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642B1 -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642B1
KR102359642B1 KR1020210053448A KR20210053448A KR102359642B1 KR 102359642 B1 KR102359642 B1 KR 102359642B1 KR 1020210053448 A KR1020210053448 A KR 1020210053448A KR 20210053448 A KR20210053448 A KR 20210053448A KR 102359642 B1 KR102359642 B1 KR 10235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upport member
ready
mixed concre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군
Original Assignee
서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군 filed Critical 서병군
Priority to KR102021005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은 경계석의 하측에 배치되어, 경계석의 높이를 한정하는 받침부재 및 경계석의 측부에 타설되어, 받침부재 및 경계석과 일체화되는 측구를 포함하고, 받침부재는 다공의 메쉬부재에 의해 외주가 감싸진 레미콘 블록이고, 측구 형성 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교각 구조를 가지고, 레미콘 블록 구조에 기인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지면 위에 다공의 메쉬부재에 의해 외주가 감싸진 레미콘 블록 형태의 받침부재를 배치하는 받침부재 설치단계, 받침부재 위에 경계석을 배치하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 경계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계석 설치단계, 경계석의 측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거푸집과 경계석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 설치단계 및 측구가 완전 건조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 해체단계;를 포함하고, 경계석 설치단계는 레미콘 블록 구조에 기인하여 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

Description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ROAD GUTTER AND BOUNDARY STONE INTEGRATED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계석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계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교각 역할을 하여 구조를 보강할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로 제작된 인조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긴 블록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보차도 및 구획이 필요한 장소(도로경계석)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계석에 대한 종래의 경계석 시공 방법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경계석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 지면에 경계석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거푸집(4)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여 받침부재(2)를 형성하고, 받침부재(2)가 어느 정도 굳으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을 받침부재(2)에 일렬로 올려놓은 후 각 경계석(1)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도록 인력으로 수차례에 걸쳐 압착 시공 조절한다.
또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면, 도 1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방서에 의한 구배(4%, 6%, 10%)대로 L형측구거푸집(5)을 재차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하여 L형 측구(3)를 제작함으로써, 경계석(1)의 하단이 L형 측구(3)에 소량(약 5cm) 매립되도록 하여 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하면, 받침부재(2)에 경계석(1)을 설치하기 위해서 1차 타설, L형 측구(3)를 완성하기 위해 2차 타설 및 양생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한 후 받침부재(2)가 어느 정도 굳으면 경계석(1)을 올려놓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으면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를 2차 타설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타이밍의 조절이 번거롭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에 경계석(1)을 올려놓을 때에 경계석(1)의 무게에 의해 1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침하되어 경계석(1)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콘크리트를 두 차례에 걸쳐 타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4, 5)의 설치를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이 더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를 두 차례에 걸쳐 타설함에 따라서 받침부재(2)와 L형측구(3) 사이에 콜드조인트가 발생되어, 강도나 내구성 및 수밀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10-0953962호와 같이 경계석을 지면에서 들어 올린 상태로 고정하여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계석 시공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10-0670099와 같이 쐐기 블록을 이용해 경계석의 높이와 평행을 조절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10-0953962호의 경우, 지지프레임을 바닥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경계석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 지도록 고정하므로, 해체 전 까지 경계석의 전체선형을 파악하기 쉽지 않고, 콘크리트 경계석 및 R경계석. 경사석(횡단보도, 교차로)을 시공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 시간이 길어지므로 전체적인 인력 및 시공기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10-0670099의 경우, 쐐기블록이 상하로 배치된 경계석과 받침블록 사이 측면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는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그로 인해 섬세하고 정확한 작업이 어렵고, 시공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성은 물론 시공 및 준비 공정이 간단하며, 작업 용이성을 갖추고,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을 갖춘 경계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3962 (2010.04.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10-0670099 (2007.01.10.)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은 물론 시공 및 준비 공정이 간단하며, 작업 용이성을 갖추고,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을 갖춘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은, 경계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계석의 높이를 한정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경계석의 측부에 타설 되어, 상기 받침부재 및 경계석과 일체화되는 측구;를 포함하고,상기 받침부재는 다공의 메쉬부재에 의해 외주가 감싸진 레미콘 블록이고, 상기 측구 형성 시 타설 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교각 구조를 가지고, 상기 레미콘 블록 구조에 기인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각은 소정 거리 이격 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석은 적어도 1개 이상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경계석의 전단과 후단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후, 상기 측구 및 경계석과 일체로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지면 위에 다공의 메쉬부재에 의해 외주가 감싸진 레미콘 블록 형태의 받침부재를 배치하는 받침부재 설치단계; 상기 받침부재 위에 경계석을 배치하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경계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계석 설치단계; 상기 경계석의 측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과 상기 경계석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 설치단계; 및 상기측구가 완전 양생 되면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 해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설치단계는 상기 레미콘 블록 구조에 기인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측구 설치단계에서 타설 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교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각은 소정 거리 이격 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 설치단계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메쉬부재를 배치하는 메쉬부재 배치단계; 및 상기 메쉬부재 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 타설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석 설치단계는 상기 경계석을 상기 받침부재 위에 안착시키는 경계석 배치단계; 및 상기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계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계석 높낮이 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는 상기 경계석을 기준으로 차도측에 앞거푸집, 보도측에 뒷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구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 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타설단계; 및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경계석과, 상기 측구를 일체로 경화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은 물론 시공 및 준비 공정이 간단하며, 작업 용이성을 갖추고,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을 갖춘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설치 횟수와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경계석-받침부재-측구가 일체로 건조되기 때문에, 콜트조인트가 발생하지 않아 강도 및 내구성이 강한 경계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석의 상면을 가압(타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시간 감축은 물론 섬세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경계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구성 중 받침부재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구성 중 받침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이하 경계 구조물로 기재)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 구조물의 구성 중 받침부재(12)의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 구조물은 경계석(11), 받침부재(12), 측구(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부재(12)는, 경계석(11)의 하측에 배치되어, 규준틀을 기준으로 경계석(11)의 높이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다수 개의 경계석(11)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경우, 경계석(11)간 접촉면의 하측에 각각 1개의 받침부재(12)를 배치하고, 받침부재(12)의 높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경계석(11)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석(11)이 하나 배치될 경우, 경계석(11)의 전단과 후단의 하측에 각각 1개의 받침부재(12)를 배치하고, 받침부재(12)의 높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경계석(11)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석(11)이 배치될 경우, 경계석(11)의 전단과 후단 또는 인접한 경계석(11)과의 접촉면의 하측에 받침부재(12)를 배치하고, 받침부재(12)의 높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경계석(11)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받침부재(12)를 통해 경계석(11)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다수의 경계석(11)들을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받침부재(12)는 다공의 메쉬부재(120)에 의해 외주가 감싸진 레미콘 블록이고, 측구(13) 형성 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경계석(11)을 지지하는 교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받침부재(12)는, 메쉬부재(120)의 내부에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유입된 상태, 즉 레미콘 블록 상태이며, 메쉬부재(120)는 다공을 포함하기 때문에 소정의 힘에 의해 받침부재(12)가 가압(및 타격)되면 레미콘에 포함된 물기가 다공을 통해 빠져나감으로써 받침부재(12)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소정의 힘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경계석(11)의 하측은 소량(약 5cm) 받침부재(12), 즉 레미콘에 매립될 수 있다.
경계석(11)의 하측이 받침부재(12)의 레미콘에 매립되는 구조는, 측구(13) 타설 시 레미콘 압력과 부력에 의해 경계석의 선형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쉬부재(120)의 다공은, 물기는 배출되되 기타 레미콘의 조성물은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 또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받침부재(12)의 이러한 구조(메쉬부재(120) 내 콘크리트 타설)는 경계석(11)의 하중에 의해서는 받침부재(12)의 높이가 변하지 않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서만 받침부재(12)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기 때문에, 경계석(11)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받침부재(12)의 완전 건조(양생)를 위한 대기 시간 없이 측구(13)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교각 구조는, 다수 개 형성되어 소정 거리 이격된 교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 개의 경계석(11)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경우, 받침부재(12)를 1m 간격으로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교각 구조는, 경계석(11)의 높낮이뿐 아니라 기울기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다수 개의 경계석(11)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태의 받침부재(12)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형태로 본 발명은 받침부재(12)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받침부재(12)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고, 상측과 하측의 직경이 다른 원뿔 또는 다각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쉬부재(120)의 소재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메쉬부재(120)는 금속, 비닐, 플랙시블 종이, 플라스틱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섞여 형성될 수 있고, 플랙시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콘크리트의 재활용 가능성과 구조물의 강도 등을 고려할 때 다른 소재에 비해 금속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측구(13)는, 경계석(11)의 측부에 타설되어, 높이가 조절된 받침부재(12)와 경계석(11)과 일체로 경화될 수 있고, 단면이 L형인 L형측구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 구조물의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지면 위에 레미콘 블록 형태의 받침부재(12)를 배치하는 받침부재 설치단계(b), 받침부재(12) 위에 경계석(11)을 배치하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 경계석(1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계석 설치단계(c), 경계석(11)의 측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d), 거푸집과 경계석(11)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구(13)를 형성하는 측구 설치단계(e) 및 측구(13)가 완전 건조(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 해체단계(f)를 포함 수 있다.
경계석 설치단계(c)의 소정의 외력은, 경계석(11)을 거쳐 받침부재(12)로 전달되어, 메쉬부재(120)를 찌그러뜨림과 동시에 레미콘 내 수분을 다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규준틀을 기준으로 한 경계석(11)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 설치단계(b)와 경계석 설치단계(c) 이후의 받침부재(12)의 형상을 다르게 도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받침부재 설치단계(S10)는 소정 간격으로 메쉬부재(120)를 배치하는 메쉬부재 배치단계(S11) 및 메쉬부재(120) 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 타설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석 설치단계(S20)는, 경계석(11)을 받침부재(12) 위에 안착시키는 경계석 배치단계(S21) 및 소정의 외력에 의해 받침부재(12)의 높이를 조절하여 경계석(1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계석 높낮이 조절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석 높낮이 조절단계(S22)를 완료한 경계석(11)의 하측은 소량(약 5cm) 받침부재(12), 즉 레미콘에 매립될 수 있다.
경계석(11)의 하측이 받침부재(12)의 레미콘에 매립되는 구조는, 후술할 제2 타설단계(S41)에서 레미콘 압력과 부력에 의해 경계석(11)의 선형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푸집 설치단계(S30)는, 경계석(11)을 기준으로 차도측에 앞거푸집(14), 보도측에 뒷거푸집(15)을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측구 설치단계(S40)는, 거푸집 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타설단계(S41) 및 받침부재(12)와, 경계석(11)과, 측구(13)를 일체로 경화하는 경화 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경계석
2: 받침부재
3: L형 측구
4: 받침부재 거푸집
5: L형 측구 거푸집
11: 경계석
12: 받침부재
13: 측구
14: 앞거푸집
15: 뒷거푸집
120: 메쉬부재

Claims (11)

  1. 경계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계석의 높이를 한정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경계석의 측부에 타설되어, 상기 받침부재 및 경계석과 일체화되는 측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다공의 메쉬부재에 의해 외주가 감싸진 레미콘 블록이고, 상기 측구 형성 시 타설 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교각 구조를 갖고, 상기 레미콘 블록 구조에 기인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은,
    적어도 1개 이상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경계석의 전단과 후단의 하측에 배치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후, 상기 측구 및 경계석과 일체로 경화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5. 지면 위에 다공의 메쉬부재에 의해 외주가 감싸진 레미콘 블록 형태의 받침부재를 배치하는 받침부재 설치단계;
    상기 받침부재 위에 경계석을 배치하고,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경계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계석 설치단계;
    상기 경계석의 측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과 상기 경계석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 설치단계; 및
    상기 측구가 완전 건조되면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거푸집 해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설치단계는,
    상기 레미콘 블록 구조에 기인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측구 설치단계에서 타설 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교각 구조를 갖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은,
    소정 거리 이격 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설치단계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메쉬부재를 배치하는 메쉬부재 배치단계; 및
    상기메쉬부재 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설치단계는,
    상기 경계석을 상기 받침부재 위에 안착시키는 경계석 배치단계; 및
    상기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경계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계석 높낮이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는,
    상기 경계석을 기준으로 차도측에 앞거푸집, 보도측에 뒷거푸집 을설치하는 단계인,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측구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 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타설단계; 및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경계석과, 상기 측구를 일체로 경화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하는,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210053448A 2021-04-26 2021-04-26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5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48A KR102359642B1 (ko) 2021-04-26 2021-04-26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48A KR102359642B1 (ko) 2021-04-26 2021-04-26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642B1 true KR102359642B1 (ko) 2022-02-08

Family

ID=8025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448A KR102359642B1 (ko) 2021-04-26 2021-04-26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6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852A (ja) * 1997-03-06 1998-09-14 Fujita Corp 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方法
KR200291868Y1 (ko) * 2002-07-05 2002-10-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100670099B1 (ko) 2006-02-07 2007-01-17 최재필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3962B1 (ko) 2007-09-19 2010-04-21 신 오 황 경계석 부양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852A (ja) * 1997-03-06 1998-09-14 Fujita Corp 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方法
KR200291868Y1 (ko) * 2002-07-05 2002-10-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100670099B1 (ko) 2006-02-07 2007-01-17 최재필 도로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3962B1 (ko) 2007-09-19 2010-04-21 신 오 황 경계석 부양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442B2 (en) Surface and inground adjustable structural concrete piers
US8671627B2 (en) System for forming a movable slab foundation
US20080175673A1 (en) Foundation lift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090211178A1 (en) System for Forming a Movable Slab Foundation
KR102359642B1 (ko) 측구와 경계석의 일체형 레미콘 타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110052329A1 (en) System for Forming a Movable Slab Foundation
US20110116873A1 (en) System for Forming a Movable Slab Foundation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2186470B1 (ko) 다웰바 스틸폼
KR101019411B1 (ko) 슬래브 시공방법
KR200461355Y1 (ko) 경계석 받침대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US20190323197A1 (en) Post-tension tube founda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0500143B1 (ko) 통수단면 확보를 위한 교각의 중공 단면확대 시공방법 및그 구조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0508532B1 (ko) 속빈 슬래브교의 구조
JP2004218348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布設方法
KR200456737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167582B1 (ko) 확장형 블록 장치
KR100953962B1 (ko) 경계석 부양 시공장치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KR100816304B1 (ko) 배열과 설치가 간편한 도로 경계석 및 그 시공 방법
US20090071086A1 (en) Unreinforced shrinkage compensating concrete floor slab
KR200235027Y1 (ko) 교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