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59Y1 -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 Google Patents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59Y1
KR200472159Y1 KR2020120008227U KR20120008227U KR200472159Y1 KR 200472159 Y1 KR200472159 Y1 KR 200472159Y1 KR 2020120008227 U KR2020120008227 U KR 2020120008227U KR 20120008227 U KR20120008227 U KR 20120008227U KR 200472159 Y1 KR200472159 Y1 KR 200472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le
air
barista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05U (ko
Inventor
남승국
Original Assignee
남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국 filed Critical 남승국
Priority to KR2020120008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5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를 내리거나 표면에 우유로 각종 그림을 그리는 라떼아트를 할 때 사용하는 드립 포트가 보다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섬세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와, 상부의 뚜껑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 내부 공간과 손잡이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리스타용 드립포트{The drip port for barista}
본 고안은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를 내리거나 표면에 우유로 각종 그림을 그리는 라떼아트를 할 때 사용하는 드립 포트가 보다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섬세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원두커피가 일반화되고 커피 전문점이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전이 아니라고 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번화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커피전문점이 생기면서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커피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핸드 메이드 방법은 거름종이에 원두를 넣고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적당한 유량으로 뜨거운 물을 붓도록 하여 커피를 내리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라떼아트와 같이 커피의 표면에 우유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데 여기에서도 드립포트가 사용된다.
원래 바리스타는 즉석에서 커피를 전문적으로 만들어 주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로 좋은 원두를 선택하고 커피 머신을 완벽하게 활용하여 고객의 입맛에 최대한의 만족을 주는 커피를 만들어내는 일을 하는 직업으로 이들은 무엇보다도 먼저 커피의 선택과 어떤 커피 머신을 사용할 것인지, 어떻게 커피 머신의 성능을 유지시킬 것인지에 대해 알아야 하며 완벽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직업이다.
또 커피가 어떻게 생산되고, 여러 종류의 커피가 각각 어떤 향과 맛이 나며, 어떤 특징이 있고, 무슨 빵과 잘 어울리는지 등 커피에 관한 모든 것을 익혀야 하며, 아울러 손님에게 커피에 관한 조언을 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커피를 내리거나 라떼아트를 할 경우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섬세하게 기울기를 조절하여야 하며 이러한 유량의 조절이 커피의 맛과 라떼아트의 기술에 상당히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드립포트는 주둥이가 포트의 아래에서 시작하여 상부로 S자를 그리면서 형성되어 조절이 용이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그래도 섬세한 조절능력을 키우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7-0073674호 (1997년12월10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3-0024971호 (1993년12월16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55703호 (2009년06월03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의 주둥이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물 등의 액체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유량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와, 상부의 뚜껑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1)와 뚜껑(3)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 내부 공간과 손잡이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량공급장치는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 상단을 막고,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천공되어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되는 공기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의 막힌 측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여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상기 공기 유출구까지 관통 형성되되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장착홀로 구성되는 캡과;
상단에는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의 나사산에 상응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 하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공기차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이 감싸는 내측에는 누름버튼의 누름에 따라 상기 손잡이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변화하는 제2 유량조절장치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에는 제2 유량조절장치가 장착되도록 손잡이 내부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서 삽입되는 마지막단은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후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홀의 양측으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가이드홀에서 일측방향으로 관통된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접시 모양의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가 인접한 곳의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1 단턱홈과, 중간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2 단턱홈과, 상기 누름부의 타측 끝단에서 누름부 방향으로 천공되어 제1 단턱홈과 연통하는 제1 연결홀 및 제2 단턱홈과 연통하는 제2 연결홀을 구비하는 공기관로가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의 내경보다 작고 가이홀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공기관로에 결합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는 압축코일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된 일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드립포트에서 빠져나가는 만큼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에 의하여 바리스타가 작업을 할 때 최적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유량조절장치에 의하여 바리스타가 실시간으로 손으로 버튼을 눌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유량을 원하는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2)와, 상부의 뚜껑(3)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4)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1)와 뚜껑(3)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4)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4)를 연결하는 연결관(5)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1) 내부 공간과 손잡이(4)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5)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4)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뚜껑(3)을 닫을 경우 뚜껑(3)과 몸체(1)의 틈으로 유입되는 공기 혹은 뚜껑에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그 기본적인 전제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내부의 액체를 따르게 되면 공기의 유입이 없으면 어느 정도가 지나면 더 이상 드립포트를 기울려도 액체가 주둥이(2)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본원의 제1 유량조절장치(6)는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 압력에서 액체가 빠져나가는 양을 조절할 수 있기에 아주 가늘게 액체를 붓는 작업을 할때 손의 감각만에 의존하였던 기존의 드립포트보다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유량조절장치(6)는 기존에 다양하게 사용되었던 밸브의 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손잡이(4)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량공급장치(6)는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 상단을 막고,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천공되어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되는 공기 유출구(61)와, 상기 공기 유출구(61)의 막힌 측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여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62)와,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상기 공기 유출구(61)까지 관통 형성되되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장착홀(63)로 구성되는 캡(64)과;
상단에는 장착되는 핸들(65)과; 상기 핸들(65)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63)의 나사산에 상응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강축(66)과; 상기 승강축(66) 하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61)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공기차폐부(6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기존의 밸브의 구조를 응용한 것으로 핸들(65)에 의하여 공기차폐부(67)가 공기 유출구(61)를 단속하도록 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손잡이(4)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이 감싸는 내측에는 누름버튼(71)의 누름에 따라 상기 손잡이(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변화하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추가로 장착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제1 유량조절장치(6)가 있다고 하더라도 라떼아트와 같이 우유로 커피 표면에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할 경우 흘러내리는 우유의 굵기를 자주 변화시켜야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기울기를 변화시켜야 하나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고 오래 작업하면 손목에 무리가 오는 경우가 많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시한 실시 예이다.
즉 제1 유량조절장치(6)를 잠그거나 작게 열어놓고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7)의 누름버튼(71)을 누르는 정도에 따라 공기 유입량이 제2 유량조절장치(7)에 의하여 많아 지도록 하면 누르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 혹은 굵기의 액체줄기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손잡이(4)에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장착되도록 손잡이(4) 내부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41)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7)는 상기 관통홀(41)에 삽입되면서 삽입되는 마지막단은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41)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후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711)과, 상기 가이드홀(711)의 양측으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스프링 삽입홀(712)과, 상기 가이드홀(711)에서 일측방향으로 관통된 공기 배출홀(715)이 형성되는 하우징(71)과;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7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접시 모양의 누름부(721)와, 상기 누름부(721)가 인접한 곳의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1 단턱홈(722)과, 중간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2 단턱홈(723)과, 상기 누름부(721)의 타측 끝단에서 누름부(721) 방향으로 천공되어 제1 단턱홈(722)과 연통하는 제1 연결홀(724) 및 제2 단턱홈(723)과 연통하는 제2 연결홀(725)을 구비하는 공기관로(726)가 형성되는 슬라이더(72)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의 내경보다 작고 가이드홀(711)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관통된 결합홀(731)이 형성되어 고정볼트(732)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72)의 공기관로(726)에 결합되는 스토퍼(73)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에 삽입되는 압축코일 스프링(74)과;
상기 하우징(71)의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이 형성된 일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75)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72)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의 타측에는 단턱지게 내경이 확장되는 실링삽입부(713)가 형성되어 실링(714)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유량 조절장치(7)의 작동은 도 9와 같이 평상시에는 압축코일스프링(74)에 의하여 슬라이더(72)가 최대한 나온 상태로 제2 단턱홈(723)과 공기배출홀(715)이 어긋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드립포트를 기울려도 아주 소량의 액체가 나오거나 거의 나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누름부(721)을 누르면 최초 제2 단턱홈(723)과 공기배출홀(715)이 엇갈리며 작은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더욱 누르면 상기 제2 단턱홈(723)과 공기배출홀(715)가 완전히 일치하는 곳에서는 최대한의 공기가 유입되어 액체의 물줄기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단턱홈(722)은 슬라이더(72)를 누를 때 제1 연결홀(724)이 가이드홀(711)의 내부로 들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1 : 몸체
2 : 주둥이
3 : 뚜껑
4 : 손잡이
41 : 관통홀
5 : 연결관
6 : 제1 유량조절장치
61 : 공기 유출구 62 : 공기 유입구
63 : 장착홀 64 : 캡
65 : 핸들 66 : 승강축
67 : 공기차폐부
7 : 제2 유량조절장치
71 : 하우징
711 : 가이드홀 712 : 스프링 삽입홀
713 : 실링 삽입부 714 : 실링
715 : 공기 배출홀
72 : 슬라이더
721 : 누름부 722 : 제1 단턱홈
723 : 제2 단턱홈 724 : 제1 연결홀
725 : 제2 연결홀 726 : 공기관로
73 : 스토퍼
731 : 결합홀 732 : 고정볼트
74 : 압축코일스프링
75 : 하우징 커버

Claims (4)

  1. 내부에 액체가 담겨져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의 정면 하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주둥이(2)와, 상부의 뚜껑(3)과,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4)로 구성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1)와 뚜껑(3)의 결합은 밀폐되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4)는 저면은 막히고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4)를 연결하는 연결관(5)에 의하여 고정되되, 몸체(1) 내부 공간과 손잡이(4) 내부 공간이 상기 연결관(5)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4)의 상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유량조절장치(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량공급장치(6)는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 상단을 막고,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천공되어 일측은 막혀 있고 타측은 개방되는 공기 유출구(61)와, 상기 공기 유출구(61)의 막힌 측에서 상부로 수직 관통되여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62)와,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상기 공기 유출구(61)까지 관통 형성되되 상단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장착홀(63)로 구성되는 캡(64)과;
    상단에는 장착되는 핸들(65)과; 상기 핸들(65)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63)의 나사산에 상응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강축(66)과; 상기 승강축(66) 하단에 장착되어 승하강에 따라 상기 공기 유출구(61)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공기차폐부(6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이 감싸는 내측에는 누름버튼(71)의 누름에 따라 상기 손잡이(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변화하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에는 제2 유량조절장치(7)가 장착되도록 손잡이(4) 내부로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41)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조절장치(7)는 상기 관통홀(41)에 삽입되면서 삽입되는 마지막단은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41)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후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711)과, 상기 가이드홀(711)의 양측으로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스프링 삽입홀(712)과, 상기 가이드홀(711)에서 일측방향으로 관통된 공기 배출홀(715)이 형성되는 하우징(71)과;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7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접시 모양의 누름부(721)와, 상기 누름부(721)가 인접한 곳의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1 단턱홈(722)과, 중간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제2 단턱홈(723)과, 상기 누름부(721)의 타측 끝단에서 누름부(721) 방향으로 천공되어 제1 단턱홈(722)과 연통하는 제1 연결홀(724) 및 제2 단턱홈(723)과 연통하는 제2 연결홀(725)을 구비하는 공기관로(726)가 형성되는 슬라이더(72)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의 내경보다 작고 가이드홀(711)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관통된 결합홀(731)이 형성되어 고정볼트(732)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72)의 공기관로(726)에 결합되는 스토퍼(73)와;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에 삽입되는 압축코일 스프링(74)과;
    상기 하우징(71)의 상기 스프링 삽입홀(712)이 형성된 일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7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KR2020120008227U 2012-09-14 2012-09-14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KR200472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27U KR200472159Y1 (ko) 2012-09-14 2012-09-14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27U KR200472159Y1 (ko) 2012-09-14 2012-09-14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5U KR20140001705U (ko) 2014-03-24
KR200472159Y1 true KR200472159Y1 (ko) 2014-04-17

Family

ID=5148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27U KR200472159Y1 (ko) 2012-09-14 2012-09-14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5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136Y1 (ko) 1999-06-10 2000-02-15 장윤석 대통주전자
JP2003210323A (ja) 2002-01-21 2003-07-29 Sharp Corp 湯沸しポット
JP2007244610A (ja) 2006-03-15 2007-09-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ポット
JP2011235078A (ja) 2010-04-15 2011-11-24 Keigo Konishi 飲料用ポ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136Y1 (ko) 1999-06-10 2000-02-15 장윤석 대통주전자
JP2003210323A (ja) 2002-01-21 2003-07-29 Sharp Corp 湯沸しポット
JP2007244610A (ja) 2006-03-15 2007-09-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ポット
JP2011235078A (ja) 2010-04-15 2011-11-24 Keigo Konishi 飲料用ポ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5U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6298B1 (en) System for making a beverage, as well as a restriction-element and a pad evidently intended for such a system, as well as a method for making a beverage and use of he system for making a beverage
US20110083560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WO2005096829A3 (en) Beverage brewing system
US20170280913A1 (en) Knockdown pour-over kettle and kettle cover thereof
JP6835845B2 (ja) 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を運転する方法
KR101382254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US20060249035A1 (en) Structure of mocha coffee maker
US20140076168A1 (en) Hot Beverage Machine
TWI450696B (zh) 沖泡器
US20170295985A1 (en) Filter cup
KR100920237B1 (ko) 커피 추출 장치
WO2022152197A1 (zh) 一种小体积手动咖啡机
KR200472159Y1 (ko) 바리스타용 드립포트
JP5563929B2 (ja) コーヒー用ポット
KR200451890Y1 (ko) 수동식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WO2006032597A3 (de) Kaffeemaschine mit einem auslauftopf
JP4609739B1 (ja) 飲料抽出器
CN201398778Y (zh) 便携式可循环冲泡的冲泡杯
JP4678006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用液体容器の栓体
JP3131257U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
TWM570676U (zh) Hand-held electric coffee machine
TWI627929B (zh) 咖啡濾泡器
TWM527286U (zh) 咖啡濾泡器
CN202191113U (zh) 一种带吸管的车用泡茶杯
JP2012152363A (ja) 電気ケ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