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63Y1 - 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 Google Patents

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63Y1
KR200471663Y1 KR2020120004604U KR20120004604U KR200471663Y1 KR 200471663 Y1 KR200471663 Y1 KR 200471663Y1 KR 2020120004604 U KR2020120004604 U KR 2020120004604U KR 20120004604 U KR20120004604 U KR 20120004604U KR 200471663 Y1 KR200471663 Y1 KR 200471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vertical
wheelchair
vertic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7081U (en
Inventor
이정현
장용준
조범석
채충식
Original Assignee
이정현
채충식
조범석
장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채충식, 조범석, 장용준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2020120004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63Y1/en
Publication of KR20130007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8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6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탑승자가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고자 할 때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가 개시된다. 휠체어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에 설치된 팔 지지대를 포함하고, 팔 지지대는, 시트 프레임에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 지지봉, 탑승자의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지지봉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passenger moves from a wheelchair to a vehicle, chair or bed, or from a vehicle, chair or bed to a wheelchair, it can be used as a connection for the passenger to move easily and the passenger may want to eat a simple food or drink or read a book. The wheelchair is provided with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that can be used as a simple desk. The wheelchair includes a seat frame equipped with a seat for the occupant to occupy, and an arm support installed on the seat frame, wherein the arm support includes a support rod connected to the seat frame in a vertical position and a horizontal position, the arm of the occupa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to the support rods so as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tur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ostures.

Description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본 고안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탑승자가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고자 할 때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passenger moves from a wheelchair to a vehicle, a chair, or a bed or moves from a vehicle, a chair, or a bed to a wheelchair, a passenger can be used as a connection means for the passenger to move easily. When you want to eat a simple food or drink or read a book, the wheelchair is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that can be used as a simple desk.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지체부자유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탑승자가 이동할 때 탑승자 스스로 바퀴를 구동시키거나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이다.     In general, a wheelchair is a vehicle for driving a wheel by a passenger or moving with the help of a nurse, a caregiver, or a caregiver when a passenger such as a disabled person or a patient who is inconvenient to move moves.

이러한 휠체어는 통상 하측 좌, 우측으로 평행하게 하측 수평 프레임이 위치하여 하측 수평 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메인 바퀴가 장착된다.     Such a wheelchair typically has a lower horizontal frame in parallel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main wheel is mounted to the rear out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또한, 하측 수평프레임의 상부에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연질의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이 위치한다. 하측 수평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등받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며, 그 상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가 마련한다. 시트 프레임의 상부에는 환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소정 높이로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is a seat frame is mounted with a soft seat that can be seated by the patient. The back frame is mounted vertically and fixed to the back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seat frame, the handle is provided by bending the upper end. An upper armrest fram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support the arm of the patient.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휠체어는 탑승자가 병원 또는 자가에서 차량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경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팔걸이 프레임이 이동하려는 탑승자에게 장애물로 작용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의 좌, 우측을 통해 이동하지 못하고 휠체어의 앞쪽을 통해서만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wheelchair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an occupant moves from a hospital or a chair to a vehicle or a bed, or moves from a vehicle, a chair or a bed to a wheelchair, an armrest fram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cts as an obstacle to the occupant who wants to move. There was a problem that you can only move through the front of the wheelchair can not move through the left, right.

따라서, 탑승자가 이동을 위해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탑승자 혼자서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이동을 위해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 경우, 탑승자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인 경우, 환자가 무리하게 혼자서 이동하려다가 휠체어에서 넘어지거나 침대 또는 의자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하거나 보호자 등이 환자의 신체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보호자 등의 신체적 부담 및 손상을 야기하는 등 환자, 보호자 등의 안정적인 건강상태를 해칠 우려가 있었다. 이때, 몸무게가 무거운 환자의 경우 그 부담이 더욱 가중된다.      Therefore, the occupant needs a lot of power to mov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occupant to move alone, or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the help of a nurse, caregiver, guardian, etc. to move. In this case, if the occupant is a patient with poor mobility, the patient may be forced to move alone and fall from a wheelchair or fall off a bed or chair, or a guardian or the like exerts excessive force on the patient's body, causing physical burden and damage to the caregiver. There was a risk of harming the stable health of patients, caregivers and the lik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heavy patient, the burden is further increased.

또한, 종래의 휠체어는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경우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받칠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다리 위에 올려놓고 취식하거나 독서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a conventional wheelchair is not equipped with a structure to support food or drink or books when a passenger eats a simple food or drink or reads a book while the passenger is in a wheelchair, and the food or drink or book is placed on a bridge to eat or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reading.

따라서, 종래의 휠체어는 탑승자의 편리나 욕구가 전혀 고려되지 않고 단순한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 밖에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wheelchair has no limitation in that it can only function as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r desire of the occupants at all.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고자 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as a connection means for the passenger to easily move when the passenger wants to move from the wheelchair to the vehicle, the chair or the bed, or the vehicle, the chair or the bed from the wheelchai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which enables the passenger to easily move to a desired posi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휠체어의 앞쪽은 물론 좌, 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with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that allows the occupant to easily move up and down as well as left and right of the wheelchair as need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탑승자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키게 한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with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that can be used as a simple desk for eating simple food or beverages or reading books when necessar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르면, 휠체어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 및 시트 프레임에 설치된 팔 지지대를 포함하고, 팔 지지대는, 시트 프레임에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 지지봉, 탑승자의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지지봉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wheelchair includes a seat frame is mounted seat seats that can be seated by the occupant, and an arm support installed on the seat frame, the arm support, seat frame A support rod connected pivotally in a vertical position and a horizontal position, a support portion for mounting or supporting an occupant's arm,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to the support rod so that the posture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changed into a plurality of vertical postur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ostur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지지봉은 사각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봉은 시트 프레임에 제1 축에 관해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다. The support ro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rod. At this time, the support ro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at frame about the first axis.

지지봉을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는 제1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록킹부는 지지봉이 수직위치 및 수평위치에 있을 때 각각 지지봉의 일측면과 바닥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1 누름부, 및 제1 누름부의 록킹면을 지지봉의 일측면 또는 바닥면과 맞물리도록 제1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rm support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support rod in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horizontal position. The first lock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ressing portion having a locking surface that engages one sid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rod, respectively, when the supporting rod is in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locking surface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is one sid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rod. It may include a first elastic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to engage with.

지지부는 긴 장방형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ay be formed of an elongate rectangular plate.

연결부는 지지봉이 수직위치에 있을 때는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1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키고 지지봉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는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2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2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2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When the support bar is in the vertical pos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is vertically upright, a first vertical vertical position in vertically upright, a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in horizontally up, and a first vertical horizontally in upright Position, and when the support bar is in the horizontal position, the second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is vertically upright, the second vertical and vertical position, vertically upright, the second horizontal and horizontal position horizontally, and the second, vertically horizontally It is formed to be able to rotate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

이를 위해, 연결부는, 지지봉과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지지봉이 시트 프레임에 대해 피봇하는 제1 축에 수직인 제 2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1 힌지, 및 제1 힌지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축에 수직인 제 3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coaxially with the support rod, the first rod rotating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pivoting with respect to the seat frame, and the first hinge, the first and And a second hinge that rotates about a third ax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xis.

이때, 지지부는, 제2 힌지에 연결되고 제2 및 제3 축에 수직이고 제1 축에 평행한 제4 축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fourth ax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nd third axes and parallel to the first axis.

지지부를 제1 가로 수직위치 또는 제2 세로 수직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는 제2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록킹부는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2 누름부, 및 제2 누름부의 록킹면을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도록 제2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rm support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support in the first transverse vertical position or the second longitudinal vertical position. The second locking portion elastically presses the second pressing portion having a locking surface engaging with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for engaging the locking surfac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with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It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spring.

또한, 지지봉이 수직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를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스토핑하기 위해, 팔 지지대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지지부가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의 하면과 맞물리도록 제1 힌지의 일측 단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m support may comprise a stopper to stop the support in the first horizontal and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support rod in the vertical position. The stopper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formed flat at one end of the first hinge to engage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is in the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휠체어는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등받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컵 수용부가 고정될 수 있다. The wheelchair has a backrest frame mounted with a backrest seat vertic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frame, and a cup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cup may b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본 고안에 따르면, 휠체어는 다양한 수직자세와 수평자세로 피봇 및 회전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팔 지지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chair includes an arm support having pivotal and rotatable supports in various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따라서, 팔 지지대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rm support can be used as a connecting means for the passenger to move easily when the passenger moves from the wheelchair to the vehicle, the chair or the bed or from the vehicle, the chair or the bed to the wheelchair. As a result, the occupant can easily move to the desired position.

또한, 팔 지지대는 지지부가 수평자세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는 필요에 따라 휠체어의 앞쪽은 물론 좌, 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m support can be changed in the horizontal posture of the support, the occupant can easily move up and down as well as left and right of the front of the wheelchair as needed.

또한, 팔 지지대는 필요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다리 위에 올려놓고 취식하거나 독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가 향상된다.In addition, the arm support can be used as a simple desk to eat a simple food or drink or read a book if necessary. As a result, the occupant does not have to eat or read food or drink or books on the bridg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에서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제2 세로 수평위치로 변환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에서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제1 가로 수평위치로 변환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각각 제1 가로 수직위치, 제2 세로 수직위치, 제2 가로 수직위치, 및 제2 세로 수평위치로 변환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의 팔 지지대의 부분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의 팔 지지대의 제1 록킹부의 부분 단면도, 및
도 6은 팔 지지대의 지지부가 제1 세로 수직위치로 변환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의 팔 지지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heelchair having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of the arm support in the wheelchair shown in FIG. 1 is converted to a second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of the arm support in the wheelchair shown in FIG. 1 is converted to a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4A to 4D are views of the wheelchair shown in FIG. 1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converting the support of the arm support into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the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the second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and the second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respectively.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rm support,
Figures 5a and 5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arm support of the wheelchair shown in Figure 1, and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arm support of the wheelchair shown in FIG. 1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support of the arm support is converted to the first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wheelchair having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팔 지지대를 구비한 휠체어(100)가 예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re is illustrated a wheelchair 100 having a multifunctional arm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휠체어(100)는 지체부자유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탑승자가 이동할 때 탑승자가 바퀴를 구동시키거나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서, 하측 수평프레임(110), 메인 바퀴(120), 시트 프레임(130), 등받이 프레임(150), 컵 수용부(155), 전방 지지프레임(160), 및 팔 지지대(17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wheelchair 10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assenger to drive the wheel or move with the help of a nurse, caregiver, guardian, etc. when the occupant, such as a disabled person, a patient with poor mobility As a moving means to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the main wheel 120, seat frame 130, back frame 150, cup receiving portion 155, front support frame 160, and arm support 170 It includes.

하측 수평프레임(110)은 휠체어(100)의 하측 좌, 우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Lower horizontal frame 110 is formed in parallel to the lower left, right of the wheelchair (100).

메인 바퀴(120)는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후방 외측에 장착된다.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방부 하측에는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보조바퀴(123)가 장착된다.The main wheel 120 is mounted on the rear outer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the auxiliary wheel 123 moving freely is mounted.

시트 프레임(130)은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상측으로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시트 프레임(130) 사이에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연질의 시트(140)가 장착된다.The seat frame 1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and is mounted between the seat frame 130 is a soft seat 140 that can be seated occupants.

등받이 프레임(150)은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방 좌, 우측에 직립 되게 설치하여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단부를 고정하며, 상부측을 후방으로 절곡하여 손잡이(151)를 마련한다. 여기서, 좌, 우측으로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150)의 사이에는 등받이 시트(141)가 장착된다.The backrest frame 150 is installed upright on the rea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seat frame 130 to fix the rear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seat frame 130, and the upper side is rearward. Bending to provide a handle 151. Here, the back seat 141 is mounted between the back frame 150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등받이 프레임(150)의 일측 상부에는 필요 시 탑승자가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컵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컵 수용부(155)가 고정된다. 컵 수용부(155)는 원통 형상의 본체(156), 및 본체(156)를 등받이 프레임(150)의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부(157)를 구비한다. The cup receiving portion 155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ackrest frame 150 to accommodate and support the cup so that the occupant can store the cup if necessary. The cup receiving portion 155 includes a cylindrical main body 156 and a fixing part 157 for fixing the main body 156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150.

전방 지지프레임(160)은 하측 수평프레임(110) 전방부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상향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며, 상부측 외주연에 시트 프레임(130)의 전단부가 결합된다.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전방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발판 프레임(163)이 고정되며, 발판 프레임(163)에는 탑승자의 발을 거치하기 위한 발판 플레이트(165)가 장착된다.The front support frame 160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10 is uprigh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at fram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y. A footrest frame 163 formed to be inclined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front support frame 160, and the footrest frame 163 is equipped with a footrest plate 165 for mounting a foot of a passenger.

팔 지지대(170)는 탑승자의 팔을 거치시키거나 지지하도록 휠체어(100)의 좌,우측으로 대응되게 시트 프레임(11)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팔 지지대(170)는 탑승자가 휠체어(100)에서 차량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수단 또는 필요 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휠체어(100)의 앞쪽은 물론 좌,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한다. 팔 지지대(170)의 양측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일측, 예를 들면, 도면의 좌측의 구조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arm support 17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frame 11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chair 100 so as to mount or support the arm of the occupant. The arm support 17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or the bed in the wheelchair 100, the vehicle or chair or bed to the connection means to facilitate the passenger to move easily when moving to the wheelchair 100 or a simple food or drink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turn into a simple desk to eat or read a book, and to allow the occupant to easily move up and down to the front, as well as left and right of the wheelchair 100 as needed. Since the structures of both sides of the arm support 170 are the same, only the structure of one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will be described.

팔 지지대(170)는 지지봉(171), 지지부(175), 및 연결부(190)를 포함한다. The arm support 170 includes a support rod 171, a support 175, and a connector 190.

지지봉(171)은 시트 프레임(130)에 수직위치(도 1, 도 3, 도 4a, 도 6)와 수평위치(도 2, 도 4b, 도 4c, 도 4d)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171)은 하부의 고정부에서 제1 축(172)에 의해 시트 프레임(130)의 고정보스(131)에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다. 제1 축(172)은 지지봉(171)의 피봇시 원활한 회전을 위해 고정보스(131)의 수용 지지홀(도시하지 않음)에 상,하로 약간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봉(171)은 하부에 U자 형태의 고정부를 구비한 사각형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rod 17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at frame 130 in a vertical position (FIGS. 1, 3, 4A, and 6) and a horizontal position (FIGS. 2, 4B, 4C, and 4D). As shown in FIG. 4A, the supporting rod 17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high information 131 of the seat frame 130 by the first shaft 172 at the lower fixing portion. The first shaft 172 may be supported to be able to flow slightly elastically up and down in the receiving support hole (not shown) of the high information 131 for smooth rotation of the support rod 171. The support bar 17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rod having a U-shaped fixing portion at the bottom.

지지봉(171)을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170)는 제1 록킹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록킹부(180)는 제1 누름부(181), 및 제1 탄성 스프링(183)을 구비한다. In order to lock the support bar 171 in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horizontal position, the arm support 17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ocking portion 180.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first locking portion 180 includes a first pressing portion 181 and a first elastic spring 183.

제1 누름부(181)는 시트 프레임(130) 내에 상하로 피봇할 수 있게 설치되고, 지지봉(171)이 수직위치(도 5a) 및 수평위치(도 5b)에 있을 때 각각 지지봉(171)의 하부의 고정부의 우측면과 바닥면과 맞물리는 록킹면(181a)을 구비한다. 록킹면(181a)은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6에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지지봉(171)의 하부의 고정부의 우측면과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가로로, 즉, 수평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pressing portion 181 is installed to pivot up and down in the seat frame 130, and when the support rod 171 is in the vertical position (Fig. 5a) and the horizontal position (Fig. 5b), respectively, And a locking surface 181a engaged with the right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ortion. Although the locking surface 181a is not shown in FIGS. 4A to 4C and 6, the locking surface 181a is formed horizontally, that is, horizontall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rod 171.

제1 탄성 스프링(183)은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91a)이 지지봉(181)의 하부의 고정부의 우측면 또는 바닥면과 맞물리도록 제1 누름부(181)를 탄성적으로 위로 가압한다. The first elastic spring 183 resiliently engages the first pressing portion 181 such that the locking surface 191a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181 engages with the right sid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rod 181. Press up.

따라서, 평상시, 예를 들면, 지지봉(171)이 수직위치(도 5a) 및 수평위치(도 5b)에 있을 때는 제1 탄성 스프링(183)이 제1 누름부(181)를 탄성적으로 위로 가압하여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81a)이 지지봉(171)의 우측면 또는 바닥면과 맞물려 지지봉(171)이 움직이지 않게 록킹되고, 탑승자가 지지봉(171)을 피봇시키기 위해 제1 누름부(181)를 손으로 누를 때는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81a)과 지지봉(171)의 우측면 또는 바닥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지지봉(171)은 자유롭게 제1 축(172)에 관해 피봇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normally,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rod 171 is in the vertical position (FIG. 5A) and the horizontal position (FIG. 5B), the first elastic spring 183 elastically presses the first pressing portion 181 upwardly. The locking surface 181a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181 is engaged with the right sid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rod 171 so that the supporting rod 171 is locked so as not to move, and the passenger presses the first pressing to pivot the supporting rod 171. When the portion 181 is pressed by hand,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surface 181a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181 and the right side or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rod 171 is released, so that the support rod 171 is freely provided with the first shaft 172. Can be pivoted about.

지지부(175)는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도 2), 및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에 있을 때 탑승자가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긴 장방형 판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 portion 175 is a horizontally upright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S. 1 and 4A), a vertically horizontal first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FIG. 2), and a horizontally horizontal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FIG. 3). It is formed as a long rectangular plate that allows the occupant to mount or support the arm when in the.

연결부(190)는 지지부(175)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부(175)를 지지봉(171)에 연결한다. 예를 들면, 연결부(190)는, 지지봉(171)이 수직위치(도 1, 도 3, 도 4a, 도 6)에 있을 때는 지지부(175)를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세로로 직립한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 및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도시하지 않음)로 회전시키고 지지봉(171)이 수평위치(도 2, 도 4b, 도 4c, 도 4d)에 있을 때는 지지부(175)를 가로로 직립한 제2 가로 수직위치(도 4c), 세로로 직립한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 가로로 수평한 제2 가로 수평위치(도시하지 않음), 및 세로로 수평한 제2 세로 수평위치(도 2, 도 4d)로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The connection part 190 connects the support part 175 to the support bar 171 so that the posture of the support part 175 can be changed into a plurality of vertical postur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ostures.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190 is a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 1) in which the supporting rod 171 is vertically upright when the supporting rod 171 is in a vertical position (FIGS. 1, 3, 4A, and 6). ), A vertically upright first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6), a horizontally horizontal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FIG. 3), and a vertically horizontal first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not shown), and a support rod ( When 171 is in the horizontal position (FIGS. 2, 4B, 4C, and 4D), the second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 4C) in which the support part 175 is erected horizontally, and the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 4B), the horizontally horizontal second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not shown), and the vertically horizontal second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FIGS. 2 and 4D) are formed to be rotatable.

이를 위해, 연결부(190)는 제1 힌지(191), 및 제2 힌지(195)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nnector 190 includes a first hinge 191 and a second hinge 195.

제1 힌지(191)는 제2 축(193)에 의해 지지봉(171)과 동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제 2축(193)에 관해 회전된다. 여기서, 제 2축(193)은 지지봉(171)이 시트 프레임(130)에 대해 피봇하는 제1 축(172)에 수직이다. 이러한 제1 힌지(19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침대, 의자, 차량 등과의 연결수단을 만들기 위해 지지부(175)를 제2 가로 수직위치(도 4c)와 제2 세로 수평위치(도 2, 도 4d) 사이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The first hinge 19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171 by the second shaft 193 and rotated about the second shaft 193. Here, the second axis 193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172 on which the support bar 171 pivots about the seat frame 130. The first hinge 191 has a second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 4C) and a second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FIG. 2, 4D) of the support part 175 to make a connection means with a bed, chair, vehicle, etc. as will be described later. To rotate between them.

제2 힌지(195)는 제3 축(194)에 의해 제1 힌지(191)에 연결되어 제 3축(194)에 관해 회전된다. 여기서, 제3 축(194)은 제1 및 제2 축(171, 193)에 수직이다. 이러한 제2 힌지(19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간이 책상을 만들기 위해 지지부(175)를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와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 사이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hinge 195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191 by the third axis 194 and rotated about the third axis 194. Here, the third axis 194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171, 193. This second hinge 195 allows the support 175 to rotate between the first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6) and the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FIG. 3) to create a simple desk as described below.

이때, 지지부(175)는 제2 힌지(195)의 일측에 제 4축(196)에 의해 연결되어 제 4축(196)에 관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축(196)은 제2 및 제3 축(193, 194)에 수직이고 제1 축(172)에 평행하다. 따라서, 지지부(175)는 제 4축(196)에 의해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와 제2 가로 수직위치(도 4c) 사이, 및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와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 사이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175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inge 195 by the fourth shaft 196 and rotate about the fourth shaft 196. Here, the fourth axis 196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nd third axes 193, 194 and parallel to the first axis 172. Accordingly, the support portion 175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4B) and the second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 4C) by the fourth axis 196, and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 1) and the first vertical length. It can rotate between vertical positions (FIG. 6).

지지부(175)를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 또는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에 록킹하기 위해, 팔 지지대(170)는 제2 록킹부(1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록킹부(198)는 제2 누름부(199), 및 탄성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제3 누름부(198)는 제1 누름부(181)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75)의 하면 내에 상,하로 피봇할 수 있게 설치되고, 지지부(175)가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와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에 있을 때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도 4a 기준)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한다. 제2 탄성 스프링은 제1 탄성 스프링(183)과 마찬가지로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을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과 맞물리도록 제2 누름부(198)를 탄성적으로 외부쪽으로 가압한다. In order to lock the support 175 in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S. 1, 4A) or the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4B), the arm support 1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cking portion 198. have. As shown in FIGS. 4A-4C, the second locking portion 198 includes a second pressing portion 199, and an elastic spring (not shown). Similar to the first pressing part 181, the third pressing part 198 is installed to pivot up and down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175, and the supporting part 175 is disposed in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S. 1 and 4A). ) And a locking surface that engages with the left end surface (see FIG. 4A) of the second hinge 195 when in the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4B). The second elastic spring, like the first elastic spring 183, elastically outer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to engage the locking surfac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with the left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195. To the side.

따라서, 평상시, 예를 들면, 지지부(175)가 제1 가로 수직위치(도 1, 도 4a)와 제2 세로 수직위치(도 4b)에 있을 때는 제2 탄성 스프링이 제2 누름부(198)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이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과 맞물려 지지부(175)가 움직이지 않게 록킹되고, 탑승자가 지지부(175)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 누름부(198)를 손으로 누를 때는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과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지지부(175)는 자유롭게 제4 축(196)에 관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us,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portion 175 is in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FIGS. 1 and 4A) and the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4B), the second elastic spring is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To elastically press the locking surfac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is engaged with the left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195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75 is locked so as not to move, the passenger to rotate the support portion 175 Whe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is pressed by hand,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surfac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and the left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195 is released, and the support portion 175 is free to move the fourth shaft 196. Can be rotated about

또한, 지지봉(171)이 수직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175)를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로 스토핑하기 위해, 팔 지지대(170)는 스토퍼(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10)는 지지부(175)가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에 있을 때 지지부의 하면과 맞물리도록 제1 힌지(195)의 상단부(도 4a 및 도 6 기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촉면(21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간이 책상을 만들기 위해, 지지부(175)가 제1 세로 수직위치(도 6)에서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로 제3 축(194)에 관해 회전할 때, 지지부(175)는 하면이 접촉면(211)과 맞물려 회전이 저지되어 제1 가로 수평위치(도 3)로 유지된다. In addition, the arm support 170 may include a stopper 210 to stop the support 175 in the first horizontal and horizontal position (FIG. 3) while the support bar 171 is in the vertical position. As shown in FIGS. 4A-4C and 6, the stopper 210 has an upper end of the first hinge 195 to engage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175 is in the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FIG. 3). It is composed of a contact surface 211 formed flat in (reference to Figs. 4A and 6). Thus, to make a simple desk, when the support 175 rotates about the third axis 194 from the first vertical vertical position (FIG. 6) to the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FIG. 3), the support 175 is The lower surface is engaged with the contact surface 211 to prevent rotation and remain in the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FIG. 3).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휠체어(100)는 팔 지지대(170)가 양측이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팔 지지대(170)는 양쪽 중 한쪽에만 지지봉(171), 지지부(175), 및 연결부(180)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고, 다른 쪽에는 종래의 팔걸이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wheelchair 10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the arm support 170 is configured with both sides the sam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rm support 170 may be configured as a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rod 171, a support 175, and a connection 180 on only one of the two sides, and may have a conventional armrest structure on the other side. .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의 팔 지지대(17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rm support 170 of 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먼저, 탑승자가 휠체어(100)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휠체어(100)를 차량의 시트, 의자 또는 침대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이동하고자 하는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는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 수직위치에 위치한다.First, when the occupant wants to move from the wheelchair 100 to the vehicle, chair or bed, or to move from the vehicle, chair or bed to the wheelchair 100, the wheelchair 100 is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eat, chair or bed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support 175 of the arm support 170 located on the side to be moved is located in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as shown in Figs.

이어서, 탑승자는 이동하고자 하는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에 대응하는 제1 누름부(181)를 눌러 제1 누름부(181)의 록킹면(191a)과 지지봉(171)의 좌측면 또는 바닥면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지지부(175)를 잡고 지지봉(171)을 제1 축(172)에 관해 화살표 방향(A)으로 피봇시켜 지지부(175)를 도 4b에 도시한 제2 세로 수직위치로 위치시킨다.Subsequently, the occupant presses the first pressing part 181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part 175 of the arm support 170 located on the side to move, so that the occupant of the locking surface 191a and the supporting rod 171 of the first pressing part 181 may be moved. While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left or bottom surface, hold the support 175 and pivot the support rod 17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bout the first axis 172 so that the support 175 is shown in FIG. 4B. 2 Position it vertically and vertically.

그 다음, 탑승자는 제2 누름부(198)를 눌러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과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도 4a 기준)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지지부(175)를 제4 축(196)에 관해 화살표 방향(B)으로 회전시켜 도 4c에 도시한 제2 가로 수직위치로 위치시킨다.The occupant then presses the second press 198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face of the second press 198 and the left end face of the second hinge 195 (see FIG. 4A) and the support 17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bout the fourth axis 196 to be positioned at the second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shown in FIG. 4C.

그리고, 탑승자는 지지부(175)를 제2축(193)에 관해 화살표 방향(C)으로 회전시켜 지지부(175)가 시트, 의자 또는 침대에 걸리도록 도 4d에 도시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위치시킨다. The occupant then rotates the support 17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193 to position the second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shown in FIG. 4D so that the support 175 is caught in the seat, chair or bed. Let's do it.

그 결과, 지지부(175)는 시트, 의자 또는 침대와 휠체어(100)의 시트(140)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다리역할을 하게 되어 탑승자가 손쉽게 휠체어(100)에서 시트, 의자, 침대 등으로 이동하거나 시트, 의자, 침대 등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만일 필요하다면, 이동하고자 하는 쪽과 반대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upport 175 serves as a bridge connecting the seat, chair or bed and the seat 140 of the wheelchair 100 horizontally so that the occupant can easily move from the wheelchair 100 to the seat, chair, bed, or the like. Or move from the seat, chair, bed, etc. to the wheelchair (100).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support portion 175 of the arm support 170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to be moved can also be used in the second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in the same manner.

그 후, 이동이 완료되면, 탑승자는 위에서 설명한 순서의 역순으로 지지부(175)를 제1 가로 수직위치에 이동시키면, 팔 지지대(170)를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동작 또는 휠체어(100)의 좌,우측을 자유롭게 이동하는 동작은 완료된다. Then,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if the occupant moves the support 175 in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order, the operation using the arm support 170 as a moving means or the left, The operation of freely moving the right side is completed.

다음으로, 지지부(175)가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 수직위치에 위치한 휠체어(100)에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고자 할 경우, 탑승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에 대응하는 제2 누름부(198)를 눌러 제2 누름부(198)의 록킹면과 제2 힌지(195)의 좌측 단부면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지지부(175)를 제4 축(196)에 관해 화살표 방향(E)으로 회전시켜 도 6에 도시한 제1 세로 수직위치로 위치시킨다.Next, when the support 175 is to eat a simple food or drink or read a book in the wheelchair 100 located in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4a, the occupant is located on the side to use Pressing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portion 175 of the arm support 170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surfac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98 and the left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195, The support portion 17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about the fourth axis 196 to be positioned in the first vertical vertical position shown in FIG. 6.

그리고, 탑승자는 지지부(175)의 하면이 스토퍼(210)를 구성하는 제2 힌지(191)의 상단부의 접촉면(211)에 얹히도록 지지부(175)를 제3 축(194)에 관해 화살표 방향(F)으로 회전시켜 도 3에 도시한 제1 가로 수평위치로 위치시킨다. In addition, the occupant may move the support 17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ith respect to the third axis 194 such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175 is placed on the contact surface 211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inge 191 constituting the stopper 210. Rotate to F) to position the first horizontal position shown in FIG.

그 결과, 지지부(175)는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변하여 탑승자가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만일 필요하다면, 이동시킨 쪽과 반대 쪽에 위치한 팔 지지대(170)의 지지부(175)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1 가로 수평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support 175 turns into a simple desk for eating a simple food or drink or reading a book so that the occupant can use the food or drink or a book.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support portion 175 of the arm support 17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moved side can also be positioned in the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in the same manner.

그 후, 취식이나 독서가 완료되면, 탑승자는 위에서 설명한 순서의 역순으로 지지부(175)를 도 1 및 도 4a에 도시한 제1 가로 수직위치로 이동시키면, 팔 지지대(17)를 간이 책상으로 사용하는 동작은 완료된다. Then, when eating and reading is completed, the occupant moves the support 175 to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shown in FIGS. 1 and 4A in the reverse order described above, and uses the arm support 17 as a simple desk. The operation to complete is comple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다양한 수직자세와 수평자세로 피봇 및 회전할 수 있는 지지부(175)를 구비한 팔 지지대(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팔 지지대(170)는 탑승자가 휠체어(100)에서 차량, 의자 또는 침대로 이동하거나 차량, 의자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100)로 이동할 때 탑승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수단으로 변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팔 지지대(170)는 지지부(175)가 수평자세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는 필요에 따라 휠체어(170)의 앞쪽은 물론 좌,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다. 또한, 팔 지지대(170)는 필요시 간단한 음식 또는 음료를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변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음식 또는 음료나 책을 다리 위에 올려놓고 취식하거나 독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가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heel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m support 170 having a support 175 that can pivot and rotate in various vertical postures and horizontal postures. Thus, the arm support 170 can be changed to a connection means that allows the occupant to easily move when the occupant moves from the wheelchair 100 to the vehicle, chair or bed, or moves from the vehicle, chair or bed to the wheelchair 100. As a result, the occupant can easily move to the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the arm support 170, since the support portion 175 can be changed to a horizontal posture, the occupant can easily move up and down as well as left and right of the front of the wheelchair 170 as needed. In addition, the arm support 170 may be turned into a simple desk where you can eat a simple food or drink or read a book if necessary. As a result, the occupant does not have to eat or read food or drink or books on the bridg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이상에서, 본 고안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hown and described as such.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itabl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휠체어 110: 하측 수평프레임
130: 시트 프레임 150: 등받이 프레임
155: 컵 수용부 170: 팔 지지대
171: 지지봉 172: 제1 축
175: 지지부 180: 제1 록킹부
181: 제2 누름부 183: 제1 탄성스프링
191: 제1 힌지 193: 제2 축
194: 제2 축 195: 제2 힌지
196: 제4 축 198: 제2 록킹부
199: 제2 누름부 210: 스토퍼
211: 접촉면
100: wheelchair 110: lower horizontal frame
130: seat frame 150: back frame
155: cup receiving portion 170: arm support
171: support rod 172: first axis
175: support portion 180: first locking portion
181: second pressing portion 183: first elastic spring
191: first hinge 193: second axis
194: 2nd axis 195: 2nd hinge
196: fourth axis 198: second locking portion
199: second pressing portion 210: stopper
211: contact surface

Claims (13)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설치된 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시트 프레임에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 지지봉;
상기 탑승자의 팔을 거치하거나 지지하며 긴 장방형 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자세를 복수의 수직자세와 복수의 수평자세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지지봉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수직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1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1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1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1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봉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지지부를 가로로 직립한 제2 가로 수직위치, 세로로 직립한 제2 세로 수직위치, 가로로 수평한 제2 가로 수평위치, 및 세로로 수평한 제2 세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A seat frame equipped with a seat that can be seated by a passenger; And
An arm support installed on the seat frame,
The arm support,
A support rod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at frame in a vertical position and a horizontal position;
A support portion which supports or supports the occupant's arm and includes a long rectangular plate;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to the support rods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support to a plurality of vertical postur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ostures,
When the support bar is in the vertical position, the connecting par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vertically upright; a first vertical vertical position in vertically upright; a first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in horizontally; and vertically horizontally When the support rod is rotated to a first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and the support rod is in a horizontal position, a second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vertically erected, a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in which it is erected vertically, a second horizontal horizontal position, which is horizontally horizontal, and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to a vertically horizontal second vertical horizont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사각형 봉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rod is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r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을 상기 수직위치와 상기 수평위치에 록킹하는 제1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2,
The arm support further comprises a first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support rod in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horizontal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수직위치 및 상기 수평위치에 있을 때 각각 상기 지지봉의 일측면과 바닥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제1 누름부의 상기 록킹면을 상기 지지봉의 상기 일측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ock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pressing portion having a locking surface engaged with one sid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rod, respectively, when the support rod is in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horizontal position; And
And a first elastic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to engage the locking surface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with the one side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r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봉과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봉이 상기 시트 프레임에 대해 피봇하는 제1 축에 수직인 제 2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1 힌지; 및
상기 제1 힌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축에 수직인 제 3축에 관해 회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hinge coaxially connected with the support rod, the first rod rotating about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pivoting with respect to the seat frame; And
And a second hinge coupled to the first hinge and rotating about a thir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힌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3 축에 수직이고 상기 제1 축에 평행한 제4 축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uppo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fourth ax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nd third axes and parallel to the first axi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 가로 수직위치 또는 상기 제2 세로 수직위치에 록킹하는 제2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rm suppo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support in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position or the second vertical vertical 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킹부는,
상기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는 록킹면을 구비하는 제2 누름부; 및
상기 제2 누름부의 상기 록킹면을 상기 제2 힌지의 일측 단부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2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locking portion comprises:
A second pressing portion having a locking surface engaged with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And
And a second elastic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econd pressing portion to engage the locking surface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with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hin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수직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스토핑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arm support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stopping the support in the first horizontal and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support rod in the vertical 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가로 수평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힌지의 일측 단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topper includes a contact surface formed flat at one end of the first hinge to engage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when the support is in the first horizontal and horizont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고, 등받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컵 수용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1,
It is further installed and fixed vertically to the rear of the seat frame, further comprising a backrest frame mounted with a backrest seat,
The wheel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cup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frame.
KR2020120004604U 2012-05-31 2012-05-31 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KR2004716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04U KR200471663Y1 (en) 2012-05-31 2012-05-31 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04U KR200471663Y1 (en) 2012-05-31 2012-05-31 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81U KR20130007081U (en) 2013-12-10
KR200471663Y1 true KR200471663Y1 (en) 2014-03-13

Family

ID=5148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04U KR200471663Y1 (en) 2012-05-31 2012-05-31 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6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996A1 (en) * 2014-03-17 2015-09-24 황인성 Mechanism switchable between desk and 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49Y1 (en) * 2016-08-16 2016-10-25 재단법인 노틀담수녀회 Table for wheelchair
TWI693933B (en) * 2019-10-07 2020-05-21 蘇建忠 Multifunctional wheelchair
KR102420179B1 (en) * 2022-02-15 2022-07-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Wheelchairs with combined and detachable sliding boar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648A (en) 1997-04-28 1998-10-06 Baccili; Peter E. Tray system for baby strollers
KR200398287Y1 (en) 2005-07-20 2005-10-12 여용구 A chair with ahead & back variable table
JP2007076679A (en) * 2005-09-13 2007-03-29 Matsunaga Seisakusho:Kk Drink holder
KR100844086B1 (en) * 2007-01-26 2008-07-04 박명진 A kneeling office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648A (en) 1997-04-28 1998-10-06 Baccili; Peter E. Tray system for baby strollers
KR200398287Y1 (en) 2005-07-20 2005-10-12 여용구 A chair with ahead & back variable table
JP2007076679A (en) * 2005-09-13 2007-03-29 Matsunaga Seisakusho:Kk Drink holder
KR100844086B1 (en) * 2007-01-26 2008-07-04 박명진 A kneeling office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996A1 (en) * 2014-03-17 2015-09-24 황인성 Mechanism switchable between desk and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81U (en)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0658B2 (en) Multifunctional chair
US20060191073A1 (en) Nursing care bed with wheel chair facility
KR200471663Y1 (en) wheel chair having multifunction arm support
TWI278296B (en) Bed apparatus and mattress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CN112842739B (en) Bed-chair butt-joint structure of nursing bed
JP2017164066A (en) wheelchair
US9642757B2 (en) Tilt motion leisure adjustable bed base
WO2012169871A1 (en) Mattress with adjustable structure
JP2001112582A (en) Bed
CN202211816U (en) Backrest device of sickbed
US10258165B2 (en) Infant support seat
CN211300775U (en) Medical folding bed
JP2018175386A (en) Care bed and head raising attachment
JP2016119927A (en) Care pillow
KR101062371B1 (en) Sleeping chair
JP4521059B1 (en) Seating structure
JP2006314690A (en) Caring bed
JP2002034696A (en) Chair
CN211299180U (en) Medical folding bed
JP5470153B2 (en) Support structure for the support in the medical table
JP6043214B2 (en) Mobile lifting chair
JP3151138U (en) Nursing wheelchair
JPH0439710Y2 (en)
IT202000002518U1 (en) MULTIFUNCTIO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