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55Y1 - 경계석 받침대 - Google Patents

경계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55Y1
KR200461355Y1 KR2020120004431U KR20120004431U KR200461355Y1 KR 200461355 Y1 KR200461355 Y1 KR 200461355Y1 KR 2020120004431 U KR2020120004431 U KR 2020120004431U KR 20120004431 U KR20120004431 U KR 20120004431U KR 200461355 Y1 KR200461355 Y1 KR 200461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upport
spacer
boundary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훈
Original Assignee
최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훈 filed Critical 최낙훈
Priority to KR2020120004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끼워진 스페이서를 빼내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계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는 지주(2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올려지는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40)가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스페이서(40)가 경계석(1)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40)를 제거하지 않아도 스페이서(40)에 의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40)를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경계석(1)을 시공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계석 받침대{boundary stone support}
본 고안은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끼워진 스페이서를 빼내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계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로 제작된 인조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을 길이가 긴 블록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구획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각 구역을 상호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경계석은 일정한 높이에 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의 (a)와 같이,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을 따라 거푸집(3)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게 되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을 콘크리트 상에 일렬로 올려놓은 후 각 경계석(1)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면, 도 1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 부분보다 높고 넓게 거푸집(3)을 재차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2)를 제작하는 것에 의해 경계석(1)의 하단이 콘크리트 기초(2)에 매입되도록 함으로써, 경계석(1)을 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 기초(2)에 경계석(1)을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2번 타설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1차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 경계석(1)을 올려놓을 때에 경계석(1)의 무게에 의해 콘크리트가 침하되어 경계석(1)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으면 경계석(1)을 올려놓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으면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작업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 번거롭고, 특히, 콘크리트를 2차에 걸쳐 타설함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2)에 콜드 조인트가 발생되어, 강도나 내구성 및 수밀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개특허 제10-2005-0103140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은 도로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경계석 받침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본체(4)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본체(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3개의 지주(5)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본체(4)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받침부(4a)와, 삼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받침부(4a)를 상호 고정하는 지지프레임(4b)으로 구성된다.
지주(5)는 상기 받침대본체(4)의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받침부(4a)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받침부(4a)에 고정되는 지지봉체(5a)와, 상기 지지봉체(5a)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5b)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경계석(1)이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경계석 받침대를 설치하고, 일측의 경계석(1)은 1개의 지주(5)의 상단에 올려놓고 타측의 경계석(1)은 남은 2개의 지주(5)의 상단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각 지주(5)에 구비된 승강부재(5b)를 회전시켜 지주(5)의 길이를 조절하면, 경계석(1)의 높이와 기울기가 조절되어 서로 연결되는 경계석(1)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계석 받침대에 의해 상면이 일치되도록 조절된 경계석(1)의 양측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을 설치한 후 거푸집(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계석(1)을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계석 받침대의 자세한 구성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1)의 시공 방법은 전술한 선행 문헌에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하여 경계석(1)을 시공하면, 경계석(1)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지 않을 뿐 아니라,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만으로 경계석(1)을 시공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를 여러 번에 걸쳐 타설함에 따라 발생되는 강도나 내수성 및 수밀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경계석(1)은 기온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하게 되므로, 서로 연결되는 경계석(1)은 인접 단부면이 상호 일정한 간격 이격되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하여 경계석(1)을 시공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1)의 사이에 스페이서(6)를 끼우고,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가 완료되면, 스페이서(6)를 빼낸 후 경계석(1)의 사이에 모래 등을 충진하여 마감하고 있다.
상기 스페이서(6)는 수직부(6a)와 상기 수직부(6a)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경계석(1)의 상면에 걸리는 수평부(6b)를 갖도록 적절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L자 형태로 절곡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경계석(1)을 시공할 때 경계석(1)의 상면에 상기 수평부(6b)가 걸리도록 경계석(1)의 사이에 스페이서(6)를 삽입한 후 스페이서(6)의 양측면에 경계석(1)이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스페이서(6)에 의해 경계석(1)의 단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경계석 받침대의 사이에 스페이서(6)를 끼운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스페이서(6)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계석(1)에 의해 스페이서(6)의 양측면이 강하게 압박될 경우 작업자가 스페이서(6)를 빼내는데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스페이서(6)를 금속이 아닌 강도가 약한 재질로 제작하여 경계석(1)에 끼운 상태로 빼내지 않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상기 스페이서(6)는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L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단의 수평부(6b)가 경계석(1)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스페이서(6)를 빼내어 제거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평부(6b)가 경계석(1)의 상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므로, 반드시 스페이서(6)를 빼내어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의 인접 단부면 사이에 끼워진 스페이서를 빼내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대본체(10)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3개의 지주(20)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경계석(1)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지주(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1)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경계석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2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올려지는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30)는 양단이 2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세로부재(31)와, 상기 세로부재(31)의 중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1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가로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40)는 상기 가로부재(32)에 가로부재(3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가 제공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주(20)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계석(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돌출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세로부재(31) 양단과 가로부재(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돌출부(22a)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31a,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40)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 재질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부재(32)가 결합되는 결합슬롯(41a)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41)와, 상기 지지부(41)의 상면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가 제공되다.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는 지주(2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올려지는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40)가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스페이서(40)가 경계석(1)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40)를 제거하지 않아도 스페이서(40)에 의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40)를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경계석(1)을 시공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경계석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 받침대를 도시한 것으로, 받침대본체(10)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3개의 지주(20)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경계석(1)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지주(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1)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주(20)는 상기 받침대본체(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받침대본체(10)에 고정되는 지지봉체(21)와, 상기 지지봉체(21)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22)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체(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1a)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22)는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산(21a)의 외부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주(20)의 상단, 즉, 승강부재(22)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경계석(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돌출부(22a)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22)를 회전시키면 나사산(21a)의 작용에 의해 승강부재(22)가 승강되면서 돌출부(22a)에 올려진 경계석(1)의 높이와 기울기가 조절되어 경계석(1)의 상면이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본체(10)는 넓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20)에는 지지부재(30)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올려지는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양단이 2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세로부재(31)와, 상기 세로부재(31)의 중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1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가로부재(32)가 구비되는 T자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세로부재(31) 양단과 가로부재(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돌출부(22a)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31a,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a,32a)을 각각의 지주(2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22a)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0)는 얇은 판 형상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로부재(32)가 결합되는 결합슬롯(41a)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41)와, 상기 지지부(41)의 상면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41)의 결합슬롯(41a)이 상기 가로부재(32)에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20)에 상기 지지부재(30)를 결합하고 지지부(41)에 스페이서(40)를 결합한 후, 2개의 경계석(1)이 연결되는 위치에 경계석 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32)가 경계석(1)이 연결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경계석(1)의 단부가 만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40)가 가로부재(32)를 따라 위치 조절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의 경계석(1)은 1개의 지주(20)의 상단에 올려놓고 타측의 경계석(1)은 남은 2개의 지주(20)의 상단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경계석(1)이 스페이서(40)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각 지주(20)에 구비된 승강부재(22)를 회전시켜 지주(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서로 연결되는 경계석(1)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석(1)의 하측과 둘레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계석(1)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경계석 받침대는 지주(2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올려지는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40)가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스페이서(40)가 경계석(1)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40)를 제거하지 않아도 스페이서(40)에 의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40)를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경계석(1)을 시공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양단이 2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세로부재(31)와, 상기 세로부재(31)의 중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1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가로부재(3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40)는 상기 가로부재(32)에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가로부재(32)가 경계석(1)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스페이서(40)가 가로부재(32)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함으로써, 경계석(1)의 단부가 만나는 위치에 맞게 상기 스페이서(40)를 위치 조절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20)의 상단, 특히, 상기 승강부재(22)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계석(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돌출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세로부재(31) 양단과 가로부재(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돌출부(22a)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31a,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지지부재(30)를 승강부재(22)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계석(1)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주(20)의 승강부재(22)를 회전시켜 승강부재(22)가 승강되도록 할 때 지지부재(30)가 승강부재(2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40)는 두께가 얇고 경계석(1)에 비해 강도가 약한 합성수지 재질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기온이 상승되어 경계석(1)이 신장되면 스페이서(40)가 압착되어 경계석(1)이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스페이서(40)는 그 결합슬롯(41a)을 통해 지지부재(30)의 가로부재(32)에 결합되므로, 스페이서(40)를 가로부재(32)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부(41)와, 상기 지지부(41)의 상면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로 구성되므로, 스페이서(40)의 폭을 넓게 확장하여 경계석(1)의 단부면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지지하면서도 스페이서(40)를 제작할 때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하고 스페이서(4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경계석(1)의 단부면과 접촉되는 스페이서(40)의 면적을 줄여 경계석(1)이 신장될 때에 발생되는 힘에 따라 스페이서(40)가 더욱 용이하게 압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봉체(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1a)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22)는 상기 나사산(21a)의 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2)에 상기 지지봉체(21)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22b)을 구비하여, 승강부재(22)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축(22b)에 의해 승강부재(22)가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2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재질은 작업자가 경계석(1)을 배치할 때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서는 압착되지 않다가 경계석(1)이 신장되면서 발생되는 강한 힘에는 압착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받침대본체 20. 지주
30. 지지부재 40. 스페이서

Claims (4)

  1. 받침대본체(10)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3개의 지주(20)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경계석(1)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지주(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1)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경계석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2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올려지는 경계석(1)의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양단이 2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세로부재(31)와,
    상기 세로부재(31)의 중간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1개의 지주(20)에 결합되는 가로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40)는 상기 가로부재(32)에 가로부재(3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0)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계석(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돌출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세로부재(31) 양단과 가로부재(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돌출부(22a)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31a,3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0)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 재질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부재(32)가 결합되는 결합슬롯(41a)이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41)와,
    상기 지지부(41)의 상면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받침대.
KR2020120004431U 2012-05-25 2012-05-25 경계석 받침대 KR200461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31U KR200461355Y1 (ko) 2012-05-25 2012-05-25 경계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31U KR200461355Y1 (ko) 2012-05-25 2012-05-25 경계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55Y1 true KR200461355Y1 (ko) 2012-07-12

Family

ID=4713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31U KR200461355Y1 (ko) 2012-05-25 2012-05-25 경계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35Y1 (ko) 2013-05-02 2013-07-31 최낙훈 생분해성을 갖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550398B1 (ko) 2015-02-27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897086B1 (ko) * 2015-08-31 2018-09-18 둥지토건(주) 도로 측구 레벨 조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145Y1 (ko) 2004-12-06 2005-03-11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145Y1 (ko) 2004-12-06 2005-03-11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35Y1 (ko) 2013-05-02 2013-07-31 최낙훈 생분해성을 갖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550398B1 (ko) 2015-02-27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WO2016137218A1 (ko) * 2015-02-27 2016-09-01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897086B1 (ko) * 2015-08-31 2018-09-18 둥지토건(주) 도로 측구 레벨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778B2 (en) Concrete slab panel forming, reinforcing, joint sealing and edge protecting framing system
CA2508040C (en) Tower foundation made up of slabs with sloping edges
KR200461355Y1 (ko) 경계석 받침대
KR20120046919A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101756466B1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US3844522A (en) Cutout forms for concrete fence construction
KR100660740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KR101602155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바닥 형성용 데크구조체
KR100432863B1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1071691B1 (ko) 밀착식 거푸집 및 그 밀착식 거푸집을 이용한 토목, 도로용 측구 경계석의 시공방법
KR200437489Y1 (ko)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JP2013170420A (ja) 建築物の基礎形成方法、建築物の基礎
JP2004218348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布設方法
KR101580394B1 (ko)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206581283U (zh) 临时围墙预制装配式基础
KR100863486B1 (ko) 사방댐
KR102359642B1 (ko)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16717B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pc 벽체,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20090002009U (ko) 철근간격유지구
KR200378145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860760B1 (ko) 경계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CN211395328U (zh) 一种可调式混凝土预设桥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