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88Y1 - Stand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tand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88Y1
KR200456288Y1 KR2020100006849U KR20100006849U KR200456288Y1 KR 200456288 Y1 KR200456288 Y1 KR 200456288Y1 KR 2020100006849 U KR2020100006849 U KR 2020100006849U KR 20100006849 U KR20100006849 U KR 20100006849U KR 200456288 Y1 KR200456288 Y1 KR 200456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fastening means
rod
earphon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8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최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원 filed Critical 최석원
Priority to KR2020100006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8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8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양 손으로 모바일 기기를 잡고 있지 않더라도 어느 장소에서든지 안정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다수개의 마디로 구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제1 체결수단을 구비한 관절 막대, 및 상기 관절 막대의 제1 체결수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제1 대응 체결수단을 가지며 모바일 기기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nd provides a cradl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mobile device at any place even if the user does not hold the mobile device with both hands.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ongated sha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odes and includes a joint rod having at least one end with a first fastening means, and a detachable attachment to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joint rod. It has a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STAND FOR MOBILE DEVICE}Cradle for mobile devices {STAND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를 고정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떤 장소에서나 모바일 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fix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mobile device in any place.

최근 아이폰(iPhone)과 같은 스마트폰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스마트폰이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소형 모바일 기기이다. 그 외에도 아이패드(iPad)를 비롯한 각종 태블릿 컴퓨터나 넷북, 전자책 등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초등학교나 중학교에서 태블릿 PC를 디지털 교과서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Recently, the demand for smart phones such as the iPhone (iPhone) is rapidly increasing in popularity. A smart 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to a mobile phone. It is a small mobile device that can freely and conveniently use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In addition, various tablet computers, netbooks, and e-books including iPads are being used in various ways. Recently, the use of tablet PCs as digital textbooks is increasing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그러나 모바일 IT 기기의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목, 손목 등 특정 신체부위의 질환을 호소하는 이용자들도 늘고 있다. 즉 모바일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머리가 구부정하게 앞으로 나와 있는 자세를 오랫동안 취하게 되어 목이나 어깨 부근에 통증이 생길 수 있는데, 특히 지하철이나 버스로 이동 중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사용할 경우 무릎 위에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놓고 사용하면 시선이 70~80도까지 내려와 목 관절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목 관절의 통증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s the number of users of mobile IT devices increases, more and more users complain of diseases of specific body parts such as neck and wrist due to excessive use. In other words, if you use your mobile device for a long time, your head will bend forward and you may have pain around your neck or shoulder. Especially when using a smartphone or laptop while traveling by subway or bus, If you use your smartphone, the gaze is lowered to 70-80 degrees and the neck joints tend to go down, so the pain in the neck joints is apt to occur.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양 손으로 모바일 기기를 잡고 있지 않더라도 어느 장소에서든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at any place even if the user does not hold the mobile device with both hand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다수개의 마디로 구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제1 체결수단을 구비한 관절 막대(10)로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ongated sha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odes, and is composed of a joint rod 10 having a first fastening means at at least one end.

또한 제2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상기 관절 막대(10) 및 상기 관절 막대의 제1 체결수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제1 대응 체결수단을 가지며 모바일 기기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articulating rod 10 and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articulating rod, and fixes and supports the mobile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20).

상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의해, 사용자가 양 손으로 모바일 기기를 잡고 있지 않더라도 어느 장소에서든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y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at any place even if the user does not hold the mobile device with both hands.

본 고안의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를 사용하게 되면 어느 장소에서든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자신에게 편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신체 특정 부위의 통증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When the cradle for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user can fix the mobile device to a comfortable state at any place in the place, and there is no fear of pain i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even when the mobile device is used for a long time.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를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a는 본 고안의 거치대의 관절 막대(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2b는 관절 막대(10)의 한 마디(10a)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c는 관절 막대(10)에 끼울 수 있는 클램프(12)의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의 거치대의 지지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3b는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기 전의 지지부(20)의 단면도.
도3c는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상태의 지지부(20)의 단면도.
도3d는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상태의 지지부(20)의 사시도.
도3e는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20)를 사용자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4a 및 도4b는 두 개의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고 있는 거치대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
도5a 내지 도5f는 본 고안의 거치대를 사용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6a는 관절 막대(1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이어폰 수납부(50)의 사시도.
도6b 및 도6c는 어이폰 수납부(50)를 전개하기 전과 전개한 후의 모습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6d는 이어폰 수납부(50) 내부의 이어폰 걸이대(55)를 나타내는 도면.
1a and 1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schematically shows the articulation rod 10 of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section 10a of the articulation rod 10.
2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 12 that can be fitted to the articulation rod 10.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20 of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20 before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20 in a state of supporting a mobile device.
3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20 in a state of supporting a mobile device.
3E is a view of the support 20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from the user side;
4A and 4B are rear and front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chematically showing a cradle supporting two mobile devices.
5a to 5f schematically show various embodiments of using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housing 50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d of the articulation rod 10.
6B and 6C schematically show the state before and after deploying the earphone housing 50, respectively.
6D is a view showing the earphone hanger 55 inside the earphone housing 5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a에 도시된 본 고안의 거치대는 다수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가늘고 긴 플렉시블한 관절 막대(10)로 구성되어 모바일 기기와 직접 결합하고 있다. 도1a는 모바일 기기 중에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와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b의 본 고안의 거치대는 상기 관절 막대(10) 및 관절 막대(10)의 일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모바일 기기(10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부(20)로 구성된다. 1A and 1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using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a consists of a plurality of nodes consisting of a thin long flexible joint rod 10 is directly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1A illustrates a combination with a digital camera, among other mobile devic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B includes the joint rod 10 and a support 20 detachably attached to one end of the joint rod 10 and fixing and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100.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절 막대(10)는 다수개의 관절 마디(10a)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2a는 도1의 관절 막대(10) 부분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하나의 관절 마디(10a)의 머리부(대략 둥그런 형상 부분으로 도2b의 13)가 그 앞의 관절 마디(10a)의 몸통부(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부분으로 도2b의 15) 내의 공간으로 끼워져서 서로가 연결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이웃하는 관절 마디(10a)끼리 서로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일렬로 긴 형태의 관절 막대(10)가 만들어진다. 이 때 막대의 마디와 마디는 서로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그 연결부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또한 관절 마디와 마디 사이가 지나치게 쉽게 회전하지 않도록 막대의 몸통부가 소정 이상의 가압력으로 이웃하는 마디의 머리부를 가압하고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rticulation rod 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articulation joints 10a. In this regard, FIG. 2A schematically shows only a portion of the articulation rod 10 of FIG. 1, wherein the head of one joint segment 10a (approximately rounded portion 13 of FIG. 10a) are inserted into the space in the trunk portion (15 in Fig. 2B as a part of a triangular prism sha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this manner, each of the adjacent joint nodes 10a are oper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ine. As long as the joint rod 10 of the long shape is made. In this case, the bar and the bar of the bar are oper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freely rotate the connection part, but also the body of the bar adjacent to the joint with the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joint part and the bar do not rotate too easily. Pressing the head.

관절 마디(10a)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후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관절 마디(10a)의 머리부(13)는 내부가 채워져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관절 마디(10a)의 머리부(13)와 몸통부(15)가 관통되어 전체적으로 관절 막대(10)가 호스처럼 구성될 수도 있다. The joint nodes 10a are formed of plastic and then connected to each other. In one embodiment the head 13 of the joint segment 10a is filled inside. However, 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head 13 and torso 15 of the joint segment 10a may be penetrated so that the joint rod 10 may be configured as a hose as a whole.

하나의 관절 막대(10)를 구성하는 마디(10a)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관절 막대(10)는 대략 60개 내지 80개의 관절 마디(10a)로 구성되고 이 때 관절 막대(10)의 전체 길이는 대략 1~1.4m 이고,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관절 막대(10)는 대략 70개의 관절 마디(10a)로 구성되고 전체 길이는 대략 1.2m 이다. The number of nodes 10a constituting one joint bar 10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ion rod 10 is composed of approximately 60 to 80 articulation joints 10a, wherein the total length of the articulation rod 10 is about 1 to 1.4m, and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joint The rod 10 consists of approximately seventy joint segments 10a and has a total length of approximately 1.2m.

또한 관절 막대(10)는 지지판(20)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한쪽 단부에 구비한다. 도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관절 막대(10)의 한쪽의 단부에 금속판(11b) 및 이 금속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지지부(20)와 연결하기 위한 수나사(11a)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11a)는 통상의 카메라 삼각대가 카메라와 결합할 때의 수나사의 규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수나사(11a)와 카메라(50)를 결합함으로써 도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관절 막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의 삼각대를 사용할 필요없이 본 고안의 관절 막대(10)만으로 카메라(50)를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ticulation rod 1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plate 20 at one end. In one embodiment shown in FIG. 2A, at one end of the articulation rod 10, a metal plate 11b and a male screw 11a for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metal plate and connecting to the support 20 are formed. The male screw 11a is the same as the male screw standard when a normal camera tripod is combined with a camera. Therefore, the joint rod 10 can be used as shown in FIG. 1A by combining the male screw 11a and the camera 5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amera 50 with only the joint ba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need to use a conventional tripod.

다시 도2a를 참조하면, 관절 막대(10)의 나머지 한쪽 단부에도 수나사(11c)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수나사(11c)는 선택사항으로서 관절 막대(10)를 이어폰 수납장치나 흡착판 등의 추가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Referring back to FIG. 2A, the male screw 11c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rod 10. This male screw 11c is an option for connecting the articulation rod 10 to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n earphone storage device or a suction plate.

도2b는 관절 막대(10)를 구성하는 관절 마디(10a)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관절 마디(10a)는 머리부(13)와 몸통부(15)로 구성되는데, 도2b의 실시예에서는 머리부(13)와 몸통부(15) 사이에 직경이 작은 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목부(17)는 도2a에 도시된 관절 마디(10a)의 몸통부 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이웃하는 마디끼리 더 큰 회전반경을 가지면서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관절 막대(10)를 더 다양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2B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rticulation joint 10a constituting articulation rod 10. As described above, the joint node 10a is composed of a head 13 and a body 15. In the embodiment of FIG. 2B, a neck 17 having a small diameter between the head 13 and the body 15 is shown. Is formed. Since the necks 17 ar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trunks of the joint nodes 10a shown in FIG. 2A, neighboring n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larger radius of rotation,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further articulate the joint rod 10. Can move freely in various ways.

한편 도2c는 일 실시예에서 관절 막대(10)의 임의의 관절 마디(10a)에 끼울 수 있는 클램프(12)를 나타낸다. 클램프(12)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함에 따라 휘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관절 막대(10)의 임의의 위치의 관절 마디(10a)에 클램프(12)를 손으로 눌러서 끼울 수 있고 또 손으로 잡아당겨 제거할 수도 있다. 클램프(12)는 관절 막대(10)가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PC(200)를 고정할 때 태블릿 PC(2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거나 또는 이어폰을 모바일 기기(100,200)에 연결하였을 때 이어폰 줄이 관절 막대(10)와 엉키지 않도록 어이폰 줄을 관절 막대(10)에 고정시키는 역할 등을 한다. FIG. 2C, on the other hand, shows a clamp 12 that can be fitted to any articular segment 10a of articulation rod 10 in one embodiment. Since the clamp 12 is formed of elastic plastic and can be bent as the user presses it by hand, the user presses the clamp 12 by hand against the joint node 10a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articulation rod 10. It can be plugged in and pulled out by hand. The clamp 12 serves to support the tablet PC 200 from slipping when the joint bar 10 fixes the tablet PC 200 such as the iPad, or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100, 200. The cord does not get tangled with the joint rod 10 and serves to fix the earphone string to the joint rod 10.

이제 도3을 참조하여 모바일 기기(10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부(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a는 본 고안의 거치대의 지지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b 및 도3c는 각각 모바일 기기(100)를 지지하기 전과 지지할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3d는 모바일 기기를 지지할 때의 지지부(20)의 사시도이고, 도3e는 모바일 기기(100)의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Now,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2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100.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upport 20 of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b and 3c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and when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100, respectively. 3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20 when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and FIG. 3E shows a front view of the mobile device 100.

도3a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힌지(29)로 연결된 한쌍의 지지판(27), 양쪽 지지판(27)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뻗어있는 손잡이(27a, 27b), 한쪽 손잡이(27b)에 고정된 연결판(23), 및 연결판(23)에 형성된 암나사(21)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암나사(21), 연결판(23), 손잡이(27a,27b), 지지판(27)은 모두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고, 이 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암나사(21), 연결판(23), 손잡이(27a), 및 이 손잡이와 연결된 한쪽 지지판(27)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9)에는 공지의 방식으로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한쌍의 지지판(27)이 도시된 모양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닫혀져 있다. In Figure 3a, the support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support plates 27 connected by a hinge 29, handles 27a, 27b extending integrally extending on top of both support plates 27 , A connecting plate 23 fixed to one handle 27b, and a female screw 21 formed on the connecting plate 23. In one embodiment, the female screw 21, the connecting plate 23, the handles 27a and 27b, the support plate 27 are all formed of a plastic resin, in which the female screw 21, the connecting plate 23 in the preferred embodiment , The handle 27a, and one support plate 27 connected to the handle may be integrally molded. As shown, the hinge 29 is spring-loaded in a known manner so that the pair of support plates 27 are closed to abut each other in the shape shown.

한 쌍의 손잡이(27a, 27b)에서 연장된 지지판(27)의 구체적 형상과 관련하여, 도3a 및 도3d에서 알 수 있듯이, 연결판(23)과 연결되어 있는 쪽의 손잡이(27b)에는 하나의 지지판(27)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손잡이(27a)로부터는 양쪽으로 갈라진 두개의 지지판(27)이 형성되어 있다. 도3b의 단면에서 볼 때 지지판(27)은 완만하게 곡선으로 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Regarding the specific shape of the support plate 27 extending from the pair of handles 27a and 27b, as shown in FIGS. 3A and 3D, one handle 27b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23 is provided. The support plate 27 is formed, and two support plates 27 which are divided on both sides are formed from the other handle 27a. The support plate 27 is gently curved in the cross section of FIG. 3B, but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alternative embodiments.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00)가 지지판(27)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판(27)의 단부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돌출턱(2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27)의 단부에서부터 돌출턱(28)까지 실리콘 부재(31)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3c에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기기(100)를 고정하고 있을 때 모바일 기기(100)가 지지판(27)의 단부와 돌출턱(28) 사이에 걸리게 되어 모바일 기기(100)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이에 더하여 실리콘 부재(31)로 인해 모바일 기기(100)가 지지판(27)에 한층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otruding jaw 28 is integrally formed slight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27 so that the mobile device 100 does not slip on the support plate 27, and the protruding jaw is formed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27. The silicon member 31 is attached up to 28. Therefore, when the mobile device 100 is being fixed as shown in FIG. 3c, the mobile device 100 is caught between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27 and the protruding jaw 28,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100.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100 may be more strongly fixed to the support plate 27 due to the silicon member 31.

도3b 및 도3c를 참조하여 지지부(20)가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3b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판(23)의 개방 단부는 아래로(즉, 지지판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판(23)과 절곡부(25)는 일체로 성형된다. 절곡부가 연결판(23)으로부터 뻗어있는 길이는 지지판(27) 및 이에 연장된 손잡이(27a)가 움직이는 경로(P)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도3b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27a)가 경로(P)를 따라서 연결판(23)쪽으로 움직일 때, 절곡부(25)는 이 손잡이(27a)의 단부에 약간 걸릴 정도로 뻗어있다. 연결판(23)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27a)를 잡고 경로(P)를 따라 움직이면서 연결판(23)을 약간 들어주면 손잡이(27a)가 절곡부(25)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절곡부(25)의 안쪽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도3c에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기기(100)를 지지한 최종 상태에서 손잡이(27a)가 절곡부(25)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된다. 3B and 3C, a method of supporting and fixing the mobile device by the support unit 20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3B, the open end of the connecting plate 23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25 that is bent downward (i.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late). Preferably, the connecting plate 23 and the bent portion 25 are integrally molded. The length at which the bent portion extends from the connecting plate 23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h P through which the support plate 27 and the handle 27a extended thereto are moved. That is, when the handle 27a moves toward the connecting plate 23 along the path P, as shown in Fig. 3B, the bent portion 25 extends slightly to the end of the handle 27a. Since the connecting plate 23 is made of plastic and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when the user grasps the connecting plate 23 slightly while holding the handle 27a and moves along the path P, the handle 27a is bent 25. ) Into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25 is caught.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C, the handle 27a is fixed by the bent portion 25 in the final state of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100.

이제 도4 및 도5에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다양한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Now, various usage examples of the hold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우선 도4a와 도4b는 본 고안의 거치대가 두 개의 모바일 기기(100,200)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후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관절 막대(10)의 일단부에 연결된 지지부(20)는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이나 일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100)를 고정하여 지지하고 있고, 관절 막대(10)를 도시된 것처럼 휘어서 책상위나 지면에 올려놓음으로써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PC(200)도 관절 막대(10)에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도2c에서 설명한 클램프(12)를 태블릿 PC(200)가 걸려있는 관절 마디(10a)에 끼우면 태블릿 PC(200)가 미끄러지지 않고 더 안정적으로 관절 막대(10)에 지지될 수 있다. First, FIGS. 4A and 4B show rear and front perspective views of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ing two mobile devices 100 and 200, respectively. That is, the support part 2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joint bar 10 supports and supports the mobile device 100 such as a smartphone or a general mobile phone, such as an iPhone, and the articulated bar 10 is bent as shown on the desk. By placing it on the ground, the tablet PC 200 such as an iPad can also be supported by the joint rod 10. At this time, if the clamp 1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C is inserted into the joint node 10a on which the tablet PC 200 is hung, the tablet PC 200 may be supported on the joint rod 10 more stably without slipping.

또한 사용자는 도5a 내지 도5f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거치대에 모바일 기기(100)를 고정한 채 관절 막대(10)를 각종 형태로 구부려서 책상위나 놓거나 신체에 걸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자세에 있든지 모바일 기기(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편한 자세로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bends the joint bar 10 in various forms while fixing the mobile device 100 to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Regardless of whether you can use the mobile device 10 in a stable posture stably.

예컨대 도5a에서와 같이 관절 막대(10)를 구부려 책상위에 지지할 수 있도록 형태를 만들어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할 수 있고, 도5b에서처럼 관절 막대(10) 일부를 사용자의 목에 감고 나머지 부분을 늘어뜨려 사용자 얼굴에서 가장 적정한 거리만큼 모바일 기기(100)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the mobile device 100 can be used by bending the articulation rod 10 to support the desk, and as shown in FIG. 5B, a part of the articulation rod 10 is wound around the user's neck and It may be fixed to hold the mobile device 100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face of the user.

또한 도5c는 사용자의 허리에 관절 막대(10)를 감아서 모바일 기기(100)를 허리 근처에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도5d는 사용자가 누워 있을 때 관절 막대(10)를 목에 걸어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자 얼굴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고정하여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5e는 관절 막대(100)를 사용자의 목에 걸고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자의 귀 근처에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해 전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5f는 사용자가 지하철이나 버스 등 의자에 앉아있을 때 관절 막대(10)를 무릎이나 허벅지에 감아서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자로부터 적정 거리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In addition, Figure 5c shows the joint rod 10 is wrapped around the waist of the user to secure the mobile device 100 near the waist, Figure 5d shows the user to hang the joint bar 10 to the neck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mobile device ( 100 is fixed to the user 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IG. 5E also shows that the user makes a phone call using the mobile device 100 while using both hands freely by attaching the joint bar 100 to the user's neck and fixing the mobile device 100 near the user's ear. When the user is sitting in a chair such as a subway or bus, the joint bar 10 is wound around the knee or thigh to fix the mobile device 100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user to indicate that the user uses the same.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의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를 이용함으로써 여러 자세에서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를 고정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가 두 손이 자유롭기 때문에 다른 작업도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성도 가진다. 또한 당업자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일부 사용예에 지나지 않고 이 외에도 수많은 응용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fix the mobile device in various ways in various postures by using the cradle for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 user has two hands free, the user can also perform other tasks at the same tim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understand that the embodiments shown in Figures 4 and 5 are merely some uses of the invention and many other applications are possible.

이제 도6을 참조하여 관절 막대(10)의 나머지 단부에 부착가능한 부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관절 막대(10)의 일 단부에는 지지부(20)가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1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관절 막대(10)의 나머지 단부는 개방 상태로 되어 아무런 부가 장치가 연결되지 않아도 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 나머지 단부에 부가 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n additional device attachable to the remaining end of the articulation rod 1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described above, a support 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rticulation rod 10 to fix and support the mobile devic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articulation rod 10 is in an open state so that no additional device is provided. Although not required to be connected,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additional device may be detachably connected.

이와 관련하여 도6은 이어폰 수납부(50)가 부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6a는 관절 막대(10)의 타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이어폰 수납부(5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6b 및 도6c는 어이폰 수납부(50)를 전개하기 전과 전개한 후의 모습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6d는 이어폰 수납부(50) 내부의 이어폰 걸이대(55)를 나타내고 있다. 도6a에서와 같이 관절 막대(10)의 지지부(20)가 부착된 단부가 아닌 나머지 단부측에 이어폰 수납부(50)가 부착되어 있다. 도6b에 나타나 있듯이 이어폰 수납부(50)는 관절 막대(10)의 수나사(11)에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53), 및 이어폰 수납공간을 덮고 있는 덮개(51)로 구성된다. 도6c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덮개(51)는 부드럽고 탄성이 많은 두개의 고무 수지(51a,51b)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이어폰 걸이대(55)가 위치한다. 이어폰 걸이대(55)의 한쪽 단부는 암나사(53)와 결합되어 있어고, 이에 따라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두 개의 고무 소지(51a,51b)를 손으로 벗김으로써 이어폰 걸이대(55)가 드러나게 된다. In this regard,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arphone housing 50 is attached,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housing 50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joint bar (10). 6B and 6C schematically show the state before and after deploying the earphone housing 50, and FIG. 6D shows the earphone rack 55 inside the earphone housing 50. FIG. As shown in FIG. 6A, the earphone accommodating part 50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joint rod 10 rather than the end to which the supporting part 20 is attached. As shown in FIG. 6B, the earphone accommodating part 50 includes a female screw 53 for coupling to the male screw 11 of the articulation rod 10, and a cover 51 covering the earphone accommodating spa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C, the cover 51 is made of two rubber resins 51a and 51b which are soft and elastic, and an earphone hanger 55 is located therein. One end of the earphone hanger 55 is coupled to the female screw 53, so that the user detaches the two rubber bases 51a and 51b by hand, as shown, so that the earphone hanger 55 is exposed.

이어폰 걸이대(55)의 일 실시예의 구체적 구성이 도6d에 도시되어 있는데, 걸이대(55) 양쪽 단부 부근에 관통구(59)가 각각 설치되고 외측에서 이 관통구(59)로 이어폰(60)의 줄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이어폰 걸이대(55)의 양쪽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중앙부에는 좌우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57)가 형성되어서 이어폰(60)의 줄을 돌출부(57)의 사이사이마다 감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도시된 것처럼 이어폰(60)의 줄이 이어폰 걸이대(55)에 감겨질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이어폰 걸이대(55)는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동일한 기술사상 내에서 다수의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57)가 좌우 중에서 어느 한쪽으로만 돌출될 수 있고 돌출부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earphone hanger 55 is shown in FIG. 6D, where through holes 59 are respectively provided near both ends of the hanger 55 and the through hole 59 is conn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earphone 60. The part is open to allow the string to be inserted. One or more protrusions 57 are formed on the center portion that integrally connects both ends of the earphone hanger 55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strings of the earphones 60 can be wound between the protrusions 57. Accordingly, the string of the earphone 60 can be wound around the earphone hanger 55 as shown. However, the illustrated earphone hanger 55 is only an embodiment, and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ame technology. For example, the protrusions 57 may protrude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number of protrusions may vary.

이상과 같이 위에서 설명한 이어폰 수납부(50)를 관절 막대(10)의 나머지 단부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이어폰 수납장치를 휴대할 필요없이 본 고안의 거치대와 함께 휴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By attaching the earphone housing 50 described above to the other end of the joint bar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arry with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having to carry a separate earphone storage device.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이어폰 수납부(50) 외에 기타 다른 부가 장치가 관절 막대(10)의 타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데, 예컨대 관절 막대(10)를 책상 등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흡착판을 부가 장치로서 부착할 수 있다. 즉 통상의 진공 흡착판에 암나사가 형성된 부가 장치를 관절 막대(10)의 타단부의 수나사(11)와 결합함으로써 관절 막대(1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관절 막대(10)를 소정 위치에 부착하는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진공 흡착판 외에도 집게나 기타 다른 고정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earphone housing 50 described above, other additional devices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joint rod 10. For example, a suction plate for fixing the joint rod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a desk. Can be attached as an additional device. That is, the joint rod 10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coupling an additional device in which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 normal vacuum suction plate with the male screw 11 of the other end of the joint rod 10. As an alternative to attaching the articulation rod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forceps or other fasteners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vacuum suction plate.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관절 막대(10)가 수나사(11a) 및 암나사(21)를 통해 지지부(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두 구성요소의 체결방식은 나사에 의한 것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3에서 지지부(20)의 암나사(21)가 대략 수평인 연결판(23)과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연결판(23)이 반드시 수평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연결판(23) 대신에 손잡이(27a)의 이동경로(P)와 대략 비슷한 완만한 곡선모양의 단면을 갖는 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rticulation rod 1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0 through the male screw 11a and the female screw 21, but the fastening method of the two components is not only by the screw but also by the conventional method. It can be fastened in a variety of known ways. It has also been described in FIG. 3 that the female screw 21 of the support 20 is integrally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late 23 which is approximately horizontal, but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necting plate 23 is not necessarily horizontal. For example, instead of the connecting plate 23, the plate may have a smooth curved cross section similar to the movement path P of the handle 27a.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하기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다. As such,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 관절 막대 10a: 관절 마디
11a,11c: 수나사 12: 클램프
21: 암나사 23: 연결판
25: 절곡부 27: 지지판
27a, 27b: 손잡이 31: 실리콘 부재
29: 힌지 50: 이어폰 수납부
51: 덮개 53: 암나사
55: 이어폰 걸이대 57: 돌출부
59: 관통구 60: 이어폰
100: 휴대폰 200: 태블릿 PC
10: joint rod 10a: joint node
11a, 11c: external thread 12: clamp
21: internal thread 23: connecting plate
25: bend portion 27: support plate
27a, 27b: handle 31: silicon member
29: hinge 50: earphone compartment
51: cover 53: female thread
55: earphone hanger 57: protrusion
59: through hole 60: earphone
100: mobile phone 200: tablet PC

Claims (10)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다수개의 관절 마디가 연결된 가늘고 긴 형상의 관절 막대(10); 및
상기 관절 막대(10)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제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In the cradle for mobile devices,
An elongated joint rod 10 having a plurality of joint nodes connected thereto; And
And a first fastening mean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rticulating rod (10).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다수개의 관절 마디로 구성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한쪽 단부에 제1 체결수단을 구비한 관절 막대(10); 및
상기 관절 막대의 제1 체결수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제1 대응 체결수단을 가지며 모바일 기기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In the cradle for mobile devices,
A joint rod 10 having an elongated sha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joint nodes and having first fastening means at least at one end thereof; And
And a support unit 20 having a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first fastening means of the articulated rod and fixing and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가,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기 위해 힌지로 연결된 한쌍의 지지판(27);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뻗어있는 손잡이(27a,27b); 및
상기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27b)와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20,
A pair of support plates 27 hinged to support the mobile device;
Handles 27a and 27b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support plate; And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plate (23) connecting the handle (27b) of the handle and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23)은, 연결판의 일측 개방 단부에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5)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지지판이 모바일 기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손잡이(27a)의 단부가 상기 절곡부(25)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23 includes a bent portion 25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late at one open end of the connecting plate, the handle (in the state where the pair of supporting plates support the mobile device) 27a) end of the mobil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y the bent portion (2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막대(10)는 60개 내지 80개의 관절 마디(10a)로 구성되고, 관절 막대(10)의 전체 길이가 1 내지 1.4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joint rod 10 is composed of 60 to 80 joint nodes 10a, and the total length of the joint rod 10 is 1 to 1.4m. Characterized by a cradle for mobile devic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절 막대(10)의 임의의 관절 마디(10a)에 착탈가능하게 끼울 수 있는 클램프(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lamp (12) formed of an elastic plastic and detachably fitted to any joint node (10a) of the joint rod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막대(10)가 제1 체결수단의 대향 단부에 제2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수단과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대응 체결수단을 가지며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이어폰 수납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5. The articulating rod (1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articulating rod (10) comprises second fastening means at opposite ends of the first fastening means,
And an earphone accommodating part 50 having a second sp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means and a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fastening means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arphon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수납부(50)는,
이어폰을 감아서 걸기 위한 이어폰 걸이대(55); 및
각각이 상기 이어폰 걸이대를 절반씩 덮고 탄성을 갖는 두 개의 고무 수지(51a,51b)로 구성되어 상기 이어폰 걸이대를 덮는 덮개(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arphone housing 50,
An earphone hanger 55 for winding the earphone; And
And a lid 51 covering each of the earphone hangers half and covering the earphone hangers with two rubber resins 51a and 51b having elasticit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걸이대(55)의 양쪽 단부 부근에 관통구(59)가 각각 설치되고 외측에서 이 관통구(59)로 이어폰의 줄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걸이대(55)의 양쪽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중앙부에 이어폰 줄을 감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5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rough holes 59 are respectively provided near both ends of the earphone hanger 55, and a portion thereof is opened to allow the string of earphones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59 from the outside.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rotrusions 57 are formed for winding earphone strings in a central portion which integrally connects both ends of the earphone hanger 55.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막대(10)가 제1 체결수단의 대향 단부에 제2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수단과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대응 체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관절 막대(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joint rod (1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rticulating rod (10) comprises second fastening means at opposite ends of the first fastening means,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articulation rod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having a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fastening means.
KR2020100006849U 2010-06-29 2010-06-29 Stand for mobile device KR2004562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49U KR200456288Y1 (en) 2010-06-29 2010-06-29 Stand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49U KR200456288Y1 (en) 2010-06-29 2010-06-29 Stand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288Y1 true KR200456288Y1 (en) 2011-10-26

Family

ID=7312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849U KR200456288Y1 (en) 2010-06-29 2010-06-29 Stand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88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36B1 (en) 2013-04-16 2014-11-21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Portable holder equipment for mobile device
KR20180130902A (en) * 2017-05-30 2018-12-10 (주)메세 Holer for camera and doll
KR20190012011A (en) * 2017-07-26 2019-02-08 방소윤 Mounting Means using Flexible R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36B1 (en) 2013-04-16 2014-11-21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Portable holder equipment for mobile device
KR20180130902A (en) * 2017-05-30 2018-12-10 (주)메세 Holer for camera and doll
KR101939390B1 (en) * 2017-05-30 2019-04-11 (주)메세 Holer for camera and doll
KR20190012011A (en) * 2017-07-26 2019-02-08 방소윤 Mounting Means using Flexible Rod
KR101967795B1 (en) * 2017-07-26 2019-04-10 방소윤 Mounting Means using Flexible R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675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20120309256A1 (en) Plush toy computer tablet carrier
JP5665035B1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US20120085679A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BRPI0706349A2 (en) usable biological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s
KR101434055B1 (en) Portable appliance holder for bed
KR200456288Y1 (en) Stand for mobile device
CN107110415A (en) Support member for the equipment including display
US11322956B2 (en) Smartphone charger, stand, and ring holder device
CN204291314U (en) A kind of neck hanging type bluetooth earphone
US9112368B1 (en) Charger with strap for securing cord
US9896301B2 (en) Cord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KR20120082247A (en) Forearm handheld information devide holder
KR101350362B1 (en) Bag Having Holding Apparatu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200101362A1 (en) Football training device
KR20190023178A (en) Wearable mobile phone holder on the neck
KR101616542B1 (en) Portable terminal cradle
TW201305479A (en) Device with hanging, supporting and holding structures
KR101370928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KR100829235B1 (en) Portable flexible holder
KR101318706B1 (en) The portable terminal case with hand-grip
KR102199563B1 (en)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CN212229335U (en) VR equipment suit
CN216490991U (en) Sport Bluetooth headset with deposit electric function
CN210890927U (en) Multifunctional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