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475Y1 - 웨일러 클램프 - Google Patents

웨일러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475Y1
KR200458475Y1 KR2020110009488U KR20110009488U KR200458475Y1 KR 200458475 Y1 KR200458475 Y1 KR 200458475Y1 KR 2020110009488 U KR2020110009488 U KR 2020110009488U KR 20110009488 U KR20110009488 U KR 20110009488U KR 200458475 Y1 KR200458475 Y1 KR 200458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ixing member
clamp
pin
coupl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2020110009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10)의 선단부(11)와, 수직리브(VR)를 연결하는 결합수단(4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리브(VR)에 맞대어져 상기 몸체(10)가 외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받쳐주는 버팀부(21)가 구비된 절곡부재(20)와, 상기 몸체 후단부(13)의 일측면에 승하강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직리브(VR)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15)에 얹히는 웨일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30)와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몸체(10)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와 상기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이 몸체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켜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이 클램프에 전달되는 경우에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몸체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몸체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하여 클램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또한 클램프가 웨일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고, 이를 통하여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완성도를 높여줌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웨일러 클램프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웨일러 클램프{WHALER-CLAMP}
본 고안은 다수의 거푸집패널이 연결된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평탄도를 잡기 위해 거푸집패널의 수직리브를 지지하는 웨일러를 고정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에 유동성이 큰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경우 콘크리트에 의하여 발생하는 측압은 웨일러를 고정 지지하고 있는 클램프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이 몸체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켜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이 클램프에 전달되는 경우에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몸체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몸체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하여 클램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또한 클램프가 웨일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고, 이를 통하여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완성도를 높여줌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거푸집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잡기 위해 각형 또는 원형의 웨일러가 도입되고,
이러한 웨일러를 거푸집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나, 고정구가 도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나, 고정구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7588호(2009.04.16.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콘크리트용 거푸집 체결구를 포함하는 거푸집 보강재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구(2)가 삽입되는 삽입공(101)이 형성되어 웨지핀 또는 콘형상으로 된 체결구(2)가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는 연결부(102)가 형성되고 연결부가 형성된 곳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보강재(5) 적재부(103)가 형성되어 그 하단부에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외면에 접촉하는 받침돌기(104)가 형성되며 보강재 적재부가 형성된 곳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에 지지편(105)이 형성되어 지지편 하단부와 외측면에 받침돌기(104)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안내돌기(106)와 안내홈(107)이 형성된 타이(1)가 구비되어 그 지지편에서 안내홈(107)이 형성된 측면으로 연결봉(301)에 의하여 타이에 부착되고 그 외측에 환상걸림턱(302)이 형성된 체결구(3)를 부착하여 체결구(3)의 연결봉(301)에 안내공(401)이 삽입되어 타이에 형성된 지지부의 안내돌기(106)와 안내홈(107)에 안내되며 승강하고 상단부와 외측면에 타격부(402)(403)가 형성된 쇄기형긴장판(4)을 갖추어서 이들이 일체로 구성되게 한 알루미늄제 콘크리트 거푸집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와 상기 쇄기형강판(4)(도 5의 '30')이 상기 적재부(103)(도 5의 '10'에 대응)의 반대쪽에 방향에 배열되어 있어 상기 체결구(2)(도 5의 '41'에 대응)와 상기 쇄기형강판(4)에 의하여 인가되는 편심도가 도 5의 (B)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거푸집(F)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경우 유동성이 큰 콘크리트에 의하여 거푸집패널(FP)에는 측압(SP)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웨일러를 고정시키고 있는 클램프나 고정구에도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이 전달되는 경우 도 5의 (A)와 같이 체결구(2)와 쇄기형강판(4)에 의한 편심도가 큰 경우에는 적재부(103)에도 큰 굽힘 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적재부에 휨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는 클램프나 고정구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특히 클램프나 고정구에 의하여 웨일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관계로 거푸집패널이 평탄도가 유지되지 못하여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이 몸체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켜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이 클램프에 전달되는 경우에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몸체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몸체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하여 클램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또한 클램프가 웨일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고, 이를 통하여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완성도를 높여줌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지지부재와 수직리브와의 연결부위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거푸집패널의 수직리브에 연결되는 보강재가 도입되어 상기 연결부위를 보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웨지핀의 길이에 따라서는 웨지핀이 결합핀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 웨지핀의 하단부가 보강재와 맞닿아 웨지핀이 결합핀에 완전히 체결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재에 웨지핀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투입공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결합수단의 결합핀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동수단을 도입하고,
회동수단에 의하여 결합핀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웨지핀을 결합핀의 삽입공에 사선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보강재에 투입공과 같은 구성을 형성하지 않아도 웨지핀을 결합핀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회동수단은 웨지핀을 결합핀의 삽입공에 삽입하기 위해 외측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해머나, 망치질을 사용하는 경우 웨지핀을 타격하는 것이 보다 쉽고 용이하여 설치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는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거푸집패널과, 상기 각 거푸집패널에 형성되고, 상호 맞대어지는 수직리브에 연결되는 웨일러(whaler)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몸체와, 상기 몸체 선단부의 측면에 돌출되고, 삽입공이 구비된 결합핀과, 상기 수직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상기 결합핀이 삽입된 후, 상기 결합핀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웨지핀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직리브에 맞대어져 상기 몸체가 외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받쳐주는 버팀부가 구비된 절곡부재와, 상기 몸체 후단부의 일측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직리브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에 얹히는 웨일러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몸체 선단부와 상기 결합핀에는 상기 결합핀을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몸체 선단부의 내측단부에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통공과, 상기 몸체 선단부에 내측단면부에 구비되고,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결합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이 얹히는 거치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절곡부재의 부팀부와, 상기 거치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는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이 몸체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켜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이 클램프에 전달되는 경우에
고정부재와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몸체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몸체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하여 클램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또한 클램프가 웨일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거푸집패널의 평탄도를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고, 이를 통하여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완성도를 높여줌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지지부재와 수직리브와의 연결부위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거푸집패널의 수직리브에 연결되는 보강재가 도입되어 상기 연결부위를 보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웨지핀의 길이에 따라서는 웨지핀이 결합핀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경우 웨지핀의 하단부가 보강재와 맞닿아 웨지핀이 결합핀에 완전히 체결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재에 웨지핀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투입공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결합수단의 결합핀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동수단을 도입하고,
회동수단에 의하여 결합핀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웨지핀을 결합핀의 삽입공에 사선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보강재에 투입공과 같은 구성을 형성하지 않아도 웨지핀을 결합핀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회동수단은 웨지핀을 결합핀의 삽입공에 삽입하기 위해 외측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해머나, 망치질을 사용하는 경우 웨지핀을 타격하는 것이 보다 쉽고 용이하여 설치작업이 편리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에 의하여 웨일러가 거푸집패널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
도 5는 종래의 클램프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편심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종래의 고정구(또는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본 고안의 거푸집패널 쪽을 '선단 또는 내측'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후단 또는 외측'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C)는 몸체(10)와, 상기 몸체 선단부(11)의 측면에 돌출되고, 삽입공(41a)이 구비된 결합핀(41)과, 상기 수직리브(VR)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41)의 삽입되는 결합공(43)과, 상기 결합공(43)에 상기 결합핀(41)이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41a)에 끼워지는 웨지핀(45)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4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직리브(VR)에 맞대어져 상기 몸체(10)가 외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받쳐주는 버팀부재(20)와, 상기 몸체 후단부(13)의 일측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직리브(VR)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15)에 얹히는 웨일러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F)은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거푸집패널(FP)과,
상기 거푸집패널(FP)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돌출 배열되는 수평리브와 수직리브(VR)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리브는 상기 거푸집패널(FP)의 상부와 하부에 배열되며,
상기 수직리브(VR)는 상기 거푸집패널(FP)의 양측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패널(FP)들을 측방향으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각 거푸집패널(FP)에서 상호 인접한 수직리브(VR)가 맞대어지고,
상기 각 수직리브(VR)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공(43)들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공(43)과 결합수단(40)에 의하여 몸체(10)가 수직리브(VR)에 결합됨으로써 클램프(C)가 수직리브(VR)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에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거푸집패널(FP)의 수직리브(VR)에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연결되고, 고정부재(30)가 연결되어 클램프(C)를 수직리브(VR)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몸체(10)에서 상기 몸체 선단부(11)는 내측단부 부분이 상기 수직리브(VR)의 일측방향, 상기 수직리브(VR)의 좌측방향에 배열되어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수직리브(VR)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 후단부(13)는 상기 몸체 선단부(11)의 외측단부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15)는 상기 몸체 선단부(11)와 수직리브(VR)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 후단부(13)와 상기 수직리브(VR)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웨일러(W)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 선단부(11)와 상기 수직리브(VR)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몸체(10)의 몸체 선단부(11)에 연결되고, 삽입공(41a)이 구비된 결합핀(41)과,
상기 수직리브(VR)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41)의 삽입되는 결합공(43)과,
상기 결합공(43)에 상기 결합핀(41)이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41a)에 끼워지는 웨지핀(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핀(41)을 상기 수직리브(VR)의 결합공(43)에 삽입한 후, 상기 결합핀(41)의 삽입공(41a)에 쐐기 형태의 웨지핀(45)을 삽입하여 상기 수직리브(VR)에 상기 몸체 선단부(11)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패널(FP)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주문 업체의 요청에 따라 거푸집패널(FP)의 수직리브(VR)에 수평방향으로 보강재(1)가 연결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보강재(1)는 상기 결합수단(40)에 의하여 몸체(10)와 수직리브(VR)의 연결부위(이하 '연결부위'라 함.) 인접하여 배열되는데,
이는 상기 웨지핀(45)을 상기 결합핀(41)의 삽입공(41a)에 삽입한 후, 상기 웨지핀(45)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삽입공(41a)에 억지 끼우거나,
또는 상기 수용부(15)에 삽입된 웨일러(W)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30)의 상단부를 타격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거푸집패널(FP)이나 수직리브(VR)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상기 보강재(1)가 효과적으로 저항함으로써 거푸집패널(FP)과 수직리브(VR)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상기 웨지핀(45)을 수직방향에서 상기 결합핀(41)의 삽입공(41a)에 투입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재(1)가 상기 연결부위에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어 상기 웨지핀(45)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보강재(1)에 상기 웨지핀(45)의 하단부가 걸려 웨지핀(45)이 상기 결합핀의 삽입공에 완전히 끼워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보강재(1)의 제작 시에 이러한 방해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웨지핀(45)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보강재(1)에 투입공(3)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보강재(1)에 투입공(3)을 형성에 따른 제조 공정의 증가로, 거푸집패널의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40)에 상기 결합핀(41)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결합핀(41)의 삽입공(41a)에 삽입되는 웨지핀(45)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회동수단(50)을 도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50)은 상기 몸체 선단부(11)의 내측단부에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41)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통공(51)과,
상기 몸체 선단부(11)에 내측단면부에 구비되고,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장착홈(53)과,
상기 결합핀(41)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53)에 삽입되는 걸림돌기(55a)가 구비된 연결부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41)의 좌측단부에는 상기 관통공(51)에 삽입되는 연결돌기(41b)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55)는 중심에 연결공(55b)이 형성된 도넛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55)의 연결공(55b)에 상기 결합핀(41)의 연결돌기(41b)가 삽입된 후, 상기 연결돌기(41b)와 상기 연결부재(55)를 용접하여 상기 결합핀(41)과 연결부재(55)를 일체로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수단(50)의 관통공(51)에서 상기 결합핀(41)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결합핀(41)에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재(55)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55)의 걸림돌기(55a)는 상기 장착홈(53) 내부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결합핀(41)의 회전 각도는 상기 장착홈(53)에 의하여 일정한 범위로 제한된다.
이 경우 상기 장착홈(53)의 형성각도는 상기 결합핀(41)의 삽입공(41a)에 끼워지는 웨지핀(45)이 수직방향을 배열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41)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웨지핀(45)이 상기 거푸집패널(FP)과 상기 보강재(1)가 연결되어 형성하는 내측 모서리 쪽을 향할 수 있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동수단(50)에 의하여 상기 결합핀(41)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웨지핀(45)은 상기 거푸집패널과 보강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모서리 방향을 향하게 되어, 상기 웨지핀(45)의 하단부가 상기 보강재(1)에 맞닿지 않게 되므로,
상기 결합공(41)의 삽입공(41a)에 웨지핀(45)이 완전히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보강재(1)에 투입공(3)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패널은 보강재의 도입여부, 보강재의 배열 위치의 상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웨지핀 역시 다양한 사이즈의 길이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거푸집패널(FP)의 제작 형태나, 또는 사용되는 웨지핀(45)의 길이에 따라 상기 회동수단(50)에 의하여 결합핀(42)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웨지핀(45)을 결합핀(41)에 체결할 수 있어 필요에 따른 작업 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50)은 웨지핀(45)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웨지핀을 결합핀의 삽입공에 삽입하기 위해 거푸집패널의 외측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해머나, 망치질을 하는 경우 타격이 쉽고 용이하여 설치작업이 보다 편리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에서, 상기 절곡부재(20)는
상기 몸체(10)가 상기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상기 수직리브(VR)에 결합되는 상기 수직리브(VR)에 맞대어져 상기 몸체(10)를 받치거나, 또는 고정부재(30)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30)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절곡부재(20)는 상기 몸체 선단부(11)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절곡부재(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버팀부(21)와, 상기 절곡부재(20)의 외측방향에 형성되는 거치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버팀부(21)는 상기 몸체(10)가 결합수단(40)에 의하여 수직리브(VR)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버팀부(21)가 상기 수직리브(VR)와 맞닿아 상기 몸체(10)를 받쳐줌으로써 상기 몸체(10)가 하부 방향으로 쳐지는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30)의 하단부 내측에는 걸림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23)는 상기 고정부재(30)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0)의 걸림홈(31)이 얹히어 고정부재(30)를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재(20)에는 상기 거치부(23)와 일측에 안내돌기(23a)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23a)는 상기 고정부재(30)의 승하강 시나, 고정부재(30)에 의하여 웨일러(W)가 가압 지지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30)의 우측면을 안내하여 지지함으로써 고정부재(30)의 승하강 동작 시, 측방향(우측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곡부재(20)의 버팀부(21)와, 상기 거치부(23)는 동일한 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 본 고안의 버팀부(21)와 거치부(23)에 대응하는 받침돌기(104)와 안내홈(107)이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절곡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과 같이 상기 버팀부(21)와 거치부(23)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곡작업을 한 번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웨일러 클램프에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몸체(10)의 몸체 후단부(13)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15)에 웨일러(W)가 삽입된 후, 웨일러(W)를 가압하여 상기 수직리브(VR)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층적으로 줄어드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30)와 상기 몸체(10)의 몸체 후단부(13)에 형성된 승하강수단(70)에 의하여 승하강하여 상기 웨일러(W)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수단(60)은 상기 고정부재(30)의 상부 부분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장방형 형태를 갖는 슬라이드홈(63)과,
상기 몸체(10)의 몸체 후단부(13)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6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61)의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63)에 가이드돌기(61)가 삽입된 후,
상기 가이드돌기(61)가 슬라이드홈(6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돌기(61a)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63)으로부터 가이드돌기(61)가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63)은 내측방향으로 미세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단부가 내측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부재(30)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열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부(15)에 장착된 웨일러(W)가 상기 고정부재(30)의 내측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30)와 상기 결합수단의 결합핀(41)은 상기 몸체(10)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와 상기 결합핀(41)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결합수단의 결합핀(41)과 상기 고정부재(30)가 상기 몸체(10)의 반대쪽에 방향에 배열되어 있어,
상기 결합핀(41)과 상기 고정부재(30)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B)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거푸집(F)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경우 유동성이 큰 콘크리트에 의하여 거푸집패널(FP)은 측압(SP)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웨일러를 고정시키고 있는 클램프에도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에 작용하게 되는 경우 종래와 같이 결합핀(41)과 고정부재(30)에 의한 하중의 편심도가 크기 때문에 그 만큼 상기 몸체(10)에 큰 굽힘 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몸체(10)에 휨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5의 (B)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30)와 결합핀(41)은 상기 몸체(10)의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재(30)와 결합핀(41)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SP)이 클램프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상기 몸체(10)에 인가되는 굽힘 응력을 감소시켜 몸체(10)의 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점은 클램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클램프에 의한 웨일러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하여 거푸집패널(FP)의 평탄도를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며,
이는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완성도를 높여줌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재부(30)의 승하강 시, 상기 파지돌기(33)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고정부재(30)의 승하강 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하부 외측방향에는 지지돌기(13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13a)는 상기 고정부재(30)를 하강시켜 상기 수용부(15)에 장착된 웨일러(W)를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30)의 하부 외측면이 맞닿아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가 외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웨일러 클램프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 거푸집 FP : 거푸집패널
VR : 수직리브 C : 클램프
W : 웨일러 SP : 측압
1 : 보강재 3 : 투입공
10 : 몸체 11 : 몸체 선단부
13 : 몸체 후단부 13a : 지지돌기
15 : 수용부
20 : 절곡부재 21 : 버팀부
23 : 거치부 23a : 안내돌기
30 : 고정부재 31 : 걸림홈
33 : 파지돌기
40 : 결합수단 41 : 결합핀
41a : 삽입공 41b : 연결돌기
43 : 결합공 45 : 웨지핀
50 : 회동수단 51 : 관통공
53 : 장착홈 55 : 연결부재
55a : 걸림돌기 55b : 연결공
60 : 승하강수단 61 : 가이드돌기
61a : 이탈방지돌기 63 : 슬라이드홈

Claims (4)

  1. 삭제
  2.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거푸집패널(FP)과, 상기 각 거푸집패널(FP)에 형성되고, 상호 맞대어지는 수직리브(VR)에 연결되는 웨일러(W)(whaler)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C)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C)는
    몸체(10)와,
    상기 몸체 선단부(11)의 측면에 돌출되고, 삽입공(41a)이 구비된 결합핀(41)과, 상기 수직리브(VR)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41)이 삽입되는 결합공(43)과, 상기 결합공(43)에 상기 결합핀(41)이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41a)에 끼워지는 웨지핀(45)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4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직리브(VR)에 맞대어져 상기 몸체(10)가 외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받쳐주는 버팀부(21)가 구비된 절곡부재(20)와,
    상기 몸체 후단부(13)의 일측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직리브(VR)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15)에 얹히는 웨일러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30)와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몸체(10)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와 상기 결합수단(40)에 인가되는 하중의 편심도(偏心度)를 감소시키고,

    상기 몸체 선단부(11)와 상기 결합핀(41)에는 상기 결합핀(41)을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동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일러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50)은
    상기 몸체 선단부(11)의 내측단부에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41)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통공(51)과,
    상기 몸체 선단부(11)에 내측단면부에 구비되고,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장착홈(53)과,
    상기 결합핀(41)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53)에 삽입되는 걸림돌기(55a)가 구비된 연결부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일러 클램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하단부에는 걸림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재(20)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31)이 얹히는 거치부(23)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절곡부재(20)의 부팀부(21)와, 거치부(23)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일러 클램프.
KR2020110009488U 2011-10-25 2011-10-25 웨일러 클램프 KR200458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488U KR200458475Y1 (ko) 2011-10-25 2011-10-25 웨일러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488U KR200458475Y1 (ko) 2011-10-25 2011-10-25 웨일러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475Y1 true KR200458475Y1 (ko) 2012-02-22

Family

ID=4593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488U KR200458475Y1 (ko) 2011-10-25 2011-10-25 웨일러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4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772B1 (ko) 2015-07-27 2016-05-12 배용웅 알루미늄 거푸집 체결핀
CN105908971A (zh) * 2016-04-29 2016-08-3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43Y1 (ko) 2006-01-26 2006-04-27 주식회사 퍼스폼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KR20080000488U (ko) * 2007-05-11 2008-04-16 정형화 거푸집용 보강프레임의 고정장치
KR20090037588A (ko) * 2007-10-12 2009-04-1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용 거푸집 체결구를 포함하는 거푸집 보강재고정장치
KR20090006932U (ko) * 2008-01-04 2009-07-08 윤성규 거푸집용 받침대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43Y1 (ko) 2006-01-26 2006-04-27 주식회사 퍼스폼 가동편이 구비된 웨일러클램프
KR20080000488U (ko) * 2007-05-11 2008-04-16 정형화 거푸집용 보강프레임의 고정장치
KR20090037588A (ko) * 2007-10-12 2009-04-1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용 거푸집 체결구를 포함하는 거푸집 보강재고정장치
KR20090006932U (ko) * 2008-01-04 2009-07-08 윤성규 거푸집용 받침대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772B1 (ko) 2015-07-27 2016-05-12 배용웅 알루미늄 거푸집 체결핀
CN105908971A (zh) * 2016-04-29 2016-08-3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0561B2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5764035B2 (ja) ケーブル支持具
KR200458475Y1 (ko) 웨일러 클램프
JP5210215B2 (ja) 足場材の楔連結金具
JP6311063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4754446B2 (ja) 仮設足場用筋交い
JP5986405B2 (ja) 足場構築体の強化装置
JP6713599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および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システム
KR20150107537A (ko)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
KR20090037588A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체결구를 포함하는 거푸집 보강재고정장치
JP6271073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KR200445023Y1 (ko) 거푸집 보강프레임용 고정구
JP4684265B2 (ja) 建築用木材継合構造
JP6091212B2 (ja) くさび着脱機構、くさび着脱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くさび着脱方法
KR102302882B1 (ko)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JP2016160586A (ja) 足場用筋交連結構造
JP3051703B2 (ja) 足場用手すり器
JP4177773B2 (ja) 足場用筋交
JP6823218B1 (ja) 残存型枠パネル連結具及び残存型枠パネルの連結構造
JP3852784B1 (ja) 鉄筋保持スペー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法枠形成工法
KR20090006932U (ko) 거푸집용 받침대 고정구
KR102151151B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사이드 타이
EP2466016A1 (en) Frame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575921B1 (ko) 건축물의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JP4754449B2 (ja) 仮設足場用筋交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