your home, make coffee, or drink coffee to go to the coffee shop.

하지만, 커피 시장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인스턴트 커피를 주로 마시던 사람들도 점차 원두커피를 많이 찾고 있고, 원두커피를 인스턴트 커피보다 선호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However, if you look at the recent trends in the coffee market, those who drink mainly instant coffee are increasingly looking for coffee beans, and more and more people prefer coffee beans to instant coffee.

또한 원두커피의 대중화와 더불어 소비자의 관심도 원두커피로 전문화 및 고급화되면서 원두커피를 인스턴트 커피처럼 즉석에서 간편하게 음용하고 싶어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나타나고 있다.In addition,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coffee beans, consumers 'interest is becoming specialized and advanced with coffee beans, and consumers' desire to drink coffee instantly as instant coffee is appearing.

이와 더불어, 맛과 향에 따라 원두커피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원두커피를 가정에서 일정량 포장 단위로 구입하여 마시기보다는 때에 따라 자신이 마시고 싶은 원두커피를 즉석에서 골라 마시기를 원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lavor and aroma, coffee beans are bought at a certain amount in a certain amount of packaging at home rather than drinking, so it is desirable to instantly pick and drink the coffee bean they want to drink.

이는 원두커피 전문점을 이용하는 경우 가능하겠지만 가격이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고, 각 가정에서 여러 종류의 원두커피를 일정 포장 단위로 구입하여 마시고자할 경우 가격이나 보관 등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This may be possible when using a coffee shop, but it is a fact that the price is burdensome. If you want to buy several types of coffee beans in a certain package, you should consider the problem of price and storag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티백 형태의 원두커피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데, 저렴한 가격으로 원하는 원두커피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밀폐되지 않은 용기에 물을 붓고 티백을 담갔다가 마시는 형태이므로 커피의 맛과 향이 소비자가 원하는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Considering this point, tea bag type coffee bean product is sol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drink by selecting desired bean coffee at an inexpensive price. However, since it is a form in which water is poured into an unsealed container and tea bag is soaked, And flavor are not meeting the level desired by consumers.

또한 원두커피를 1회 소량 단위로 봉지에 개별 포장한 일회용 드립(drip) 커피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데, 이는 소비자가 봉지를 개봉하여 원두커피를 함께 제공되는 드립용 용기에 담은 뒤 자신의 컵 위에 얹고 드립용 커피 안에 뜨거운 물을 부어 추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In addition, disposable drip coffee, which is individually wrapped in a small amount of bag of coffee beans, is sold on the market because the consumer opens the bag and puts the coffee beans in the drip tray provided, And the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drip coffee for extraction.

주지된 바와 같이, 원두커피는 좋은 맛과 향을 내기 위해 보편적으로 드립(drip)이라는 과정으로 추출하여 마시는데, 이는 커피의 맛과 향을 살리면서 추출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As is well known, coffee beans are generally extracted and drunk in a process called drip, in order to produce a good taste and aroma, which is the most popular and effective method to extract coffee flavor and aroma.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회용 드립 커피의 경우, 함께 제공되는 드립용 용기가 개방된 형태이므로, 밀폐되지 않은 드립용 용기에 원두커피를 담고 컵 위에 얹은 뒤 물을 붓는 드립 과정에서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방출 및 소실되어 실제 음용시에 커피의 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isposable drip coffee which is distributed on the market, since the drip container provided is open, the coffee beans are placed in the unopened drip container and placed on the cup.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agrance of the coffee drops when actually drinking.

또한 소용량의 드립용 용기가 제공되므로 소비자가 손수 용기 내부를 보고 드립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물과 원두커피가 넘치지 않도록 주전자로 뜨거운 물을 조심스럽게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small-capacity drip container is provided, it is troublesome to carefully inject hot water into the kettle so as to prevent water and coffee beans from overflowing while confirming the amount of the consumer dripping into the contain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개방된 구조의 용기 사용으로 인한 커피향 소실 문제, 그리고 드립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넘치지 않도록 물을 부어야 하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roblem of incineration of coffee fragrance due to the use of an opened structure of the container and the inconvenience of pouring water And to provide a new type of drip-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that can be used as a food contain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두커피나 차 종류의 충전물이 충전되는 여과망과; 상기 충전물이 충전된 여과망이 넣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여과망 내 충전물을 통과한 추출액이 배출되는 출구홀이 형성된 컵 형상의 상부용기와; 상면을 통해 상부용기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상부용기에 의해 상면이 밀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여과망 내 충전물을 통과한 추출액이 상부용기의 출구홀을 통해 드립되어 모아지는 컵 형상의 하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machine comprising: a filter net to be charged with coffee bean or tea type filler; A cup-shaped upper container having an outlet hole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liquid passing through the filter net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is sealed by the upper container wh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tainer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comprising: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용기의 하부에 충전물이 충전된 여과망이 넣어지고, 상기 여과망이 넣어지는 상부용기의 하부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깔때기 형상의 하부 끝에 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tainer is filled with a filter net filled with a filler,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tainer into which the filter net is inserted is formed into a funnel shape, and the outlet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unnel shape .

또한 상기 여과망은 상부용기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충전물을 밀봉하고 있는 하부면의 형상이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lter n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sealing the packing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has a funnel shape.

또한 상기 여과망은 깔때기 형상의 하부망과, 상기 하부망의 상면을 덮은 상태로 상측에서 충전물을 밀봉하는 상부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망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하부망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양측 가장자리부의 접합부위가 여과망 전 둘레에 걸쳐 상부용기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방으로 꺾인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ing network is composed of a funnel-shaped lower net and an upper net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net in a state of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net, wherein the edge of the upper ne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net are joined to each other In which the joining portions of both side edges are bent upward so that they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over the entire periphery of the filter net.

또한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는 측면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the side portion is lowered.

또한 상기 상부용기의 하부가 하부용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용기의 상부 측면부가 전 둘레에 걸쳐 하부용기의 측면부에 밀착됨으로써 하부용기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ower container is sealed by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ntainer.

또한 상기 상부용기의 상부 측면부와 하부용기의 측면부가 동일한 사면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and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have the same slope inclination angle.

또한 상기 상부용기의 상부 측면부와 하부용기의 상단 사이에는 그 경계부위를 밀봉하면서 둘러싸는 테이핑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ap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to seal the boundary portion.

또한 상기 상부용기의 상면을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id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또한 상기 덮개는 상부용기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된 끼움 덮개와, 상부용기의 상면을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 has one or both of a fitting lid fitt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and a sealing lid sea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in an openable mann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서는,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용기의 형상이 개선됨과 더불어, 드립 과정 동안 추출된 향이 외부로 발산 및 소실되지 않도록 용기를 밀폐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개방된 구조의 용기 사용으로 인한 커피향 소실 문제, 그리고 드립되는 양을 확인하면서 넘치지 않도록 물을 부어야 하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container is improved so that water does not flood to the outside, and the container can be hermetically assembled so that the fragrance extracted during the drip- The problem of the smell of coffee fragrance due to the use of the container with the opened structure and the trouble of pouring the water so as not to overflow while confirming the drip amoun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서 상부용기에 설치된 밀봉지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상부용기에 밀봉지가 구비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sembled stat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ssembled stat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seal paper provided in the upper container in the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the sealing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두커피뿐만 아니라 녹차 등의 차 종류를 드립식으로 간편하게 추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한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capable of easily extracting and drinking tea, such as green tea,

특히, 본 발명의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는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용기의 형상을 개선함과 더불어, 드립 과정 동안 추출된 향이 외부로 발산 및 소실되지 않도록 용기를 밀폐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편리성과 동시에 추출된 음료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Particularly, the drip-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the container so that water does not flood to the outside, and the container is hermetically assembled so that the fragrance extracted during the drip process is not diverted and lost to the outside The main feature is that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and flavor and aroma of the extracted beverage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 대해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rip-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sembled state.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를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ssembled state,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100)는, 원두커피나 녹차 등과 같은 차 종류의 충전물(101)이 충전되는 여과망(110)과; 상기 충전물(101)이 충전된 여과망(110)이 넣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하부(122)에 상기 여과망(110) 내 충전물(101)을 통과한 추출액이 배출되는 출구홀(122a)이 형성된 컵 형상의 상부용기(120)와; 상면을 통해 상부용기(120)의 하부(122)가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상부용기(120)에 의해 상면이 밀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여과망(110) 내 충전물(101)을 통과한 추출액이 상부용기(120)의 출구홀(122a)을 통해 드립되어 모아지는 컵 형상의 하부용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ip-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110 for filling a filler 101 of a tea type such as coffee bean or green tea; And an outlet hole 122a through which the extracted liquid passing through the packing material 101 in the filtering net 110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122 so that the filtering net 110 filled with the filling material 101 can be inserted. Shaped upper container 120;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may be sealed by the upper container 120 when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a cup-shaped lower container 130 dripped through the outlet hole 122a of the upper container 120 to be collected.

이러한 구성에서, 여과망(110)은 차 종류의 추출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티백용 여과지, 또는 통상의 차 추출용 거름망 등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종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원두커피나 차 종류의 충전물(101)을 넣고 밀봉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In such a configuration, the filter net 11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ltering paper for tea bag, which is typically used for extracting the tea kind, or the filter net for extracting tea. For example, the filtering net 110 may be made of paper, And a structure in which a filling material 101 of a different kind can be inserted and sealed.

이때, 여과망(110)이 수납되는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형상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여과망(110)은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 즉 적어도 충전물(101)을 밀봉하고 있는 하부면의 형상이 깔때기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n which the filtering net 110 is store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unnel as described later, the filtering net 1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tha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that is,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sealing at least the packing 101 is formed to have a funnel shape.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여과망(110)은 내부에 원두커피나 차 종류의 충전물(101)이 충전된 상태로 밀봉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데,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깔때기 형상의 하부망(111)과, 상기 하부망(111)의 상면을 덮은 상태로 상측에서 충전물(101)을 밀봉하도록 하부망(111)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접합되는 상부망(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lter net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ffee bean or a filler 101 of a different kind is sealed in the filter net 110. In the funnel-like lower net 111, And an upper net 112 bonded to an upper edge of the lower net 111 to seal the filling material 101 from the upper side whil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net 111. [

이러한 하부망(111)의 깔때기 형상은 여과망(110)이 넣어지는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형상을 고려한 것으로, 드립 과정에서 상부용기(120) 안에 넣어진 여과망(110) 위로 물이 부어지면 하부망(111)이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funnel shape of the lower net 111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nto which the filter net 110 is inserted. In the dripping process, water is injected onto the filter net 110 placed in the upper container 120 The lower web 111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when the lower web 111 is poured.

또한 이렇게 하부망(111)의 하면이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용기(120) 안으로 주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여과망(110)이 어느 한쪽으로 밀려 움직이거나 쏠리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부망(112)의 가장자리부와 이에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는 하부망(111)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상부용기(12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net 111 is ma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pressure of water injec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120 allows the filter net 110 The upper edge of the upper web 112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web 111 which are overlapped with the edge of the upper web 112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

이때, 밀봉 접합되는 상부망(112)의 가장자리부와 하부망(111)의 상단 가장자리부(즉, 상부망과 하부망의 접합부위)를 상방으로 꺾어 연장시킨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부용기(120)의 사면(斜面)(하부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주는바, 이 경우 여과망(110)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접합부위(113)가 원주방향 전 둘레에 걸쳐 상부용기(120)의 사면에 움직이지 않게(미끄러지지 않게) 최대한 밀착 고정될 수 있고, 결국 물이 주입될 때 여과망(110)이 움직이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net 112 to be sealed and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lower net 111 (that is, the joining portion of the upper net and the lower net) The joining portions 113 of the side edges of the filter net 110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lopes of the upper container 1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filter 1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when the water is injected.

그리고, 상부용기(120)와 하부용기(130)는 통상의 종이컵 재질과 동일한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통상의 1회용 내열 플라스틱 컵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두 용기 모두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상, 즉 측면부가 사면(斜面)으로 되어 있는 컵 형상으로 제작된다.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lower container 130 may be made of the same paper or plastic material as a normal paper cup material (ordinary disposable heat-resistant plastic cup material), and both containers may have a smaller cross- That is, a side surface portion is formed as a slope surface.

이때, 상부용기(120)의 경우 하부(122)에 여과망(11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여과망(110)이 수용되는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깔때기의 형상을 가진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upper container 120, the lower portion 122 has a space in which the filtering net 110 can be received, and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n which the filtering net 110 is received, It has the shape of a funnel.

여과망(110)의 전체적인 형상과, 이 여과망(110)이 수용되는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형상을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드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물의 압력으로 여과망(110)에서 물이 잘 여과될 수 있고, 여과망(110) 내 충전물(101)을 통과한 추출액이 상부용기(120)의 출구홀(122a)을 통해 하부용기(130)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overall shape of the filter net 110 and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n which the filter net 110 is received are formed in a funnel shape, And the extracted liquid passing through the packing 101 in the filter net 110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lower container 130 through the outlet hole 122a of the upper container 120. [

또한 상부용기(120)에서 깔때기 형상의 하부(122) 끝에 출구홀(122a)이 형성되는데, 이 출구홀(122a)은 여과망(110) 내 충전물(101)을 통과한 추출액(충전물의 성분이 추출된 커피나 차 등의 음료)이 하부용기(130)로 배출되는 드립용 홀로서, 일례로 직경 0.5 ~ 1.0 mm의 홀이 될 수 있다.An outlet hole 122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unnel-shaped lower portion 122 in the upper container 120. The outlet hole 122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120, (E.g., a beverage such as coffee or tea) is discharged to the lower container 130, for example, a hole having a diameter of 0.5 to 1.0 mm.

이와 같은 상부용기(120)에서 깔때기 형상의 하부(122)를 제외한 상부(123)의 측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 사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부(123)에서 측면부의 사면 경사각은 하부용기(130)의 측면부와 동일한 경사각(도 2에서 도면부호 'a'임)을 가진다.In the upper container 120,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23 except for the funnel-shaped lower portion 122 is formed of a slope whose 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At this time, 130 ") < / RTI >

또한 상부용기(120)의 상단부에는 용기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덮개는 상부용기(120)의 상단부에 탈거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끼움 덮개(121), 또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개봉 가능하도록 고정된 밀봉지(124)가 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lid for clos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lid may include a lid 121 detachably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may be a sealing paper 124 fixed so as to be openable together.

상기 끼움 덮개(121)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용기(120)의 상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종이나 수지로 제작되는 덮개로서, 사용자가 끼움 덮개(121)를 분리하여 상부용기(120)를 개방한 뒤 그 안으로 물을 주입하게 되고, 물을 주입하고 나면 하부용기(130)로 물이 완전히 드립될 때까지 다시 끼움 덮개(121)를 끼워 덮어주게 된다.1 to 4, the fitting lid 121 is a lid made of paper or resin so that the fitting lid 121 can b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120. When the user removes the fitting lid 121, 120 is opened and t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lower container 130. When the water is injected into the lower container 130, the lower part of the lower container 130 is covered with the insertion cover 121 until the water is completely dripped.

이와 같이 드립이 완료될 때까지 끼움 덮개(121)로 상부용기(120)를 밀봉해주게 되면, 드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추출된 향이 외부로 발산 및 소실되지 않게 되며, 밀봉 상태로 드립이 이루어지므로 맛과 향이 좋아지게 된다.If the upper lid 120 is sealed with the lid 121 until the drip is completed, the fragrance extracted during the dripping is not diverted and lost to the outside, and the dripping is performed in the sealed state, It gets better.

이러한 끼움 덮개(121)는 상부용기(120) 내부에 주입된 물이 드립되는 상태, 및 드립이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투명한 수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cover 121 is made of a transparent resi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injected into the upper container 120 is dripp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drip is completed.

상기 밀봉지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하였는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에서 상부용기에 설치된 밀봉지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ealing paper installed in the upper container in the drip-type beverage-ex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지(124)는 컵라면의 밀봉지와 마찬가지로 종이 재질로 제작되어 상부용기(120)의 상면을 밀봉하도록 접합되는 덮개로서, 밀봉지(124)를 상부용기(120)에서 떼어내는 방식으로 개봉하게 되며, 물을 주입한 뒤에는 드립이 완료될 때까지 컵라면에서와 같이 다시 밀봉지(124)를 닫아 향이 외부로 소실되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ealing paper 124 is made of a paper material similar to the sealing paper of the cup noodle, and is sealed to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When the sealing paper 124 is attached to the upper container 120, After the water is injected, the sealing paper 124 is closed again as in the case of the cup surface until the drip is completed, so that the fragrance is not lost to the outside.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밀봉지(124)에 손으로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handle portion so that the sealant 124 can be easily removed by hand.

또한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끼움 덮개(121)와 밀봉지(124)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먼저 끼움 덮개(121)를 분리한 뒤 밀봉지(124)를 개봉하여 제거하고, 이어 물을 주입한 뒤 드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향이 외부로 소실되지 않도록 다시 끼움 덮개(121)를 닫아 밀봉해준다.6, the fitting cover 121 and the sealing paper 124 may be provided together. In this case, the fitting cover 121 is first separated and then the sealing paper 124 is opened and removed. Then, After the water is injected, the lid 121 is closed and sealed so that the fragrance is not lost to the outside during dripping.

이러한 끼움 덮개(121)는 드립이 이루어지는 동안뿐만 아니라 밀봉지(124)의 개봉 후 물을 주입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며, 특히 상부용기(120)를 하부용기(130)와 분리한 뒤 하부용기(130)의 상면을 덮는 덮개로도 사용할 수 있는바, 드립 후 용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커피나 차를 마실 때, 그 밖에 용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때 유용하다. Such an insertion lid 121 can be used not only during dripping but also when the sealant 124 needs to be moved after the opening of the seal paper 124 to inject water. In particular, the upper lid 12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ontainer 130 It can be used as a cover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container 130. It is useful when carrying coffee or tea while carrying the container after dripping,

한편, 하부용기(130)는 통상의 종이컵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종이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이 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ower container 13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normal paper cup, and the material thereof may be plastic as well as paper.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용기(130)는 상부용기(120)가 끼워질 경우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형상, 즉 상부용기(120)의 상부(123) 외측면이 원주방향 전 둘레에서 하부용기(1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바, 이를 위해 하부용기(130)의 측면부 사면 경사각이 상부용기(120)의 상부 측면부 사면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a')가 되도록 제작된다(도 2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lower container 130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120 can be tightly fixed when the upper container 120 is fitted,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23 of the upper container 120, The slope angle of the slo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130 is made to be the same as the slope angle of the slope of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a') 2).

이와 같이 상부용기(120)와 하부용기(130)의 전체적인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컵의 형상을 가지면서 두 용기의 측면부 경사각이 동일한 경우, 상부용기(120)가 하부용기(130)에 끼워지는 것만으로 하부용기(130)의 내부가 간단히 밀폐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lower container 130 have a cup shape whose 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s the overall shape is lowered and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two containers are the same, The inside of the lower container 130 can be easily sealed.

또한 두 용기(120,130)가 원주방향 전 둘레에 걸쳐 넓은 면적으로 중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하부용기(130)의 안정적인 밀폐가 가능해지고, 드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부용기(12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two containers 120 and 130 can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ver a wide are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table sealing of the lower container 130 becomes possible, and the upper container 120 can be stably fixed while dripping.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상부용기(120)와 하부용기(130)는 통상의 종이컵과 같이 횡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용기가 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단면 형상이 사각이나 오각 등의 각형인 용기가 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lower container 130 may be containers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like a normal paper cu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such as a square or a pentagon.

또한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용기(120)의 상부(123) 측면부와 하부용기(130)의 상단 사이의 경계부위에는 완전한 밀봉 및 향 소실의 최소화를 위해 테이핑 처리를 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taping process in order to minimize the total sealing and the smell disappearanc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ide 123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130.

이때, 테이핑 부재로는 접착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두 용기를 분리하고자 할 때 접착 테이프를 떼 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의 절취선을 갖는 비닐 등의 테이핑 부재를 경계부위를 따라 둘러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n adhesive tape may be used as the taping member. However, since there is a need to remove the adhesive tape when separating the two containers, it is preferable to use a taping member, such as a vinyl tape having a vertical perforation line, It can be installed so as to surround it.

이 경우 사용자가 간단히 절취선을 따라 절취한 뒤 테이핑 부재를 제거할 수 있고, 음용시에 상부용기(120)를 하부용기(13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taping member after cutting along the perforation line, and the upper container 1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ower container 130 when drinking.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다른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원두커피 등의 충전물(101)이 충전된 여과망(110)과, 이 여과망(110)을 담고 있는 상부용기(120), 그리고 상부용기(120)에 조립된 상태의 하부용기(130)를 함께 포장하여 편의점 등에서 하나의 제품으로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ructure of the drip-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drip-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lower container 130 assembled with the upper container 120 may be packed together and sold as a single product at a convenience store or the like.

이때, 사용자는 편의점 내에서 덮개(121,124)를 개봉한 뒤 상부용기(120) 안에 물을 주입하고, 드립이 완료될 때까지 덮개를 다시 닫은 상태로 놔두면, 간단히 여과망(110)의 충전물(101)로부터 추출한 음료(원두커피 등)를 마실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user opens the lids 121 and 124 in the convenience store and then injects water into the upper container 120 and leaves the lid closed again until the drip is completed, (Coffee beans, etc.) extracted from the beverage.

드립 과정에서 뜨거운 물을 상부용기(120)에 주입하면 물은 상부용기(120)에 일단 차 있다가 서서히 여과망(110)의 충전물(101)을 통과하여 상부용기(120)의 출구홀(122a)을 통해 하부용기(130)로 배출되는데, 시간(예, 30초 정도)이 어느 정도 경과하면 여과망(110)의 충전물(101)을 통과한 추출액이 모두 하부용기(130)로 모아지면서 드립이 완료된다. When the hot water is injected into the upper container 120 during the dripping process, the water is once drawn into the upper container 120 and gradually flows through the filling hole 101 of the filter 110 to the outlet hole 122a of the upper container 120, When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about 30 seconds), the extracted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acking 101 of the filter net 110 is collected in the lower container 130 and drip is completed do.

이때, 덮개(121)가 덮힌 상태로 상부용기(120)와 하부용기(130)가 완전히 밀착되어 있고, 또한 용기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있어 추출액의 향이 외부로 소실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lower container 130 ar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that the lid 121 is covered,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completely sealed, so that the smell of the liquid is not lost to the outside.

또한 추출액 역시 밀폐된 하부용기(130)에 갇혀 있므로 상부용기(120)의 물이 모두 드립되는 동안 일정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바, 최상의 맛과 향으로 추출액(원두커피, 차 등의 음료)을 마실 수 있게 된다.Since the extracted liquid is also trapped in the closed lower container 130, a certain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while all of the water in the upper container 120 is dripped. Thus, the extract liquid (beverage such as coffee beans and tea) .

또한 상부용기(120) 내부에서 여과망(110) 상측으로 충분한 용량의 공간이 존재하므로 물이나 원두커피가 넘치는 일이 없으며, 물이 넘치는지를 확인하면서 조금씩 물을 붓는 번거로움 없이 충분한 양의 물을 부은 뒤 잠시 기다리기만 하면 원두커피 등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space of sufficient capacity above the filter net 110 in the upper container 120, there is no overflow of water or coffee beans, and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is poured without the trouble of pouring water little by little while checking whether the water is overflowing If you wait a while, you will be able to drink coffee beans and other drinks.

또한 드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용기(120)를 분리하고 하부용기(130)에 담긴 음료를 마시게 되는데, 음료를 마신 후 덮개(끼움 덮개)를 다시 덮은 상태로 이동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부용기(120)를 다시 끼운 뒤 물을 추가로 부어 음료를 재주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drip is completed, the upper container 120 is detached and the drink contained in the lower container 130 is drunk. It is possible to move or store the lid (mouthpiece) It is also possible to replenish the beverage after pouring the container 120 again and pouring additional water.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추출 용기(100)는 원두커피뿐만 아니라 녹차나 그 밖의 드립 방식으로 추출 가능한 다양한 차 종류의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편의점 등의 판매처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원두커피 종류, 차 종류를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 th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coffee beans but also to various kinds of tea products that can be extracted by green tea or other drip metho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Coffee type, and tea typ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Modified form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101 : 충전물
110 : 여과망 111 : 하부망
112 : 상부망 113 : 접합부위
120 : 상부용기 121 : 끼움 덮개
122 : 상부용기의 하부 122a : 출구홀
123 : 상부용기의 상부 124 : 밀봉지
130 : 하부용기
100: Drip typ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101: packing
110: filter net 111:
112: upper web 113:
120: upper container 121:
122: Lower part of upper container 122a: Outlet hole
123: Upper part of upper container 124: Sealing paper
130: Lower container

Claims (10)

원두커피나 차 종류의 충전물(101)이 충전되는 여과망(110)과;
상기 충전물(101)이 충전된 여과망(110)이 넣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하부(122)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의 하부(122) 끝에 상기 여과망(110) 내 충전물(101)을 통과한 추출액이 배출되는 출구홀(122a)이 형성된 컵 형상의 상부용기(120)와;
상면을 통해 상부용기(120)의 하부(122)가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상부용기(120)에 의해 상면이 밀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여과망(110) 내 충전물(101)을 통과한 추출액이 상부용기(120)의 출구홀(122a)을 통해 드립되어 모아지는 컵 형상의 하부용기(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망(110)은 깔때기 형상의 하부망(111)과, 상기 하부망(111)의 상면을 덮은 상태로 상측에서 충전물(101)을 밀봉하는 상부망(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망(112)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하부망(111)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양측 가장자리부의 접합부위(113)가 여과망(110) 전 둘레에 걸쳐 상부용기(120)의 하부(122)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방으로 꺾인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A filtering net 110 to be filled with coffee or tea type filling material 101;
The lower part 122 is formed in a funnel shape and the packing material 101 in the filtering net 11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lower part 122 in the form of a funnel. A cup-shaped upper container 120 having an outlet hole 122a through which the extracted liquid is discharge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may be sealed by the upper container 120 when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A cup-shaped lower container 130 dripped and collected through the outlet hole 122a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filtering net 110 is composed of a funnel-shaped lower net 111 and an upper net 112 which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net 111 and seals the filling 101 from above.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net 112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net 111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joint portions 113 of the side edges are bo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120 (122)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20)와 하부용기(130)는 측면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lower container (13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the side portion is lower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20)의 하부(122)가 하부용기(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용기(120)의 상부(123) 측면부가 전 둘레에 걸쳐 하부용기(130)의 측면부에 밀착됨으로써 하부용기(130)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portion 122 of the upper container 1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ntainer 130 so that the upper portion 123 of the upper container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130, (130) is seal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20)의 상부(123) 측면부와 하부용기(130)의 측면부가 동일한 사면 경사각(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pper portion (123) side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130) have the same slope inclination angle (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20)의 상부(123) 측면부와 하부용기(130)의 상단 사이에는 그 경계부위를 밀봉하면서 둘러싸는 테이핑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tap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art (123)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130) to seal the boundary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20)의 상면을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d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부용기(120)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된 끼움 덮개(121)와, 상부용기(120)의 상면을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지(12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id is any one or both of a fitting lid 121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120 and a sealing lid 124 sealingly sea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120. [ Drink extraction container.
KR1020120041945A 2012-04-23 2012-04-23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KR1014156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945A KR101415626B1 (en) 2012-04-23 2012-04-23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945A KR101415626B1 (en) 2012-04-23 2012-04-23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32A KR20130130232A (en) 2013-12-02
KR101415626B1 true KR101415626B1 (en) 2014-07-09

Family

ID=4997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945A KR101415626B1 (en) 2012-04-23 2012-04-23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6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10Y1 (en) 2015-10-06 2016-07-08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Drip extract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61B1 (en) * 2015-12-24 2016-07-05 남익현 Cup set for drip coffe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004A (en) * 1998-07-24 1999-09-07 Huang; Yen-Wen Infusion maker
KR200221810Y1 (en) 2000-12-11 2001-04-16 박명진 Portable brewing set of coffee
KR20120000009U (en) * 2010-06-25 2012-01-02 옥영민 a disposable cup can extract tea
KR200459398Y1 (en) 2011-11-24 2012-03-23 신관표 Disposable Tool Having Dripper for Original Coffee Bea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004A (en) * 1998-07-24 1999-09-07 Huang; Yen-Wen Infusion maker
KR200221810Y1 (en) 2000-12-11 2001-04-16 박명진 Portable brewing set of coffee
KR20120000009U (en) * 2010-06-25 2012-01-02 옥영민 a disposable cup can extract tea
KR200459398Y1 (en) 2011-11-24 2012-03-23 신관표 Disposable Tool Having Dripper for Original Coffee B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10Y1 (en) 2015-10-06 2016-07-08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Drip extract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232A (en)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6529B2 (en) Method, apparatus and capsule for extracting beverages
AU20143520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AU2013285526B2 (en) Capsule,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KR101173173B1 (en) 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US20050266122A1 (en) Capsule to be used to prepare an infused beverage
US20170181565A1 (en) Cup set for drip coffee
KR200455438Y1 (en) Disposable Bean Coffee Extraction Container
KR101415626B1 (en) Container for extracting beverages
KR200480810Y1 (en) Drip extract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AU2015274023B2 (en)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KR20190070000A (en) Extraction container for bever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everage cup with extraction container for beverage
KR200454639Y1 (en) Disposable Coffee Bean Extractor
KR101826151B1 (en) Cup set for drip coffee
JPS583377Y2 (en) Simple coffe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