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300Y1 - 파우치 마개 - Google Patents

파우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300Y1
KR200466300Y1 KR2020100012780U KR20100012780U KR200466300Y1 KR 200466300 Y1 KR200466300 Y1 KR 200466300Y1 KR 2020100012780 U KR2020100012780 U KR 2020100012780U KR 20100012780 U KR20100012780 U KR 20100012780U KR 200466300 Y1 KR200466300 Y1 KR 20046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kirt
tab
skirt tab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384U (ko
Inventor
권석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중앙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중앙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중앙플라텍
Priority to KR2020100012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30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개의 재사용을 방지하면서도 마개의 개봉과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으로, 마개를 구성하는 캡의 하단부에는 돌출편을 형성하고 스커트 탭의 상단부에는 내입홈을 형성하여 캡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돌출편이 내입홈에서 이탈되면서 마개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스커트 탭이 분리되어질 때 파우치 용기의 배출구에 형성된 스파우트와 긴밀히 끼워져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마개의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분리되어진 스커트 탭이 유동되지 않도록 되어 파우치 마개를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으면서도 마개를 개봉 후에도 스커트 탭이 빠지지 않고 위생적으로 음료취식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 마개{Closure of pouch}
본 고안은 비닐팩의 형태로 이루어져 음용수를 담아 보관하는 파우치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마개의 재사용을 방지하면서도 마개의 개봉과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용기는 비닐의 사방을 접착하여 내공간을 구성하고, 상단에는 음료의 취식을 위한 배출마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마개는 파우치 용기의 배출구로 사용하는 스파우트와 나선 결합되어 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파우치 용기를 개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배출마개는 캡의 하단부에 재사용 방지 스커트 탭이 연결살로 붙어 있어 미개봉상태의 마개를 최초 개봉할 때에는 소리 또는 마개의 회전시 걸리는 느낌으로 개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파우치 용기와 마개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비자가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마개를 개봉하면 스커트 탭이 캡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유동되어지므로 외관상 지저분하고, 또한 음료를 취식할 때 파우치 용기를 기울이면 빠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음료를 흘리게 되거나 또는 스커트 탭에 음료가 묻게 되면서 비위생적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것은 연결살을 다수로 형성할수록 캡의 분리가 어려워지는 것이고, 반대로 연결살을 적게 형성할 경우에는 마개가 임의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캡과 스커트 탭의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분리되어진 스커트 탭이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에 긴밀히 끼워져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파우치 마개를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으면서도 마개 개봉시에도 위생적으로 음료취식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캡과 스커트 탭이 상하로 연결살에 의하여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캡의 하단부에는 돌출편을 형성하고 스커트 탭의 상단부에는 내입홈을 형성하여 캡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돌출편이 내입홈에서 이탈되면서 분리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파우치 용기와 일체로 형성된 스파우트에는 걸림테를 형성하여 내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공간에는 캡의 회전에 의하여 하측으로 강제 하강되어진 스커트 탭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그 스커트 탭의 상단 내주면이 걸림테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캡을 개방하면 스커트 탭이 캡의 돌출편에 의하여 강제로 하측으로 밀려져 받침부의 상면에 밀착될 때까지 하강하면서 그 상태에서 스커트 탭의 내주면 상측이 걸림테와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되어 파우치 용기를 기울여 음료를 취식할 경우에도 스커트 탭이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캡과 스커트 탭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져 배출마개의 개봉이 용이한 것이고, 또한 분리되어진 스커트 탭이 스파우트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므로 음료 취식시에 스커트 탭이 흘러내리거나 음료가 묻게 되지 않고 청결하게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파우치 마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a는 본 고안의 파우치 마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파우치 마개가 파우치 용기에 결합되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캡과 스커트 탭의 분리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캡과 스커트 탭의 분리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커트 탭이 스파우트에 고정되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스커트 탭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되는 파우치 용기(100)의 배출구에 스파우트(10)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스파우트(10)의 상측으로는 도 1 및 도 1a과 같이 스파우트(10)에 분리 가능케 체결되는 캡(20) 및 스커트 탭(30)이 결합되어 파우치의 마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파우트(10)에 나선결합되어진 캡(20)을 회전시켜 스커트 탭(30)과 분리되도록 하여 파우치 마개를 개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캡(20)과 스커트 탭(30)은 연결살(40)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캡(20)의 회전에 의하여 스커트 탭(30)이 분리되면서 개봉되도록 하고, 상기 캡(20)의 하단부에는 돌출편(21)을 형성하면서 스커트 탭(30)의 상단부에는 이와 대응되게 내입홈(31)을 형성하며, 각각의 돌출편(21)과 내입홈(31)에는 서로 대응되게 경사면(21a,31a)을 형성하여 캡(20)의 회전에 의하여 돌출편(21)이 내입홈(31)에서 이탈되면서 분리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경사면(21a,31a)은 마개의 개봉시 캡(20)이 회전되어지는 회전방향측으로 경사면(21a,31a)을 형성하여 캡(20)을 열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21)의 경사면(21a)이 내입홈(31)의 경사면(31a)을 타고 올라가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캡(20)은 스파우트(10)와 나선결합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하 유동이 되지 않으면서 스커트 탭(30)만 캡(20)으로부터 분리되어 하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캡(20)과 스커트 탭(30)이 경사면을 타고 서로 가압하는 구조로 인하여 연결살(40)이 캡(20)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로 형성되어진 경우에도 쉽게 개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스파우트(10)는 받침부(11)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걸림테(12)를 형성하면 받침부(11)와 걸림테(12)의 사이에 내입공간(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하측으로는 걸림턱(32)을 형성하면 캡(20)으로부터 떨어져 하강되어진 스커트 탭(30)이 내입공간(13)에 걸림되며 상측으로 임의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파우치 마개는 대부분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직경을 걸림테(12)의 외주면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하면 플라스틱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스커트 탭(30)의 내주면이 걸림테(1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스커트 탭(30)이 캡(20)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하측의 받침부(11)에 밀착되어져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상측이 걸림테(12)의 외주면과 밀착되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커트 탭(30)이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파우치 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탭(30)이 캡(20)의 돌출편(21)에 의하여 강제로 하측으로 밀려져 받침부(11)의 상면에 밀착될 때까지 하강하고, 이 상태에서는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상측이 걸림테(12)와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캡(20)을 개봉한 상태에서 파우치 용기를 기울여 음료를 취식할 경우에도 스커트 탭(30)이 유동되지 않으면서 스파우트(10)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커트 탭(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내경이 좁아지면서 기울어지게 경사벽(33)을 형성하면 스커트 탭(30)과 걸림테(12)의 밀착력이 강화되며 더욱 긴밀히 고정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걸림테(12)는 외주면의 상측에 경사유도면(14)을 형성하면 스커트 탭(30)의 경사벽(33)이 걸림테(12)의 경사유도면(14)을 타고 하강하며 스커트 탭(30)의 내주면이 미세하게 벌어짐 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상측이 미세하게 벌어진 상태에서 걸림테(12)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며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탄성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되는 파우치 용기(100)의 배출구에 스파우트(10)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스파우트(10)의 상측으로는 도 1 및 도 1a과 같이 스파우트(10)에 분리 가능케 체결되는 캡(20) 및 스커트 탭(30)이 결합되어 파우치의 마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파우트(10)에 나선결합되어진 캡(20)을 회전시켜 스커트 탭(30)과 분리되도록 하여 파우치 마개를 개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캡(20)과 스커트 탭(30)은 연결살(40)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캡(20)의 회전에 의하여 스커트 탭(30)이 분리되면서 개봉되도록 하고, 상기 캡(20)의 하단부에는 돌출편(21)을 형성하면서 스커트 탭(30)의 상단부에는 이와 대응되게 내입홈(31)을 형성하며, 각각의 돌출편(21)과 내입홈(31)에는 서로 대응되게 경사면(21a,31a)을 형성하여 캡(20)의 회전에 의하여 돌출편(21)이 내입홈(31)에서 이탈되면서 분리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경사면(21a,31a)은 마개의 개봉시 캡(20)이 회전되어지는 회전방향측으로 경사면(21a,31a)을 형성하여 캡(20)을 열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21)의 경사면(21a)이 내입홈(31)의 경사면(31a)을 타고 올라가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캡(20)은 스파우트(10)와 나선결합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하 유동이 되지 않으면서 스커트 탭(30)만 캡(20)으로부터 분리되어 하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캡(20)과 스커트 탭(30)이 경사면을 타고 서로 가압하는 구조로 인하여 연결살(40)이 캡(20)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로 형성되어진 경우에도 쉽게 개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스파우트(10)는 받침부(11)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걸림테(12)를 형성하면 받침부(11)와 걸림테(12)의 사이에 내입공간(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하측으로는 걸림턱(32)을 형성하면 캡(20)으로부터 떨어져 하강되어진 스커트 탭(30)이 내입공간(13)에 걸림되며 상측으로 임의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파우치 마개는 대부분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직경을 걸림테(12)의 외주면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하면 플라스틱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스커트 탭(30)의 내주면이 걸림테(1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스커트 탭(30)이 캡(20)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하측의 받침부(11)에 밀착되어져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상측이 걸림테(12)의 외주면과 밀착되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커트 탭(30)이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파우치 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탭(30)이 캡(20)의 돌출편(21)에 의하여 강제로 하측으로 밀려져 받침부(11)의 상면에 밀착될 때까지 하강하고, 이 상태에서는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상측이 걸림테(12)와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캡(20)을 개봉한 상태에서 파우치 용기를 기울여 음료를 취식할 경우에도 스커트 탭(30)이 유동되지 않으면서 스파우트(10)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커트 탭(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내경이 좁아지면서 기울어지게 경사벽(33)을 형성하면 스커트 탭(30)과 걸림테(12)의 밀착력이 강화되며 더욱 긴밀히 고정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경사벽(33)의 상단 내주면 직경이 걸림테(12)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지도록 하면 캡의 회전에 의하여 스커트 탭(30)이 하강할 때 스커트 탭(30)의 내주면이 돌출편(21)에 밀착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테(12)는 외주면의 상측에 경사유도면(14)을 형성하면 스커트 탭(30)의 경사벽(33)이 걸림테(12)의 경사유도면(14)을 타고 하강하면서 스커트 탭(30)의 내주면이 걸림테(12)의 외주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경우에도 미세하게 벌어짐 되면서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상측이 미세하게 벌어진 상태에서 걸림테(12)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며 스커트 탭(30)의 내주면 탄성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10: 스파우트 11: 받침부
12: 걸림테 13: 내입공간
14: 경사유도면
20: 캡 21: 돌출편
21a: 경사면
30: 스커트 탭 31: 내입홈
31a: 경사면 32: 걸림턱
33: 경사벽
40: 연결살
100: 파우치 용기

Claims (4)

  1. 파우치 용기(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파우트(10)와 나선결합되고 캡(20)과 스커트 탭(30)이 분리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마개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는 공지의 파우치 마개에 있어서,
    상기 캡(20)과 스커트 탭(30)은 연결살(40)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캡(20)의 회전에 의하여 분리되면서 개봉되고, 상기 캡(20)의 하단부와 스커트 탭(30)의 상단부에 각각 돌출편(21)과 내입홈(31)이 형성되어 경사면(21a,31a)을 타고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되며, 상기 스파우트(10)는 받침부(11)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걸림테(12)가 돌출 형성되어 내입공간(13)을 갖도록 되면서 그 내입공간(13)에 스커트 탭(30)의 걸림턱(32)이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고, 상기 스커트 탭(30)은 내주면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내경이 좁아지면서 기울어지게 경사벽(33)이 형성되고, 그 경사벽(33)의 상단 내주면 직경이 걸림테(12)의 외주면 직경과 같거나 걸림테(12)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캡의 회전에 의하여 하측으로 강제 하강되어진 스커트 탭의 상단 내주면이 걸림테(12)의 외주면과 밀착 고정되어 캡을 개방한 상태에서 스커트 탭(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마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테(12)는 외주면의 상측에 경사유도면(14)이 형성되어 스커트 탭(30)의 경사벽(33)이 걸림테(12)의 경사유도면(14)을 타고 하강하며 벌어짐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마개.
KR2020100012780U 2010-12-10 2010-12-10 파우치 마개 KR20046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780U KR200466300Y1 (ko) 2010-12-10 2010-12-10 파우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780U KR200466300Y1 (ko) 2010-12-10 2010-12-10 파우치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84U KR20120004384U (ko) 2012-06-20
KR200466300Y1 true KR200466300Y1 (ko) 2013-04-12

Family

ID=4685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780U KR200466300Y1 (ko) 2010-12-10 2010-12-10 파우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70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60Y1 (ko) * 2006-05-01 2006-07-20 김상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JP2010001069A (ja) * 2008-05-23 2010-01-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口部閉栓用キャップ及びスパウト付き袋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60Y1 (ko) * 2006-05-01 2006-07-20 김상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JP2010001069A (ja) * 2008-05-23 2010-01-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口部閉栓用キャップ及びスパウト付き袋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70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84U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1380B2 (ja) 飲料容器用閉鎖体及び閉鎖体を備えた飲料容器
US9848721B2 (en) Universal lid for food and drink containers
EP2576377B1 (en) A lid for a container
US8733582B2 (en) Drinking assembly with integral straw
US20140174965A1 (en) Container for liquids and set for making the same
US10059488B2 (en) Beverage container
EA024342B1 (ru) Крышка бутылк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ведение добавки на месте
US20090050595A1 (en) Tethered two piece nestable bottle
KR200466300Y1 (ko) 파우치 마개
CA3131400A1 (en) Container and seal assembly
KR101107726B1 (ko)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US11759035B2 (en) Silicone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s
KR101053388B1 (ko) 음료용기
CN112638790B (zh) 包括带有一体式显窃启环部件的盖的封闭组件
KR100700039B1 (ko) 음료용 병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NL2023034B1 (en) A closure assembly comprising a cap with integrated tamper-evident ring and strap
JP4605568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充填口
KR200466354Y1 (ko) 고리 일체형 뚜겅이 구비된 음료팩
WO2004096657A1 (en) Lids for drinking cups
KR200275601Y1 (ko) 다용도 용기
KR20110002875U (ko) 이중사출 방식의 병 뚜껑
KR200481323Y1 (ko) 보관 용기
JP3116238U (ja) 筒状飲み口を有するボトルキャップ
KR20200002235U (ko) 음료용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