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17Y1 - 전동카트 - Google Patents

전동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17Y1
KR200475717Y1 KR2020130009781U KR20130009781U KR200475717Y1 KR 200475717 Y1 KR200475717 Y1 KR 200475717Y1 KR 2020130009781 U KR2020130009781 U KR 2020130009781U KR 20130009781 U KR20130009781 U KR 20130009781U KR 200475717 Y1 KR200475717 Y1 KR 200475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rod
obstacle
sensing ro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 A63B55/57Bags with tripod or like set-up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2055/603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with means for trailing the caddy other than by hand
    • A63B2055/605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with means for trailing the caddy other than by hand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골퍼의 위치를 감지하여 골퍼를 따라 주행하고, 골프백 적재부가 마련된 주행기; 및 상기 주행기의 전방측 장애물을 감지하여 상기 주행기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주행기의 전방측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행기가 장애물에 접근하면 장애물의 경사에 의해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의 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 상기 주행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 상기 제어기 본체와 접속되고 상기 감지봉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전원단자 ; 및 상기 제어기 본체와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감지봉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봉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상지 제어기 본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하강스위치;를 포함하고, 골프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카트가 장애물에 빠지거나 충돌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카트{Automatic moving mobile cart}
본 고안은은 골프백과 같은 골프장비를 적재하고 골퍼를 자동 추적하며 지면을 자유로이 주행할 수 있는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카트가 장애물에 빠지거나 충돌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 진행에 필요한 골프백이나 장비들을 탑재가능하고, 골퍼들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골프카트가 골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골프카트의 기능을 확장시켜 골퍼의 위치를 추적하여 자동으로 주행하는 무인 주행식 카트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주행식 카트로는 등록특허 제10-2001-0036812호에 개시된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골프 장비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전동카트와; 상기 전동카트에 장착되어 수신된 GPS정보로부터 현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카트의 주행을 제어하는 메인장치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자동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전동카트가 착용자와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추적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장치와 무선으로 교신하는 휴대용 원격조정기;가 구비되며, 전동카트가 GPS수신기를 통해 골퍼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자동으로 골퍼를 추적하면서 주행한다.
그런데, 골프장 내에 벙커, 해저드,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나, 종래의 카트는 카트의 주행 방향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할 수 없어, 장애물에 의해서 카트가 빠지거나 장애물에 충돌하면서 주행이 중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1-0036812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카트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카트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마련되어, 카트가 장애물 특히, 벙커나 해저드와 같이 주행기가 빠질 위험이 있는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카트의 주행을 제어하여 카트가 벙커나 해저드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카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카트가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카트보다 우선적으로 장애물과 접촉되면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마련되어 카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카트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 뿐만 아니라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 특히, 다른 골퍼나 카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카트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카트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카트의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카트를 멈춰 세울 수 있는 전동카트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더욱이, 골퍼가 이동하는 지역 중에서 페어웨이가 넓게 분포되어 주행기가 주행 중에 장애물로 부터 방해를 거의 받지 않는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봉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마련된 전동카트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감지봉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조작이 간편하도록 클램프 방식으로 마련된 전동카트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는, 골퍼의 위치를 감지하여 골퍼를 따라 주행하고, 골프백 적재부가 마련된 주행기; 및 상기 주행기의 전방측 장애물을 감지하여 상기 주행기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주행기의 전방측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행기가 장애물에 접근하면 장애물의 경사에 의해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의 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 상기 주행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 상기 제어기 본체와 접속되고 상기 감지봉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전원단자 ; 및 상기 제어기 본체와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감지봉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봉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상지 제어기 본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하강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에 따르면, 주행기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주행기가 장애물에 진입하기 전에 감지봉이 주행기 보다 먼저 장애물에 진입하게 되고, 벙커나 해저드의 경사로 인해 감지봉의 선단부가 하강함에 따라 장애물을 감지하여 주행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행기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봉에 로드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주행기가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감지봉의 선단측에서 감지봉보다 우선적으로 장애물과 접촉되면서 장애물을 감지하여 주행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행기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 뿐만 아니라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 특히, 다른 골퍼나 카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주행기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주행기의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주행기를 바로 멈춰 세울 수 있으므로, 주행기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 특히, 다른 골퍼나 카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골퍼가 이동하는 지역 중에서 페어웨이가 넓게 분포되어 주행기가 주행 중에 장애물로 부터 방해를 거의 받지 않는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감지봉을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감지봉을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감지봉이 불필요하게 지면을 주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고정장치를 탄성클램프로 구성할 경우에는 감지봉을 단순히 탄성클램프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감지봉을 고정하고 분리하는 조작이 매우 간편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작동 전과 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6의 B부분의 작동 전과 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카트를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 및 제어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기(100)는 골퍼의 위치를 감지하여 골퍼를 따라 주행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의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110)에 골프백(B)을 적재할 수 있는 골프백 적재부(120)가 마련된다.
이러한 주행기(100)는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골퍼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장치가 탑재되어 골퍼를 추적한다.
이때, 골퍼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골퍼가 GPS신호나 초음파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휴대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위치추적장치가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고 주행기(100)를 주행시켜 골퍼를 추적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200)은 전술한 주행기(100)의 전방측 장애물을 감지하여 주행기(100)의 주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봉(210), 캐스터(220), 제어기 본체(230), 전원단자(231) 및 하강스위치(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봉(210)은 주행기(100)의 전방측에 장착되어 주행기(100)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장애물 특히, 골프코스에 마련된 벙커나 해저드와 같이 주행기(100)가 접근하게 되면 빠질 위험이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의 전방부에 일단부(210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감지봉(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210a)가 브래킷(211)과 고정핀(21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지봉(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형태의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장애물의 경사에 의해서 일단부(210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타단부(210b)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캐스터(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봉(210)의 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후술하는 로드(240)의 단부에 장착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로드(240)가 없이 감지봉(210)만 있는 경우에는 감지봉(210)의 타단부(210b)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캐스터(220)는 주행기(100)의 전방에 돌출되는 감지봉(210)이 주행 도중에 지면에 꽂히거나 걸리지 않도록 보조바퀴의 역할을 하면서 감지봉(210)이 주행기(100)의 주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기 본체(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에 설치되어 주행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주행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 미도시된 주행기(100)의 제동장치와 연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하강스위치(232)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주행기(100)를 멈추게 할 수 있다.
전원단자(2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 본체(230)와 접속되고 감지봉(210)의 일단부(210a)와 인접하게 마련된다.
하강스위치(2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 본체(230)와 접속되는 상태로 감지봉(210)의 일단부(210a)에 설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봉(210)의 회전상태에 따라 전원단자(231)에 접촉되면서 제어기 본체(230)에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제어유닛(2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40), 탄성체(250) 및 후퇴스위치(2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드(240)는 감지봉(210)의 타단부(210b)에 장착되어 주행기(100)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장애물 특히, 바위와 나무 등 골프코스에 존재하는 지물이나, 다른 골퍼 또는 카트와 같이 주행기(100)가 접근하게 되면 충돌의 위험이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봉(210)의 타단부(210b)에 텔레스코픽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전술한 감지봉(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드(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감지봉(210)의 선단측에서 감지봉(210)보다 우선적으로 장애물과 접촉함에 따라 감지봉(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탄성체(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봉(210)에 삽입되어 전술한 로드(240)를 감지봉(210)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로드(240)를 감지봉(210)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로드(240)가 장애물에 접촉되어 삽입된 후에 장애물로 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탄성체(250)의 복원력으로 로드(240)를 전방 가압하여 로드(240)를 다시 인출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감지봉(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로드(240)는 후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체(250)의 반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는 로드(240)는 걸림돌기(241)가 감지봉(210)의 걸림턱(211)에 걸리면서 감지봉(210)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후퇴스위치(233)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 본체(230)와 접속되는 상태로 로드(240)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퇴스위치(23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로드(240)의 이동에 따라 로드(240)와 함께 후퇴하면서 전원단자(231)에 접촉되어 제어기 본체(230)에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전술한 제어기 본체(230)는 후퇴스위치(233)로 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주행기(100)의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기 본체(230)는 후퇴스위치(233)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미도시된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주행기(100)를 멈추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장치(130)는 감지봉(21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주행기(100)의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장치(130)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탄성클램프(131)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클램프(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의 클램프부(131a)가 형성되어 주행기(100)의 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클램프부(131a)에 감지봉(210)이 압입되면서 끼워져 감지봉(210)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고정장치(130)에 감지봉(210)이 아닌 로드(240)가 끼워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감지봉(210)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 하며, 고정장치(130)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감지봉(210) 또는 로드(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끼워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카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행기(100)는 위치추적장치가 탑재되어 골퍼를 추적하며 지면을 주행한다.
이때, 골퍼는 자신의 위치를 GPS신호나 초음파신호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휴대하고, 주행기(100)에 탑재된 위치추적장치는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행기(100)가 골퍼를 추적하며 주행하도록 구동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때, 주행기(100)는 주행 중에 장애물을 만나게 되면, 예컨대 벙커 또는 해저드와 같이 주행기(100)가 빠질 위험이 있는 지형이나, 바위 또는 나무와 같이 주행기(100)가 충돌 할 위험이 있는 지물에 접근하게 되면 더이상 주행할 수가 없는데, 주행기(100)에 장착된 제어유닛(200)이 주행기(100)의 전방측 장애물을 감지하여 주행기(100)의 주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200)을 구성하는 감지봉(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의 전방측에 돌출된 상태로 장착되고 선단부에 캐스터(220)가 장착되어, 주행기(100)의 본체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주행기(100)와 함께 지면을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기(100)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감지봉(210)이 벙커나 해저드의 경사로 인해 브래킷(211)의 고정된 일단부(210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타단부(210b)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감지봉(210)의 일단부(210a)에 설치된 하강스위치(232)는 도 4(a1)의 상태에서 감지봉(210)의 타단부(210b)가 도 4(a2)와 같이 하강함에 따라 일단부(210a)와 함께 반대로 상승하게 되면서 감지봉(210)의 일단부(210a)에 인접한 전원단자(231)에 접촉되어 제어기 본체(23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기 본체(230)는 전원이 인가되어 주행기(100)의 주행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유닛(200)은 수평으로 유지되었던 감지봉(210)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하단스위치가 전원단자(231)에 접촉되고 제어기 본체(23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벙커나 해저드 등의 장애물을 인식하게 되어 주행기(100)의 주행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기 본체(230)는 주행기(100)의 제동장치를 작동시켜서 주행기(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 본체(230)는 알람을 울림으로써, 골퍼에게 정지상황을 알릴 수도 있다. 즉, 알람은 주행기(100)가 정지하게 되면 음향신호로 골퍼에게 주행기(100)가 정지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골퍼는 별도로 마련되는 무선조종기를 사용하여 주행기(100)를 장애물에서 벗어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기(100)는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제어유닛(200)이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주행기(100)를 멈춰 세우므로, 벙커나 해저드에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다르게, 제어유닛(200)에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로드(240)는 감지봉(210)의 타단부(210b)에 텔레스코픽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100)가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감지봉(210)의 선단측에서 감지봉(210)보다 우선적으로 장애물과 접촉하고, 주행기(100)가 계속해서 전방으로 주행함에 따라 감지봉(210)의 내부로 가압되며 삽입되게 된다.
이때, 로드(240)에 설치된 후퇴스위치(233)는 도 6(b1)의 상태에서 로드(240)가 도 6(b2)와 같이 감지봉(21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로드(240)와 함께 후퇴하게 되고, 제어기 본체(230)와 접속된 전원단자(231)에 단부가 접촉되어 전술한 하강스위치(232)와 마찬가지로 제어기 본체(23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기 본체(230)는 전원이 인가되어 주행기(100)의 제동장치를 작동시켜서 주행기(100)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주행기(100)는 바위와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제어유닛(200)이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주행기(100)를 멈춰 세우므로, 바위나 나무에 완전히 충돌하지 않게 된다.
한편, 주행기(100)의 이동경로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아서 주행기(100)가 장애물에 빠지거나 충돌할 위험이 없는 경우에는 굳이 감지봉(210)을 전방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주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고정장치(130)를 이용하여 감지봉(210)을 세워 고정한 후에 주행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장치(130)를 탄성클램프(131)로 구성할 경우에는 감지봉(210)을 탄성클램프(131)에 단순히 끼워 넣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카트는, 주행기(100)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주행기(100)가 장애물에 진입하기 전에 감지봉(210)이 주행기(100) 보다 먼저 장애물에 진입하게 되고, 벙커나 해저드의 경사로 인해 감지봉(210)의 선단부가 하강함에 따라 장애물을 감지하여 주행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행기(100)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봉(210)에 로드(240)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주행기(100)가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감지봉(210)의 선단측에서 감지봉(210)보다 우선적으로 장애물과 접촉되면서 장애물을 감지하여 주행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행기(100)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 뿐만 아니라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 특히, 다른 골퍼나 카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주행기(100)가 장애물에 접근하게 되면 주행기(100)의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주행기(100)를 바로 멈춰 세울 수 있으므로, 주행기(100)가 벙커나 해저드와 같은 장애물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위나 나무와 같은 장애물 특히, 다른 골퍼나 카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골퍼가 이동하는 지역 중에서 페어웨이가 넓게 분포되어 주행기(100)가 주행 중에 장애물로 부터 방해를 거의 받지 않는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감지봉(210)을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130)가 마련되어 감지봉(210)을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감지봉(210)이 불필요하게 지면을 주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고정장치(130)를 탄성클램프(131)로 구성할 경우에는 감지봉(210)을 단순히 탄성클램프(131)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감지봉(210)을 고정하고 분리하는 조작이 매우 간편한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 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100 : 주행기 110 : 프레임
120 : 골프백 적재부 130 : 고정장치
200 : 제어유닛 210 : 감지봉
220 : 캐스터 230 : 제어기 본체
231 : 전원단자 232 : 하강스위치
233 : 후퇴스위치 240 : 로드

Claims (5)

  1. 골퍼의 위치를 감지하여 골퍼를 따라 주행하고, 골프백 적재부가 마련된 주행기; 및
    상기 주행기의 전방측 장애물을 감지하여 상기 주행기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주행기의 전방측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행기가 장애물에 접근하면 장애물의 경사에 의해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의 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
    상기 주행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
    상기 제어기 본체와 접속되고 상기 감지봉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전원단자; 및
    상기 제어기 본체와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감지봉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봉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상지 제어기 본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하강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동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봉의 타단부에 텔레스코픽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감지봉의 선단측에서 상기 감지봉보다 우선적으로 장애물과 접촉함에 따라 상기 감지봉의 내부르 삽입되는 로드;
    상기 로드를 상기 감지봉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제어기 본체와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제어기 본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후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동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본체는,
    상기 하강스위치 또는 후퇴스위치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주행기의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상기 주행기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동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주행기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봉이 압입되는 요형의 탄성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
KR2020130009781U 2013-11-27 2013-11-27 전동카트 KR200475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81U KR200475717Y1 (ko) 2013-11-27 2013-11-27 전동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81U KR200475717Y1 (ko) 2013-11-27 2013-11-27 전동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17Y1 true KR200475717Y1 (ko) 2014-12-26

Family

ID=5357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781U KR200475717Y1 (ko) 2013-11-27 2013-11-27 전동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413A (ja) * 1993-10-18 1995-05-02 Shinko Electric Co Ltd 無人ゴルフカートシステム
KR20030000733A (ko) * 2001-06-26 2003-01-06 김종림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KR20040111258A (ko) * 2004-11-29 2004-12-31 주식회사 브이씨텍 무선 조작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카트
KR20060110479A (ko) * 2005-04-20 200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413A (ja) * 1993-10-18 1995-05-02 Shinko Electric Co Ltd 無人ゴルフカートシステム
KR20030000733A (ko) * 2001-06-26 2003-01-06 김종림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KR20040111258A (ko) * 2004-11-29 2004-12-31 주식회사 브이씨텍 무선 조작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카트
KR20060110479A (ko) * 2005-04-20 200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6807B1 (en) Robotic cleaning device
US7032682B2 (en) Unmanned vehicle for displacing manure
NL1039154C2 (en) Target-following vehicle.
KR101769286B1 (ko) 고소작업대
CN215838790U (zh) 基站和清洁机器人***
JP6142509B2 (ja) 非接触給電装置
CN109747735B (zh) 一种移动装置
JP7078349B2 (ja) 電動走行台車
JP5792361B1 (ja) 自律移動装置
CN114901585B (zh) 用于物料搬运车辆的定位辅助***
KR200475717Y1 (ko) 전동카트
CN209972625U (zh) 一种移动装置
JP2010122916A (ja) 自律移動装置
JP2006334082A (ja) 電動車椅子用着脱可能な安全停止装置
CN112596527A (zh) 基于斜坡结构的机器人卡住检测方法、芯片及清洁机器人
CN109677535A (zh) 用于运送人员的电动驱动的站立式车辆以及用于运行站立式车辆的方法
KR20100005959A (ko) 여행용 가방
CN104369892B (zh) 新式行走式缠绕机
US20150063962A1 (en) Electric device for lifting moving sidewalk for vehicle
KR101280655B1 (ko) 핸즈프리 여행용 가방
CN208141223U (zh) 一种具有无线定位导航功能的自动引导运输车
KR101409469B1 (ko)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641383B (zh) 基于斜坡结构的机器人脱卡控制方法、芯片及清洁机器人
CN110679273A (zh) 手推轮式车辆
CN204415787U (zh) 新式行走式缠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