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65Y1 -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65Y1
KR200449765Y1 KR2020100003770U KR20100003770U KR200449765Y1 KR 200449765 Y1 KR200449765 Y1 KR 200449765Y1 KR 2020100003770 U KR2020100003770 U KR 2020100003770U KR 20100003770 U KR20100003770 U KR 20100003770U KR 200449765 Y1 KR200449765 Y1 KR 200449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esh
soil
plant
s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2020100003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망태 구조물을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망태 구조물 자체 또는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화분 등의 수직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서 식물이 보여지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뿌리가 토양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여 수직구조물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가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망태 본체와; 식생 가능하도록 다공질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뿌려지거나 심어진 상태로 식생이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와; 상기 망태 본체의 식생기반체 이외의 부위에 안착되는 투근성 근권자루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충전되는 토양을 포함하여서 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서 상기 망태 구조물을 지지해주는 지지수단과, 상기 망태 구조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Plantable vertical object}
본 고안은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태 구조물을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망태 구조물 자체 또는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화분 등의 수직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서 식물이 보여지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뿌리가 토양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여 수직구조물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돌망태는 하천의 제방, 절개지 또는 호안 등의 법면인 경사면등에 설치되어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유수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경사면을 보호하는 구조물이다.
그러나, 종래의 돌망태는 일정크기의 돌만을 수용하여 호안 등의 법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관이 흉하고, 사면의 토양 위에 돌이 단순하게 얹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집중호우 등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 손쉽게 유실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망태 내부에 채워지는 돌을 외부로부터 구입하여 시공해야 하는 것이므로 돌의 구입비용으로 인해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돌과 흙을 혼합한 식생이 가능한 블록을 만들어 이를 망태 내부에 충전한 식생 돌망태가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돌과 흙이 혼합된 블록 역시 식물이 발아하여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식물이 발아하여 착근하기 위한 충분한 수분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통상 콘크리트 블록을 나란하게 맞대어 구성하거나, 콘크리트 옹벽에 펜스를 고정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관이 삭막한 단점이 있었던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식생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등장한 바 있으나, 이는 식생기반체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므로 식물의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토양의 부재로 인해 식생이 원활치않고 적용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으며, 담장이나 방음벽 역시 식생기반체를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하여 식생이 가능토록 한 것도 있으나 이 역시도 토양의 부재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화분의 경우 일정한 용적의 용기에 토양을 채우고, 여기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거나 식물의 묘종을 식재하여 식생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화분은 그 내부의 공간내에서만 식물이 상방향으로 자라게 되므로 외관이 단순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망태 구조물을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망태 구조물 자체 또는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화분 등의 수직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서 식물이 보여지게 되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식물의 뿌리가 토양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여 수직구조물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가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망태 본체와; 식생 가능하도록 다공질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뿌려지거나 심어진 상태로 식생이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와; 상기 망태 본체의 식생기반체 이외의 부위에 안착되는 투근성 근권자루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충전되는 토양을 포함하여서 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서 상기 망태 구조물을 지지해주는 지지수단; 및 상기 망태 구조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식생기반체에는 보습재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토양에는 보습재 또는 퇴비가 혼합 충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각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와 상기 각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안치되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 위치되어 상기 물통 내측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하는 심지와, 상기 물통의 상부와 상기 심지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덮여져 상기 심지를 통해 이송되는 물은 토양으로 빠져나가게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물통으로 침투하는 것은 막아주는 방근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식생기반체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토양이 담기는 투근성 근권자루의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측으로 식생기반체가 위치되고, 이를 제외한 부위에 토양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가 배치되며, 물통 또는 관수라인을 통해 지속적이면서 은근하게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망태 본체를 토양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수직 구조물인 화분이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으로 활용하더라도 외부로 보여지는 모든 부위에서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자칫 삭막할 수 있는 수직 구조물의 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에 담긴 토양이 망태 본체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중량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토양이 유실되지 않아 항상 수직 구조물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식생기반체가 수분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식생기반체에 뿌려지거나 심어진 식물의 씨앗이 쉽게 발아 및 발근할 수 있고, 식생기반체에 식물의 묘종이 심어진 경우에도 손쉽게 착근되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식물이 자람에 따라 뿌리 또는 줄기가 팽창하더라도 식생기반체의 유연성에 의해 식물의 생육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고, 물통이나 관수라인을 통해 토양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이 계속 자라나면서 식물의 뿌리가 투근성 근권자루를 뚫고 들어가 토양에 손쉽게 착생되어 식생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으며, 망태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망태 구조물의 사이로도 뿌리를 내려 수직 구조물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망태 구조물이 시공되는 장소의 주변에 있는 토양과 잔돌을 그대로 투근성 근권자루에 담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돌 구매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것이며, 이러한 토양에 풀씨 등이 혼입되더라도 투근성 근권자루 내부에서는 발아 또는 발근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에 전혀 지장이 없게 된다.
또한, 망태 구조물이 여러층으로 적층되면 그 하중에 의해 중간이 불룩해질 수 있고, 일시적으로는 망태 본체의 강성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망태 구조물의 망태 본체 측면이 터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는 다수의 지주가 고정되어 있어 망태 구조물들이 수직방향으로 여러개 적층됨에 따라 하중에 의한 측압이 발생되더라도 이러한 지주들이 망태 구조물들의 측면을 완벽하게 받쳐주게 되므로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더라도 이를 원래의 상태 그대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 이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망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 또는 투근성 근권자루가 하방향으로 쳐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부 및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망태 구조물로 된 화분을 들어서 이동시키더라도 망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 또는 토양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가 망태 본체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성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 구조물 단면도.
도 3은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에 적용할 때 관수라인을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화분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이용한 화분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성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 구조물 단면도이며, 도 3은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에 적용할 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화분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이용한 화분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은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단독 또는 여러 층으로 적층하여서 된 화분이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또는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은 덮개 망체(11)를 갖는 망태 본체(10)와, 망태 본체(10)에 수납되는 식생기반체(20) 및 투근성 근권자루(30)와,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긴 토양(40)으로 이루어지며, 투근성 근권자루(30)의 내부에는 물통(60)이 구비되고,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는 지주(70) 또는 지지대(71)가 결속밴드(72)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망태 본체(10)는 금속재 와이어 또는 탄성 합성수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엮어져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덮개 망체(11) 역시 금속재 와이어 또는 탄성 합성수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엮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망태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식생기반체(20)와 부직포로 된 투근성 근권자루(30)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여러 층으로 적층할 수 있는 형상이면 원통형 등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 가능하다.
식생기반체(20)는, 식생 가능한 다공질의 유연한 섬유재질 또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여기에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 등의 보습재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 등의 보습재는 그 보습률이 매우 높은 재료이므로 이들 보습재는 식생기반체(20) 전체 함량의 1/20 정도의 중량비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식생기반체(20)의 그 표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식재 공혈(21)을 다수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식재 공혈(21)에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심겨질 수 있다. 식생기반체(20) 및 그 제조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특허 제 10-807285 호를 참조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식생기반체(20)는 적어도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데, 망태 구조물이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되는 경우 중간부위는 전후면만 외부로 보이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양측에만 고정하면서 망태 구조물의 시작 위치 또는 끝 위치에서는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좌측 또는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우측 등 3방향에 고정하면 되며,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4방향이 모두 외부로 보여지게 되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테두리 전체에 고정하면 된다.
투근성 근권자루(30)는 식생기반체(20)를 통해 생육하고 있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들어올 수는 있고 그 내부에 담긴 토양(40)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예리한 돌이나 나무 등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치밀한 밀도로 제조된 부직포를 자루 형태로 성형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러한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에는 지퍼 또는 벨크로 파스너 등과 같은 잠금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토양을 담은 상태에서 그 개방부위를 잠가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실을 통해 엮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지퍼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부식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 지퍼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망태 구조물이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수직 구조물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망태 구조물의 투근성 근권자루(30)는 잠금부재를 통해 잠가 구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수직 구조물의 상면까지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망태 구조물의 투근성 근권자루(30)는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화분의 상면까지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기는 토양(40)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이면 어떠한 토양이든 모두 적용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망태 구조물이 시공되는 장소 주변의 토양과 잔돌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잡초 등의 식물 씨앗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에 습도 유지를 위해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과 같은 보습재를 첨가하거나 토양이 척박한 경우에는 양질의 퇴비를 혼합하여 충전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 등의 보습재는 토양(40) 전체 함량의 1/20 정도의 중량비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망태 구조물이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수직 구조물의 최상부의 경우 토양(40)이 투근성 근권자루(3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투근성 근권자루(30)에 토양(40)을 먼저 담아준 후 보습재와 퇴비를 토양(40)의 위에 뿌려줄 수도 있다.
또한, 망태 구조물이 여러 층 적층되어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다수의 지주(70)를 세우고, 결속밴드(72)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각 지주(70)와 각 망태 본체(10)를 결속해주게 되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화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다수의 지지대(71)를 구비하고, 결속밴드(72)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각 지지대(71)와 망태 본체(10)를 서로 결속해주어 강성을 보강해주게 된다.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30)의 내부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60)을 안치하고, 물통(60)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지게 천이나 부직포 등으로 된 심지(61)를 배치하며, 물통(60)의 상부와 심지(61)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방근 커버(62)를 씌워주게 되는데, 이때 방근 커버(62)는 치밀하게 제조된 부직포로 구성하여 심지(61)를 통해 이송되는 물은 토양으로 빠져나가게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물통(60)측으로 침투하는 것은 막아주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물통(6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식생기반체(20)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50)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11)가 개방되어 있는 망태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식생기반체(20)를 고정해주게 되는데, 망태 본체(10)가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식생기반체(20)를 그대로 망태 본체(10) 내부에 수납하여도 되고,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에 수납한 후 와이어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식생기반체(20)는 망태 구조물이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되는 경우 중간부위는 전후면만 외부로 보이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양측에만 고정하면서 망태 구조물의 시작 위치 또는 끝 위치에서는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좌측 또는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우측 등 3방향에 고정해주게 되며,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4방향이 모두 외부로 보여지게 되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테두리 전체에 고정해주게 된다.
망태 본체(10)에 식생기반체(20)를 수납하는 것과 함께 부직포로 된 투근성 근권자루(30)를 망태 본체(10)의 나머지 공간에 넣고,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를 통해 토양(40)을 담아주게 되며, 투근성 근권자루(30)에 토양(40)을 모두 담은 후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에 구비된 지퍼 또는 벨크로 파스너와 같은 잠금부재를 통해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를 잠가주거나 실로 엮어 봉해주고, 덮개 망체(11)를 덮어 고정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화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 구조물은 토양을 기반으로 하지 않으므로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분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투근성 근권자루(30)의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60)을 안치하고, 물통(60)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지게 천이나 부직포 등으로 된 심지(61)를 배치한 것이며, 물통(60)의 상부와 심지(61)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부직포로 된 방근 커버(62)를 씌워주고, 이후 토양(40)을 투근성 근권자루(30)에 채워 망태 본체(10)에 안치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물통(6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식생기반체(20)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50)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망태 구조물을 단독으로 또는 여러층 적층되게 하여 화분이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화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동시킬 때 망태 본체(10) 내부의 식생기반체(10) 또는 토양(40)을 담은 투근성 근권자루(30)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망태 본체(10)의 주위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대(71)를 대고 결속 밴드(72)를 통해 고정해주게 되고,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망태 구조물을 여러 층으로 적층한 후 그 외측에 다수의 지주(70)를 세우고, 결속밴드(72)를 통해 지주(70)와 망태 본체(10)를 서로 고정해주게 된다.
따라서, 망태 본체(10)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20)에는 식재 공혈(21)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의 묘종을 식재하거나, 식물의 씨앗을 심을 수 있으며, 식생기반체(20)는 어느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씨앗이 쉽게 발아하여 발근할 수 있고, 식물의 묘종이 식재된 경우에도 손쉽게 착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기는 토양(40)에는 보습재와 양질의 퇴비가 혼합 충전될 수 있으므로 식생기반체(2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기는 토양(40)으로 뿌리를 내리면서 식생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빗물 등이 스며들어 물통(60)에 모이면 이러한 물이 심지(61)를 통해 지속적으로 토양(40)측에 은근하게 공급되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관수라인(50)을 구비한 경우 이를 통해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식생기반체(20)에는 식물의 묘종이 식재되거나, 식물의 씨앗이 심어지는 것이며, 식생기반체(20) 및 토양(40)에는 어느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고 있고 또 영양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 또는 즉시 경관을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식물 생육이 가능해지게 되며, 특히 화분의 경우 투근성 근권자루(3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여기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해주면 외부 전체면과 상면까지 식생이 이루어져 매우 훌륭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되고,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경우에도 외부로 보여지는 전체면에서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수직 구조물이라 할지라도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긴 토양을 기반으로 식생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식물의 종류를 보다 다양하게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는 것이며, 망태 본체(10)와 덮개 망체(11)가 내부의 식생기반체(20) 및 토양(40)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3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비바람 등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직 구조물 원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식재되는 식물들은 겨울철에도 상록성을 유지하는 식물들을 적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다년생 숙근초, 상록잔디패랭이, 맥문동, 줄사철 등을 식재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그 지역에 맞는 1년생 및 계절형 초화류를 식재할 수 있고, 계절별로 식물 품종을 교체하여 식재할 수도 있다.
또한, 토양(40)에 함유된 수분과 물통(60)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토양에 활착될 수 있으며, 식생기반체(20)에 식재된 식물이 점차 수분의 공급방향으로 뿌리를 뻗으면서 투근성 근권자루(30)를 뚫고 들어가 토양(40)에 뿌리를 내리더라도 방근 커버(62)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물통(60)측으로 침범하는 것은 막아줄 수 있고, 식물의 뿌리가 투근성 근권자루(30)를 뚫고 들어가더라도 투근성 근권자루(30)가 조직이 치밀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식물의 뿌리와 투근성 근권자루(30)를 이루는 부직포가 밀착되어 투근성 근권자루(30) 내부의 토양이 쏟아지지는 않는다.
또한, 비가 내리면 이러한 빗물이 토양으로 스며들 때 수분이 방근 커버(62)를 통과하여 물통(60)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모이게 되고, 물통(60)에 모인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61)를 타고 서서히 이동하게 되므로 손쉽게 소진되지 않고 수분 공급이 지속적이면서 은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물통(60)을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관수라인(50)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관수를 해주게 되면 식생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동절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때 관수라인(50)의 동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도면상에는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할 때 각 망태구조물마다 물통(60)을 구비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수직 구조물의 최상부측 망태 구조물만 물통(60)을 구비하거나, 수직 구조물의 상부측 몇개의 망태 구조물에만 물통(60)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이 여러층으로 적층되면 그 하중에 의해 중간이 불룩해질 수 있고, 일시적으로는 망태 본체(10)의 강성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망태 구조물의 망태 본체(10) 측면이 터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는 다수의 지주(70)가 고정되어 있어 망태 구조물들이 수직방향으로 여러개 적층됨에 따라 하중에 의한 측압이 발생되더라도 이러한 지주(70)들이 망태 구조물들의 측면을 완벽하게 받쳐주게 되므로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더라도 이를 원래의 상태 그대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 이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망태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20) 또는 투근성 근권자루(30)가 하방향으로 쳐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부 및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대(71)가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망태 구조물로 된 화분을 들어서 이동시키더라도 망태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20) 또는 토양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30)가 망태 본체(10)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이 적용되는 화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분야에 따라 당해 분야에 필요한 구조물을 더 부가하여 구성해야 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방음벽의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 위쪽에 방음판을 더 부가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방음벽을 세우면서 외부로 보여지는 일측에만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중앙분리대의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상부에 여러가지 표지판 등의 구조물을 더 부가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망태 본체 11 : 덮개 망체
20 : 식생기반체 21 : 식재 공혈
30 : 투근성 근권자루 40 : 토양
50 : 관수라인 60 : 물통
61 : 심지 62 : 방근커버
70 : 지주 71 : 지지대
72 : 결속밴드

Claims (8)

  1.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가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망태 본체와; 식생 가능하도록 다공질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뿌려지거나 심어진 상태로 식생이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와; 상기 망태 본체의 식생기반체 이외의 부위에 안착되는 투근성 근권자루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충전되는 토양을 포함하여서 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서 상기 망태 구조물을 지지해주는 지지수단; 및
    상기 망태 구조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서 된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체에는 보습재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토양에는 보습재 또는 퇴비가 혼합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각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와 상기 각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안치되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 위치되어 상기 물통 내측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하는 심지와, 상기 물통의 상부와 상기 심지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덮여져 상기 심지를 통해 이송되는 물은 토양으로 빠져나가게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물통으로 침투하는 것은 막아주는 방근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식생기반체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이 담기는 투근성 근권자루의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KR2020100003770U 2010-04-12 2010-04-12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KR200449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70U KR200449765Y1 (ko) 2010-04-12 2010-04-12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70U KR200449765Y1 (ko) 2010-04-12 2010-04-12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765Y1 true KR200449765Y1 (ko) 2010-08-06

Family

ID=4424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770U KR200449765Y1 (ko) 2010-04-12 2010-04-12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04B1 (ko) * 2011-10-04 2013-11-20 박공영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US20220330501A1 (en) * 2021-04-19 2022-10-20 Terra Studio Ltd. Pla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255A (ja) * 1995-09-19 1997-06-03 Mikado Kako Kk 植物育成床及び植物育成方法
KR100808251B1 (ko) * 2006-11-30 2008-02-29 엄기항 벽체 녹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255A (ja) * 1995-09-19 1997-06-03 Mikado Kako Kk 植物育成床及び植物育成方法
KR100808251B1 (ko) * 2006-11-30 2008-02-29 엄기항 벽체 녹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04B1 (ko) * 2011-10-04 2013-11-20 박공영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US20220330501A1 (en) * 2021-04-19 2022-10-20 Terra Studio Ltd. Pla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4387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CN102860245B (zh) 植物蓄水底灌***的施工方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20160048614A (ko) 철망 녹화블록
KR20100136795A (ko)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블록 및 식생 개비온 블록의 제조방법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200449765Y1 (ko)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JP5421047B2 (ja) 地表面保護材および地表面保護構造
KR101594419B1 (ko) 게비온형 녹화구조물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JP3156077B2 (ja) マット栽培トレー及び植物栽培方法
JP2004254559A (ja) 緑化パネル
JP3856998B2 (ja) 切土法面、硬質岩盤法面、モルタル吹付層等の草木苗植栽方法及びその草木苗を植栽した緑化法面並びに草木苗植栽用客土袋
CN205143039U (zh) 一种可移动式藤本植物扩繁种植床
JP3260119B2 (ja) 法面の植栽棚併用緑化工法
EP1185159B1 (en)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KR100859853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H0646026U (ja) 護岸法面の緑化ブロック
JP3825758B2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KR20200013987A (ko) 식생 셀
KR101374688B1 (ko)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JPH0444521A (ja) 植生基盤材
JP3661109B2 (ja) 植栽資材と装填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