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855Y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855Y1
KR200472855Y1 KR2020140001406U KR20140001406U KR200472855Y1 KR 200472855 Y1 KR200472855 Y1 KR 200472855Y1 KR 2020140001406 U KR2020140001406 U KR 2020140001406U KR 20140001406 U KR20140001406 U KR 20140001406U KR 200472855 Y1 KR200472855 Y1 KR 200472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wheel
support frame
control unit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이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석 filed Critical 이준석
Priority to KR2020140001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8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62B5/042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braking or blocking when leaving a particular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5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hydraul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2005/0471Disk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호자가 유모차를 놓쳤을 때 유모차가 저절로 굴러가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는 지지프레임(A)에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C)와, 상기 제동부(C)에 연결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제동부(C)를 작동시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D)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넘어지거나 기타 실수로 손잡이(2)를 놓칠 경우, 자동으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손잡이(2)를 놓쳤을 때, 유모차가 저절로 움직여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고안은 보호자가 유모차를 놓쳤을 때 유모차가 저절로 굴러가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 또는 유아를 태우고 다닐 수 있도록 된 유모차는 하단에 휠(1)이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설치되어 영유아를 태울 수 있도록 된 좌석부(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A)에는 손잡이(2)가 구비되어, 영유아를 상기 좌석부(B)에 태운 상태에서, 보호자가 상기 손잡이(2)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유모차 전체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유모차는 하단에 휠(1)이 구비됨으로, 보호자가 유모차의 손잡이(2)를 붙잡고 있지 않을 경우, 유모차가 경사면을 따라 저절로 굴러가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유모차에는 공개특허 10-1999-0045069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휠(1)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된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원할 때 상기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유모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제동장치는 보호자가 작동을 시켜야 함으로, 보호자가 실수로 유모차를 놓쳤을 경우, 유모차가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호자가 유모차를 놓쳤을 때 유모차가 저절로 굴러가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유모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에 휠(1)이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설치되어 영유아를 태울 수 있도록 된 좌석부(B)를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휠(1) 또는 상기 휠(1)에 연결된 제동디스크(10)에 밀착되거나 결합되어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C)와, 상기 제동부(C)에 연결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제동부(C)를 작동시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부(C)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결합 또는 밀착되어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재(20)와,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와이어(50)를 통해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된 회동부재(4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된 가이드부(3)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40)가 상기 와이어(50)를 당긴 상태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키부재(60)와, 일단은 상기 키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보호자에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71)이 구비된 연결케이블(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재(40)의 선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41a)이 구비되고, 상기 키부재(60)의 선단부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3)에 키부재(60)를 삽입하면 상기 키부재(60)의 경사면(61)에 의해 지지축(41a)이 가압되어 상기 회동부재(40)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50)가 당겨져 상기 제동부(C)의 제동부재(20)와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부(C)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전후진되어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결합되는 제동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24)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과, 상기 제어유닛(8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부재(60)와, 일단은 상기 키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보호자에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71)이 구비된 연결케이블(7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키부재(60)의 결합상태를 감시하여, 키부재(60)가 분리되면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결합 또는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부(C)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전후진되어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결합되는 제동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과, 상기 제어유닛(80)과 무선통신가능하게 구성되며 보호자가 소지하는 발신기(9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발신기(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발신기(90)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발신기(9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결합 또는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는 지지프레임(A)에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C)와, 상기 제동부(C)에 연결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제동부(C)를 작동시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D)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넘어지거나 기타 실수로 손잡이(2)를 놓칠 경우, 자동으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손잡이(2)를 놓쳤을 때, 유모차가 저절로 움직여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모차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의 제동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것으로, 본 하단에 휠(1)이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설치되어 영유아를 태울 수 있도록 된 좌석부(B)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유모차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A)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2)가 구비되어, 영유아를 상기 좌석부(B)에 태운 상태에서, 보호자가 상기 손잡이(2)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유모차 전체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A)에는, 상기 휠(1)에 밀착되거나 결합되어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C)와, 상기 제동부(C)에 연결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제동부(C)를 작동시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D)가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동부(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1)에 연결된 제동디스크(1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동디스크(10)에 결합되어 상기 제동디스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재(20)와,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제동디스크(10)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제동디스크(10)는 상기 휠(1)의 회전축(1a)에 일체로 고정결합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동부재(20)는 상기 제동디스크(10)의 둘레면을 향해 연장되며 기단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결합되는 힌지핀(22)이 구비된 고정바(21)와, 상기 고정바(21)의 기단부에서 직각되도록 연장된 연장바(23)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핀(2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지지프레임(A)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고정바(21)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동디스크(10)의 결합홈(11)에 결합되는 결합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23)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와이어(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제동부재(20)를 힌지결합하는 힌지핀(22)에 끼워진 토션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동부재(20)의 결합부(21a)가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동부재(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어부(D)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와이어(50)를 통해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된 회동부재(4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형성된 가이드부(3)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40)가 상기 와이어(50)를 당긴 상태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키부재(60)와, 일단은 상기 키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보호자에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71)이 구비된 연결케이블(7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40)는 상기 지지프레임(A)의 손잡이(2)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브라켓(4)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42)이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41a)이 구비된 회동바(41)와, 상기 회동바(41)의 선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바(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50)는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40)의 연장바(43)와, 상기 제동부재(20)의 연장바(23)에 고정되며, 중간부는 가이드로울러(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A)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바(41)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부재(40)의 연장바(43)에 의해 상기 와이어(50)가 당겨지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50)에 연결된 상기 제동부재(20)의 연장바(23)가 당겨져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동부재(20)의 고정바(21)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동부재(20)의 고정바(41)에 형성된 결합부(21a)와 상기 제동디스크(10)의 결합홈(11)의 결합이 해제된다.
반대로,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바(41)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와이어(50)가 느슨해짐과 동시에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제동부재(20)의 고정바(21)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제동부재(20)의 고정바(21)에 형성된 결합부(21a)가 상기 제동디스크(10)의 결합홈(11)에 결합되어 상기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키부재(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길고 측방향의 폭이 좁게 구성된 카드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선단부에는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바(41)에 구비된 지지축(41a)에 접촉되는 경사면(61)이 후방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는 상기 손잡이(2)의 전면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2)의 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의 가이드부재(3a)가 손잡이(2)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3)는 상기 가이드부재(3a)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는 상기 키부재(6)에 대응되는 슬롯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바(41)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키부재(60)를 상기 가이드부(3)에 끼워 넣으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부재(60)의 경사면(61)이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바(41)에 구비된 지지축(41a)을 하측으로 밀어 회동부재(40)가 회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부재(60)를 상기 가이드부(3)에 완전히 밀어 넣으면 상기 회동부재(40)의 지지축(41a)이 상기 키부재(60)의 하측면에 걸려 회동부재(40)의 회동바(41)가 상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연결케이블(70)은 일반적인 합성수지재의 플랙시블한 케이블을 이용한다.
상기 고정수단(71)은 일반적인 집게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자신의 옷이나 벨트 등에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호자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부재(60)를 상기 가이드부(3)에 끼워 넣으면, 상기 키부재(60)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40)가 회동되면서 상기 와이어(50)를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동부재(20)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동부재(20)와 제동디스크(1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휠(1)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상기 좌석부(B)에 영유아를 태운 상태로 상기 손잡이(2)를 밀거나 당겨서, 유모차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가 넘어지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손잡이(2)를 놓쳐서 유모차와 보호자의 거리가 상기 연결케이블(70)의 길이보다 멀어질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케이블(70)에 의해 키부재(60)가 당겨져 키부재(60)에 의한 회동부재(40)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20)가 회동되어, 상기 제동부재(20)의 고정바(21)에 형성된 결합부(21a)가 상기 제동디스크(10)의 결합홈(11)에 결합되어 상기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이에 따라, 유모차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C)와, 상기 제동부(C)에 연결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제동부(C)를 작동시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D)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넘어지거나 기타 실수로 손잡이(2)를 놓칠 경우, 자동으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손잡이(2)를 놓쳤을 때, 유모차가 저절로 움직여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동부(C)는 상기 휠(1)에 연결된 제동디스크(1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동디스크(10)에 결합되어 상기 제동디스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재(20)와,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제동디스크(10)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와이어(50)를 통해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된 회동부재(4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형성된 가이드부(3)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40)가 상기 와이어(50)를 당긴 상태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키부재(60)와, 일단은 상기 키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보호자에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71)이 구비된 연결케이블(70)로 구성되어, 상기 키부재(60)를 상기 가이드부(3)에 결합한 후, 상기 고정수단(71)을 보호자의 옷 등에 고정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0)의 선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41a)이 구비되고, 상기 키부재(60)의 선단부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3)에 키부재(60)를 삽입하면 상기 키부재(60)의 경사면(61)에 의해 상기 지지축(41a)이 가압되어 회동부재(40)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50)가 당겨져 상기 제동부(C)의 제동부재(20)와 제동디스크(1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보호자가 상기 키부재(60)를 상기 가이드부(3)에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상기 고정바(21)에 의한 휠(1)의 고정이 해제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동디스크(1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동디스크(10)를 일반적인 원판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제동디스크(10)에 밀착되어 휠(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동부재(20)는 상기 휠(1)에 구비된 제동디스크(10)에 결합 또는 밀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동디스크(10)의 구조를 생략하고,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휠(1)에 직접 밀착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동부재(20)의 형태는 전술한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동부(C)와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여, 상기 제동부(C)와 제어부(D)를 별도의 유닛형태로 구성하여, 제동부(C)와 제어부(D)를 유모차의 지지프레임(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71)은 일반적인 집게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자신의 옷이나 벨트 등에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저수단(71)의 보호자의 팔목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밴드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동부(C)는 상기 휠(1)에 연결된 제동디스크(1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전후진되어 상기 제동디스크(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동부재(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동디스크(10)의 상기 휠(1)의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24)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장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동부재(20)의 상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전진되면 선단부가 상기 결합홈(11)에 맞물려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상기 제동부재(20)가 후퇴되면 상기 제동부재(20)와 결합홈(11)의 결합이 해제되어 휠(1)이 자유롭게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24)에 연결되어 액츄에이터(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과, 상기 제어유닛(8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부재(60)와, 일단은 상기 키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보호자에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71)이 구비된 연결케이블(7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지지프레임(A)의 손잡이(2)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키부재(60)의 선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키부재(60)가 결합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부재(20)가 후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동부재(20)와 제동디스크(1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휠(1)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키부재(60)가 분리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부재(20)가 전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동부재(20)와 제동디스크(10)가 결합되어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2)의 전면에는 손잡이(2)의 전면을 관통하는 가이드부(3)가 형성되어, 보호자가 상기 가이드부(3)에 키부재(60)를 삽입하면, 키부재(60)의 선단부 상기 가이드부(3)에 안내되어 상기 제어유닛(8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케이블(70) 및 고정수단(71)의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는 보호자가 넘어지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손잡이(2)를 놓쳐서 유모차와 보호자의 거리가 상기 연결케이블(70)의 길이보다 멀어질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70)에 의해 키부재(60)가 당겨져 상기 제어유닛(8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80)으로부터 키부재(60)가 분리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부재(20)와 제동디스크(10)가 결합되도록 하여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는 상기 제어유닛(80)에 키부재(60)를 결합하면 상기 제어유닛(80)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작동시켜 휠(1)의 고정을 해제함으로, 휠(1)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 매우 손쉽고 힘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키부재(60)를 가이드부(3)에 삽입하면 키부재(60)에 의해 회동부재(40)가 회동되어 휠(1)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됨으로, 휠(1)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키부재(60)를 상기 가이드부(3)에 강한 힘으로 삽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키부재(60)가 상기 제어유닛(8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휠(1)의 고정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음으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들도 손쉽게 휠(1)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동부(C)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휠(1)에 연결된 제동디스크(1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전후진되어 상기 제동디스크(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동부재(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과, 상기 제어유닛(80)과 무선통신가능하게 구성되며 보호자가 소지하는 발신기(9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발신기(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유닛(80)과 발신기(90)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발신기(90)가 미리 설정된 거리의 이내에 있을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휠(1)의 고정을 해제하고, 발신기(9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제동디스크(10)의 결합홈(11)에 결합되어 휠(1)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발신기(90)는 일반적인 무선송발신기나, RFID카드, 또는 불루투스 또는 NFC가 탑재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발신기(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발신기(90)와 제어유닛(80)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기존에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는 상기 발신기(90)를 소지한 보호자가 유모차에 근접하면 자동으로 휠(1)의 고정이 해제되고, 보호자의 실수로 유모차와 보호자의 거리가 멀어지면 자동으로 휠(1)이 고정되어 유모차가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발신기(90)는 일반적인 무선송발신기나, RFID카드, 또는 불루투스 또는 NFC가 탑재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발신기(90)는 상기 제어유닛(80)과 무선통신하여, 발신기와 제어유닛(80)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활용될 수 있다.
A. 지지프레임 B. 좌석부
C. 제동부 D.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하단에 휠(1)이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설치되어 영유아를 태울 수 있도록 된 좌석부(B)를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휠(1) 또는 상기 휠(1)에 연결된 제동디스크(10)에 밀착되거나 결합되어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C)와,
    상기 제동부(C)에 연결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제동부(C)를 작동시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C)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결합 또는 밀착되어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재(20)와,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되어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와이어(50)를 통해 상기 제동부재(20)에 연결된 회동부재(40)와,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된 가이드부(3)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40)가 상기 와이어(50)를 당긴 상태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키부재(60)와,
    일단은 상기 키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보호자에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71)이 구비된 연결케이블(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40)의 선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41a)이 구비되고,
    상기 키부재(60)의 선단부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3)에 키부재(60)를 삽입하면 상기 키부재(60)의 경사면(61)에 의해 지지축(41a)이 가압되어 상기 회동부재(40)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50)가 당겨져 상기 제동부(C)의 제동부재(20)와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하단에 휠(1)이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에 설치되어 영유아를 태울 수 있도록 된 좌석부(B)를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휠(1) 또는 상기 휠(1)에 연결된 제동디스크(10)에 밀착되거나 결합되어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C)와,
    상기 제동부(C)에 연결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제동부(C)를 작동시켜 휠(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C)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전후진되어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결합되는 제동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D)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24)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과,
    상기 제어유닛(8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부재(60)와,
    일단은 상기 키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보호자에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71)이 구비된 연결케이블(7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키부재(60)의 결합상태를 감시하여, 키부재(60)가 분리되면 액츄에이터(24)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부재(20)가 상기 휠(1) 또는 제동디스크(10)에 결합 또는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삭제
KR2020140001406U 2014-02-24 2014-02-24 유모차 KR200472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06U KR200472855Y1 (ko) 2014-02-24 2014-02-24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06U KR200472855Y1 (ko) 2014-02-24 2014-02-24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855Y1 true KR200472855Y1 (ko) 2014-05-27

Family

ID=5149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406U KR200472855Y1 (ko) 2014-02-24 2014-02-24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85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230B1 (ko) * 2016-05-20 2017-10-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시 작동 브레이크를 구비한 유모차
KR101996752B1 (ko) 2018-02-13 2019-10-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KR102121597B1 (ko) * 2018-12-03 2020-06-10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용 급브레이크 장치
KR102299925B1 (ko) 2020-05-18 2021-09-09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접철구조를 개선시킨 유모차
KR102495946B1 (ko) * 2021-08-03 2023-02-06 오정철 속도제어형 브레이크 장치가 내장된 리어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491Y1 (ko) * 2000-05-30 2001-01-15 이규주 제동장치 유모차
KR101013299B1 (ko) * 2010-04-19 2011-02-09 정종락 스마트 키를 사용한 자동 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491Y1 (ko) * 2000-05-30 2001-01-15 이규주 제동장치 유모차
KR101013299B1 (ko) * 2010-04-19 2011-02-09 정종락 스마트 키를 사용한 자동 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230B1 (ko) * 2016-05-20 2017-10-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시 작동 브레이크를 구비한 유모차
KR101996752B1 (ko) 2018-02-13 2019-10-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KR102121597B1 (ko) * 2018-12-03 2020-06-10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용 급브레이크 장치
KR102299925B1 (ko) 2020-05-18 2021-09-09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접철구조를 개선시킨 유모차
KR102495946B1 (ko) * 2021-08-03 2023-02-06 오정철 속도제어형 브레이크 장치가 내장된 리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855Y1 (ko) 유모차
EP2004125B1 (fr) Dispositif de guidage pour table motorisee comprenant une unite de regroupement de commandes de la table
KR101013299B1 (ko) 스마트 키를 사용한 자동 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
KR101727703B1 (ko)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0992540B1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장치
KR101408162B1 (ko) 전자동 유모차
US6411281B1 (en) Mouse with battery compartment on top
US20230150402A1 (en) Seat belt fixing device
CN108502008B (zh) 婴儿车
KR101222688B1 (ko) 철도차량 시트 자동회전장치
KR102308816B1 (ko)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KR101909116B1 (ko) 차량용 전동휠체어 고정장치
TWM332036U (en) Caster structure
KR101723297B1 (ko)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KR101589218B1 (ko) 유모차용 제동장치
JP2006246807A (ja) 歩行型作業機
CN101842139B (zh) 将使用者固定在水上交通工具上的保持***和带有保持***的水上交通工具
KR101441103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가압 해제 기구
KR101405118B1 (ko) 한 쌍의 와이어에 의해 구동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CN112441103B (zh) 推车车架
EP3207794B1 (en) Switching device of retractor
TW201804931A (zh) 電動拉鏈系統、無線傳送機及作為無線接收機之滑件
CN210301466U (zh) 小腿靠调整机构及具有该机构的看护车
KR101712511B1 (ko) 적재기구용 적재부재의 위치가변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동 캐리어
KR102647191B1 (ko) 안전벨트 접점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