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90Y1 -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90Y1
KR200469190Y1 KR2020110004788U KR20110004788U KR200469190Y1 KR 200469190 Y1 KR200469190 Y1 KR 200469190Y1 KR 2020110004788 U KR2020110004788 U KR 2020110004788U KR 20110004788 U KR20110004788 U KR 20110004788U KR 200469190 Y1 KR200469190 Y1 KR 200469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cap
container bod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454U (ko
Inventor
강기전
임승란
박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4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9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몸체 및 용기 몸체의 개구를 덮는 용기캡을 포함하는 수납용기는, 용기 몸체의 개구 단부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며 내부로 용기 몸체와 통하는 관통 통로를 제공하는 결합부, 및 결합부에서 용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디태치부를 포함하는 내측 결합캡을 포함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에 묻은 내용물을 디태치부를 통해서 적어도 일부를 덜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용기{BOTTLE}
본 고안은 물질을 수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용기 바깥으로 묻어나지 않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병 형상의 용기에 수납되는 물질은 화학약품, 화장품, 주류, 음료수 등 그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고, 수납되는 물질의 성질에 따라서 용기 역시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물질의 변질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수납 물질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용기 내부에 수납되는 물질이 일회성인 경우나, 한 회에 걸쳐 전부 사용하는 경우는 상관 없겠으나, 수회에 걸쳐서 수납 물질을 따르거나 떠서 용기 내부에서 빼내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밀폐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수납 물질을 따르거나 떠낼 경우 용기 외부로 흘러나거나 묻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식용의 수납 물질인 경우에는 용기의 위생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최근에는 건강식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홍삼의 진한 농축액이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농축액 상태의 홍삼은 점도가 매우 높아 인출 스푼을 사용하여 떠낼 경우, 인출 스푼에 붙은 농축액이 용기의 개구 주변에 묻어나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러한 경우, 용기의 위생상태도 나빠질 뿐만 아니라, 용기 주변에 묻어난 홍삼 농축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굳어 추후에 용기의 마개를 다시 열 경우 마개의 개폐를 어렵게 하고, 밀폐 상태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고안은 내용물을 인출 스푼을 사용하여 떠낼 경우, 스푼에 묻어난 내용물이 용기의 개구 주변에 묻어나지 않는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잦은 용기 캡의 개폐에도 번거로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잇는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몸체 및 용기 몸체의 개구를 덮는 용기캡을 포함하는 수납용기는, 용기 몸체의 개구 단부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며 내부로 용기 몸체와 통하는 관통 통로를 제공하는 결합부, 및 결합부에서 용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디태치부(detach part)를 포함하는 내측 결합캡을 포함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에 묻은 내용물을 디태치부를 통해서 적어도 일부를 덜어낼 수 있다.
인출 스푼에 넘치게 담기거나 인출 스푼 바닥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덜어내는 작업을 용기 몸체 안쪽에서 돌출되어 있는 디태치부를 이용하여 해결함으로써, 인출 스푼이 용기 몸체 밖으로 나왔을 때, 인출 스푼에 담긴 내용물이 개구에 묻어나거나 흘러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몸체 개구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개구 주변에 묻은 내용물이 굳어 용기캡의 개폐를 방해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디태치부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인출 스푼에 담긴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디태치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디태치부는 결합부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디태치부는 결합부의 내측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태치부는 하나로 길게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고, 여러 개가 내측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태치부는 결합부의 내측을 따라 직선 및 곡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간을 가질 수 있는데, 곡선 구간의 경우에는 스푼의 불룩한 저면에 묻은 내용물을 덜어내기가 용이할 것이며, 직선 구간의 경우에는 스푼의 오목한 상면에 담긴 내용물을 깎아내기 용이할 것이다.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을 모두 가질 수 있는 디태치부를 예를 들어보면, 디태치부는 결합부의 내측 단부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림부(limb part), 및 림부에서 용기 몸체의 내측으로 더 연장되어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디태치부는 내용물이 점도가 매우 높은 농축액인 경우에 인출 스푼에 묻어난 내용물을 덜어내기 유리하며, 구체적으로, 인출 스푼의 저면에 묻은 농축액은 용기 몸체에서 빼내기 전에 디태치부의 곡선 구간에서 긁어내 인출 스푼에서 때어낼 수 있고, 인출 스푼의 오목한 상면에 넘치게 담겨 있는 내용물은 디태치부의 직선 구간에서 긁어내 인출 스푼에서 때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인출 스푼이 용기 몸체 개구 밖으로 나올 때, 개구 주변의 용기 몸체에 내용물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림부는 내측 가장자리가 아래로 기울어져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림부에 묻어난 내용물이 용기 몸체 수납공간 아래로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림부의 측단면은 경사면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림부의 단부를 날카롭게 하고, 이에 인출 스푼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긁어낼 때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내측 결합캡의 결합부는 외벽, 내벽, 및 외벽과 내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벽을 포함함으로써, 용기 몸체의 개구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외벽의 내면 또는 내벽의 외면에는 용기몸체의 개구와 결속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벽의 내면 또는 내벽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은 링 형상으로 외벽의 내면 또는 내벽의 외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결합캡은 용기 몸체의 개구를 형성하는 상단부에 돌기와 홈 서로 맞물려 꽉 끼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내측 결합캡을 회전하여서는 용기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또한, 용기캡의 내측면 및 용기 몸체의 외측면에 서로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결합부의 외벽은 용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산과 동일 평면 혹은 내측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용기캡을 회전시켜 용기 몸체로부터 분리해낼 때, 용기캡이 내측 결합캡과 밀착되어 개폐가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기는 내측 결합캡 내측에 수용되는 중앙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캡의 저부는 디태치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내측 결합캡이 그 내측에 제공하는 관통 통로를 중앙 캡이 중간에서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중앙 캡은 용기 몸체의 결합부의 상측벽 상에 얹어져 밀착되는 플랜지부(flange part)를 가져, 내측 결합캡과 중앙 캡 사이의 밀폐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캡의 내측 저면에 서로 포개지는 결합부의 상측벽 및 중앙 캡의 플랜지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링 형상의 가압 돌기를 제공함으로써, 결합부 및 중앙 캡간에 밀폐 상태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의 상측벽에는 중앙 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되는 피트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납용기는 인출 스푼에 넘치게 담기거나 인출 스푼 바닥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덜어내는 작업을 용기 몸체 안쪽에서 돌출되어 있는 디태치부를 이용하여 해결함으로써, 인출 스푼이 용기 몸체 밖으로 나왔을 때, 인출 스푼에 담긴 내용물이 개구에 묻어나거나 흘러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기 몸체 개구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개구 주변에 묻은 내용물이 굳어 용기캡의 개폐를 방해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디태치부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인출 스푼에 담긴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 중 디태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측 결합캡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 중 다양한 디태치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내측 결합캡들의 정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에 묻은 내용물을 디태치부를 통해서 일부 덜어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 중 디태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측 결합캡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100)는 용기 몸체(110), 용기캡(120), 내측 결합캡(130), 및 중앙 캡(160)을 포함한다.
용기 몸체(1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유리, 및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으나, 용기 몸체(110)의 재질은 용기 몸체(110) 내부의 수납공간(111)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상태나 성질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용기 몸체(110)의 수납공간(111)은 용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11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용기 몸체(110)의 개구(112)를 덮는 용기캡(12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캡(120) 및 용기 몸체(110)는 나사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용기캡(120)의 내측면 및 용기 몸체(110)의 외측면에 각각 용기캡(120)의 나사산(123) 및 용기 몸체(110)의 나사산(113)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내측 결합캡(1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측 결합캡(130)은 결합부(140) 및 디태치부(150)를 포함하며, 결합부(140)는 용기 몸체(110)의 개구(112) 단부를 수용하면서 끼워져 결합되고, 내부로 용기 몸체(110)의 수납공간(111)으로 통하는 관통 통로(141)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40)는 내측 결합캡(130)이 용기 몸체(1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용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하면서 꽉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결합부(140)는 외벽(142), 내벽(145), 및 외벽(142)과 내벽(145)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벽(146)을 포함함으로써, 용기 몸체(110)의 개구(112)를 형성하는 용기 몸체(110)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결합부(140) 및 용기 몸체(110)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결합부(140)의 외벽(142)의 내면 또는 내벽(145)의 외면에는 용기 몸체(110)의 개구(112)와 결속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40)의 외벽(142)의 내면에 돌기(144)를 형성하고, 용기 몸체(110)의 외면에 상기 돌기(144)에 대응하는 홈(114)을 형성한다. 따라서, 내측 결합캡(130)은 용기 몸체(110)의 개구(112)를 형성하는 용기 몸체(110)의 상단부에 돌기(144)와 홈(114)이 서로 맞물려 꽉 끼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내측 결합캡(130)을 회전하여서는 내측 결합캡(130)을 용기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다. 참고로, 결합부의 외벽의 내면 또는 내벽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나 홈은 링 형상으로 외벽의 내면 또는 내벽의 외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캡(120) 및 용기 몸체(110)는 서로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용기캡(120)을 회전시켜 용기 몸체(110)로부터 용기캡(120)을 분리 혹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용기캡(120)의 회전 시에 용기캡(120)의 내면이 내측 결합캡(130)의 결합부(140)와 닿게 되면, 용기캡(120)을 열고 닫을 때 방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40)의 외벽(142)은 용기 몸체(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산과 동일 평면 혹은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캡(120)과 내측 결합캡(130)의 외벽(142)이 서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캡(120)을 회전시킬 때, 용기캡(120) 및 내측 결합캡(130)이 서로 닿아 용기캡(120)의 회전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내측 결합캡(130)의 디태치부(1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태치부(150)는 결합부(140)에서 용기 몸체(1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내용물(20)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10)에 묻은 내용물을 디태치부(150)를 통해서 적어도 일부를 덜어낼 수 있다.
인출 스푼(10)에 넘치게 담기거나 인출 스푼(10) 바닥에 묻어 있는 내용물(20)을 덜어내는 작업을 용기 몸체 안쪽에서 돌출되어 있는 디태치부(150)를 이용하여 해결함으로써, 인출 스푼(10)이 용기 몸체 밖으로 나왔을 때, 인출 스푼(10)에 담긴 내용물(20)이 개구(112)에 묻어나거나 흘러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몸체(110) 개구(112)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개구(112) 주변에 묻은 내용물(20)이 굳어 용기캡(120)의 개폐를 방해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디태치부(150)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인출 스푼(10)에 담긴 내용물(20)의 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디태치부(150)는 내측 결합캡(130)의 관통 통로(141) 내에서 돌출되게 제공되어 인출 스푼에 묻은 내용물을 덜어내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설계될 수 있으며, 이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디태치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디태치부(150)는 결합부(140)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내측면 어디에서도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태치부는 결합부의 내측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태치부(150)는 결합부(140) 내측 둘레를 따라서 하나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6(C)와 같이, 2개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태치부는 결합부의 내측을 따라 직선 및 곡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간을 가질 수 있는데, 곡선 구간의 경우에는 스푼의 불룩한 저면에 묻은 내용물을 덜어내기가 용이할 것이며, 직선 구간의 경우에는 스푼의 오목한 상면에 담긴 내용물을 깎아내기 용이할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을 모두 포함하는 디태치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디태치부(150)는 결합부(140)의 내측 단부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림부(151), 및 림부(151)에서 용기 몸체(110)의 내측으로 더 연장되어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확장부(153)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의 디태치부(150)는 내용물(20)이 점도가 매우 높은 농축액인 경우에 인출 스푼(10)에 묻어난 내용물(20)을 덜어내기 유리하며, 구체적으로, 인출 스푼(10)의 저면에 묻은 농축액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10)에서 빼내기 전에 디태치부(150)의 곡선 구간에서 긁어내 인출 스푼에서 때어낼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스푼(10)의 오목한 상면에 넘치게 담겨 있는 내용물(20)은 디태치부(150)의 직선 구간에서 긁어내 인출 스푼(10)에서 때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인출 스푼(10)이 용기 몸체(110) 개구 밖으로 나올 때, 개구에 내용물(20)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림부(151)는 내측 가장자리가 아래로 기울어져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림부(151)에 묻어난 내용물이 용기 몸체(110)의 수납공간(111) 아래로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림부(151)의 측단면(152)은 경사면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림부의 단부를 날카롭게 하고, 이에 인출 스푼(10)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긁어낼 때 유리할 수 있다.
디태치부(150)의 형상은 인출 스푼(10)에서 내용물을 덜어내는 한도 내에서 그 형상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데, 도 6에 디태치부의 다양한 형상들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디태치부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6(a)에는 결합부(140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하나의 디태치부(150a)를 포함하며, 디태치부(150a)는 대략 사각형으로 제공된다. 물론, 디태치부(150a)는 사각형 외에도 다른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6(b)를 살펴보면, 디태치부(150b)는 앞서 설명한 도 5에 도시된 디태치부(150)와 같이 림부(151b) 및 확장부(153b)를 갖는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디태치부(150)의 경우 확장부(153)가 절개된 원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지만, 도 6(b)의 디태치부(150b)는 돌출된 사각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 6(c)를 살펴보면, 디태치부(150c)는 2개로 분리되어 제공되어 있으며, 도면상 결합부(140c)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디태치부(150c)는 다각형으로 제공되고, 도면상 결합부(140c)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돌출되는 디태치부(150c´)는 마치 도 5에 도시된 림부(151)의 형상으로 제공되되, 끊어진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기(100)는 내측 결합캡(130) 내측에 수용되는 중앙 캡(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캡(160)의 저부는 디태치부(150)의 상면에 밀착되어 내측 결합캡(130)이 제공하는 관통 통로를 중앙 캡(160)이 중간에서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중앙 캡(160)은 용기 몸체(110)의 결합부(140)의 상측벽(146) 상에 얹어져 밀착되는 플랜지부를 가져, 내측 결합캡(130)과 중앙 캡(160) 사이에 밀폐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중앙 캡(160)의 중심 상면에는 중앙 캡(160)을 내측 결합캡(1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링 모양의 고리가 달려있고, 사용자는 상기 고리를 당겨 중앙 캡(160)을 내측 결합캡(13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캡(160) 및 내측 결합캡(130)에서 서로 밀착되는 측면에는 돌기 및 홈을 제공하여 밀폐 상태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용기캡(120)의 내측 저면에는 서로 포개지는 결합부(140)의 상측벽(146) 및 중앙 캡(160)의 플랜지부(162)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링 형상의 가압 돌기(124)가 제공되어, 결합부(140) 및 중앙 캡(160) 간에 밀폐 상태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40)의 상측벽(146)에는 중앙 캡(16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되는 피트 돌기(147)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수납용기 110:용기 몸체
111:수납공간 112:개구
113:용기 몸체의 나사산 120:용기캡
123:용기캡의 나사산 124:가압 돌기
130:내측 결합캡 140:결합부
141:관통 통로 142:외벽
145:내벽 146:상측벽
147:피트 돌기 150:디태치부
151:림부 153:확장부
160:중앙 캡 162:플랜지부

Claims (14)

  1.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몸체 및 상기 용기 몸체의 개구를 덮는 용기캡을 포함하는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개구 단부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며 내부로 상기 용기 몸체와 통하는 관통 통로를 제공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디태치부(detach part)를 포함하는 내측 결합캡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에 묻은 내용물을 상기 디태치부를 통해서 적어도 일부를 덜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태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 단부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림부(limb part) 및 상기 림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으로 더 연장되어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태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 단부 또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태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태치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을 따라 직선 또는 곡선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는 내측 가장자리가 아래로 기울어져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의 측단면은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벽,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개구의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외벽의 내면 또는 상기 내벽의 외면에는 상기 용기몸체의 개구와 결속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내면 또는 상기 내벽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은 링 형상으로 상기 외벽의 내면 또는 상기 내벽의 외면을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의 내측면 및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면에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외벽은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산과 동일 평면 혹은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11.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몸체 및 상기 용기 몸체의 개구를 덮는 용기캡을 포함하는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개구 단부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며 내부로 상기 용기 몸체와 통하는 관통 통로를 제공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용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디태치부(detach part)를 포함하는 내측 결합캡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을 떠내기 위한 인출 스푼에 묻은 내용물을 상기 디태치부를 통해서 적어도 일부를 덜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측 결합캡 내측에 수용되는 중앙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캡의 저부는 상기 디태치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벽,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개구의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중앙 캡은 상기 상측벽 상에 얹어져 밀착되는 플랜지부(flange part)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의 내측 저면에는 서로 포개지는 상기 상측벽 및 상기 플랜지를 밀착할 수 있는 링 형상의 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측벽에는 상기 중앙 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피트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KR2020110004788U 2011-05-31 2011-05-31 수납용기 KR200469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88U KR200469190Y1 (ko) 2011-05-31 2011-05-31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88U KR200469190Y1 (ko) 2011-05-31 2011-05-31 수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54U KR20120008454U (ko) 2012-12-10
KR200469190Y1 true KR200469190Y1 (ko) 2013-10-02

Family

ID=4751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788U KR200469190Y1 (ko) 2011-05-31 2011-05-31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9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49Y1 (ko) * 2005-03-22 2005-06-16 씨제이라이온 주식회사 계량 스푼 수납구를 갖는 용기 캡
KR20110033857A (ko) * 2008-07-17 2011-03-31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화장품 포장용기의 접시형 체 삽입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49Y1 (ko) * 2005-03-22 2005-06-16 씨제이라이온 주식회사 계량 스푼 수납구를 갖는 용기 캡
KR20110033857A (ko) * 2008-07-17 2011-03-31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화장품 포장용기의 접시형 체 삽입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54U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3418B1 (en) Container closure assembly
KR100872159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버팀부를 구비한 용기
US4917270A (en) Closure device with pouring nozzle and pouring spout metering stopper
CN104755382A (zh) 带有可移去的测量帽的容器
CA2862109C (en) Stopper for a container neck
JP2014094044A (ja) 飲料抽出用容器
KR20110119143A (ko) 재사용 가능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JP6501699B2 (ja) 注出容器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69190Y1 (ko) 수납용기
US20200290765A9 (en) Multiple container device
JP4984541B2 (ja) 注出容器及びその詰替用の袋状容器
JP5806052B2 (ja) 注出栓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KR20120003208U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JP5611543B2 (ja) 液だまり防止キャップ
JP557940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JP2006089084A (ja) 2剤混合容器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JP5373554B2 (ja) 注出栓
KR20140026213A (ko) 음료용 컵 뚜껑 및 음료용 컵
KR200242067Y1 (ko) 술잔
KR20220100298A (ko) 분리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