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563B1 -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563B1
KR102199563B1 KR1020200007618A KR20200007618A KR102199563B1 KR 102199563 B1 KR102199563 B1 KR 102199563B1 KR 1020200007618 A KR1020200007618 A KR 1020200007618A KR 20200007618 A KR20200007618 A KR 20200007618A KR 102199563 B1 KR102199563 B1 KR 10219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se
portable terminal
strap
body por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이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국 filed Critical 이상국
Priority to KR102020000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5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strap having a mount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rap mounted on a protective case (300) of a mobile terminal (200) to form a space in a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to allow a user to place his/her hand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is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and mounted, if necessary, on the floor at a specific angle, thereby increasing the ease of use. The mobile terminal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 wherein one end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a first ball (310) and a second ball (320) formed in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n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first ball (310), so that a portion of one end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disposed around the protective case (300); and a mounting member (20) slidably and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200) in order to mount the mobile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case (300) on the floor at the specific angle.

Description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본 발명은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를 두르며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휴대단말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바닥면에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nd is mounted around a protectiv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form a space for inserting the user's hand to stably grip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p for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prevent the device from falling and improve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it to be mounted on the floor at an angle if necessary.

휴대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테블렛 등의 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킹을 통해 이동하면서 인터넷 검색, 동영상 시청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여 장소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A portable terminal generally refer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 networking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These portable terminal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Internet browsing and video viewing while moving through wireless networking, and thus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in places, and the demand is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그러나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화면은 주로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휴대단말기를 놓쳐 떨어뜨릴 경우 액정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creen of such a portable terminal is mainly made of a glass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quid crystal is easily damag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dropped by the user's carelessnes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휴대단말기의 떨어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스트랩이 구비된 보호케이스가 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rotective case provided with a strap through which fingers can be inserted has recently been released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dropped.

그러나 이러한 스트랩은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보호케이스 교체 시마다 새로운 스트랩을 부착해야 하고, 휴대단말기를 대상물의 바닥면에 거치할 수 없어 별도의 거치수단이 필요하여 번거로운 한계가 있다.However, these straps ar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case through adhesive tape, so each time the protective case is replaced, a new strap must be attached, and since the mobile terminal cannot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object, a separate mounting means is required. There is a limit.

아울러, 동영상 시청 시 휴대단말기를 오랜 시간 들고 있어야 하므로 손목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휴대단말기를 책상, 선반 등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거치 기능을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장착되는 핑거링, 그립톡 등이 출시되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wrist pain because it is necessary to hold the mobile terminal for a long time when watching a video.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a floor such as a desk or a shelf so that users can watch the video. Fingerings and grip-talks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or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e been released.

그러나 핑거링과 그립톡 등의 거치수단은 단말기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mounting means such as fingering and gripknock are moun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terminal,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wireless charging is not performed.

아울러, 종래의 링과 그립톡 은 강력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부착되므로, 다른 디자인의 거치수단으로 변경을 원할 시 쉽게 제거할 수 없고 제거된 거치수단을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기종의 휴대단말기 또는 케이스로 변경할 경우 새로운 거치수단을 구매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ing and grip-talk are attached to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using a strong adhesive tape, it cannot be easily removed when changing to a mounting means of a different design, and the removed mounting means cannot be reused. There is a limit to purchasing a new mounting means when changing to a mobile terminal or case.

또한, 휴대단말기의 액정은, 통화 시 얼굴에 접촉되기 때문에 유분, 화장품 등으로 인하여 얼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quid crystal of the portable termina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ace during a c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ins may easily occur due to oil or cosmetic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766호(2017.08.0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5766 (2017.08.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보호케이스의 후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기능을 동시에 가져 활용성이 우수한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the mobile terminal on the floor while preventing the rear of the protective case from protruding to enable wireless charging and preventing the mobile terminal from falling. It is to provide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has a mounting function that allows it to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nd has a mounting function that is highly usab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케이스에도 활용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한정되지 않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used in a new case and has a mounting function that is not limited to a model of a portable terminal because an adhesive material is not used to fix the protective ca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는 제1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공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장착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공 및 제2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공에 추가로 삽입되며 상기 보호케이스를 둘러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보호케이스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urpose, in a strap mounted o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irst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 second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ne end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 body portion further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so as to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disposed around the protective case; And a mounting member slidably and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case at a specific angle on the floor surface.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타단에 장착되는 악세사리 부재를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strap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elasticity, and an accessory member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trap.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면에 상기 거치부재가 탈착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mber that slides along the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insertion port and a second insertion port into which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sequentially inserted, and the mounting member is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이때, 상기 이동부재에는 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ovabl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the moun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member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is mounted.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안착되어 휴대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head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body portion, and a pair of legs coupled to the head portion and seated on a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이때, 상기 한 쌍의 다리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바닥면에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leg portions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floor surface.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타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진 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에 걸리면서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made of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than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and is mounted on the body part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case, and is fix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while being caught on the protrus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lip.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에 의하면, 손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바닥에 휴대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 편의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gripped by inserting a h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upported on the floor at a certain angle.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cradl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ease of use and mobilit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랩이 보호케이스를 감싸며 일단이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휴대단말기와 보호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고정됨을 통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보호케이스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휴대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에 대한 기종에 제한이 없는 이점이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surrounds the protective case, and one end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case and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ase, so that it is easy to fix or separate from the protective case without using an adhesiv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odel for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as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거치부재를 통해, 거치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부재의 구성들이 몸체부의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거치부재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한 강점이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ounting member made to be rotatable, when the mounting function is not required, the configurations of the mounting member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to minimize the volume, while mounting when mounting is required. Since the member can be rotated to protrude vertically, it is easy to u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부재는 몸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배치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거치부재의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거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mber is slidably movable along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arrangement can be made freely, and a part of the mounting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mounting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supported It works.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한쪽 끝단에 신축 가능한 연결끈과 함께 액정클리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필요 시에는 연결끈을 늘려서 사용할 수 있어 오염된 액정을 편리하게 닦아 휴대단말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liquid crystal cleaner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along with a flexible connecting strap at either end, the connecting strap can be extended and used when necessary, so that the contaminated liquid crystal can be conveniently wiped to manage the portable terminal hygienically.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몸체부와 거치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이 휴대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악세사리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트랩이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ase;
Figure 4 is a usag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operation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the accessory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rotective ca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몸체부와 거치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이 휴대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악세사리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ase, and FIG. 4 is a usag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and Figure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usag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usag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accessory member according to 1.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스트랩은 휴대단말기(200)용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되고 보호케이스(300)의 후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파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휴대단말기(200)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휴대단말기(200)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1 to 8, the strap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rotective case 300 for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user's hand is placed on the rear of the protective case 300. By stably gripping the portable terminal 200 by forming a space to put it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while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at a certain angle on the floor surface if necessary. It's about a strap that has the ability to do it.

이러한 본 발명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거치 기능을 갖는 스트랩은 기본적으로 몸체부(10)와, 거치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uch a strap having a mounting function mounted o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 and a mounting member 2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이 장착되는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일측에는 휴대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 또는 충전부가 노출되도록 제1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휴대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의 구성이 노출되도록 제2공(320)이 형성된다.Here, a first hole 3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ase 300 on which th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so that the microphone or 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exposed, and the other side is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second hole 320 is formed so that the components such as the equipped camera are exposed.

아울러,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이 장착되는 휴대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테블렛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here, the portable terminal 200 on which th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mean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몸체부(10)는 일단이 상기 제1공(310) 및 제2공(3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310)에 추가로 삽입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배치된다.The body part 10 is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310 while one end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310 and the second hole 320 to surround the protective case 300. Is placed.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배치된 상기 몸체부(10)는 보호케이스(300)가 휴대단말기(200)에 장착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body portion 10 disposed around the protective case 300 is the protective case 300 is the portable terminal 200 ) Is made to be fixed as it is mounted.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접착제, 접착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휴대단말기(200)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body portion 10 is no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through an adhesive or adhesive tape, but is formed to surround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protective case 300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s fixed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이때,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후면과 스트랩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휴대단말기(2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tably grip the mobile terminal 200 by putting the user's finger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ear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strap,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have.

이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휴대단말기(2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부(10)가 고정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간편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body portion 10 is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or removed from the protective case 300. There is an advantag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휴대단말기(200)의 기종에 대해 제약이 없을 뿐 아니라 보호케이스(300)를 교체할 경우에도 상기 보호케이스(300)로부터 몸체부(10)를 분리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restrictions on the mode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can be reused by separating the body part 10 from the protective case 300 even when the protective case 300 is replaced. There is a characteristic.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함께 휴대단말기(200)를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And the mounting member 20,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case 300 on the floor at a specific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300 It is mounted to be able to slide and rotat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상기 몸체부(10)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구(51) 및 제2삽입구(52)를 포함하고, 상면에 상기 거치부재(20)가 탈착되는 이동부재(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sertion opening 51 and a second insertion opening 52 into which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sequentially inserted so as to slide along the body portion 10, 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member 50 to which the mounting member 20 is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50)는 버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삽입구(51)와 제2삽입구(52)는 서로 이격되어 이루어진다.Here, the moving member 50 is preferably a buckle,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5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제1공(310) 및 제2공(3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제1삽입구(51)에 삽입된 다음 상기 제2삽입구(52)에 통과되며 나오며 상기 이동부재(50)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moving member 50 is preferably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10 is mounted in the first hole 310 and the second hole 320 of the protective case 300, The body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5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52 and comes out, and ha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with the moving member 50 so that the moving member 50 is It is made to be able to slide from the unit 10.

또한, 상기 이동부재(50)의 상면에는 원형의 돌기(53)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20)의 하측면에는 상기 돌기(5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의 돌기(53)와 대응되는 결합홈(61)이 형성된 고정부재(60)가 장착된다. (도 2 참조)In addition, the circular protrusion 5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50, and the protrusion 53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20. A fixing member 60 having a coupling groove 61 corresponding to it is mounted. (See Fig. 2)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50)의 돌기(53)와, 상기 고정부재(60)의 결합홈(6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동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60)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rotrusion 53 of the movable member 50 and the coupling groove 61 of the fixing member 60 are circular, so that the movable member 50 and the fixing member 6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50)와 고정부재(60)의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50 and the fixing member 60, the mounting member 20 is rotatable from the body portion 10 and can be easily slided, and the body portion 10 It is made to be detachable from.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이동부재(50)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일측 및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20 is coupled with the moving member 50 to allow sliding movement from the body portion 10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member 20 can be freely arr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have.

이러한 거치부재(2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바닥면에 대해 가로방향 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거치될 수도 있고, 이때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roug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unting member 20,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mounted not only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at this time,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stably achieved.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무선 충전 시에는 상기 거치부재(20)를 어느 한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무선 충전기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wirelessly charged, the mounting member 20 is slid to either sid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less charger.

또한,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와 결합된 이동부재(50)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시켜 바닥면에서 휴대단말기(200)를 일정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50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to be rotatable from the body portion 10, when using the mounting function, the mounting member ( 20) is rotated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supported at a certain angle on the bottom surface, and thus, it has excellent usability.

그리고 거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시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function is not used, the mounting member 20 can be rotated so as to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 to minimize the volume, so storage is easy.

이러한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안착되어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20 includes a head 21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0, and is coupled to the head 21 and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2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leg portions 22 that can b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22)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바닥면에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leg portions 22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floor surface.

상기 한 쌍의 다리부(2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한 쌍이 다리부(22) 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휘어지도록 변형할 수 있으므로 바닥면에 대해 안착되어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pair of leg portions 22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pair can easily adjust the gap between the leg portions 22 and can be deformed to be bent, so that the pair can be seated on the floor to adjust the mounting angle while carrying It makes it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terminal 200.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타단에는 악세사리 부재(30)가 더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디자인에 포인트를 줄 수 있으며 보호케이스(300)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측에 노출되어 심미감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n accessory member 30 may be further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accessory member 30 may give a point to the design and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case 300 to provide the protective case.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300 to have an aesthetic feeling.

이러한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부가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보호케이스(300)와 휴대단말기(200)의 결합에 의해 자연스럽게 위치가 고정되면서, 상기 제1공(310)보다 큰 부피로 이루어져 상기 악세사리 부재(30)가 상기 제1공(310)에 걸려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타단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As for the accessory member 30, a part of the body portion 1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position of the accessory member 30 is naturally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Since the accessory member 30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first hole 310 and is fixed more stably by being caught in the first hole 310,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may be restricted.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는 탄성을 갖는 연결끈(40)이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strap 40 having elasticity is furthe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여기서 상기 연결끈(40)은 일부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필요 시에는 늘어나면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 part of the connection strap 4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to minimize exposure to the outside, and may be extend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necessary.

즉,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악세사리 부재(30)사이에 탄성을 갖는 연결끈(40)이 장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악세리 부재(30)의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elastic connection strap 40 is mounted between the body portion 10 and the accessory member 30, the length of the accessory member 30 may be increased if necessary.

또한,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은,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얼굴을 접촉하여 화장품이 오염될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지문 자국 등의 얼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contaminated by a user's face for a call, and stains such as fingerprint marks may frequently occur due to the user's touch.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을 닦을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면이 극세사로 이루어진 액정 클리너로 적용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ccessory member 30 may be applied as a liquid crystal cleaner made of microfiber so that the liquid crysta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cleaned.

이때, 상기 액정클리너인 악세사리 부재(30)는 신축 가능한 상기 연결끈(40)을 통해 상기 몸체부(10)에 연결되므로,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을 닦을 때에는 상기 연결끈(40)을 늘려 휴대단말기(200) 액정의 일측부터 타측까지 모두 닦을 수 있으면서, 평상시에는 상기 연결끈(40)의 길이가 수축되어 보관이 편리한 강점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ccessory member 30, which is the liquid crystal cleaner,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10 through the elastic connection strap 40, when clean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connecting strap 40 is increased. While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wiped from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to the other sid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trap 40 is contracted in normal times so that storage is convenient.

아울러, 상기 연결끈(40)에는 연결클립(70)이 더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연결클립(70)은 상기 연결끈(4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connecting clip 70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connecting strap 40, and the connecting clip 70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strap 40.

여기서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은, 상기 제1공(310)과 제2공(320)에 삽입된 후 상기 연결클립(70)을 통과한 뒤 상기 제1공(310)에 다시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310 and the second hole 320 and then 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clip 70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310 again. What can be done is desirable.

즉, 상기 연결클립(70)에는, 상기 제1공(310)과 제2공(3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삽입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connection clip 70,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that ha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hole 310 and the second hole 320 is inserted,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아울러, 상기 연결클립(70)은 연결끈(40)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과정에서 복원되는 힘에 의해 상기 악세사리 부재(30)가 상기 제1공(310)에 말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lip 70 may prevent the accessory member 30 from being rolled into the first hole 310 by a force restored in the process of extending or decreasing the connection strap 4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의 보호케이스(300)의 후면과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몸체부(10)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을 넣어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0)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휴대단말기(200)를 일정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body portion 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300 as shown in FIG. 4. While it can be used to stab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200 by putting the user's h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mounted at a certain angle on the floor surface using the mounting member 20 as shown in FIG. 7. can do.

다음으로는 상기 거치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30)의 작동 및 사용에 대해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and use of the mounting member 20 and the accessory member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은 거치부재(2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작동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liding movement and rotation operation of the mounting member 20.

거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의 머리부(21) 및 다리부(21)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사용 및 이동을 편리하도록 한다.When the mounting function is not used, the head 21 and the leg 21 of the mounting member 20 are the same a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5A. It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to minimize the volume to facilitate the use and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nd, as shown in (b) of Figure 5, the mounting member 20 is made to be sli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또한,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는 바닥면에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mounting function, as shown in Fig. 5 (c), the mounting member 20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body portion 10 so as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200 on the bottom surface. It can be rotated as much as possible.

도 6은 거치부재(20)의 다리부(22)를 변형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deforming the leg portion 22 of the mounting member 20.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는 거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리부(22)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As shown in (a) of Figure 6, the mounting member 20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0 so that the leg part 22 can minimize the volume when the mounting function is not used. Is placed as.

그리고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22) 사이를 벌리도록 변형할 수 있으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22)를 휘어지도록 구부려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거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nd, in the case of using the mounting function, it can be deformed so as to sprea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22 as shown in FIG. 6(b), and the leg portion as shown in FIG. 6(c) Bend (22) to bend so that the mounting angle can be adjusted or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 부재(30)가 액정 클리너로 적용되는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accessory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liquid crystal cleaner.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액정을 닦지 않는 경우에 연결끈(40)이 보호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이동과 사용을 편리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a) of FIG. 8, the accessory member 30 minimizes the exposure of the connecting strap 40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when the liquid crystal is not wiped to move and use the mobile terminal 200 Make it convenient.

그리고 오염된 액정을 닦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끈(40)을 늘려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을 일측부터 타측까지 골고루 닦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And in order to wipe the contaminated liquid crystal, as shown in (b) of FIG. 8, the connection strap 40 is stretched to wipe the liquid crysta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even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은 거치부재(20)와 액정 클리너인 악세사리 부재(30)가 구비되므로 거치와 액정 세척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챙겨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상기 거치부재(20)는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만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변경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다리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Since the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20 and an accessory member 30 that is a liquid crystal cleaner,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mounting and cleaning the liquid crystal,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Since the mounting member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10, it can be changed to protrude vertically only when the mounting function is used, so it is easy to store and the leg par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mounting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There is an advantage.

[실시예 2][Example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에 대한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configura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트랩이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rotective case.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은,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두르며 휴대단말기(200)가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되는 결합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휴대단말기(200)의 하중에도 분리되지 않도록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스트랩을 제시한다.In the str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0 surrounds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stably fixed by a coupling force mounted on the protective case 30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Although it is made not to be separated even under the load of 20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p in which the body portion 10 can be more rigidly fixed to the protective case 300 is presented.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 고정클립(80)이 더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9 to 10, a fixing clip 80 is further mount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0 so that one end of the body part 1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10 is restricted so that the mounted state of the protective case 300 can be maintain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는 타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진 돌출부(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되는 고정클립(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11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compared to the other end, and a fixing clip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0 (80) is further included.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11)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fixing clip 80 i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is fixed while being caught by the protrusion 11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10. have.

이때,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제1공(310) 및 제2공(3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clip 80 may be mounted while the body portion 10 surrounds the protective case 300 and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In addition, it may be made to pass through the first hole 310 and the second hole 320 of the protective case 300 sequentially while mounted on the body part 10.

또한,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제1공(310)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고정클립(80)의 상기 제1공(310)에 걸리도록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상기 제1공(310)으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clip 80 is preferably made of a larger width than the first hole 310 of the protective case 300, through this so that it is caught in the first hole 310 of the fixing clip 8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falls into the first hole 310.

상기 돌출부(11)은 상기 몸체부(10) 중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돌출부(11)에 걸리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고정클립(80)이 상기 몸체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protrusion 11 has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among the body 10, the fixing clip 80 is restricted from moving to the other side while being caught by the protrusion 11, so that the fixing clip 80 is It can be stably fixed to the part 10.

아울러, 상기 돌출부(11)와 상기 고정클립(80)는, 상기 보호케이스(300)가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결합되는 것에 영향을 주지 않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1 and the fixing clip 80 are preferably made of a thin thickness that does not affect the coupling of the protective case 300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측면에 노출된 몸체부(10)를 강하게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제1공(310)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가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ody portion 10 is more rigidly coupled to the protective case 300 to strongly pull the body portion 10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ody part 1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by preventing it from exiting through the first hole 31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do it.

10 : 몸체부 11 : 돌출부
20 : 거치부재 21 : 머리부
22 : 다리부 30 : 악세사리 부재
40 : 연결끈 50 : 이동부재
51 : 제1삽입구 52 : 제2삽입구
53 : 돌기 60 : 고정부재
61 : 결합홈 70 : 연결클립
80 : 고정클립 200 : 휴대단말기
300 : 보호케이스 310 : 제1공
320 : 제2공
10: body part 11: protrusion
20: mounting member 21: head
22: leg 30: no accessories
40: connecting strap 50: moving member
51: first insertion port 52: second insertion port
53: protrusion 60: fixing member
61: coupling groove 70: connection clip
80: fixing clip 200: mobile terminal
300: protective case 310: first hole
320: second hole

Claims (7)

일측에는 제1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공(320)이 형성된 휴대단말기(200)용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공(310) 및 제2공(3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공(310)에 추가로 삽입되며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배치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함께 휴대단말기(200)를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구(51) 및 제2삽입구(52)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10)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면에 상기 거치부재(20)가 탈착되는 이동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In the strap mounted on the protective case 300 fo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formed with a first hole 310 on one side and a second hole 320 on the other side,
One end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310 and the second hole 320 and then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310 so as to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the protective case ( A body portion 10 disposed around 300; And
A mounting member that is slidably and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300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case 300 on the floor at a specific angle (20); Including,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body portion 10 including a first insertion port 51 and a second insertion port 52 into which one end is sequentially inserted, and the mounting member 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member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끈(40)과,
상기 연결끈(40)의 타단에 장착되는 악세사리 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string 4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and having elasticity,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ccessory member (30)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strap (4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에는 돌기(53)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20)에는 상기 돌기(53)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61)을 포함하는 고정부재(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member 5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53,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member (20) is equipped with a fixing member (60) including a coupling groove (61) into which the protrusion (53) can be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안착되어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member 20,
A head portion 21 rotatably mounted to the body portion 10, and a pair of leg portions 22 that are coupled to the head portion 21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200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22)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바닥면에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5,
The pair of leg portions 22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to adjust an angle at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on a floor surface. A strap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unting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는 타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 돌출부(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11)에 걸리면서 상기 몸체부(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클립(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11 having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compared to the other e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clip (80) that i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300) and is caught by the protrusion (11)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10) Strap for portable terminals with a mounting function.
KR1020200007618A 2020-01-20 2020-01-20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KR102199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18A KR102199563B1 (en) 2020-01-20 2020-01-20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18A KR102199563B1 (en) 2020-01-20 2020-01-20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563B1 true KR102199563B1 (en) 2021-01-07

Family

ID=7412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618A KR102199563B1 (en) 2020-01-20 2020-01-20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56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1B1 (en) * 2006-05-30 2007-11-28 안영철 Accessory and cleaner for picture
JP2010171731A (en) * 2009-01-22 2010-08-05 Kyocera Corp Mobile electronic equipment
KR20120058873A (en) * 2010-11-30 2012-06-08 윤정진 Accessory Case for Electronic Goods
KR20120080809A (en) * 2011-01-10 2012-07-18 강혁수 Smart phone cover
KR20120007846U (en) * 2011-05-06 2012-11-14 김영선 Strap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KR20130014873A (en) * 2011-08-01 2013-02-12 윤정진 Case for electronic goods
KR20130017869A (en) * 2011-08-12 2013-02-20 (주)바늘 Case for hand terminal
KR101765766B1 (en) 2017-01-23 2017-08-08 (주) 우성인터내셔날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1B1 (en) * 2006-05-30 2007-11-28 안영철 Accessory and cleaner for picture
JP2010171731A (en) * 2009-01-22 2010-08-05 Kyocera Corp Mobile electronic equipment
KR20120058873A (en) * 2010-11-30 2012-06-08 윤정진 Accessory Case for Electronic Goods
KR20120080809A (en) * 2011-01-10 2012-07-18 강혁수 Smart phone cover
KR20120007846U (en) * 2011-05-06 2012-11-14 김영선 Strap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KR20130014873A (en) * 2011-08-01 2013-02-12 윤정진 Case for electronic goods
KR20130017869A (en) * 2011-08-12 2013-02-20 (주)바늘 Case for hand terminal
KR101765766B1 (en) 2017-01-23 2017-08-08 (주) 우성인터내셔날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 https://www.youtube.com/watch?v=ghv4M-bxFOQ를 통해 공중이 이용 가능하게 된 발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098B2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US9538675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8382059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10406671B2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JP5665035B1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US20220410362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JP2022503521A (en) Holding devices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how to use holding devices
KR101837311B1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TWM565934U (en) Protective casing
KR100971761B1 (en) Tilt hinge for portable terminal 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60018306A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23474B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folding type ring
KR20180011601A (en) Holder for display device
KR101244983B1 (en) Forearm handheld information devide holder
KR102199563B1 (en)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KR20170133138A (en) A both supporter and holder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KR20170001075A (en) Protection case for smartphone
KR20100003929U (en) A cradle for Mobile phone
KR20120035810A (en)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AU2014231348B2 (en) Holder for a mobile device to capture images
CN11216659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shell
CN209991187U (en) From rapping bar
KR100654704B1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phone
JP5338002B1 (en) Folder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KR20190106122A (en)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