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51Y1 -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51Y1
KR200450851Y1 KR2020080007215U KR20080007215U KR200450851Y1 KR 200450851 Y1 KR200450851 Y1 KR 200450851Y1 KR 2020080007215 U KR2020080007215 U KR 2020080007215U KR 20080007215 U KR20080007215 U KR 20080007215U KR 200450851 Y1 KR200450851 Y1 KR 200450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ainer
guide
cylinder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429U (ko
Inventor
배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2020080007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5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용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와,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락공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용기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내부캡과,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공이 상기 연락공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어깨부와, 저면을 포함하는 2개소에서 개방된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유로의 저면개방단이 상기 연락공을 향한 상태로 상기 내부캡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된 버튼과, 상면에는 실린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개구부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안내유로를 갖도록 형성된 안내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시 상기 용기부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압출시키는 펌핑부와, 외부 조작시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을 저지하는 버튼잠금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부본체와, 상기 어깨부본체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안내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승강스커트부를 가지고, 누름동작시 상기 승강스커트부가 상기 안내벽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내부캡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버튼잠금부는 상기 승강스커트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어깨부본체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상단에는 직선상의 잠금해제홈과 상기 잠금해제홈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상기 잠금해제홈에 연결되는 잠금유지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잠금작동관과,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시 상기 잠금해제홈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스커트부의 내표면에 돌출형성된 잠금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버튼의 잠금과 잠금해제동작이 용이해지고, 버튼잠금부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화장품, 용기, 버튼, 펌핑

Description

화장품용기{Cosmetic Receptacle}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결합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버튼의 부분절개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밸브체의 평면도,
도6 내지 도11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동작상태도,
도12는 종래의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3은 종래의 화장품용기의 결합단면도,
도14, 도15, 도16 및 도17은 각각 종래의 화장품용기의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110 : 용기부 20, 120 : 내부캡
21 : 지지관부 22 : 캡스커트부
30 : 어깨부 31 : 어깨부본체
32 : 안내벽부 40, 140 : 버튼
41 : 버튼본체 42 : 승강스커트부
50, 150 : 펌핑부 53, 153 : 밸브체
60 : 안내유로부 61, 161 : 실린더피스톤
62 : 안내스템 80, 180 : 버튼잠금부
81 : 잠금작동관 82 : 잠금돌부
본 고안은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펌핑동작을 통해 외부로 압출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화장품은 용기에 저장 판매되고 사용자는 용기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조금씩 압출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펌핑부를 갖는 화장품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2는 종래의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3은 종래의 화장품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용기(111)와 외용기(111)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용기(112)를 갖는 용기부(110)와, 내용기(112)의 상단에 결합되는 내부캡(120)과, 외용기(1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부(130)와, 내부캡(120)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140)과, 버튼(140)의 누름 동작시 내용기(1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외부로 압출시키는 펌핑부(150)와, 외부 조작시 버튼(140)의 누름조작을 저지하도록 어깨부(130)를 버튼(14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버튼잠 금부(180)를 갖고 있다.
외용기(111)는 상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 외표면에 회전안내홈(111c)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용기(111)는 바닥면에는 통기공(111e)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기(112)는 관형태의 용기바디부(112a)와, 용기바디부(112a)의 상단에 형성된 목부(112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용기(112)는 상면개구부가 외용기(111)의 상면개구부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외용기(111)의 내부에 장착된다.
내부캡(120)은 지지관부(121)와, 지지관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지지관부(121)를 둘러싸도록 연장 형성된 캡스커트부(122)와, 캡스커트부(122)로부터 기립 형성된 승강안내관(123)을 갖고 있다.
지지관부(121)는 전 길이구간에 걸쳐 연락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캡스커트부(122)는 내용기(112)를 향해 개방된 실린더고정홈(1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부캡(120)은 지지관부(121)가 목부(112b)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캡스커트부(122)의 내표면을 통해 목부(112b)의 외표면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연락공(121a)이 내용기(112)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게 되고, 내부캡(120)에 의해 내용기(112)의 상면개구부는 밀폐되며, 내부캡(120)은 내용기(112)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어깨부(130)는 관형태의 어깨바디부(131)와, 어깨바디부(131)의 상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절곡 형성된 안착플랜지(133)를 갖고 있다.
어깨바디부(131)는 높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걸림장공(131a)이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회전안내돌부(도시되지 않음)가 회전안내홈(111c)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착플랜지(133)의 내측에는 장착공(133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안착홈(1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깨부(130)는 장착공(133a)이 연락공(121a)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 걸림장공(131a)에 후술하는 승강안내돌기(183)가 하나씩 삽입된 상태로 회전안내돌부(도시되지 않음)가 회전안내홈(111c)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어깨부(130)는 외용기(11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버튼(140)은 측면과 저면을 통해 개방되는 배출유로(140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140)은 저면으로부터 축고정홈부(141)가 외용기(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축고정홈부(141)의 둘레영역에는 승강작동관(1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140)은 승강작동관(142)이 승강안내관(123)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후술하는 안내축(171)의 상단이 축고정홈부(141)에 억지 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버튼(140)은 배출유로(140a)의 저면 개방단이 연락공(121a)을 향 한 상태로 안내축(171)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내부캡(120)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게 된다.
펌핑부(150)는 어깨부(130)에 결합된 실린더(151)와, 배출유로(140a)와 실린더(151)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안내유로를 갖는 안내유로부와, 실린더(151)의 내부에 설치된 복귀스프링(152) 및 밸브체(153)와, 내용기(112)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피스톤(154)을 갖고 있다.
실린더(151)는 저면에 유입공(15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51)에는 고정벽부(151b)가 상면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151)는 상면개구부가 연락공(121a)에 연통한 상태로 고정벽부(151b)를 실린더고정홈(122b)에 억지끼움함으로써 내부캡(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안내유로부는 실린더(15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안내관(170)과, 실린더(151)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피스톤(161)을 갖고 있다.
안내관(170)은 축공(171a)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축(171, Guide Shaft)과, 상단이 축공(171a)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안내스템(172, Guide Stem)을 갖고 있다.
축공(171a)은 안내축(171)의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공(171a)의 내주면에는 스템지지턱(17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내축(171)은 연락공(121a)을 통과하고, 하단이 실린 더(15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안내스템(172)은 하부영역에 스템스커트부(172a)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스템유로(172b)가 축공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템스커트부(172a)는 실린더(151)의 내표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내스템(172)은 상단이 스템지지턱(171b)에 접촉하고 하부구간이 후술하는 통과공(161c)을 통과하도록 축공(171a)에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안내관(170)이 설치된 상태에서 스템스커트부(172a)와 실린더(151)의 내표면과의 사이, 통과공(161c)의 내주면과 안내스템(172)의 외표면 사이, 스템유로(172b) 및 축공(171a)의 상측영역이 안내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내유로의 상측 노출단(축공의 상단과 하단이 노출되어 있음)은 배출유로(140a)에 연통하고 안내유로의 하측 노출단은 실린더(151)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게 된다.
실린더피스톤(161)은 실린더피스톤바디부(161a)와, 실린더피스톤바디부(161a)의 하단 전 둘레구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실린더밀폐판(161b)을 갖고 있다.
실린더피스톤바디부(161a)는 중앙영역에 통과공(16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피스톤(161)은 실린더밀폐판(161b)이 실린더(151)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통과공(161c)의 내주면이 스템스커트부(172a)에 접촉하도록 실린더(151)의 내부에 설치된다.
복귀스프링(152)은 안내스템(172)의 저면과 실린더(151)의 내부 바닥면에 기립 형성된 스프링지지홈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복귀스프링(152)은 안내스템(172)이 유입공(151a)을 향해 이동할 때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게 된다.
밸브체(153)는 볼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자중(自重)에 의해 유입공(151a)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용기피스톤(154)은 요홈 형태의 용기피스톤바디부(154a)와, 용기피스톤바디부(154a)의 상단 전 둘레구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용기밀폐판(154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피스톤(154)은 용기밀폐판(154b)이 용기바디부(112a)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내용기(1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기피스톤(154)은 내용기(112)의 저면개구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펌핑부(1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튼(140)이 가압되면 안내축(171)과 안내스템(172)은 하강하고 복귀스프링(152)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안내스템(172)이 하강하면 통과공(161c)의 내주면과 안내스템(172)의 외표면 사이는 분리되어 안내유로는 개방된다.
안내유로가 개방되면 실린더(151)의 내부에 있는 액상화장품은 안내유로와 배출유로(1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버튼(14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버튼(140), 안내축(171) 및 안내스 템(172)은 복귀스프링(15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안내스템(172)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통과공(161c)의 내주면과 안내스템(172)의 외표면 사이는 접촉되어 안내유로는 폐쇄된다.
한편 안내스템(172)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실린더(151)의 내부에는 부압(負壓)이 발생한다.
실린더(151)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면, 밸브체(153)에는 상방향의 흡인력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유입공(151a)은 개방된다.
유입공(151a)이 개방되면 내용기(1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은 실린더(15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내용기(1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이 실린더(151)의 내부로 진입할 때, 용기피스톤(154)은 실린더(151)를 향해 이동한다.
다시 버튼(140)이 가압되면 유입공(151a)은 밸브체(153)에 의해 밀폐되고, 실린더(151)의 내부에 있는 액상화장품은 안내유로 및 배출유로(1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버튼잠금부(180)는 외용기(111)의 상단에 형성된 잠금작동관(181)과, 목부(112b)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고리상의 잠금플랜지(182)와, 잠금플랜지(182)의 연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승강안내돌기(183)를 갖고 있다.
잠금작동관(181)에는 한 쌍의 잠금작동홈(181a)이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잠금작동홈(181a)은 상측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잠금유지홈(181b)과, 하측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잠금해제홈(181c)과, 경사를 이루며 잠금유지홈(181b)과 잠금해제홈(181c)을 연결하는 승강안내홈(181d)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잠금작동관(181)의 잠금작동홈(181a)에는 승강안내돌기(183)가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4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용기(112)와 용기피스톤(154)의 사이공간에는 액상화장품이 수용되어 있고, 승강안내돌기(183)는 잠금유지홈(181b)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도15 참조).
먼저 외용기(111)를 잡고 어깨부(130)를 회전시키면 승강안내돌기(183)와 걸림홈(131a)의 상호작용에 의해 내부캡(120), 내용기(112) 및 버튼(140)이 회전한다.
내부캡(120)이 회전하면 승강안내돌기(183)는 잠금유지홈(181b)으로부터 승강안내홈(181d)을 따라 상승한 후 최종적으로 잠금해제홈(181c)에 진입한다(도16 참조).
승강안내돌기(183)가 잠금유지홈(181b)으로부터 상승하여 잠금해제홈(181c)에 진입하는 동안 내부캡(120), 내용기(112) 및 버튼(140)이 상승한다(도14 참조).
버튼(140)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140)을 가압하고 가압 해제하는 동작을 통해 내용기(1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회장품을 사용하고 난 다음에는 다시 외용기(111)를 잡고 어깨부(1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안내돌기(183)와 걸림홈(131a)의 상호작용에 의해 내부캡(120), 내용기(112) 및 버튼(14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내부캡(12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안내돌기(183)는 잠금유지홈(181b)으로부터 승강안내홈(181d)을 따라 하강한 후 최종적으로 잠금해제홈(181c)에 진입한다(도17 참조).
승강안내돌기(183)가 잠금유지홈(181b)으로부터 하강하여 잠금해제홈(181c)에 진입하는 동안 내부캡(120), 내용기(112) 및 버튼(140)이 하강한다(도16 참조).
버튼(140)이 하강한 상태에서 안착플랜지(133)에 접촉된다.
그리고 버튼(140)이 하강한 상태에서 버튼(140)의 가압동작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200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430호(고안의 명칭 : 디스펜서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장품용기에 따르면, 내용기(111)에 형성된 승강안내돌기(183)를 통해 버튼(140)의 가압동작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버튼(140)의 잠금이나 잠금해제시 내용기(112)도 함께 회전하면서 승강하게 되기 때문에 버튼(140)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동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잠금유지홈(181b)과 잠금해제홈(181c)이외 버튼(140)의 잠금이나 잠금해제동작시 승강안내돌기(183)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홈(181d)을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버튼잠금부(180)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튼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동작이 용이하고 버튼잠금부의 구조가 간단한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면에 용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와,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락공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용기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내부캡과,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공이 상기 연락공의 둘레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어깨부와, 저면을 포함하는 2개소에서 개방된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유로의 저면개방단이 상기 연락공을 향한 상태로 상기 내부캡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된 버튼과, 상면에는 실린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개구부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안내유로를 갖도록 형성된 안내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시 상기 용기부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압출시키는 펌핑부와, 외부 조작시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을 저지하는 버튼잠금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부본체와, 상기 어깨부본체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안내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승강스커트부를 가지고, 누름동작시 상기 승강스커트부가 상기 안내벽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내부캡에 접근하고 이 반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버튼잠금부는 상기 승강스커트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어깨부본체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상단에는 직선상의 잠금해제홈과 상기 잠금해제홈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상기 잠금해제홈에 연결되는 잠금유지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잠금작동관과,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시 상기 잠금해제홈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스커트부의 내표면에 돌출형성된 잠금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결합단면도이며, 도4는 도1에 도시된 버튼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5는 도4에 도시된 밸브체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용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12)와, 용기부(12)의 상단에 결합된 내부캡(20)과, 용기부(12)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깨부(30)와, 내부캡(20)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40)과, 버튼(40)의 누름 동작시 용기부(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외부로 압출시키는 펌핑부(50)와, 외부 조작시 버튼(40)의 누름조작을 저지하는 버튼잠금부(80)와, 버튼(40)을 둘러싸도록 어깨부(30)에 결합된 외부캡(13)을 갖고 있다.
용기부(12)는 관형태의 용기바디부(12a)와, 용기바디부(12a)의 상단에 형성된 목부(12b)를 갖고 있다.
내부캡(20)은 지지관부(21)와, 지지관부(21)의 외표면 중간 영역으로부터 지 지관부(21)의 하부구간을 둘러싸도록 연장 형성된 캡스커트부(22)를 갖고 있다.
지지관부(21)는 전 길이구간에 걸쳐 연락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캡스커트부(22)는 지지관부(21)의 접촉영역에 스프링지지홈(22a)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지지홈(22a)의 외측에는 용기부(12)를 향해 개방된 실린더고정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부캡(20)은 지지관부(21)가 목부(12b)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캡스커트부(22)의 내표면을 통해 목부(12b)의 외표면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연락공(21a)이 용기부(12)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게 되고, 내부캡(20)에 의해 용기부(12)의 상면개구부는 밀폐된다.
어깨부(30)는 상면에 장착공(31a)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은 개방되어 있는 어깨부본체(31)와, 어깨부본체(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안내벽부(32)를 갖고 있다.
어깨부본체(31)는 외표면에 캡고정돌기(31b)가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깨부(30)는 장착공(31a)이 연락공(21a)의 둘레영역에 배치되도록 내부캡(20)에 고정 설치된다.
버튼(40)은 버튼본체(41)와, 버튼본체(41)의 저면에 형성된 승강스커트부(42)를 갖고 있다.
버튼본체(41)는 중앙영역에 배출공(43a)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판부(41a)와, 누름판부(41a)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관부(41b)와, 배출관부(41b)를 둘러싸도록 누름판부(41a)로부터 연장 형성된 이탈방지관부(41e)와, 배출관부(41b)와 이탈방지관부(41e)사이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리브(41f)를 갖고 있다.
배출관부(41b)는 내표면 하측에 걸림리브(41c)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걸림리브(41c)의 하측에는 가압턱(41d)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부(41b)의 내부공간은 배출공(43a)과 함께 배출유로(43)를 형성한다.
스프링지지리브(41f)는 십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스커트부(42)는 이탈방지관부(41e)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40)은 배출관부(41b)의 하측영역이 지지관부(21)의 내부로 진입하고, 걸림리브(41c)와 가압턱(41d)이 각각 걸림홈(62c)의 상단과 하단에 가압 접촉하며, 가압턱(41d)이 승강스커트부(42)가 안내벽부(32)와 후술하는 잠금작동관(81)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버튼(40)은 배출유로(43)의 저면 개방단이 연락공(21a)을 향한 상태로 누름 동작시 승강스커트부(42)가 안내벽부(32)의 안내를 받아 내부캡(20)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게 된다.
펌핑부(50)는 내부캡(20)에 결합된 실린더(51)와, 내부캡(20)에 하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52)과, 배출유로(43)와 실린더(51)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안내유로를 갖는 안내유로부(60)와, 실린더(51)의 바닥면에 설치된 밸브체(53)와, 용기부(12)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피스톤(54)을 갖고 있다.
실린더(51)는 저면에 유입공(5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실린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51)에는 고정벽부(51b)가 실린더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51)는 상면개구부가 연락공(21a)에 연통한 상태로 고정벽부(51b)를 실린더고정홈(22b)에 억지 끼움함으로써 내부캡(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복귀스프링(52)은 하단이 스프링지지홈(22a)에 지지되고, 상단은 스프링지지리브(41f)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복귀스프링(52)은 버튼(40)이 내부캡(20)을 향해 이동할 때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게 된다.
안내유로부(60)는 실린더(5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안내스템(62)과, 실린더(51)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피스톤(61)을 갖고 있다.
안내스템(62)은 하단영역을 제외한 길이구간에 걸쳐 스템유로(62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스템(62)은 스템유로(62a)와 실린더(51)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통공(62b)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내스템(62)은 상측 영역이 지지관부(21)의 내부로 진입하고 하측영역은 실린더(5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안내스템(62)이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피스톤(61)과 안내스템(62)의 사이영역(버튼의 누름동작시 형성됨), 통공(62b) 및 스템유로(62a)가 안내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내유로는 배출유로(43)와 실린더(51)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게 된다.
실린더피스톤(61)은 종래와 같이 중앙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중앙공의 내주면이 안내스템(62)의 외표면에 접촉하도록 실린더(51)의 내부에 설치된다.
밸브체(53)는 관형태의 둘레벽부(53a)와, 둘레벽부(53a)의 내부에 배치된 개폐판(53b)과, 개폐판(53b)과 둘레벽부(53a)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암(53c)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체(53)는 둘레벽부(53a)가 실린더(51)의 내벽면에 억지 끼움되고, 개폐판(53b)이 유입공(51a)을 폐쇄하도록 실린더(5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용기피스톤(54)은 요홈 형태의 용기피스톤바디부(54a)와, 용기피스톤바디부(54a)의 상단 전 둘레구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용기밀폐판(54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피스톤(54)은 용기밀폐판(54b)이 용기바디부(12a)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용기부(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기피스톤(54)은 용기부(12)의 저면개구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펌핑부(50)의 동작을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튼(40)이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먼저 안내스템(62)이 하강하고 다음에(버튼이 하강하여 배출관부의 하단이 실린더피스톤에 접촉된 후) 안내스템(62)과 실린더 피스톤(61)이 함께 하강한다. 안내스템(62)이 하강하는 동안 복귀스프링(52)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리고 안내스템(62)이 단독으로 하강하는 동안 실린더피스톤(61)과 안내스템(62)사이가 벌어지고 이에 따라 안내유로가 개방된다(도6 참조).
안내유로가 개방되면 실린더(51)의 내부에 있는 액상화장품은 안내유로와 배출유로(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7 참조).
버튼(4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버튼(40)은 복귀스프링(5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한다.
버튼(40)이 상승하면 안내스템(62)도 상승한다. 안내스템(62)의 초기상승시 실린더피스톤(61)과 안내스템(62)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안내유로가 폐쇄된다.
안내유로가 폐쇄된 후 실린더피스톤(61)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안내스템(62)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실린더(51)의 내부에는 부압(負壓)이 발생한다.
실린더(51)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면, 개폐판(53b)에는 상방향의 흡인력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유입공(51a)은 개방된다.
유입공(51a)이 개방되면 용기부(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은 실린더(5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도8 참조).
한편 용기부(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이 실린더(51)의 내부로 진입할 때, 용기피스톤(54)은 실린더(51)를 향해 이동한다.
다시 버튼(40)이 가압되면 유입공(51a)은 개폐판(53b)에 의해 밀폐되고, 실 린더(51)의 내부에 있는 액상화장품은 안내유로와 배출유로(43)를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유로는 버튼(40)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고, 펌핑부(50)는 버튼(40)의 누름 동작시 용기부(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배출유로(43)를 통해 외부로 압출시킬 수 있게 된다.
버튼잠금부(80)는 승강스커트부(42)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어깨부본체(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잠금작동관(81)과, 승강스커트부(42)의 내표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잠금돌부(82)를 갖고 있다.
잠금작동관(81)에는 직선상의 잠금해제홈(81a)과 잠금유지홈(81b)이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잠금해제홈(81a)과 한 쌍의 잠금유지홈(81b)은 각각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잠금유지홈(81b)은 잠금해제홈(81a)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잠금해제홈(8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잠금돌부(82)는 버튼(40)의 누름동작시 잠금해제홈(81a)에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부캡(13)은 내표면에 캡고정돌기(31b)에 대응하는 고정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캡(13)은 고정홈(13a)에 캡고정돌기(31b)가 진입하도로 어깨부(3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린더(51)의 내부 및 용기부(12)와 용기피스톤(54)의 사이공간에는 액상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잠금돌부(82)는 잠금유지홈(81b)에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도9 참조).
먼저 용기부(12)를 잡고 버튼(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10 참조). 여기서 버튼(40)의 회전동작은 잠금돌부(82)가 잠금해제홈(81a)에 정렬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잠금돌부(82)가 잠금해제홈(81a)에 정렬되는 버튼(40)의 회전위치 및 잠금돌부(82)가 잠금유지홈(81b)에 정렬되는 버튼(40)의 회전위치는 미리 어깨부(30)에 표시하여 둘 수 있다. 한편 버튼(40)이 회전할 때 배출관부(41b)는 안내스템(62)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버튼(40)이 회전할 때 용기부(12)는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다음에 잠금돌부(82)가 잠금해제홈(81a)에 정렬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40)을 가압하고 가압 해제하는 동작을 통해 용기부(12)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도11 참조).
회장품을 사용하고 난 다음에는 다시 용기부(12)를 잡고 버튼(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버튼(40)의 시계방향회전동작은 잠금돌부(82)가 잠금유지홈(81b)에 정렬되는 위치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40)에 잠금돌부(81)를 형성하고 어깨부(30)에 잠금작동관(81)을 형성하여 버튼(40)의 회전동작을 통해 버 튼(40)의 가압동작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40)의 잠금과 잠금해제동작이 용이해 진다(버튼의 잠금과 잠금해제시 용기부가 함께 회전하거나 승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그리고 잠금유지홈(81b)과 잠금해제홈(81a)이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버튼잠금부(8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버튼에 잠금돌부를 형성하고 어깨부에 잠금작동관을 형성하여 버튼의 회전동작을 통해 버튼의 가압동작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의 잠금과 잠금해제동작이 용이해 진다.
그리고 잠금유지홈과 잠금해제홈이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버튼잠금부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Claims (1)

  1. 상면에 용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와,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락공이 상기 용기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용기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내부캡과,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공이 상기 연락공의 둘레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어깨부와, 저면을 포함하는 2개소에서 개방된 배출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유로의 저면개방단이 상기 연락공을 향한 상태로 상기 내부캡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된 버튼과, 상면에는 실린더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개구부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연결하고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안내유로를 갖도록 형성된 안내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시 상기 용기부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을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압출시키는 펌핑부와, 외부 조작시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을 저지하는 버튼잠금부를 갖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어깨부본체와, 상기 어깨부본체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안내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승강스커트부를 가지고, 누름동작시 상기 승강스커트부가 상기 안내벽부의 안내를 받아 상기 내부캡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버튼잠금부는 상기 승강스커트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어깨부본체 의 상면에 기립 형성되고 상단에는 직선상의 잠금해제홈과 상기 잠금해제홈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상기 잠금해제홈에 연결되는 잠금유지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잠금작동관과,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시 상기 잠금해제홈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스커트부의 내표면에 돌출형성된 잠금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KR2020080007215U 2008-06-02 2008-06-02 화장품용기 KR200450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215U KR200450851Y1 (ko) 2008-06-02 2008-06-02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215U KR200450851Y1 (ko) 2008-06-02 2008-06-02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29U KR20090012429U (ko) 2009-12-07
KR200450851Y1 true KR200450851Y1 (ko) 2010-11-05

Family

ID=4447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215U KR200450851Y1 (ko) 2008-06-02 2008-06-02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72B1 (ko) 2011-12-01 2012-10-22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
KR102057793B1 (ko) 2018-12-11 2019-12-1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21Y1 (ko) * 2010-11-03 2013-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2631669B1 (ko) * 2023-11-16 2024-01-30 민병선 펌핑식 화장품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72Y1 (ko) * 2000-02-02 2000-06-15 주식회사태평양 내용물 배출 펌프의 잠금장치
KR200358811Y1 (ko) 2004-06-01 2004-08-11 (주)연우 푸시-업 디스펜서
KR200428274Y1 (ko) 2006-07-19 2006-10-1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200439761Y1 (ko) 2007-02-22 2008-05-02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록킹수단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72Y1 (ko) * 2000-02-02 2000-06-15 주식회사태평양 내용물 배출 펌프의 잠금장치
KR200358811Y1 (ko) 2004-06-01 2004-08-11 (주)연우 푸시-업 디스펜서
KR200428274Y1 (ko) 2006-07-19 2006-10-1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200439761Y1 (ko) 2007-02-22 2008-05-02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록킹수단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872B1 (ko) 2011-12-01 2012-10-22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
KR102057793B1 (ko) 2018-12-11 2019-12-1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29U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719B1 (ko) 화장품용기
EP0953381B1 (en) Fluid pump dispenser
HU222272B1 (hu) Reteszelhető pumpás adagoló
KR200450851Y1 (ko) 화장품용기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TW200803782A (en) Portable liquid dispenser
IL114679A (en) Reaching pump
KR200493568Y1 (ko) 화장품용기
CN117015504A (zh) 自动倒盖容器
KR200449087Y1 (ko) 화장품용기
TW200424098A (en) Metering valve for fluid substances
KR100381537B1 (ko) 유체 펌프 분배기
KR101802133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090003811U (ko) 액상화장품용기
KR101269409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230079759A (ko) 내용물 용기
KR200311494Y1 (ko) 디스펜서 용기
JP5360827B2 (ja) 液体噴出容器
KR200336105Y1 (ko) 이종액체용기
JPH0725331Y2 (ja) 注出容器
KR200450863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200336104Y1 (ko) 이종액체용기
KR20190023668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383087Y1 (ko) 디스펜서 용기
JPH0744632Y2 (ja) 注出容器用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