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920Y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920Y1
KR200463920Y1 KR2020070015797U KR20070015797U KR200463920Y1 KR 200463920 Y1 KR200463920 Y1 KR 200463920Y1 KR 2020070015797 U KR2020070015797 U KR 2020070015797U KR 20070015797 U KR20070015797 U KR 20070015797U KR 200463920 Y1 KR200463920 Y1 KR 200463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door
main body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020U (ko
Inventor
김공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5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92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측 양방향으로 모두 개방 될 수 있는 도어를 본체에 밀착 시킴으로써 조리실 내측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열기, 수분 등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가 선택적으로 어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축과,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힌지 슬롯이 형성된 락커를 갖는 락킹 장치와,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도어의 배면이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어 락커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측 및 우측 양 방향으로 모두 개방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기의 고주파, 열기, 수분 등의 누설 방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고주파를 가지는 전자파나 열풍를 이용하여 물 조리실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조리실을 외부와 개폐하도록 하는 도어가 본체 전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는 본체의 좌측 및 우측 어느 한쪽에 경첩이나 힌지를 설치하고, 타측에 손잡이를 두어 한쪽으로만 개방가능 하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왼손잡이 인가 오른손잡이 인가에 따라 이용에 불편이 따를 수 있다. 또, 항상 도어의 개방 방향을 고려하여 설치 장소를 선택하여야 하고 이는 주위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제약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 실용신안공보 1992-0012669(1992.7.25공개)에 개시된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의 양측 개방형 도어 개폐장치가 제안되었고, 이러한 기존의 양측 개방형 도어 개폐장치는 복잡한 매카니즘을 채용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부품들 간의 정밀도가 떨어져 안전한 작동이 보장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기 도어는 본체에 한쪽 방향으로만 개방가능 하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왼손잡이 인가 오른손잡이 인가에 따라 이용에 불편이 따를 수 있고, 공간의 사용에도 효율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측 개방형 도어개폐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조리기기는 본체와 도어의 밀착성을 떨어뜨려 본체와 도어 사이에 이격을 형성하여 고주파, 열기, 수분 등의 조리실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와,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어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힌지 슬롯이 형성된 락커를 갖는 락킹 장치와,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의 배면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락커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장치는 도어의 내면에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도어의 상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락커와, 락커의 회전 중심이 되며 상기 락커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락커 홀더와, 상기 락커가 회전시 좌우로 이동하여 회전하지 않는 다른 한쪽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락커의 회전시 좌우 이동하여 상기 락커의 일측을 지지하는 슬라이더 링크와, 상기 슬라이더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락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링크를 좌우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락커에 마련되어 상기 락커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지축과, 일측이 상기 탄지축에 끼움 조립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상에 마련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상기 락커에 전달하도록 마련된 스프링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락커의 힌지 슬롯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 상하측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에 상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힌지축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조리기기는 좌측 및 우측 양 방향으로 모두 개방되는 도어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공간 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도어와 본체가 완전 밀착되어 조리실 내부에서 난반사 하는 고주파, 열기, 수분 등의 조리실 내부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조리실(10a)이 마련된 본체(10)와, 조리실(10a)을 개방하기 위해 본체(10)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11)를 포함한다.
조리실(10a) 일측에는 고주파를 발생시켜 조리실(10a)에 공급하는 마그네트론(12)이 설치되어 마그네트론(12)에서 발생한 고주파 또는 미도시한 히터에 의한 복사열, 또는 컨벡션히터에 의한 열풍에 의해 조리실(10a) 내측에 마련된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 전면에 설치된 도어(11)는 본체(10) 전면에 설치된 힌지축(20)과, 힌지축(20)에 결합되도록 도어(11) 내측에 설치된 락킹장치(3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양 방향으로 모두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20)은 본체(10) 전면의 상?하 좌?우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도 2는 도어(11)를 본체(10)의 전면에 부착하여 락킹장치(30)가 힌지축(20)에 삽입 고정된 상태(A-A')에서의 평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0)이 삽입되어 도어(1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락킹장치(30)는 도어(11) 배면의 상?하 좌?우 단부에 설치된다.
도어(11)의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된 락킹장치(30)의 사이를 연결하여 동작 시키기 위한 이동부재(50)가 도어(11)의 내측에 마련된다.
이동부재(50)는 좌?우측 락커(31)의 사이에 일정 간격(d1,d2) 이격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 링크(51)와, 슬라이더 링크(51)의 중심에서 장력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더 스프링(52)을 포함한다.
슬라이더 링크(51)는 도어(1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더 스프링(52)에 의해 좌우로 치우치지 않도록 중심을 유지하고, 도어(11)의 일측을 개방할 경우 개방되는 쪽 락킹장치(30)의 락커(31)가 회전 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링크(51)가 그 반대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된 슬라이더 링크(51)는 타측 락킹장치(30)의 락커(31)에 접하여 락커(31)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즉, 슬라이더 링크(51)의 이동으로 인해 개방할 락커(31)와 슬라이더 링크(51) 사이에는 락커(31)가 회전할 수 있을 충분한 공간(d1+d2)이 형성되고, 반대쪽 락커(31)와 슬라이더 링크(51) 사이는 서로 접하게 되어 락커(31)가 회전하지 못하고 회전하여 개방되는 도어(11)의 회전 중심축이 된다.
따라서, 도어(11)는 본체(10)의 좌측 단에 설치된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실(10a)을 개방하거나, 본체(10)의 우측 단에 설치된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실(10a)을 개방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20)이 본체(10)의 상하 좌우에 구비되고, 한 쌍의 힌지축(2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도어(11)가 회 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락킹장치(30)가 도어(11)의 내측 상하 좌우에 구비되어 있다.
즉, 도어(11)가 우측으로 개방될 경우에는 도어(11)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락킹장치(30)가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축(20)에 결합되어 도어(11)가 좌측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어(11)가 좌측으로 개방될 경우에는 도어(11)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락킹장치(30)가 본체(10)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축(20)에 결합되어 도어(11)가 우측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힌지축(20)은 본체(10) 상?하부 좌?우 양측에 돌출 형성된 힌지 브라켓(21)에 마련되며, 힌지 브라켓(21)의 상하 마주보는 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도어(11)의 내측에 마련된 락킹장치(30)에 삽입되도록 한다.
힌지축(2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축 플랜지(22)가 형성되어, 본체(10) 전면을 폐쇄한 도어(11)가 상?하로 이동되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 브라켓(21)의 단부에는 소정 길이로 가이드부(23)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10) 전면 방향의 가이드부(23)를 따라 도어(11)가 안내되며, 도어(11)가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도어(11)와 힌지 브라켓(21)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락킹장치(30)는 도어(1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11)에 지지되어 도어(11) 내측에 설치되는 모든 부품을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2)가 마련된다.
락킹 장치(30)는 도어(11)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본체(10)의 힌지축(20)이 삽입되는 힌지 슬롯(32)이 형성되어 있는 락커(31)와, 락커(31)가 회전하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락커 홀더(33)를 포함한다.
락커(31)는 힌지축(20)에 의해 회전하며, 도어(11)가 본체(10)의 전면을 폐쇄하기 위해 전면에 접근하면 힌지축(20)이 락커(31)의 힌지 슬롯(32)에 삽입되면서 락커(3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어(11)가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면 힌지축(20)이 힌지 슬롯(3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락커(3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락커(31)의 회전축이 되는 락커 홀더(33)는 락커(31)가 도어 내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에 체결된다.
고정된 락킹장치(30)는 도어(11)의 개폐 시, 도어(11)가 회전하는 중심이 되며, 반대측 힌지축(20)에 결합된 락킹장치(30)는 락커(31)의 회전에 의해 락킹장치(30)와 힌지축(20)이 결합과 이탈을 할 수 있어 도어(11)가 본체(10)의 전면을 개폐 할 수 있게 한다.
락킹장치(30)의 락커(31)를 탄성 지지하여 도어(11)가 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재(40)는 락커(31) 상면에 설치되는 탄지축(42)과, 일측이 탄지축(42)에 끼움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41)과, 베이스플레이트(12)에 마련되고 비틀림 스프링(41)의 타측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스프링 홀더(43)를 포함한다.
비틀림 스프링(41)의 일측은 락커(31) 상면에 설치된 탄지축(42)에 회전 가 능하게 조립되고, 타측은 스프링 홀더(4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비틀림 스프링(41)의 이탈을 방지한다.
힌지축(2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락커(31)는 비틀림 스프링(41)의 탄성을 받아 도어(11)가 본체(10)에 더 밀착할 수 있도록 본체의 힌지축(20)에 탄성 지지된다. 이때, 비틀림 스프링(41)은 도어(11)의 양측 최단부에 설치되어 탄성 지지함으로써, 도어(11)를 본체(10)에 대하여 밀착시키도록 할 수 있어, 본체(10)에 완전 밀착된 도어(11)에 의해서 조리기기(1) 조리실(10a)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조리실(10a)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리기기(1) 도어(11)가 본체(10)의 전면을 개방한 상태는 도어(11)의 일측에 고정된 락커(31)를 포함하는 락킹장치(30)와 힌지축(20)에 의해 회전하여, 타측이 본체(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로, 도어(11)의 타측에 형성된 락킹장치(30)는 열린 상태가 된다.
개방된 쪽 락킹장치(30)의 락커(31)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힌지축(20)이 삽입되는 힌지 슬롯(32)이 도어(20)의 배면을 향해 열린 상태가 되고, 락커(31)를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41)은 락커(31)의 힌지 슬롯이 힌지축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한다.
도어(11)가 본체(10)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는 락커(31)의 힌지 슬롯(32)에 본체(10)의 힌지축(20)이 삽입되고, 힌지축(20)에 의해 락커(31)가 락커 홀더(3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비틀림 스프링(41)이 락커(31)를 힌지축 쪽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락커(31) 일측에 형성된 탄지축(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11)의 베이스플레이트(12)에 고정된 스프링 홀더(43)에 일측이 고정된 비틀림 스프링(41)은 락커(31)가 힌지축(20)에 대해 탄성 지지되도록 작용하여 도어(11)가 본체(10) 쪽으로 더욱 밀착 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체(10) 전면에 마련되는 도어(11)는 좌측 및 우측 양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이성을 증대 시킬 수 있으며, 도어(11)가 본체(1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어 본체(10)와 도어(11)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조리실(10a)외측으로 고주파, 열기, 수분 등의 조리실 내부의 물질이 누설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기의 락킹장치를 개락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기에 적용된 락킹장치 및 누설방지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기에 적용된 힌지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기 도어의 락킹장치가 본체의 힌지축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기 도어의 락킹장치가 본체의 힌지축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기기 10 : 본체
11 : 도어 20 : 힌지축
21 : 힌지 브라켓 22: 힌지축 플랜지
30 : 락킹장치 31 : 락커
32 : 힌지 슬롯 40 : 탄성지지부재
41 : 비틀림 스프링 42 : 탄지축
43 : 스프링 홀더 50 : 이동부재

Claims (6)

  1.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어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힌지 슬롯이 형성된 락커를 갖는 락킹장치와,
    고주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의 배면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락커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도어의 상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락커와, 락커의 회전 중심이 되며 상기 락커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락커 홀더와, 상기 락커가 회전시 좌우로 이동하여 회전하지 않는 다른 한쪽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락커의 회전시 좌우 이동하여 상기 락커의 일측을 지 지하는 슬라이더 링크와, 상기 슬라이더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락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링크를 좌우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락커에 마련되어 상기 락커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지축과, 일측이 상기 탄지축에 끼움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상에 마련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측을 고정하여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상기 락커에 전달하도록 마련된 스프링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락커의 힌지 슬롯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 상하측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폐쇄 시,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힌지축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단부에는 소정 길이로 가이드부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2020070015797U 2007-09-21 2007-09-21 조리기기 KR200463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797U KR200463920Y1 (ko) 2007-09-21 2007-09-21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797U KR200463920Y1 (ko) 2007-09-21 2007-09-21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20U KR20090003020U (ko) 2009-03-25
KR200463920Y1 true KR200463920Y1 (ko) 2012-12-03

Family

ID=4365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797U KR200463920Y1 (ko) 2007-09-21 2007-09-2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20U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1353B2 (en) Household oven
US20090321430A1 (en) Cooking apparatus
US20200370756A1 (en) Home appliance
CN106103875B (zh) 具有门阻尼器的家用器具
US20180163443A1 (en) Home appliance having leveling door handle
EP3161385A1 (en) Domestic oven having a door with two door wings
KR200463920Y1 (ko) 조리기기
KR100785129B1 (ko) 조리기기
JP2011075125A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JPH01184332A (ja) 調理器
KR20090010611U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완충장치
KR101623978B1 (ko) 조리기기
KR100647853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페 구조
KR20070103247A (ko) 전자렌지
KR100684526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
KR100668084B1 (ko) 오븐레인지
KR20030092916A (ko) 전자렌지
KR200153344Y1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CN217792591U (zh) 面板控制机构及具有其的嵌入式烹饪器具
KR20090000369U (ko) 전자렌지
JPS634086B2 (ko)
KR960014109B1 (ko) 전자렌지 도어 개폐장치
KR20240077366A (ko) 조리기기
KR20230142308A (ko) 조리기기
KR880002786Y1 (ko) 가열식 전자레인지의 히터 회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