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685Y1 - 컵뚜껑 - Google Patents

컵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685Y1
KR200446685Y1 KR20080004183U KR20080004183U KR200446685Y1 KR 200446685 Y1 KR200446685 Y1 KR 200446685Y1 KR 20080004183 U KR20080004183 U KR 20080004183U KR 20080004183 U KR20080004183 U KR 20080004183U KR 200446685 Y1 KR200446685 Y1 KR 200446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up lid
cup
tea ba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4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032U (ko
Inventor
강석만
Original Assignee
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만 filed Critical 강석만
Priority to KR20080004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68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6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컵뚜껑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 내측면에 형성된 본체걸림턱과; 상기 마개의 패킹측 단부가 순차로 연속하여 상향, 수평, 하향 절곡 연장되되 상기 본체의 테두리 상단과 유격을 두고 배치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중 상향 절곡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걸림턱에 걸림되는 마개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컵뚜껑의 마개 개폐시 편의성이 향상되고, 위생적이며, 티백형 차를 즐길 때에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컵, 컵뚜껑, 이중컵, 냉온컵, 보온컵, 티백, 티백걸이

Description

컵뚜껑{CUP COVER}
본 고안은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성을 최대화시키면서 티백을 간편용이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컵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Fast Food) 판매점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테이크아웃(Take-out)용으로 판매되는 음료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일회용 컵에 담긴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컵에는 담긴 음료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흔들림에 의해 음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부에 컵뚜껑이 씌워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내면층과 외면층이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공기층을 충진시켜 보냉, 보온 혹은 이 공기층에 냉매를 채워넣어 냉온시키는 이중컵이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으며, 이들 상부에도 컵뚜껑이 씌워지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처럼, 컵뚜껑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컵뚜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예컨대, 가장 보편화된 예로 도 1 내지 도 2a,b에 도시된 컵뚜껑을 들 수 있 다.
즉, 음료가 채워진 컵(10)의 상면에 도시된 예와 같은 형태로 컵뚜껑(20)이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컵뚜껑(20)은 도 2a,b의 예시와 같이, 컵(10)에 나사결합시키거나 혹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억지끼움형태로 눌러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면 일측에는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22)가 형성되고,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컵뚜껑(20) 상면 적소에 힌지(24) 고정되는 마개(30)가 구비되되 이 마개(30)에는 상기 유출구(22)에 끼워지는 패킹(28)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상기 마개(30)가 회전되면서 상기 패킹(28)으로 하여금 상기 유출구(22)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게 컵(10)에 채워진 음료를 마실 수 있었다.
이때, 상기 마개(26)가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그 상단을 다수회 절곡하여 걸림부(30)를 만들고, 이 걸림부(30)가 유출구(22)측 컵(10) 테두리에 걸림되게 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대부분의 컵뚜껑(20)은 상기 걸림부(30)가 컵(10) 테두리 끼워져 밀착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입과 접촉되는 테두리 부위를 보호하여 먼지 등이 끼지 않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마시고 남은 음료가 테두리에 묻어 있는 상태로 걸림부(30)가 덮어 밀착되기 때문에 쉽게 마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음료에 포함된 당분 등 기타 함유물에 의해 유해균이 쉽게 서식하게 되어 오히려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부(30)가 테두리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30)의 내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컵(10)의 테두리 외측에서 걸림턱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밀폐시에는 무리가 없으나 개방시에는 걸림턱에 걸린 것을 풀기 위해 먼저 걸림부(30)를 그 전방으로 약간 당긴 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회동시켜 마개(26)를 열어야 했으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강한 힘이 필요하고, 또 걸림부(30)가 걸림턱을 타고 넘으면서 벗겨질 때 순간적인 탄력에 의해 컵(10) 전체가 흔들리게 되어 내용물인 음료가 출렁거리면서 밖으로 새어 나오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한편, 상술한 컵(10)을 포함한 대부분의 컵을 이용하여 티백 형태로 된 다양한 종류의 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주로 티백을 컵 내부에 저수된 물에 담근 후 티백에 연결된 실을 컵 테두리에 걸치거나 혹은 걸쳐진 실을 컵뚜껑으로 눌러 고정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티백형 차를 컵 속에 담근 후 우려먹는데 있어 상당한 불편이 따랐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컵뚜껑의 구조개선을 통해 마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면서 음용후 테두리에 남은 음료를 쉽게 건조시켜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티백형 차를 타 마실 때에도 티백걸이를 이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컵뚜껑을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컵뚜껑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 내측면에 형성된 본체걸림턱과; 상기 마개의 패킹측 단부가 순차로 연속하여 상향, 수평, 하향 절곡 연장되되 상기 본체의 테두리 상단과 유격을 두고 배치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중 상향 절곡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걸림턱에 걸림되는 마개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티백걸이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티백걸이는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하단과 연결되고 지지편의 양측단과 간격을 두고 슬릿을 형성하면서 배치된 탄성편으로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티백걸이는 본체의 저면에 고정된 걸이로드와, 상기 걸이로드의 하단에 형성된 코일형 걸이부로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컵뚜껑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티백걸이가 더 구비된 컵뚜껑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컵뚜껑의 마개 개폐시 편의성이 향상되고, 위생적이며, 티백형 차를 즐길 때에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예시적인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은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중앙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마개(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개(200)는 컵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 나사산(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 압입될 수 있도록 나사산(110)이 없는 민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 적소에는 유출구(120)가 형성되어 컵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상단 내측면에 본체걸림턱(14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걸림턱(140)은 기존과 정반대에 형성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2a,b에서와 같이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많은 폐단을 야 기시켰다.
또한, 상기 본체걸림턱(140)은 상기 유출구(120)가 형성된 주변 본체(100) 테두리면 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개(200)의 하단면 적소에는 상기 유출구(120)를 밀폐할 수 있는 패킹(210)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200)의 일측단에는 절곡부(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부(220)는 마개(200)의 일단이 상방향으로 본체(100)의 테두리 높이보다 약간 높게 연장 절곡되어 상향절곡부(222)를 이룬 후 다시 테두리 두께보다 약간 크게 테두리 외부를 향해 수직절곡되어 수평절곡부(224)를 이룬 다음 다시 하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향절곡부(226)를 이룬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절곡부(220)의 내측면, 즉 상기 상향절곡부(222)와 하향절곡부(226) 사이 공간상의 상향절곡부(222) 외측면 상에는 상기 본체걸림턱(140)에 걸림될 수 있는 마개걸림턱(240)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절곡부(224)는 기존과 달리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상단과 접촉되지 않도록 유격(D)을 두고 테두리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절곡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음용후 남은 음료가 상기 수평절곡부(224)에 의해 밀폐되지 않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빨리 건조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따라서, 음용후 입과 접촉된 부위의 본체(100) 테두리에는 병원균이 쉽게 서식하거나 활성화되지 못하게 되어 위생적으로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220), 특히 상기 하향절곡부(226)의 상단에는 가압돌 기(23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가압돌기(230)는 상기 마개(200)의 개방시 사용자에게 마개(200)를 더욱 쉽게 열 수 있도록 조력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물론, 마개(200)를 쉽게 열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가압돌기(230) 형태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하향절곡부(226)의 외표면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경우, 마개(200) 개방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상기 하향절곡부(226)에 비스듬이 힘을 가하기만 하면 마개(200)의 재질 특성상 쉽게 탄성변형되면서 본체걸림턱(140)과 마개걸림턱(240)간의 걸림상태가 쉽게 해제되게 된다.
즉, 기존에는 걸림되는 부위가 본체(100) 테두리 외측에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순히 밀기만 하여서는 그 걸림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 제1실시예에서는 걸림되는 부위가 본체(100)의 테두리 내측에 있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그 걸림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은 사용자가 단순히 절곡부(220)를 본체(100) 중심을 향해 비스듬히 밀기만 하여도 마개(2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들이 사용하기에도 매우 편리하게 된다.
나아가, 마개(200)가 밀폐된 상태에서도 마개(200)의 절곡부(220)와 본체(100)의 테두리 상단 간에는 항상 유격(D)이 유지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좋아 유 출구(120)를 통해 유출된 음료를 음용후 음료의 일부가 본체(100) 테두리에 잔류되더라도 단시간에 건조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매우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은 티백걸이(300)를 포함한다.
상기 티백걸이(300)는 본체(100)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에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편(320)과, 상기 지지편(320)의 하단과 연결되고 지지편(320)의 양측단과 간격을 두고 슬릿(330)을 형성하면서 배치된 탄성편(3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320)은 상기 고정판(310)없이 곧바로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330)은 티백(350)을 구성하는 종이(354)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게 하여 상기 종이(354)가 쉽게 통과하도록 하되, 상기 종이(354)에 실(352)을 고정하기 위해 스테이플링된 스테이플(356)은 통과하지 않고 걸릴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티백걸이(30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컵뚜껑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도면에 명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현재 시중에 유통중인 모든 형태의 컵뚜껑 저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현재 유통중인 컵뚜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마개 개폐형과, 컵 상부를 단순 밀폐하는 단순밀폐형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티백걸이(300)는 이들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은 도 5와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티백형 차를 음용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음용하고 싶은 차의 티백(350)을 파지한 다음 먼저, 티백(350)과 종이(354)를 연결하는 실(352)을 상기 지지편(320)과 탄성편(340) 사이의 슬릿(330)에 통과시킨 다음 스테이플(356)이 찍혀 있는 종이(354)의 반대쪽 단부를 상기 슬릿(330)에 통과시켜 상기 스테이플(356)이 상기 슬릿(330)에 걸리도록 배치한다.
그러면, 종이(354)는 도시된 예와 같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채 슬릿(330)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컵에 저장된 물에 상기 티백(350)을 담그게 되면 초기에는 티백(350)이 물 위에 뜨게 된다.
그러나, 종이(354)는 기울어져 있어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33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티백(350)을 컵뚜껑 저면에 형성된 티백걸이(300)에 건 다음 물에 담근 후 상기 컵뚜껑을 닫기만 하면 아주 편하게 티백(350)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컵뚜껑도 티백걸이(400)를 포함한다.
상기 티백걸이(400)는 앞서 설명된 제2실시예의 티백걸이(300)와 다른 형태로 변형된 것이다.
본 고안 제3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티백걸이(400)이도 본체(100)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실시예 형태의 컵뚜껑은 물론 기존 컵뚜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티백걸이(400)는 일단이 수직절곡되어 본체(100)의 저면에 매립설치되는 고정부(420)와, 상기 고정부(420)와 수직하게 하향연장된 걸이로드(410)와, 상기 걸이로드(410)의 하단이 코일형상으로 감긴 걸이부(43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걸이부(430)의 단부는 상향된 상태에서 약간 외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티백(350) 연결용 실(352)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티백(350)을 이용할 수 있는데,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실(352)을 코일형 걸이부(430)에 2-3회 정도 감아 사용한다는 것 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뚜껑은 위생적이면서도 티백형 차를 즐길 때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뚜껑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
도 2a,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뚜껑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예시적인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컵뚜껑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본체 120....유출구
200....마개 210....패킹
220....절곡부 300,400....티백걸이
350....티백

Claims (5)

  1. 삭제
  2. 유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유출구(120)를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마개(200)와;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내측면에 형성된 본체걸림턱(140)과; 상기 마개(200)의 패킹(210)측 단부가 순차로 연속하여 상향, 수평, 하향 절곡 연장되되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상단과 유격(D)을 두고 배치되는 절곡부(220)와; 상기 절곡부(220)중 상향 절곡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걸림턱(140)에 걸림되는 마개걸림턱(240)을 포함하는 컵뚜껑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티백걸이(300,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티백걸이(300)는 본체(1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편(320)과, 상기 지지편(320)의 하단과 연결되고 지지편(320)의 양측단과 간격을 두고 슬릿(330)을 형성하면서 배치된 탄성편(3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티백걸이(400)는 본체(100)의 저면에 고정된 걸이로드(410)와, 상기 걸이로드(410)의 하단에 형성된 코일형 걸이부(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5. 유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유출구(120)를 밀폐하면서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마개(200)를 포함하는 컵뚜껑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티백걸이(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KR20080004183U 2008-03-31 2008-03-31 컵뚜껑 KR200446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4183U KR200446685Y1 (ko) 2008-03-31 2008-03-31 컵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4183U KR200446685Y1 (ko) 2008-03-31 2008-03-31 컵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32U KR20090010032U (ko) 2009-10-06
KR200446685Y1 true KR200446685Y1 (ko) 2009-11-20

Family

ID=4153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4183U KR200446685Y1 (ko) 2008-03-31 2008-03-31 컵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6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8880B (zh) * 2011-01-10 2014-03-19 晋溢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杯盖
CN102940377A (zh) * 2012-11-26 2013-02-27 刘若霖 一种实用泡茶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808A (ja) * 1999-04-12 2000-10-17 Yutaka Hosono コップのこぼれ防止蓋
JP3809621B2 (ja) * 1996-12-12 2006-08-16 三笠産業株式会社 振り出し容器のキャップ
JP2006230646A (ja) * 2005-02-24 2006-09-07 Daihana:Kk ティーバッグの係止具および両面テープ付ティーバッグ
JP3906383B2 (ja) * 1997-03-12 2007-04-18 雪印乳業株式会社 振出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9621B2 (ja) * 1996-12-12 2006-08-16 三笠産業株式会社 振り出し容器のキャップ
JP3906383B2 (ja) * 1997-03-12 2007-04-18 雪印乳業株式会社 振出容器
JP2000287808A (ja) * 1999-04-12 2000-10-17 Yutaka Hosono コップのこぼれ防止蓋
JP2006230646A (ja) * 2005-02-24 2006-09-07 Daihana:Kk ティーバッグの係止具および両面テープ付ティー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32U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1380B2 (ja) 飲料容器用閉鎖体及び閉鎖体を備えた飲料容器
US9463913B2 (en) Snack storage lid for a beverage cup
RU2345939C2 (ru) Крышка, в частност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стаканчика
US20090108003A1 (en) Device to enhance and prolong a hot beverage drinking experience
US11548696B2 (en) Lid for a container
US20150344178A1 (en) Container system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US10336508B2 (en) Resealable cover for containers
KR200446685Y1 (ko) 컵뚜껑
KR100757255B1 (ko) 차 우림구
US11700968B2 (en) Infuser container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140010810A (ko)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CN106395113B (zh) 饮料容器
JP4460586B2 (ja) 保温蓋の構造
KR200364716Y1 (ko) 필터망을 갖춘 머그컵
KR200419553Y1 (ko) 종지 일체형 접시
KR101374229B1 (ko) 캔의 보호기능과 오프너 기능을 겸하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
KR20130012796A (ko) 음료수 캔
KR200426927Y1 (ko) 차 우림구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KR200379045Y1 (ko) 걸림망이 구비된 물병
KR200420581Y1 (ko) 고리가 구비된 음료수용 병마개
CN208114451U (zh) 一种带有录音功能的保温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