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44Y1 -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 Google Patents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44Y1
KR200440344Y1 KR2020070003345U KR20070003345U KR200440344Y1 KR 200440344 Y1 KR200440344 Y1 KR 200440344Y1 KR 2020070003345 U KR2020070003345 U KR 2020070003345U KR 20070003345 U KR20070003345 U KR 20070003345U KR 200440344 Y1 KR200440344 Y1 KR 200440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supply
exhaust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옥
Original Assignee
김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옥 filed Critical 김기옥
Priority to KR2020070003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의 여유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구형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되, 설치공간 비율과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활한 실내환기를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인테리어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통상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있어서,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강제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기덕트와; 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사이에 추가적으로 연통결합되어 공기의 유입/배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연장덕트와; 구분된 실내공간의 내벽을 관통한 홀에 용이하게 끼움설치되는 관통덕트와; 빌딩의 사무실 또는 아파트 세대가정의 거실 등과 같은 독립된 실내공간으로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그리고 연장덕트가 파생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분할덕트와; 실내의 모서리공간부에서 상기 연장덕트의 진행방향을 변경 가능케 하는 전환덕트와; 그리고, 상술한 모든 환기덕트들을 실내의 천장 일면에 각각 고정결합하기 위한 금속밴드형의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열교환기, 급기덕트, 배기덕트, 배기부재, 급기부재, 슬림, 단차, 적층, 급기감지팬, 기체유도면

Description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DUCT STRUCTURE EXPOSING TYPE OF THE INTERIOR VENTIL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있어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를 위한 급기덕트, 배기덕트, 연장덕트, 관통덕트, 분할덕트, 전환덕트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의 설치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급기관, b : 배기관, a-1, b-1 : 끼움단
1 : 급기덕트, 2 : 배기덕트, 3 : 연장덕트
4 : 관통덕트, 4-1 : 끼움덕트, 4-2 : 연결덕트
4-1a : 제1절곡합류부, 4-2a : 제2절곡합류부, 5 : 분할덕트
6 : 전환덕트, 7 : 고정클립, 11 : 급기부재
21 : 배기부재, 111 : 급기공, 112 : 급기감지팬
211 : 배기공, 212 : 기체유도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의 여유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구형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되, 설치공간 비율과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활한 실내환기를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인테리어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여름철에는 외기와 기온차가 5~6℃ 정도이고 실내온도 25~29℃ 습도 60~70%, 겨울철에는 실내온도 18~21℃ 습도 55~70% 정도가 신체가 활동하기에 최적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신축건설된 빌딩 및 아파트와 같은 경우, 건축자재나 벽지 등에서 나오는 발암물질이 포함된 휘발성 유해물질로 인해, 호급기질환(천식 등)이나 피부질환(아토피피부염 등) 그리고 집중력장애(구토, 두통 등)를 일으키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이나 밀폐된 실내공간 내에서의 사람의 호흡으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여 인체(人體, The body)의 생체리듬에 악영향을 끼치게 마련이어서, 사무실이나 세대가정 내의 거실 등과 같은 협소한 장소에 많은 사람이 머물 경우 실내,외 공기의 급기(給氣, Inhalation) 및 배기(排氣, Exhaustion)를 통한 실내환기 작업을 수시로 실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실내환기(室內換氣, The interior ventilation)를 위하여, 빌딩의 경우에는 주로 건축물의 층간을 이루는 슬라브층과 천장 사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는바, 그 내부로 급,배기덕트(환기덕트) 및 그들을 통해 실내의 오염된 내기(內氣)는 외부로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한 외기(外氣)는 흡입하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전열교환기(Heat-exchanger : 폐열회수형 환기장치)라 함은, 쾌적한 실내환경의 지속적 유지를 위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오염된 내기를 실외로 방출하고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환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정부에서는 2006년1월부터 공동주택이나 다중 이용시설에 대해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주택법 제21조3항을 대통령에 의한 법률'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406146호에서는, 신선한 외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오염된 내기를 실외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원활한 환기를 도모함과 함께 내,외기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써, 도 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는, 박스형태의 케이스 일측에 외기를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실외로 배출되는 내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기(501)와; 상기 전열교환기(501)의 급기구에 연결된 상태로 건물 실내의 각 공간에 배치됨과 아울러 실내측 천장에 설치된 환기구와 연결되어 실내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된 급기덕트(520)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인출구에 연결된 상태로 건물 실내의 각 공간에 배치됨과 아울러 실내측 천장에 설치된 또 다른 환기구와 연결되어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배기덕트(530)와; 상기 전열교환기(5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의 풍량조절과 작동시간 설정 및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의 온도설정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40)로 구성된다.
종래의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상기 전열교환기(501)를 통해 정화된 외기가 상기 급기덕트(520)를 거쳐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내기가 상기 배기덕트(53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게 함에는 용이하나,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상기 급기덕트(520) 및 배기덕트(530)가 천장에 그대로 복잡한 구성으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밖에 없으면서도 상기 급기덕트(520)와 배기덕트(530)의 설치여건상 그들이 상호 교차되는 천장의 일 위치에서 난잡한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관계로, 설치기간의 장기화 및 실내분위기 저하 그리고 인테리어효과의 반감과 같은 폐단이 있어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의 급/배기를 함께 이룰 수 있으면서도 슬림화된 이중 적층구조로 다수의 덕트를 형상화하여, 천장에 조립되는 공간비율과 설치비용의 최소화 및 설치공정의 간소화에 따른 설치기간 단축과 아울러 편리성이 증대되게 한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기가 실내로 공급됨을 육안으로도 확인 가능한 배기감지팬을 포함하는 배기부재 및 내기가 실외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기부재를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기관과 급기관의 일단에 각각 더 결합하여, 실내환기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으면서도 세련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급기관과 배기관을 편향 단차된 이중 적층구조로 일체 결합하여, 그로 마련된 각각의 공간부에 커튼(버티칼 등) 및 각종 램프(LED) 등과 같은 생활필수품 또는 장식품의 활용을 통한 극대화된 인테리어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통상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있어서,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강제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기덕트와; 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사이에 추가적으로 연통결합되어 공기의 유입/배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연장덕트와; 구분된 실내공간의 내벽을 관통한 홀에 용이하게 끼움설치되는 관통덕트와; 빌딩의 사무실 또는 아파트 세대가정의 거실 등과 같은 독립된 실내공간으로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그리고 연장덕트가 파생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분할덕트와; 실내의 모서리공간부에서 상기 연장덕트의 진행방향을 변경 가능케 하는 전환덕트와; 그리고, 상술한 모든 환기덕트들을 실내의 천장 일면에 각각 고정결합하기 위한 금속밴드형의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있어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를 위한 급기덕트, 배기덕트, 연장덕트, 관통덕트, 분할덕트, 전환덕트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의 설치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는,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강제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기덕트(1)와, 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2)와, 상기 급기덕트(1) 및 배기덕트(2) 사이에 추가적으로 연통결합되어 공기의 유입/배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연장덕트(3)와, 구분된 실내공간의 내벽을 관통한 홀에 용이하게 끼움설치되는 관통덕트(4)와, 빌딩의 사무실 또는 아파트 세대가정의 거실 등과 같은 독립된 실내공간으로 상기 급기덕트(1)와 배기덕트(2) 그리고 연장덕트(3)가 파생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분할덕트(5)와, 실내의 모서리공간부에서 상기 연장덕트(3)의 진행방향을 변경 가능케 하는 전환덕트(6)와, 상술한 모든 환기덕트들을 실내의 천장 일면에 각각 고정결합하기 위한 금속밴드형의 고정클립(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상기 급기덕트(1), 배기덕트(2), 연장덕트(3), 관통덕트(4), 분할덕트(5), 전환덕트(6)는, 구형의 빌딩 내 사무실이나 아파트 세대가정의 안방, 거실, 욕실 등과 같은 밀폐공간 내에서 사람의 호흡을 통해 증가되는 이산화탄소로 인함이나, 신축된 아파트 실내의 건축자재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휘발성 유해물질로 인해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오염된 내기(실내공기)를 강제배출함과 동시에 신선한 외기(실외공기)가 유입되게 하기 위하여 통상의 전열교환기(501)와 연결되는 환기덕트로써,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가 좁은 통공된 공간을 갖는 사각관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관(a) 및 내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b)을 편향(偏向 : 한쪽으로 치우침, 단차)구조로 적층 조립한다.
아울러, 상기 급기관(a)과 배기관(b)들의 동일 일측 선단부에는, 계단형으로 절곡된 끼움단(1a)(2a)이 형성됨으로써, 상호 간의 연결조립을 간단히 이룰 수 있다.
급기덕트(1)는, 상기 전열교환기(501)를 통해 신선한 외부공기(외기)를 실내로 강제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구성된 급기관(a)의 실내공간 측방을 향하는 일 단부에 외기의 실내유입을 위한 급기부재(11)가 구비결합된다.
상기 급기부재(11)는, 신선한 외기의 유입을 위한 가로형의 급기공(111)과, 상기 급기공(111)을 거쳐 실내로 유입되는 기체흐름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급기감지팬(112)이 상기 급기공(111) 내에 일정간격마다 다수개가 더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배기덕트(2)는, 상기 급기덕트(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열교환기(501)를 통해 오염된 내부공기(내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구성된 배기관(b)의 실내공간 측방을 향하는 단부면에 내기의 실외배출을 위한 배기부재(21)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가 구비결합된다.
상기 배기부재(21)는,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배기공(211)과, 상기 배기공(211)을 형성하되 실내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배기관(b) 측으로 내경이 점차적 감소를 이룸과 더불어 그 내경면이 호형으로 볼록한 기체유도면(212)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연장덕트(3)는, 상기 급기덕트(1) 및 배기턱트(2)의 일측에 더 연결결합된 채로 상기 전열교환기(501)를 통하여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내,외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덕트(1)나 배기턱트(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급기부재(11) 또는 배기부재(21)가 생략된 구성으로써, 단순히 기체의 흐름유도를 위함이 바람직하다.
관통덕트(4)는, 구분된 실내공간으로 상기 급기덕트(1), 배기덕트(2), 연장덕트(3)들을 추가적으로 연통결합함에 있어서 구분된 실내공간의 내벽을 관통한 홀에 덕트를 용이하게 끼움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관(a)과 배기관(b)을 일체로 한 한 쌍의 끼움덕트(4-1) 및 연결덕트(4-2)의 조립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끼움덕트(4-1)와 연결덕트(4-2)의 마주보는 결합 선단부 각각의 급기관(a)은, 그들 상부에 구비된 배기관(b)의 수직 양면과 일직선 이중 적층구조를 이루도록 일부가 유연하게 전환 배속되는 절곡합류부(4-1a)(4-2a)가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관통부를 갖는 내벽에 간단히 끼움될 수 있는 것이다.
분할덕트(5)는, 실내의 독립된 공간부로 덕트의 파생설치를 가능케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급기관(a)과 배기관(b) 사이 중앙부에 직교방향으로 더 관통되어 다른 환기덕트 또는 상기 전열교환기(501)와 연통결합되는 분할급기관(a') 및 분할배기관(b')이 각각 형성된 "T"자형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전환덕트(6)는, 실내의 모서리공간부에 위치되어 덕트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배기,연장,관통덕트(1)(2)(3)(4)들 중의 급기관(a)과 배기관(b)의 끼움단(a-1)(b-1)에 연통결합되어 모서리공간부에 용이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L"자형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고정클립(5)은, 상술한 급기덕트(1), 배기덕트(2), 연장덕트(3)를 실내공간의 천장 일면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천장의 일면에 별도의 결합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고정결합된 채로 덕트들 각각의 배기관(b) 둘레 양단을 압박하여 결착함이 가능한 "ㄷ"자형으로 절곡된 금속띠이다.
한편, 도 2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환기시스템용 덕트구조를 이루기 위한 상기 급기덕트(1), 배기덕트(2), 연장덕트(3), 관통덕트(4), 분할덕트(5), 전환덕트(6)의 설치시공은, 빌딩이나 아파트의 실내공간의 구조에 따라 제2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으며, 그들의 외관에 목재의 질감이 표현된 전사지를 부착하거나 금속성 페인트 등으로 마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301)은 아파트 실내의 거실을 도시한 것이고, (302)는 안방, (303)은 작은방, (304)는 주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의 작용을 제1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축물의 층간(슬라브층)과 천장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구형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실내공간 천장면에 설치함을 주목적으로 한다.
먼저, 도 2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환기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상의 상기 전열교환기(501)를 발코니에 설치한 후, 상기 전환덕트(6) 일측의 급기관(a)과 배기관(b)을 전열교환기(501)에 연결한 다음, 다시 다수의 상기 연장덕트(3)를 순차적으로 상기 전환덕트(6)의 타측에 연통결합함과 동시에 최종결합된 연장덕트(3)의 끼움단(a-1)(b-1) 각각에 상술한 전환덕트(6)를 더 연통결합함으로써 실내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분할덕트(5)의 분할급기관(a')과 분할배기관(b')을 실내와 실외로 구획하는 벽면을 뚫어 관통형성된 홀에 삽입함과 함께 상기 전환덕트(6)의 끼움단(a-1)(b-1) 각각에 연결한 다음, 환기를 목적으로 하는 (빌딩 내의 사무실 또는) 아파트 세대가정의 안방, 거실, 욕실 등과 같은 독립된 실내공간 내로 상기 급기덕트(1)와 배기덕트(2) 그리고 그들의 사이로 실내공간의 면적에 따라 하나 이상 더 연통결합될 수 있는 상기 연장덕트(3)가 설치된다.
더불어, 독립된 공간을 구획하는 내벽을 더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절곡합류부(4-1a)가 형성된 끼움덕트(4-1) 및 제2절곡합류부(4-2a)가 형성된 연결덕트(4-2)로 이루어진 관통덕트(4)가 상기 내벽의 내벽의 관통된 홀에 끼움함으로 인해, 다른 실내공간으로의 또 다른 급기덕트(1)와 배기덕트(2) 그리고 연장덕트(3)가 연이어 연통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급기덕트(1)와 배기덕트(2)가 독립된 실내공간의 양 귀퉁이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그들 사이에 상기 연장덕트(3)가 추가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신선한 외기의 강제유입 및 유입된 외기의 흐름에 따라 오염된 내기가 상기 배기덕트(2)의 배기부재(21)로 흡입과 동시에 외부(실외)로 용이한 배출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급기덕트(1)와 배기덕트(2) 및 연장덕트(3)는, 상기 고정클립(7)에 의해 실내 천장면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간단한 설치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전열교환기(501)를 작동시켜 실외의 신선한 외기가 각각의 급기 관(a)을 지나 실내로 강제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외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실내의 오염된 내기가 배기관(b)을 거쳐 외부로 배출됨으로, 밀폐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주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덕트(1)의 급기관(a) 실내측 단부에 구비결합된 상기 급기부재(111)의 급기감지팬(112)의 회전/정지에 따라, 신선한 외기의 유입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2)의 배기관(b) 실내측 단부에 구비결합된 상기 배기부재(21)의 기체유도면(212)을 통해 오염된 내기가 안내되어 실외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덕트(1)와 연결덕트(2)를 이루는 각각의 배기관(11)(21)과 급기관(12)(22)이 단차진 형태로 조립결합된 상태이어서, 그에 의한 단차공간부 내에 실생활환경에 필요하면서도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커튼이나 조명등(LED램프)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는, 슬림형의 배기관과 급기관을 편향되게 단차결합한 형태로 덕트들을 구성하되, 내벽의 관통으로 형성된 홀에 간단히 끼움되는 관통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그리고 연장덕트의 설치 진행방향을 간단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덕트 및 그들의 파생설치를 위한 분할덕트와 함께 상기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모든 덕트들을 천장 일면에 간단히 부착고정함으로써, 설치공간 비율과 비용의 최소화와 아울러 설치단계 간소화에 따른 공사기간 단축과 같은 시공성의 증대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급기감지팬을 포함하는 급기부재가 일단부에 구비결합된 급기덕트와 기체유도면을 갖는 배기부재가 일단부에 구비결합된 배기덕트에 의해, 환기덕트의 구조를 세련되게 형상화할 수 있으면서도 급기/배기와 같은 실내환기 상태를 육안으로도 파악함이 용이함과 같은 극대화된 제품사용성을 거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배기관과 급기관이 편향 단차결합된 구조에 따라 마련되는 공간부를 활용하여, 주거환경 및 인테리어 효과를 위한 커튼이나 조명등과 같은 실생활필수품이나 장식품을 적절히 활용함이 가능하여 독특한 실내공간 연출을 이룰 수 있는 뛰어난 제품의 활용성을 발휘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통상의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에 있어서,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강제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기덕트와;
    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사이에 추가적으로 연통결합되어, 공기의 유입/배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연장덕트와;
    구분된 실내공간의 내벽을 관통한 홀에 용이하게 끼움설치되는 관통덕트와;
    빌딩의 사무실 또는 아파트 세대가정의 거실 등과 같은 독립된 실내공간으로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그리고 연장덕트가 파생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분할덕트와;
    실내의 모서리공간부에서 상기 연장덕트의 진행방향을 변경 가능케 하는 전환덕트와; 그리고,
    상술한 모든 환기덕트들을 실내의 천장 일면에 각각 고정결합하기 위한 금속밴드형의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 배기덕트, 연장덕트, 관통덕트, 분할덕트, 전환덕트는, 좌우 폭보다 상하 높이가 좁고 길이방향 양단이 통공된 급기관 및 배기관을 공통하게 일체 결합한 구성이되,
    내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배기관의 하측에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기 급기관이 편향(偏向 : 한쪽으로 치우침)된 적층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덕트는, 그의 상기 급기관과 배기관을 일체로 한 한 쌍의 끼움덕트 및 연결덕트를 조립결합함으로 구성되되,
    상기 끼움덕트와 연결덕트의 조립 측 각각의 상기 급기관 선단 일부에는, 그들 각 상측의 상기 배기관과 수직 적층되도록 한 절곡합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덕트의 상기 급기관과 배기관에는, 그들의 중앙부에 직교방향으로 더 관통되어 상기 급기덕트, 배기덕트, 연장덕트, 전환덕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연통결합하는 분할급기관 및 분할배기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의 상기 급기관 일 단부에는, 외기의 실내유입을 위한 급기부재가 구비결합되되,
    상기 급기부재는, 외기의 유입을 위한 가로형의 급기공과, 상기 급기공을 거쳐 실내로 유입되는 기체의 흐름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급기감지팬이 상기 급기공 내에 일정간격마다 다수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상기 배기관 일 단부에는, 내기의 실외배출을 위한 다수개의 배기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구비결합되되,
    상기 배기부재에는, 실내공기 흡입을 위한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을 형성하되 실내 측 선단 내경 보다 상기 배기관 측 선단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함과 더불어 그 내경면이 호형으로 볼록한 기체유도면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KR2020070003345U 2007-02-27 2007-02-27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KR200440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45U KR200440344Y1 (ko) 2007-02-27 2007-02-27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45U KR200440344Y1 (ko) 2007-02-27 2007-02-27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44Y1 true KR200440344Y1 (ko) 2008-06-09

Family

ID=4163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345U KR200440344Y1 (ko) 2007-02-27 2007-02-27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242A (zh) * 2019-12-11 2020-04-10 安徽人和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无菌室的通风***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242A (zh) * 2019-12-11 2020-04-10 安徽人和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无菌室的通风***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38980U (zh) 往复式热回收新风***
CN113432197A (zh) 一种采用无送风管双向流局域新风***建筑物
CN215892566U (zh) 一种采用无送风管双向流局域新风***建筑物
CN106594955A (zh) 预制装配钢结构住宅新风***及其施工方法
KR20120040895A (ko) 배기기능을 갖춘 실내공기 순환장치
CN104976747A (zh) 一种具有多个选择性风口的空气导流机构
KR200440344Y1 (ko) 실내 환기시스템용 노출형 덕트구조
CN202254094U (zh) 一种壁挂式通风结构
US20200408434A1 (en) Building comprising an air quality control system and a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control
JP2002098354A (ja) 屋内換気住宅
CN210483135U (zh) 一种通风采光的建筑物
CN203132042U (zh) 一种建筑节能通风器
JP2001289476A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JP6525157B2 (ja) 換気システム及び家屋
CN2769738Y (zh) 保温双向换气机
JP3167320U (ja) 家屋における換気システム
KR101480323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한 실내환기 장치.
JP6541624B2 (ja) 換気システム及び家屋
KR102592513B1 (ko) 세대용 통합 환기 시스템
CN212746804U (zh) 一种管道式新风自换热***
JPH116643A (ja) 住宅における給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100359409B1 (ko) 실내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장치
Bohne Ventilation Systems
TWI644061B (zh) 室內換氣循環氣流導引系統
CN117515733A (zh) 一种整体新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