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63Y1 -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63Y1
KR200471663Y1 KR2020120004604U KR20120004604U KR200471663Y1 KR 200471663 Y1 KR200471663 Y1 KR 200471663Y1 KR 2020120004604 U KR2020120004604 U KR 2020120004604U KR 20120004604 U KR20120004604 U KR 20120004604U KR 200471663 Y1 KR200471663 Y1 KR 200471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vertical
wheelchair
vertic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081U (ko
Inventor
이정현
장용준
조범석
채충식
Original Assignee
이정현
채충식
조범석
장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채충식, 조범석, 장용준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2020120004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6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탑승자가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고자 할 때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가 개시된다. 휠체어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에 설치된 팔 지지대를 포함하고, 팔 지지대는, 시트 프레임에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 지지봉, 탑승자의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지지봉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본 고안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탑승자가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고자 할 때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지체부자유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탑승자가 이동할 때 탑승자 스스로 바퀴를 구동시키거나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통상 하측 좌, 우측으로 평행하게 하측 수평 프레임이 위치하여 하측 수평 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메인 바퀴가 장착된다.
또한, 하측 수평프레임의 상부에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연질의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이 위치한다. 하측 수평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등받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며, 그 상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가 마련한다. 시트 프레임의 상부에는 환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소정 높이로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휠체어는 탑승자가 병원 또는 자가에서 차량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경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팔걸이 프레임이 이동하려는 탑승자에게 장애물로 작용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의 좌, 우측을 통해 이동하지 못하고 휠체어의 앞쪽을 통해서만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탑승자가 이동을 위해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탑승자 혼자서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이동을 위해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 경우, 탑승자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인 경우, 환자가 무리하게 혼자서 이동하려다가 휠체어에서 넘어지거나 침대 또는 의자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하거나 보호자 등이 환자의 신체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보호자 등의 신체적 부담 및 손상을 야기하는 등 환자, 보호자 등의 안정적인 건강상태를 해칠 우려가 있었다. 이때, 몸무게가 무거운 환자의 경우 그 부담이 더욱 가중된다.
또한, 종래의 휠체어는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경우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받칠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다리 위에 올려놓고 취식하거나 독서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휠체어는 탑승자의 편리나 욕구가 전혀 고려되지 않고 단순한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 밖에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고자 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휠체어의 앞쪽은 물론 좌, 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탑승자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키게 한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르면, 휠체어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에 설치된 팔 지지대를 포함하고, 팔 지지대는, 시트 프레임에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 지지봉, 탑승자의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지지봉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봉은 사각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봉은 시트 프레임에 제1 축에 관해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다.
지지봉을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는 제1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록킹부는 지지봉이 수직위치 및 수평위치에 있을 때 각각 지지봉의 일측면과 바닥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1 누름부, 및 제1 누름부의 록킹면을 지지봉의 일측면 또는 바닥면과 맞물리도록 제1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긴 장방형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지지봉이 수직위치에 있을 때는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1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키고 지지봉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는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2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2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2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는, 지지봉과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지지봉이 시트 프레임에 대해 피봇하는 제1 축에 수직인 제 2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1 힌지, 및 제1 힌지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축에 수직인 제 3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는, 제2 힌지에 연결되고 제2 및 제3 축에 수직이고 제1 축에 평행한 제4 축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를 제1 가로 수직위치 또는 제2 세로 수직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는 제2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록킹부는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2 누름부, 및 제2 누름부의 록킹면을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도록 제2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이 수직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를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스토핑하기 위해, 팔 지지대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지지부가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의 하면과 맞물리도록 제1 힌지의 일측 단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휠체어는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등받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컵 수용부가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휠체어는 다양한 수직자세와 수평자세로 피봇 및 회전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팔 지지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팔 지지대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팔 지지대는 지지부가 수평자세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는 필요에 따라 휠체어의 앞쪽은 물론 좌, 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다.
또한, 팔 지지대는 필요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다리 위에 올려놓고 취식하거나 독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에서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제2 세로 수평위치로 변환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에서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제1 가로 수평위치로 변환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각각 제1 가로 수직위치, 제2 세로 수직위치, 제2 가로 수직위치, 및 제2 세로 수평위치로 변환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의 팔 지지대의 부분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의 팔 지지대의 제1 록킹부의 부분 단면도, 및
도 6은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제1 세로 수직위치로 변환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의 팔 지지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100)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휠체어(100)는 지체부자유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탑승자가 이동할 때 탑승자가 바퀴를 구동시키거나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서, 하측 수평프레임(110), 메인 바퀴(120), 시트 프레임(130), 등받이 프레임(150), 컵 수용부(155), 전방 지지프레임(160), 및 팔 지지대(170)를 포함한다.
하측 수평프레임(110)은 휠체어(100)의 하측 좌, 우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메인 바퀴(120)는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후방 외측에 장착된다.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방부 하측에는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보조바퀴(123)가 장착된다.
시트 프레임(130)은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상측으로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시트 프레임(130) 사이에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연질의 시트(140)가 장착된다.
등받이 프레임(150)은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방 좌, 우측에 직립 되게 설치하여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단부를 고정하며, 상부측을 후방으로 절곡하여 손잡이(151)를 마련한다. 여기서, 좌, 우측으로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150)의 사이에는 등받이 시트(141)가 장착된다.
등받이 프레임(150)의 일측 상부에는 필요 시 탑승자가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컵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컵 수용부(155)가 고정된다. 컵 수용부(155)는 원통 형상의 본체(156), 및 본체(156)를 등받이 프레임(150)의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부(157)를 구비한다.
전방 지지프레임(160)은 하측 수평프레임(110) 전방부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상향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며, 상부측 외주연에 시트 프레임(130)의 전단부가 결합된다.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전방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발판 프레임(163)이 고정되며, 발판 프레임(163)에는 탑승자의 발을 거치하기 위한 발판 플레이트(165)가 장착된다.
팔 지지대(170)는 탑승자의 팔을 거치시키거나 지지하도록 휠체어(100)의 좌,우측으로 대응되게 시트 프레임(11)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팔 지지대(170)는 탑승자가 휠체어(100)에서 차량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수단 또는 필요 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휠체어(100)의 앞쪽은 물론 좌,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한다. 팔 지지대(170)의 양측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일측, 예를 들면, 도면의 좌측의 구조만 설명하기로 한다.
팔 지지대(170)는 지지봉(171), 지지부(175), 및 연결부(190)를 포함한다.
지지봉(171)은 시트 프레임(130)에 수직위치(도 1, 도 3, 도 4a, 도 6)와 수평위치(도 2, 도 4b, 도 4c, 도 4d)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171)은 하부의 고정부에서 제1 축(172)에 의해 시트 프레임(130)의 고정보스(131)에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다. 제1 축(172)은 지지봉(171)의 피봇시 원활한 회전을 위해 고정보스(131)의 수용 지지홀(도시하지 않음)에 상,하로 약간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봉(171)은 하부에 U자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한 사각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171)을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170)는 제1 록킹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록킹부(180)는 제1 누름부(181), 및 제1 탄성 스프링(183)을 구비한다.
제1 누름부(181)는 시트 프레임(130) 내에 상하로 피봇할 수 있게 설치되고, 지지봉(171)이 수직위치(도 5a) 및 수평위치(도 5b)에 있을 때 각각 지지봉(171)의 하부의 고정부의 우측면과 바닥면과 맞물리는 록킹면(181a)을 구비한다. 록킹면(181a)은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6에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지지봉(171)의 하부의 고정부의 우측면과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가로로, 즉, 수평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탄성 스프링(183)은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91a)이 지지봉(181)의 하부의 고정부의 우측면 또는 바닥면과 맞물리도록 제1 누름부(181)를 탄성적으로 위로 가압한다.
따라서, 평상시, 예를 들면, 지지봉(171)이 수직위치(도 5a) 및 수평위치(도 5b)에 있을 때는 제1 탄성 스프링(183)이 제1 누름부(181)를 탄성적으로 위로 가압하여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81a)이 지지봉(171)의 우측면 또는 바닥면과 맞물려 지지봉(171)이 움직이지 않게 록킹되고, 탑승자가 지지봉(171)을 피봇시키기 위해 제1 누름부(181)를 손으로 누를 때는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81a)과 지지봉(171)의 우측면 또는 바닥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지지봉(171)은 자유롭게 제1 축(172)에 관해 피봇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75)는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도 2), 및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에 있을 때 탑승자가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긴 장방형 판으로 형성된다.
연결부(190)는 지지부(175)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부(175)를 지지봉(171)에 연결한다. 예를 들면, 연결부(190)는, 지지봉(171)이 수직위치(도 1, 도 3, 도 4a, 도 6)에 있을 때는 지지부(175)를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세로로 직립한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 및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도시하지 않음)로 회전시키고 지지봉(171)이 수평위치(도 2, 도 4b, 도 4c, 도 4d)에 있을 때는 지지부(175)를 가로로 직립한 제2 가로 수직위치(도 4c), 세로로 직립한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 가로로 수평한 제2 가로 수평위치(도시하지 않음), 및 세로로 수평한 제2 세로 수평위치(도 2, 도 4d)로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190)는 제1 힌지(191), 및 제2 힌지(195)를 포함한다.
제1 힌지(191)는 제2 축(193)에 의해 지지봉(171)과 동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제 2축(193)에 관해 회전된다. 여기서, 제 2축(193)은 지지봉(171)이 시트 프레임(130)에 대해 피봇하는 제1 축(172)에 수직이다. 이러한 제1 힌지(19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침대, 의자, 차량 등과의 연결수단을 만들기 위해 지지부(175)를 제2 가로 수직위치(도 4c)와 제2 세로 수평위치(도 2, 도 4d) 사이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제2 힌지(195)는 제3 축(194)에 의해 제1 힌지(191)에 연결되어 제 3축(194)에 관해 회전된다. 여기서, 제3 축(194)은 제1 및 제2 축(171, 193)에 수직이다. 이러한 제2 힌지(19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간이 책상을 만들기 위해 지지부(175)를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와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 사이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지지부(175)는 제2 힌지(195)의 일측에 제 4축(196)에 의해 연결되어 제 4축(196)에 관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축(196)은 제2 및 제3 축(193, 194)에 수직이고 제1 축(172)에 평행하다. 따라서, 지지부(175)는 제 4축(196)에 의해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와 제2 가로 수직위치(도 4c) 사이, 및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와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 사이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175)를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 또는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170)는 제2 록킹부(1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록킹부(198)는 제2 누름부(199), 및 탄성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제3 누름부(198)는 제1 누름부(181)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75)의 하면 내에 상,하로 피봇할 수 있게 설치되고, 지지부(175)가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와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에 있을 때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도 4a 기준)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한다. 제2 탄성 스프링은 제1 탄성 스프링(183)과 마찬가지로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을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과 맞물리도록 제2 누름부(198)를 탄성적으로 외부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평상시, 예를 들면, 지지부(175)가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와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에 있을 때는 제2 탄성 스프링이 제2 누름부(198)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이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과 맞물려 지지부(175)가 움직이지 않게 록킹되고, 탑승자가 지지부(175)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 누름부(198)를 손으로 누를 때는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과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지지부(175)는 자유롭게 제4 축(196)에 관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봉(171)이 수직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175)를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로 스토핑하기 위해, 팔 지지대(170)는 스토퍼(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10)는 지지부(175)가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에 있을 때 지지부의 하면과 맞물리도록 제1 힌지(195)의 상단부(도 4a 및 도 6 기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촉면(21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간이 책상을 만들기 위해, 지지부(175)가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에서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로 제3 축(194)에 관해 회전할 때, 지지부(175)는 하면이 접촉면(211)과 맞물려 회전이 저지되어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팔 지지대(170)가 양측이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팔 지지대(170)는 양쪽 중 한쪽에만 지지봉(171), 지지부(175), 및 연결부(180)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고, 다른 쪽에는 종래의 팔걸이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의 팔 지지대(17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가 휠체어(100)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휠체어(100)를 차량의 시트, 의자 또는 침대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이동하고자 하는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는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 수직위치에 위치한다.
이어서, 탑승자는 이동하고자 하는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에 대응하는 제1 누름부(181)를 눌러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91a)과 지지봉(171)의 좌측면 또는 바닥면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지지부(175)를 잡고 지지봉(171)을 제1 축(172)에 관해 화살표 방향(A)으로 피봇시켜 지지부(175)를 도 4b에 도시한 제2 세로 수직위치로 위치시킨다.
그 다음, 탑승자는 제2 누름부(198)를 눌러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과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도 4a 기준)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지지부(175)를 제4 축(196)에 관해 화살표 방향(B)으로 회전시켜 도 4c에 도시한 제2 가로 수직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탑승자는 지지부(175)를 제2축(193)에 관해 화살표 방향(C)으로 회전시켜 지지부(175)가 시트, 의자 또는 침대에 걸리도록 도 4d에 도시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위치시킨다.
그 결과, 지지부(175)는 시트, 의자 또는 침대와 휠체어(100)의 시트(140)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다리역할을 하게 되어 탑승자가 손쉽게 휠체어(100)에서 시트, 의자, 침대 등으로 이동하거나 시트, 의자, 침대 등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만일 필요하다면, 이동하고자 하는 쪽과 반대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이동이 완료되면, 탑승자는 위에서 설명한 순서의 역순으로 지지부(175)를 제1 가로 수직위치에 이동시키면, 팔 지지대(170)를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동작 또는 휠체어(100)의 좌,우측을 자유롭게 이동하는 동작은 완료된다.
다음으로, 지지부(175)가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 수직위치에 위치한 휠체어(100)에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고자 할 경우, 탑승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에 대응하는 제2 누름부(198)를 눌러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과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지지부(175)를 제4 축(196)에 관해 화살표 방향(E)으로 회전시켜 도 6에 도시한 제1 세로 수직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탑승자는 지지부(175)의 하면이 스토퍼(210)를 구성하는 제2 힌지(191)의 상단부의 접촉면(211)에 얹히도록 지지부(175)를 제3 축(194)에 관해 화살표 방향(F)으로 회전시켜 도 3에 도시한 제1 가로 수평위치로 위치시킨다.
그 결과, 지지부(175)는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변하여 탑승자가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만일 필요하다면, 이동시킨 쪽과 반대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1 가로 수평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 후, 취식이나 독서가 완료되면, 탑승자는 위에서 설명한 순서의 역순으로 지지부(175)를 도 1 및 도 4a에 도시한 제1 가로 수직위치로 이동시키면, 팔 지지대(17)를 간이 책상으로 사용하는 동작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다양한 수직자세와 수평자세로 피봇 및 회전할 수 있는 지지부(175)를 구비한 팔 지지대(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팔 지지대(170)는 탑승자가 휠체어(100)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수단으로 변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팔 지지대(170)는 지지부(175)가 수평자세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는 필요에 따라 휠체어(170)의 앞쪽은 물론 좌,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다. 또한, 팔 지지대(170)는 필요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변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다리 위에 올려놓고 취식하거나 독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휠체어 110: 하측 수평프레임
130: 시트 프레임 150: 등받이 프레임
155: 컵 수용부 170: 팔 지지대
171: 지지봉 172: 제1 축
175: 지지부 180: 제1 록킹부
181: 제2 누름부 183: 제1 탄성스프링
191: 제1 힌지 193: 제2 축
194: 제2 축 195: 제2 힌지
196: 제4 축 198: 제2 록킹부
199: 제2 누름부 210: 스토퍼
211: 접촉면

Claims (13)

  1.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설치된 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시트 프레임에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 지지봉;
    상기 탑승자의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하며 긴 장방형 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지지봉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수직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1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봉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2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2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2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사각형 봉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을 상기 수직위치와 상기 수평위치에 록킹하는 제1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수직위치 및 상기 수평위치에 있을 때 각각 상기 지지봉의 일측면과 바닥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제1 누름부의 상기 록킹면을 상기 지지봉의 상기 일측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봉과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봉이 상기 시트 프레임에 대해 피봇하는 제1 축에 수직인 제 2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1 힌지; 및
    상기 제1 힌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축에 수직인 제 3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힌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3 축에 수직이고 상기 제1 축에 평행한 제4 축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 가로 수직위치 또는 상기 제2 세로 수직위치에 록킹하는 제2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킹부는,
    상기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2 누름부; 및
    상기 제2 누름부의 상기 록킹면을 상기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2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수직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스토핑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힌지의 일측 단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고, 등받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컵 수용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KR2020120004604U 2012-05-31 2012-05-31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 KR200471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04U KR200471663Y1 (ko) 2012-05-31 2012-05-31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04U KR200471663Y1 (ko) 2012-05-31 2012-05-31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81U KR20130007081U (ko) 2013-12-10
KR200471663Y1 true KR200471663Y1 (ko) 2014-03-13

Family

ID=5148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04U KR200471663Y1 (ko) 2012-05-31 2012-05-31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996A1 (ko) * 2014-03-17 2015-09-24 황인성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49Y1 (ko) * 2016-08-16 2016-10-25 재단법인 노틀담수녀회 휠체어용 테이블기구
TWI693933B (zh) * 2019-10-07 2020-05-21 蘇建忠 多功能輪椅
KR102420179B1 (ko) * 2022-02-15 2022-07-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탈부착형 슬라이딩 보드가 구비된 휠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648A (en) 1997-04-28 1998-10-06 Baccili; Peter E. Tray system for baby strollers
KR200398287Y1 (ko) 2005-07-20 2005-10-12 여용구 전/후방 위치 가변식 테이블이 부설되는 의자
JP2007076679A (ja) * 2005-09-13 2007-03-29 Matsunaga Seisakusho:Kk ドリンクホルダー
KR100844086B1 (ko) * 2007-01-26 2008-07-04 박명진 사무용 무릎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648A (en) 1997-04-28 1998-10-06 Baccili; Peter E. Tray system for baby strollers
KR200398287Y1 (ko) 2005-07-20 2005-10-12 여용구 전/후방 위치 가변식 테이블이 부설되는 의자
JP2007076679A (ja) * 2005-09-13 2007-03-29 Matsunaga Seisakusho:Kk ドリンクホルダー
KR100844086B1 (ko) * 2007-01-26 2008-07-04 박명진 사무용 무릎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996A1 (ko) * 2014-03-17 2015-09-24 황인성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81U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0658B2 (ja) 多機能椅子
US20060191073A1 (en) Nursing care bed with wheel chair facility
KR200471663Y1 (ko)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
TWI278296B (en) Bed apparatus and mattress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CN112842739B (zh) 一种护理床的床椅对接结构
JP2017164066A (ja) 車椅子
US9642757B2 (en) Tilt motion leisure adjustable bed base
WO2012169871A1 (en) Mattress with adjustable structure
CN202211816U (zh) 一种病床靠背装置
US10258165B2 (en) Infant support seat
CN211300775U (zh) 一种医用折叠床
JP2018175386A (ja) 介護ベッド及びヘッド・ギャッジアップ・アタッチメント
JP2016119927A (ja) 介護用枕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JP4521059B1 (ja) 着座部構造
JP2006314690A (ja) 介護用ベッド
JP2002034696A (ja) 椅 子
CN211299180U (zh) 一种医用折叠床
JP5470153B2 (ja) 医療台における支脚器支持構造
JP6043214B2 (ja) 移動昇降椅子
JP5139553B2 (ja) 介護台車
JPH0439710Y2 (ko)
JP2008264243A (ja) 車椅子
IT202000002518U1 (it) Sedia multifun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